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목표이익을 달성하기 위한 법인세비용을 이용한 이익조정

        박종일 ( Jong Il Park ),전규안 ( Kyu An Jeon ) 한국회계학회 2009 회계학연구 Vol.34 No.1

        법인세비용 계산의 복잡성과 법인세비용 계산시의 시간제약, 미래이익을 추정하는데 있어서의 자의성은 경영자와 감사인 및 주주 사이에 정보불균형을 가져오며, 따라서 경영자가 목표이익을 달성하기 위하여 법인세비용을 마지막 기회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Dhaliwal et al. 2004). 본 연구에서는 보고이익을 공시하기 전에 이익조정 전 이익(당기의 연간 세전이익을 이용한 방법과 3분기까지의 주당순이익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측정)이 목표이익(3분기 말의 재무분석가의 이익예측치와 전기 주당순이익으로 측정)에 미달된 기업들이 4분기에서 법인세비용을 이용하여 이익조정을 하는가를 알아보았다. 재무분석가의 이익예측치 자료가 이용가능한 2000년부터 2006년까지의 기간을 분석기간으로 하여 금융업을 제외하고 12월결산법인을 대상으로 최종표본 751개 기업-연도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Dhaliwal et al.(2004)의 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3분기말에 발표된 목표이익에 미달한 기업들과 4분기의 법인세비용을 이용한 이익조정 간에는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한 경우에는 목표이익에 미달한 기업들이 3분기까지의 유효법인세율(effective tax rate)보다 4분기의 유효법인세율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경영자가 법인세비용을 낮추어 이익을 상향조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Dhaliwal et al.(2004)의 방법을 개선하여 본 연구에서 제안된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는 경우에서 Dhaliwal et al.(2004)의 연구에서처럼 3분기에서 목표이익에 미달한 기업들이 4분기의 법인세비용을 이용하여 이익조정을 한다는 결과를 발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Dhaliwal et al.(2004)에서 이용된 방법보다 개선된 방법으로 측정함으로써 경영자가 목표이익에 미달한 경우 법인세비용을 이용하여 이익조정을 한다는 실증분석결과를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경영자들이 법인세비용을 이용하여 이익조정을 한다는 본 연구의 결과는 투자자나 채권자, 감독당국 등이 기업(특히 실제 이익을 공시하기 전에 목표이익에 미달한 기업)의 재무제표를 분석할 때 법인세비용에 특히 주의를 기울여야 함을 제안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When the complexity of estimating tax expense and the timing of the tax accrual prior to earnings management is considered, Dhaliwal, Gleason and Mills (2004) (hereafter DGM) suggest that tax expense is a powerful and underexplored context for studying earnings management. DGM (2004) establish that, relative to firms that beat the forecast, firms which would miss analysts` consensus forecast of annual earnings per share (EPS) are more likely to decrease tax expense to meet or beat the forecast. Therefore, DGM (2004) examine whether firms manage earnings through decreases in effective tax rates (ETRs) between the third and fourth quarters. They assert that changes in ETRs are consistent with earnings management because tax expense is one of the last accounts closed in determining reported earnings. DGM (2004) insist that although many pretax accruals must be posted in the year-end general ledger, managers estimate and negotiate tax expense with their auditors immediately prior to earnings announcement. So, We examine whether firms manage tax expense to reach earnings targets by applying DGM`s methodology and our improved methodology to Korean firms. The sample consists of non-banking firms (751 firm-years) with a December fiscal year-end listed on the Korean Stock Market over 2000-2006. The data on analysts`s forecasts is collected from the Fn-DataGuidePro Database. Therefore, the sample is limited to firms to be able to collect analysts`s forecasts data from Fn-DataGuidePro Database. We collect other firm-specific financial data from KIS-VALUE Ⅱ database. We support the DGM (2004) arguments that tax expense represents an opportunity for firms to earnings management using changes in ETRs. We conduct the different three measure in regard to targets earnings of empirical tests as DGM (2004) to investigate the sensitivity of DGM`s results to research design choices. We use the consensus earnings forecasts and earnings of the previous year as our proxy for targets earnings. Also, we define ETRQ4 - ETRQ1∼Q3 as the change in annual ETR from the accumulated three quarters(from first to third quarter) to fourth quarter and use this as our measure tax expense management. In our hypothesis, we expect ETRQ4 - ETRQ1∼Q3 to be negatively related to how much the firm would have missed the consensus forecast(or targets earnings). We extend DGM (2004) by exploring a plausible additional explanation for third-to-fourth-quarter decreases in ETRs that they acknowledge as a limitation of their study. DGM (2004) use analysts` consensus forecast as targets earnings and current annual pre-tax earnings as unmanaged earnings. But we use analysts` consensus forecast and previous annual earnings as targets earnings and current annual pre-tax earnings and first∼third-quarter earnings as unmanaged earnings. Managers have strong incentives to meet or beat three benchmarks(to avoid losses, earnings decreases, and missing analyst expectation). DGM (2004) focus on a benchmark(to avoid missing analyst expectation), but we consider two benchmarks (to avoid missing analyst expectation and earnings decreases). We don`t consider the benchmark to avoid losses because loss firms have negative ETRs and negative ETRs don`t have economic meaning. Specifically, we investigate the extent to which greater first∼third-to-fourth-quarter ETR reductions are associated to firms that would miss their consensus earnings forecasts(or targets earnings) absent ETR changes relative to firms that would otherwise reach or exceed these income goals. We posit that firms may use from first to third-to-fourth-quarter ETR changes to reduce reported income when earnings are expected to meet or exceed analysts` forecasts. In our empirical tests, in contrast to DGM`s results when we use DGM (2004) methodology, we fin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analysts` consensus forecasts (a proxy for target earnings) and changes in ETRs (last chance earnings management). However, we recalculate two measures as a proxy for missed targets earnings and find the negative association between the first∼thirdto- fourth-quarter ETR changes and missing income goals absent ETR changes. Our study implies that DGM`s methodology is not proper to Korean Stock Market and DGM`s results are sensitive to research design choices. Overall, our results suggest that, for firms that would miss consensus earnings forecasts in the absence of ETR management, the first∼third-to-fourth-quarter ETR changes are associated with greater reductions in ETRs between the first∼ third and fourth quarters. We also find consistent support for the DGM (2004) argument that firms use ETR as a last-chance earnings management technique, having controlled for firms` manipulation of other accounts. These results are robust to the inclusion of other common earnings management variables, including total accruals and deferred taxes. Our research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in several ways. First, we provide information to investors and policy makers about the extent to which reported tax positions are consistent with tax planning and earnings management by investigating whether income tax expense is commonly used to meet or beat earnings targets. Second, consistent with Healy and Wahlen (1999), we contribute to earnings management research by focusing on specific accruals, which improves the likelihood of discerning between earnings management and effective tax planning as the reason for decreases in ETRs. Like DGM`s assertion by studying the tax expense in total, rather than narrow components of deferred tax expense, we think that our results provide general evidence that reported taxes are used to manage earnings. Finally by improving DGM`s measure we find that the first∼ third-to-fourth-quarter ETR changes are negatively related to income goals absent ETR changes.

