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LC-ESI-tandem MS를 이용한 기능성표방식품 중 부정유해물질 신속검사체계 개발

        김희연(Hee-Yun Kim),이화미(Hwa-Mi Lee),장영미(Young-Mi Jang),주현진(HyunJin Joo),정용현(Young-Hyun Jung),이명숙(Myoung-Sook Lee),박종석(Jong-Seok Park),이광호(Kwang-Ho Lee) 한국식품과학회 2007 한국식품과학회지 Vol.39 No.4

        부정유해물질 총 13종에 대한 신속하고 고감도의 LC-ESI-MS-MS 동시분석 방법을 개발하였으며 바데나필을 포함한 11종은 ESI positive 모드에서 타다라필을 포함한 2종은 ESI negative 모드에서 검출하는 방법으로서 시료 전처리는 간단히 메탄올 추출법을 사용하였다. 기능성표방식품 중 부정유해물질의 확인은 한번 시료를 주입함으로써 15분 이내에 13종의 분석이 가능하고 크로마토그램의 분리는 아세토니트릴과 10 mM ammonium formate가 들어있는 탈이온수를 이용한(pH 7.0) 기울기 용매 조건으로 수행하였다. 확립한 13종에 대한 부정유해물질 분석방법은 검출한계(LOD)는 0.1-5ng/㎖이고, 정량한계(LOQ)는 0.1-10ng/㎖으로서 평균 상관계수(r²)는 0.9853로서 ppb 수준에서 정량성을 가지며 회수융은 87.5-98.5%, 변동계수는 15% 이하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확립한 시험방법 LC/MS/MS를 이용하여 147건의 기능성표방식품 중의 부정유해물질의 검증을 실시한 결과, 유해 물질의 검출이 나타타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기능성표방식풍중의 실데나필과 그 유사물질을 포함한 13종의 부정유해물질에 대한 스크리닝 방법으로 MRM 모드를 이용한 LC-ESI-MS-MS 방법을 개발하였으며, 이는 유해물질에 대한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자외선흡광광도법의 선택성등의 제한성을 극복한 부정유해물질의 스크리닝에 신속하고 미량까지 검출 가능한 가치 있는 방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A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electrospray ionization (HPLC-ESI) tandem MS was developed for the rapid and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forbidden medicines in dietary supplements. Thirteen medicinal components such as PDE-5 inhibitors and their analogues, and the newly identified dimethylsildenafil and xanthoanthrafil, were included in this study. After tentative standardization of molecular ions in both polarities using thirteen references on the mass spectrometer, with ESI-continuous infusion via the syringe pump method, the relative intensity of the ions present in the resulting spectra was quantitatively compared. From the results, the ion mode was selected depending on each reference’s characteristics. A HPLC method coupled with the ESI mode was developed considering the matrix effect and interference depending on the type of sample. The validation test of the developed method was followed by carrying out precision, accuracy, recovery, sensitivity and linearity, etc. The method showed sufficiently high sensitivity, reproducibility, and specificity, and produced 4 times faster results when compared with the existing HPLC/UV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forbidden compounds in dietary supplements.

      • KCI우수등재

        MODIS 위성영상 기반 ESI와 ROC 분석을 이용한 가뭄위험평가

        윤동현,남원호,이희진,홍은미,김태곤 한국농공학회 2020 한국농공학회논문집 Vol.62 No.3

        Drought events are not clear when those start and end compared with other natural disasters. Because drought events have different timing and severityof damage depending on the region, various studies are being conducted using satellite images to identify regional drought occurrence differences. In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pplicability of drought assessment using the Evaporative Stress Index (ESI) based on Moderate Resolution ImagingSpectroradiometer (MODIS) satellite images. The ESI is an indicator of agricultural drought that describes anomalies in actual and referenceevapotranspiration (ET) ratios that are retrieved using remotely sensed inputs of Land Surface Temperature (LST) and Leaf Area Index (LAI). However,these approaches have a limited spatial resolution when mapping detailed vegetation stress caused by drought, and drought hazard in the actual cropcultivation areas due to the small crop cultivation in South Korea. For these reasons, the development of a drought index that provides detailed higherresolution ESI, a 500 m resolution image is essential to improve the country’s drought monitoring capabilities. The newly calculated ESI was verifiedthrough the existing 5 km resolution ESI and historical records for drought impacts. This study evaluates the performance of the recently developed500 m resolution ESI for severe and extreme drought events that occurred in South Korea in 2001, 2009, 2014, and 2017. As a result, t he two E S Isshowed high correlation and tendency using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s (ROC) analysis. In addition, it will provide the necessary informationon the spatial resolution to evaluate regional drought hazard assessment and and the small-scale cultivation area across South Korea.