      • KCI등재

        이익조정과 최고경영자 교체가능성의 관련성 : 생존분석을 중심으로

        최종서,곽영민,백정한 韓國公認會計士會 2012 회계·세무와 감사 연구 Vol.54 No.1

        Managers engage in earnings management using accounting discretions within the boundaries of GAAP. Managerial accounting discretions are sometimes intended to enhance the predictability of future cash flows or create positive influences on firm values. Other times, managers attempt to use accounting flexibilities to improve opportunistic benefits. Opportunistic earnings management activities to maximize manager's private gain tend to mitigate the reliability of accounting information, resulting in the detriments to the future value of the firm. Strong corporate governance is expected to play a role in safe-guarding the interests of various stakeholders including equity holders, who monitor and check managerial opportunism through internal control syst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internal controls work to discipline opportunistic managerial earnings management under the Korean context. Earnings management provides a rich setting in which to examine whether internal controls work to discipline managers who engage in self-interested but potentially value-destroying activities. We examine firm-year observations selected over the period of 2001 through 2006, for which CEO's job tenure information is available. We conduct various tests to see whether earnings management during a CEO's job tenure as reflected in both absolute discretionary accruals and abnormal real activities increases the likelihood of CEO turnover. We also examine whether the connection between earnings management and the likelihood of CEO turnover differ between the voluntary and forced CEO turnover. Our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we find that the average annual value of absolute discretionary accruals during CEO's tenure is significantly related with the increases in the probability of CEO turnover after controlling for the firm performance and corporate governance metrics. However, we do not observe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the proxies of real earnings management and the likelihood of CEO turnover. These observations indicate that the managerial earnings management activities tend to trigger disciplinary actions from internal control systems, with differing degrees depending on the type of devices used for managing earnings by managers. Second, we find that absolute discretionary accrual is positively and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hazard rate for forced CEO turnover, but insignificantly related in voluntary turnovers, which implies that the likelihood of forced CEO turnover is a function of the degree of earnings management. This basic result holds through several test specifications, including logistic regressions and competing-risks hazard models. These results suggest that extreme managerial earnings management activities provide reasons to ouster CEOs by force, a manifestation of disciplinary mechanism exercised by sound internal control system. Above results provide an empirical evidence in support of conjectures that CEO's opportunistic earnings management activities serve as one of the causes leading to forced CEO turnover. This finding contributes to the existing literatur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EO turnover and earnings management in that it implies the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the two constructs may be bidirectional rather than one directional. In other words, our study indicates that accounting discretion is not only used as a means for a CEO to enhance his or her personal benefits, but a sound internal control system may interpret it as a signal of managerial inefficiency. 경영자는 자신에게 허용된 회계 재량권을 이용하여 보고이익 수치를 필요에 따라 조정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러한 이익의 조정은 미래 현금흐름의 예측가능성을 제고하거나 기업 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기 위해 시도되는 경우도 있으나 때로는 경영자의 사적 효익을 증대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시도되기도 한다. 경영자의 사적효용 극대화 관점에서 수행된 이익조정은 기업정보에 대한 신뢰성을 저하시켜 향후 기업에 막대한 비용을 초래할 가능성을 소지하고 있어 주주 및 이해관계자 집단은 내부통제 시스템을 통해 이를 감시하고 견제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상황인식을 전제로 하여 경영자의 자의적인 이익조정 행위가 주주 및 이해관계자 집단으로부터의 경영자에 대한 신뢰성 약화시켜 결국 경영자의 교체가능성을 증폭시키는 요인이 되는지를 검증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2001년부터 2006년까지 경영자의 재임기간을 확인할 수 있는 표본을 이용하여 최고경영자의 재임기간 동안에의 발생액 및 실물활동에 기초한 이익조정 성향이 최고경영자의 교체가능성을 증가시키고 있는지를 생존분석(survival analysis)을 통해 검증한다. 나아가 최고경영자의 교체유형을 자발적 교체와 강제적 교체로 구분하여 교체유형에 따라 이익조정과 경영자 교체간의 관련성이 차별적으로 존재하는지에 대해서도 분석하였다. 주요한 실증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최고경영자의 재임기간 동안에의 재량적 발생액 절댓값의 평균과 최고경영자의 교체확률 간에 유의한 양(+)의 관련성이 관찰된 반면 실물이익조정척도와 최고경영자 교체확률 간에는 어떠한 통계적 유의성도 관찰되지 않았다. 이는 다양한 동기에서 비롯된 경영자의 이익조정 행위가 내부통제시스템의 감시와 견제 기능으로 인해 최고경영자 자신의 교체가능성을 증폭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으나 이익조정 수단에 따라 그러한 양자의 관련성에 차이가 존재함을 의미한다. 둘째, 최고경영자의 교체유형을 자발적 교체와 강제적 교체로 구분하였을 경우 이익조정과 자발적 교체확률 간에는 어떠한 유의적인 관련성도 관찰되지 않는 반면, 이익조정과 강제적 교체 간에는 교체유형을 구분하지 않았을 경우 보다 더욱 강한 양(+)의 상관관계가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최고경영자의 자의적인 이익조정 행위를 기업의 이해관계자들이 부정적으로 인식함에 따라 그에 대한 문책으로 최고경영자를 강제적으로 해임하고 있음을 입증하는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최고경영자 재임기간 동안에의 이익조정이 경영자 자신의 교체가능성을 증폭시키고 있음에 대한 실증적 증거를 제공함으로써 기존연구들에서 최고경영자 교체원인으로 제시되어온 저조한 경영성과와 기업지배구조 변수 이외에도 경영자의 이익조정 행위 또한 경영자 교체의 직접적인 요인 중 하나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는 또한 외부투자자들에게 최고경영자의 교체를 경험하는 기업들의 정보 투명성에 대해 보다 신중한 자세를 견지할 것을 요구하며 투자가 이루어진 후에도 경영자의 보고이익 조정 성향을 면밀히 관찰하고 견제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한다.

      • KCI등재후보

        On Several Issues of Earnings Management -A Review of Prior Literature-

        박경호 글로벌경영학회 2011 글로벌경영학회지 Vol.8 No.3

        This paper focuses on summarizing and understanding several issues that are closely related to the Generally Accepted Accounting Principles (GAAP) violation. In addition, this paper is also aimed at identifying fruitful areas for future academic research on earnings management by documenting unsolved questions and conflicting perspectives in this area. Overall, the earnings management literature currently provides only modest insights and evidences. Prior research has focused almost exclusively on understanding whether earnings management exists and why. The findings are likely to confirm the intuition that firms do manage earnings. However, we need additional evidence on the following questions:What is the frequency of managers’ use of reporting judgment to manage earnings rather than to communicate firm performance to investors?What factors limit earnings management? Answers to these questions are difficult to infer from current studies because most academic studies do not provide evidence on the extent and scope of earnings management. In contrast, regulator’s enforcement actions provide useful information we need to extend our knowledge of earnings management. Therefore, the studies using these extreme forms of earnings management help practitioners and academics understand the frequencies and the magnitude of earnings management because, despite some limitations, this approach shows the actual ways managers use to manipulate earnings. In this paper, I review prior earnings management studies and summarize academic approaches,perspectives on which most of researchers depend to find and interpret earnings management evidences. The primary purpose of this review is to summarize the implications of scholarly evidence on earnings management to help researcher assess the overall integrity of prior literature. This review is also aimed at identifying fruitful areas for future academic research on earnings management by documenting unsolved questions and conflicting perspectives in earnings management research. Finally, this paper extends the scope of the literature review on earnings management by adding and summarizing the additional evidences of the studies that utilize the data from regulators’ enforcement actions (e.g., Accounting and Auditing Enforcement Releases:AAER) and restatements.

      • KCI등재

        소유지분율에 따른 경영자의 차별적인 이익조정행태

        한정희,문상혁 한국경영교육학회 2012 경영교육연구 Vol.27 No.2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wnership structure and earnings management. To verify behaviors of earnings management based on ownership structure, Non-linear relationship analytical model is used. To estimate the measurement values of earnings management, real activities earnings management by Roychowdhury(2006) model is used. The empirical findings by 3,263 Listed firms on Korea Stock Exchange market(2002∼2007) not included on banking business and Dec. closing, are as bellows. The followings are the empirical results of the study. First, as the result of the regression analysis on the assumed linear relationship between the managerial ownership and real activities earnings management, the ownership does not seem to affect the real activities earnings management of the managerial ownership. Second, as the result of the regression analysis on the assumed non-linear relationship between the managerial ownership and real activities earnings management, the relationship between real activities earnings management and managerial ownership is found to be in the cubic form of "increase - decrease - increase." The two turning point are 21.92 percent and 62.84 percent, respectively. At a lower level of ownership(below 21.92%), the relationship between real activities earnings management and managerial ownership is positive. On the other hand, when real activities earnings management and managerial ownership is between 21.92 percent and 62.84 percent, the relationship between real activities earnings management and managerial ownership becomes negative. When managerial ownership and further increases and reaches too high a level(beyond 62.84%), the relationship between real activities earnings management and managerial ownership becomes positive again. These results may be of interest to policy makers, standard setters, academic researchers, and investors. 본 연구는 소유지분율에 따른 경영자의 차별적인 이익조정행태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구체적으로 소유지분율에 따라 경영자의 차별적인 이익조정행태가 나타나는지 최근에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실제활동 이익조정을 통해 소유지분율에 따른 경영자의 차별적인 이익조정행태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경영자지분율과 실제활동 이익조정은 경영자지분율이 21.92%이하 구간에서는 이익조정이 증가, 21.92%이상 62.85%이하에 속하는 중간구간에서는 이익조정이 감소, 경영자지분율이 62.85% 이상에 속하는 상위구간에서는 다시 이익조정이 증가하는 증가-감소-증가의 형태를 보임으로써 실제활동 이익조정의 정도는 경영자지분율에 따라 차별적 특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해석할 수 있다. 경영자지분율이 하위구간에 속하는 경우에는 경영자보상, 자본시장유인 등으로 인하여 보고이익을 조정할 유인이 존재하므로 실제활동 이익조정이 적극적으로 이용된다. 반면 경영자지분율이 중간구간에 속하는 경우 경영자는 기업의 실질가치훼손을 가져오는 실제활동 이익조정의 이용에 소극적인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경영자지분율이 상위구간에 속하는 경우 경영자에게 과다한 재량권이 주어지기 때문에 경영자의 사적이익을 추구하는 의사결정이 이루어질 것이므로 기업의 실질가치를 훼손시킴에도 불구하고 실제활동을 통한 이익조정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정책당국에서 재량발생을 통한 이익조정 뿐만 아니라 실제활동을 통한 이익조정의 적발과 감시를 위해서도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으며 정책 수립 시에도 이를 반영하여 실질적인 경영활동을 변경하여 이익을 조정하는 방법을 적발할 수 있는 대책을 강구할 필요성이 있음을 제시함으로써 규제의 보완 등에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감리지적기업과 회계이익과 세무이익의 차이 및 실제이익조정

        김영철,강정연,고종권 한국세무학회 2012 세무학 연구 Vol.29 No.4

        We examine the extent to which temporary book-tax difference(hereafter, BTD) and real activity-based earnings management(hereafter, REM) explain the characteristics of regulatory reviewed firms. Drawing on the literature on earnings management, a regulatory reviewed company is considered as a firm conducted the earnings management. Therefore prior researches concerning the characteristics of earnings management firm explored the association between regulatory reviewed firms and earnings management. Managers attempt to increase book income while avoiding taxes on fraudulent components, so BTD will differ between fraud and control samples. We expect that temporary portion in the BTD is related earnings management by the literature on BTD. The REM are useful tools when we explain not only earnings management through real activities manipulation-sales manipulation,overproduction and reduction of discretionary expenditure- but also accrual based earnings management. The samples are Korean stock exchange (KSE) listed firms that are punished by Financial supervisory service(FSS) enforcement action from 1996 to 2006. We use 96 fraud firm-year data. For matched-pair analysis, each fraud firm-year sample is matched with three non-fraud firmyears by year, industry code, type of external auditor and firm size. Therefore our final sample consists of 384 firm-years (consolidating 96 fraud firm-year data and 288 matched non-fraud firm-years). Using logistic regression models, we find the no differences of temporary BTD between fraud firms and matched non-fraud firms. This result suggests that managers pay taxes on fraudulent components, so temporary BTD can not explain the characteristics of regulatory reviewed firms. We also find the association of REM and the characteristics of fraud firms. Specifically, abnormal cash-flow have negative sign with fraud firms and cost of production and cost of discretionary expenditure have positive sign.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REM are useful to detect earnings management, while temporary BTD can not capture earnings management. Our study contributes to earnings management literature by examining the usefulness of REM of firms under FSS enforcement action. 본 연구는 감리지적기업이 회계이익과 세무이익의 차이를 증가시키는 이익조정 뿐만 아니라 실제 이익조정을 수행하는가를 분석함으로써 일시적 차이와 실제이익조정이 감리지적기업을 설명하는 유용한 지표인가를 검증하였다. 구체적으로 감리지적기업과 일시적 차이 및 실제이익조정 측정치(비정상 영업현금흐름, 비정상 생산원가, 비정상 재량적비용, 실제이익조정 통합측정치)간의 관련성을 검증하였다. 선행연구에서 감리지적기업과 재량적 발생액간의 관계에 대한 분석결과는 일관되지않고 혼재되어 있으므로 재량적 발생액이 감리지적기업의 이익조정을 효과적으로 선별하기 어려운 것으로 보여 감리지적기업의 이익조정을 탐지할 수 있는 대체적인 측정치로 일시적 차이의 유용성을 검증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감리지적기업은 적발위험이 큰 발생액 이익조정뿐만 아니라 실제이익조정을 다른 기업보다 상대적으로 많이 사용할 것이므로 실제이익조정이 감리지적기업을 설명하는지를 분석할 필요가 있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감리지적기업과 감리지적 되지 않은 기업 간에 일시적 차이는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감리지적기업이 이익조정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자의적으로 증가시키는 이익에 대한 세금을 회피하기 위하여 회계이익을 증가시키면서 세무이익은 증가시키지 않는 이익조정을 수행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감리지적기업의 경우, 자의적인 이익조정을 외부에 은폐하기 위하여 세금 효율적인 이익조정을 수행하지 않는다는 Badertscher et al.(2006)의 연구결과와 유사하다. 그리고 경영자가 실제이익조정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자산․부채의 실질적인 변동이 발생하므로 세무이익도 영향을 받기 때문에 일시적 차이가 증가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므로 감리지적기업의 경우 일시적 차이는 이익조정을 설명하는 유용한 지표가 아닐 수 있음을 의미한다. 둘째, 감리지적기업과 실제이익조정 측정치 가운데 비정상 영업현금흐름은 유의한 음(-)의 관계가 나타났으며, 비정상 생산원가 및 실제이익조정 통합측정치와는 유의한 양(+)의 관계가 나타났다. 이는 과도한 발생액이익조정은 감사의견의 변형 및 감리지적에 따른 상장폐지, 외부감사인 지정, 임직원 고발조치 등의 위험과 비용을 수반하므로 경영자는 발생액 이익조정만으로 과도한 이익조정을 수행하지 않으며, 실제이익조정을 같이 수행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감리 지적된 결과는 경영자가 행한 이익조정 일부일 뿐이며, 매출과 관련된 실제이익조정은 감리지적기업에 중요한 이익조정수단임을 의미한다. 또한 발생액 이익조정보다 실제이익조정이 증가할수록 회계이익과세무이익의 차이에 미치는 영향은 감소할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감리지적기업과 관련된 대부분의 선행연구가 주로 발생액 이익조정과의 관계에 초점을 두고 있는 반면에 감리지적기업의 특성에 대한 회계이익과 세무이익의 일시적 차이의 유효성을 검증하였고, 실제이익조정 역시 감리지적기업을 설명하는 중요한 지표임을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KCI등재

        임계이익과 영역별 이익조정행태

        심호석(Shim Ho-suk) 한국국제회계학회 2015 국제회계연구 Vol.0 No.63

        본 연구는 우리나라 유가증권시장 상장기업의 적자회피목적의 이익조정에 관한 연구이다. 구체적으로, 적자회피를 위한 이익조정빈도와 크기를 실증적으로 검증한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다루어 왔던 적자회피 이익조정의 연구방법에서 벗어나 다른 접근방법을 취한다. 초기의 연구들은 이익분포에서 소폭구간의 변형(kink)의 존재유무에 따라 이익조정여부를 판정하였다. 그러나, 최근의 연구결과는 그러한 변형을 이용한 접근방식은 그 설득력을 점점 잃어가고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 본 연구는 적자회피와 관련된 이익조정유형을 6가지로 분류하고 각 유형의 이익조정빈도와 크기를 비교한다. 조정전이익이 흑자인지 적자인지 여부, 이익조정방향, 조정후이익이 흑자인지 적자인지 여부에 따라 이익조정유형을 6가지로 분류한다. 그 중 관심유형은 조정전 적자인 기업이 조정후 흑자를 달성하는 유형으로서 유형Ⅱ에 속한다. 유형Ⅱ를 적자회피 또는 흑자달성목적의 이익조정으로 분류하고, 나머지 유형의 이익조정빈도 및 크기와 비교한다. 실증결과, 흑자달성목적(유형Ⅱ)의 이익조정빈도는 조정전 흑자를 달성한 상태에서 이익폭을 늘이거나(유형Ⅲ) 줄이기 위한 목적(유형Ⅵ)의 이익조정빈도보다 작다. 즉 흑자를 달성하거나 회피하기 위한 이익조정빈도보다 조정전 이미 흑자인 상태에서 이익을 조정하는 빈도가 훨씬 높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익조정규모면에서는 흑자달성목적의 이익조정액이 다른 유형의 이익조정액보다 유의하게 크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이는 흑자를 달성하기 위한 이익조정의 빈도는 높지 않다 하더라도, 이익조정규모는 대폭적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This is a study on the earnings thresholds of companies listed in Korean stock market. Specifically, we conduct an empirical investigation on the frequency and size of earnings management for achieving positive earnings. We use an approach which is different from the one that has been taken to detect earnings management on earnings distribution in the prior studies. Earlier studies judged earnings management in terms of whether kink was found in the small intervals just around earnings thresholds. However, some recent studies have drawn a conclusion that the kink-approach is getting weaker in its power to detect earnings management. We classify earnings management into six types and compare the frequency and size of earnings management of each type. The classification criterions are pre-managed earnings, the direction of earnings management, and post-earnings management. Our concern is typeⅡ, which consists of sample that pre-managed earnings are negative but post-managed earnings are positive through upward earnings management. We see the typeⅡ as earnings management for avoiding negative earnings and compare with the rest types. As the results, the frequency of typeⅡ is much lower than that of type Ⅲ or type Ⅵ, indicating that firms conduct further earnings management above zero earnings. However, we find out that the size of earnings management for avoiding negative earnings(typeⅡ) is much bigger than that of other types. This means that achieving positive earnings needs more earnings management.

      • KCI등재

        이익조정, 재무제표 재공시 및 추가적 세금부담효과

        김우영(Kim, Woo-Young) 글로벌경영학회 2013 글로벌경영학회지 Vol.10 No.1

        연구는 이익조정의 형태를 발생액이익조정과 실제이익조정으로 구분하고, 이익조정의 형태에 따라 법인세환급액 및 법인세추납액이 경영성과의 대용치인 법인세부담액과 관련성을 연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발생액이익조정과 실제이익조정이 법인세부담액에 미치는 영향과 법인세 환급액과 법인세추납액의 회계처리가 재무제표에 미치는 영향을 이론적으로 검토하였다. 연구는 1999년부터 2009년까지 금융업을 제외한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구체적으로 발생액이익조정, 실제이익조정, 법인세환급액과 법인세추납액, 이익조정과 법인세환급액 및 법인 세추납액의 상호작용변수를 독립변수로 하고, 법인세부담액인 현금유효세율을 종속변수로 하여 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발생액이익조정은 실제이익조정을 통제하면 상대적으로 법인세부담액이 낮은 기업에서 행하여지며, 실제이익조정은 법인세부담액을 증가시키나 다른 경영요소를 통제하면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법인세환급액은 법인세부담이 큰 기업에서 행하여지며, 발생액이익 조정이 있는 경우는 법인세환급으로 이익조정이 감소하여 법인세부담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 났다. 그리고 실제이익조정이 있는 경우는 법인세환급액으로 인한 손익의 개선효과와 함께 법인 세부담의 증가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익조정, 과거 재무제표의 수정으로 인한 법인세환급액과 법인세추납액이 당기 법인 세부담액의 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함으로서, 법인세환급액은 이익조정과 함께 당기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이에 반하여 본 연구와 관련된 선행연구의 부족으로 정치한 이론적 배경을 갖지 못하며, 법인세환급액과 법인세추납액이 발생한 연도의 정보효과만을 검증함으로서 정보의 지속성을 검증하지 못하였다는 한계점이 있다. This essay classifies the forms of earnings management into accrual-based earnings management and real-based earnings management, and analyzes the relationship of corporation tax refund and additional corporation tax payments with corporation tax payment, that is, the proxy of business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forms of earnings management. The research covers the listed companies except financial industry from 1999 to 2009. To put it concretely, I do regression analysis putting interaction variables of accrual-based earnings management, real-based earnings management, corporation tax refund, additional corporation tax payments, earnings management, corporation tax refund and additional corporation tax payments as independent variables on the one hand, and cash effective tax rate, that is, corporation tax payment as dependent variables on the other hand. The results show that there happens the accrual-based earnings management in the corporation with low corporation tax payment when real-based earnings management is controlled and that it has nothing to do with real-based earnings management when it increases corporation tax payment or controls other management components. It also shows that corporation tax refund happens in the corporation with big corporation tax payment and that decrease of earnings management through corporation tax refund reduces corporation tax payment when there is accrual-based earnings management. It finally shows that there are the effect of improving earnings caused by corporation tax refund and increase of corporation tax payment in the case of real-based earnings management. This study, nevertheless, has been limited by these two factors: first, the insufficiency of precedent study discourages me to develop more delicate theoretical backgrounds. Second, the investigation on the information effects only in the years when corporation tax refund and additional corporation tax payments happen cannot secure the persistence of information.

      • KCI등재

        이익조정과 임직원 평균근속연수

        홍순욱 한국관리회계학회 2017 관리회계연구 Vol.17 No.3

        This paper aims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earnings management and the average length of service. Earnings management includes both accrual earnings management and real earnings management. Accrual earnings management uses discretionary accruals as measured by the Modified Jones Model (Dechow et al. 1995) and Performance Matched Model (Kothari et al. 2005), which are commonly used in accounting studies. Real earnings management is measured using the method of Roychowdhury (2006) and Zang (2012). Earnings management is known as a representative variable for internal ethics of a company. Companies that make a lot of earnings management are perceived as unethical. Employees would not want to work long in an unethical company. Therefore, the average length of service is expected to be relatively short for a company with a lot of earnings management. To verify this, this study analyzes KOSPI companies from 2005 to 2016. The result of the analysis shows that the accrual earnings management and real earnings management and the average length of service are in a negative relation. In other words, the average length of service of unethical companies, which make a lot of earnings management seems to be shorter no matter whether it is accrual earnings management or real earnings management. This paper has contributed to the study of the employees of companies that are rarely done in accounting studies. The performance and characteristics of a company are often determined by management, however, employees are the major part of a company. In a changing era, need for the research on company employees is coming into the picture. 본 논문은 이익조정이 임직원 평균근속연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한다. 이익조정은 발생액 이익조정과 실제 이익조정을 모두 포함한다. 발생액 이익조정은 회계학 연구에서 많이 사용되는 수정Jones모형(Dechow et al. 1995)과 성과통제모형(Kothari et al. 2005)으로 측정한 재량적발생액을 사용한다. 실제 이익조정은 Roychowdhury(2006)와 Zang(2012)의 방법으로 측정한다. 이익조정은 기업의 내면 윤리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변수로 알려져 있다. 이익조정을 많이 하는 기업은 윤리적이지 못하다고 인식된다. 윤리적이지 못한 기업에서 임직원은 오랫동안 근무하려고 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이익조정을 많이 하는 기업의 임직원 평균근속연수는 짧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임직원 평균근속연수 데이터가 제공되는 2005년부터 2016년까지 비금융업 KOSPI 기업을 대상으로 분석을 수행한다. 분석결과 상관관계분석, 단변량분석, 회귀분석 결과 모두 일관되게 발생액 이익조정(, ) 및 실제 이익조정(, )과 임직원 평균근속연수는 유의한 음(-)의 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발생액 이익조정이든 실제 이익조정이든 이익조정을 많이 하는 윤리적이지 못한 기업의 임직원 평균근속연수는 짧은 것으로 판단된다. 본 논문의 공헌점은 회계학 연구에서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기업의 임직원에 대해 연구했다는 점이다. 기업의 성과 및 특성은 경영자에 따라 결정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기업의 대다수를 구성하는 것은 직원이다. 변화하는 시대 흐름 속에서 기업의 직원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은 점차 증대되고 있다. 반면 수집 가능한 자료의 한계로 임원과 직원을 구분해서 분석하지 못한 점은 아쉬움으로 남는다.

      • KCI등재

        비용의 자의적 분류를 이용한 이익조정에 관한 연구

        이세철 ( Se Chul Lee ),조중석 ( Joong Seok Cho ),조문희 ( Mun Hee Jo ) 한국회계학회 2008 회계학연구 Vol.33 No.4

        본 연구는 경상적, 반복적인 영업비용을 영업외비용으로 분류하여 손익계산서상의 영업이익을 증가시키는 이익조정 현상을 분석하였다. McVay(2006)의 연구에 기초하여 분석이 수행되었으며,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McVay(2006)의 추정모형에 의해 측정된 비기대 영업이익을 이용한 분석결과, 당기 일시적 영업외비용은 당기 비기대 영업이익과 유의한 양(+)의 관계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일시적 영업외비용이 많은 기업의 당기 영업이익률이 정상수준을 초과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당기 일시적 영업외비용은 1년 후 비기대 영업이익 변동과 음(-)의 관계를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그러나 일시적 영업외비용을 자의적 분류가능성이 높은 비용과 낮은 비용으로 구분하면, 전자의 경우가 미래 영업이익 변동과 유의한 음(-)의 관계를 보였다. 당기 일시적 영업외비용이 증가할수록 미래 비기대 영업이익 변동이 음(-)의 값을 갖는다는 것은 당기 비기대 영업이익이 일시적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당기 이익이 전기 이익을 근소하게 초과한 기업의 경우에 당기 일시적 영업외비용은 자의적 분류가능성과 상관없이 1년 후 비기대 영업이익 변동과 유의한 음(-)의 관계를 보이고 있어 목표이익을 근소하게 초과한 기업일수록 비용의 자의적 분류를 이용한 이익조정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Fairfield et al.(2003), Richardson et al.(2005) 등이 이용한 이익지속성 모형을 활용한 분석결과에 의하면 일시적 영업외비용의 비중이 증가할수록 영업이익의 지속성이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일시적 영업외비용의 비중이 증가할수록 양(+)의 영업이익 지속성이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일시적 영업외비용의 비중이 높을수록 당기 영업이익에는 미래에 음(-)의 방향으로 반전하는 부분의 비중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McVay(2006)의 방법을 이용한 분석결과와 추가분석 결과를 종합해보면 우리나라에서도 비용의 자의적인 분류를 이용한 이익조정 현상이 존재한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The line items of income statement which contain information about differences in the underlying economic events can be used to improve future profitability forecasts. Prior research shows that investors put different values on the persistent and transitory components of earnings. Specifically, the stock price is expected to be more affected by persistent components than transitory components. Therefore, managers wishing to influence stock price might shift expenses down the income statement. Compared with accruals management and the manipulation of real activities, earnings management using classification shifting bears a relatively low cost: there is neither accruals that later reverse nor lost revenues from forgone opportunities. Moreover, because the allocation of expenses to specific accounts can be subjective, auditors might be limited in their verification of the appropriate classification, and because bottom-line income does not change, they might not scrutinize the identification or compulsory adjustments of these accounts (Nelson et al. 2002; McVay 2006). McVay(2006) examines the classification of items within the income statement as an earnings management tool. As suspected, her study results are consistent with managers opportunistically shifting expenses from core expenses to special items. This vertical movement of expenses does not change bottom-line earnings, but overstates core earnings. In addition, it appears that managers use this earnings management tool to meet the analyst forecast earnings benchmark, as special items tend to be excluded from both pro forma and analyst earnings definitions. In Korea, the income statement does not contain special items. However, Kim and Kim(2003) shows that most of non-operating expenses have neither persistence nor explanatory power for stock prices. Their results indicate that non-operating expenses have similar characteristics to those of special items and motivate us to study earnings management using misclassification of items in the Korean market. Based on McVay`s study(2006), we investigate earnings management using classification of expense to increase operating incom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 of analysis using unexpected operating income estimated by McVay`s model reveals that transitory non-operating expense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contemporaneous unexpected operating income level. This finding suggests that the operating income of firms with high level transitory non-operating expense exceeds that of those with normal level. Second, the transitory non-operating expense shows negative relation with unexpected operation income change in year t+1, however, the relation is insignificant. Third, when transitory non-operating expense is divided into shiftable expense and non-shiftable expense, the former is negatively related to the unexpected operation incomes change in year t+1. This finding means that the unexpected operating income increased by non-operating expense is transitory. Fourth, when operating income exceeds the previous operating income slightly, transitory non-operating expense is negatively related to the unexpected operation incomes change in year t+1. These results show that when the classification shifting allows firms to meet(or beat) the targets, the probability of earnings management using classification shifting increases. In addition, the result of analysis applying earnings persistence model used by Fairfield et al.(2003), and Richardson et al. shows that transitory non-operating expense reduces operating income persistence. Especially, positive operating income persistence is reduced. The results indicate that as transitory non-operating expense increases, positive operating income contains more portion that reverses in the next year. In summary, the earnings management using discretionary classification of expense is observed in Korean market. Most of Korean accounting research is focused on accrual management.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an additional perspective about earnings management practice and to be informative for analysts, investors, and regulators.

      • KCI등재

        지배주주지분변화 전 이익조정과 주주간 이해상충

        정재욱 ( Jae Wook Jeong ) 한국회계학회 2011 會計學硏究 Vol.36 No.4

        본 연구는 지배주주지분의 변화 전 기업의 이익조정 행태를 분석하여 이익조정이 지배주주의 부를 증진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지는지를 조사한다. 대부분의 한국기업에서 지배주주는 기업경영에 직접적으로 참여하거나 설령 기업경영에 직접적으로 참여하지 않더라도 기업과 관련된 제반 사안에 실질적인 영향력을 행사한다. 지배주주는 자신의 필요에 따라 자신이 통제하는 기업의 지분을 추가로 취득하거나 또는 이미 보유하고 있는 지분을 처분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지배주주가 지분을 추가로 취득하거나 처분하는 데서 발생하는 이익은 주가에 의해 결정되므로 지배주주는 지분변동 직전의 회계이익을 조정하여 주가를 자신에게 유리하게 유도하려는 유인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지배주주는 지분의 처분(취득) 전 기업의 이익을 양(음)으로 조정할 유인을 갖는다. 1995년부터 2004년까지 한국의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기업 중 지배주주의 지분 변화에 수반하는 이익조정을 분석한 결과 기업은 지배주주지분이 감소하기 전에 양의 이익조정을 하고, 지배주주지분이 증가하기 전에 음의 이익조정을 하였다. 또한 이익조정의 크기는 지배주주지분의 증감에 비례하였다. 이는 기업이 지배주주의 이익극대화를 위해 지배주주지분 감소 또는 증가 전에 이익조정을 한다는 것과 일관된 결과이다. 본 연구는 지배주주가 자신의 이익을 위해 외부주주로부터 부를 자신에게 이전하는 명시적 증거를 제시함으로써, 선행연구에서 추상적 가능성으로 논의되었던 주주간이해상충 문제를 구체적인 과정과 상황을 통해 설명하고, 선행연구에서 부족했던 지배주주와 외부주주사이의 이해상충문제에 대한 이해를 넓혔으며, 주주간이해상충문제 해결을 위한 제도적 시사점을 제시했다는데 그 공헌이 있다. 또한 양의 이익조정 뿐만 아니라 음의 이익조정 역시 외부주주의 부를 침해 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 줌으로써 그동안 관대했던 보수적인 회계처리의 문제점을 제기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mechanism through which controlling owners expropriate minority shareholders. Specifically, This paper provides direct evidence that controlling owners expropriate minority shareholders through earnings management before they trade in their own firms` stock. Controlling shareholders have strong incentives to expropriate wealth from minority shareholders to promote their own economic benefits through various self-dealing transactions(Shleifer and Vishny 1997, Johnson et al. 2000). Despite this claim, only limited systematic evidence is available concerning the specific mechanism used by controlling owners. How is expropriation actually achieved? This paper allows us to describe one such mechanism. Earnings management associated with controlling owner trading in Korea is particularly adequate to investigate the means of expropriation for several reasons. First, in an environment where most firms belong to business groups controlled by a single ultimate owner (i.e., controlling owner), controlling owners hold significant percentage of outstanding shares in their firms. They assume a significant role in managing their companies, usually holding the chief executive or chairmanship in their companies. This allows controlling owners to engage in earnings management to their benefit. When controlling owners trade in their own firms`stock, they will have strong incentives to sell high and buy low. Earnings management helps controlling owners achieve this. Second, earnings management through accounting accruals is an attractive means to set the stock price artificially high or low in the present context because it is hard to find earnings management to outsiders. This study finds strong evidence that controlling owners deflate (inflate) earnings before they buy (sell) their own firms` stock. Since minority shareholders who transact with the controlling owner under this condition suffer from "unfair" prices attributable to earning management, this amounts to expropriation of minority shareholders by the controlling owner. This study`s finding is unique on the symmetry between the gains of the controlling owner and the losses of minority shareholders. Because of such a symmetry, this study`s results unambiguously show how controlling owners use earnings management to expropriate minority shareholders. This finding is also supportive of the observation by Shleifer and Vishney(1997) that the conflicts between the controlling shareholder and minority shareholders are important in firms with concentrated ownership, especially where ownership is not separated from management. This study adds further insights into both the insider trading and earnings management literatures. Since the possibility of active earnings management before controlling owners` trading has largely been ignored in the literature, investigating earnings management associated with controlling owners` transactions enhances our understanding of the insiders` opportunistic behavior. Second, unlike most earnings management studies, the current context enables us to interpret earnings management in the light of the conflicts between the controlling owner and minority shareholders. Since the controlling owner sells after overstating earnings and buys after understating earnings, minority shareholders lose by precisely the same amount as the controlling owner gains. From this perspective, this study poses earnings management as a strong and direct indicator of the means through which controlling owners expropriate minority shareholders. Given that evidence concerning how expropriation is actually achieved is scarce, this paper provides additional insights into the mechanism used by the controlling owner to expropriate minority sharehold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