      • KCI등재

        인공위성 가뭄지수를 활용한 한반도 가뭄 평가; 2013년 남부지방 가뭄을 대상으로

        서찬양,김경준,최우정,심재현,최민하,Sur. Chanyang,Kim. Kyungjun,Choi. Woojung,Shim. Jaehyun,Choi. Minha 한국방재학회 2014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4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인공위성 자료를 활용한 가뭄지수를 산정하고 이를 통해 2013년 발생한 남부지방의 가뭄을 평가하는데 있다. 다중분광센서인 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MODIS) 센서의 다양한 산출물을 통해 수문기상인자 기반의 가뭄지수(Evaporative Stress Index, ESI)를 산정하고 이를 유관기관의 가뭄 정보 시스템의 가뭄 모니터링 결과와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국내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는 PDSI(Palmer Drought Severity Index), SPI(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와 ESI의 시계열 분석을 통해 ESI의 국내 적용성을 판단하고자 하였다. 각 가뭄지수들의 시공간 비교를 통해 ESI의 국내 적용성이 높음을 확인할 수 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rive and evaluate the drought index by using satellite data. The satellite-based drought index was spatially assessed at Southern part of Korean peninsula in 2013. We estimated hydrometeorological parameter-based drought index (Evaporative Stress Index, ESI) by using various products of multispectral sensor, MODerate resoul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MODIS). The ESI analyzed other spatial distribution of drought indices provided by drought information system from related organizations. Regional capability of ESI through time series analysis compared with PDSI(Palmer Drought Severity Index) and SPI(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was assessed. Based on the results in this study,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derived ESI showed better regional capability than the other drought indices.

      • Evaporative Stress Index (ESI)의 국내 가뭄심도 분류기준 제시

        이희진 ( Hee-jin Lee ),남원호 ( Won-ho Nam ),윤동현 ( Dong-hyun Yoon ),김대의 ( Dae-eui Kim ),( Mark D. Svoboda ) 한국농공학회 2019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9 No.-

        자연재해 중 하나인 가뭄은 지구온난화, 엘리뇨 현상 등과 같은 기후변화에 영향을 받고 있으며, 최근 전 세계적으로 국내외 가뭄 피해 및 발생빈도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2000년대 이후 가뭄 주기가 점점 짧아져 2013년 이후 매년 가뭄이 발생하는 추세이다. 지속되는 가뭄의 경향과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정량적인 분석이 요구되며, 위성영상을 활용한 원격탐사 기술은 동일한 정확도와 주기적인 관측으로 가뭄 취약성 평가, 가뭄 피해에 대한 예측 등이 가능하다. 위성영상 기반 농업가뭄 모니터링은 국내 농업분야에 활발히 연구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실제 증발산량과 잠재 증발산량의 비를 통해 산정되는 Evaporative Stress Index (ESI)를 활용하였다. ESI는 빠른 가뭄 판단과 단기적인 가뭄 분석에 활용될 수 있으며, Flash drought의 가뭄판단지표로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아노말리 (anomaly)를 지수화한 지표이며, 일반적인 가뭄 평가로 활용되는 표준강수지수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SPI), 파머가뭄심도지수(Palmer Drought Severity Index, PDSI) 등과 같은 가뭄지수와 달리 가뭄심도에 대한 명확한 기준이 정립되어 있지 않다. 미국 항공우주국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NASA)에서 제공하는 해상도 5km의 ESI가 국내 농업가뭄 판단에 활용 가능하다는 연구 결과를 토대로 2001년부터 2018년까지의 ESI 데이터를 취득하여 가뭄심도 분류기준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미국 United States Drought Monitor (USDM)은 지역적 특성에 맞추어 가뭄 단계를 D0부터 D4까지 구분하여 가뭄심도를 분류하였으며, 우리나라 기상청의 경우 SPI의 가뭄심도 분류를 6단계로 나누어 나타내고 있다. 국내에 적용할 수 있는 ESI의 가뭄심도 분류기준을 제시하여 가뭄의 정도를 정량화하고, 가뭄 진행상황을 모니터링함으로써 가뭄 평가에 대한 적용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 공간해상도에 따른 Evaporative Stress Index (ESI)의 지역별 가뭄 특성 분석

        윤동현 ( Dong-hyun Yoon ),남원호 ( Won-ho Nam ),이희진 ( Hee-jin Lee ),김대의 ( Dae-eui Kim ),( Tsegaye Tadesse ) 한국농공학회 2019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9 No.-

        가뭄은 발생 지점이 불명확하고 진행이 느리며, 다른 자연 재해에 비해 피해 지역이 광범위하다는 점에서 사회, 경제적 피해와 농업 생산 시스템 및 수확량 등 농업 전반에 걸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가뭄에 대한 정량적인 분석과 예측은 가뭄으로 인한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필요하며, 현재 국내 가뭄 예측 기술은 지상 데이터 기반의 기상학적 가뭄지수를 활용하여 생성되고 있다. 하지만 관측소 지점 데이터를 사용하는 이러한 기상학적 가뭄지수는 데이터의 특성상 미계측 지역에 대한 정확한 데이터 취득이 어려우며, 광역적인 지역의 동일한 정확도의 데이터 취득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반면 인공위성 등을 활용한 원격탐사 기술을 활용하면 광역적인 지역에 대한 장기간의 동일한 수준의 데이터 취득이 가능하다. 다양한 해상도의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는 위성영상 자료는 농업 가뭄 분야에서 필요성과 활용성이 대두되고 있다. 위성영상을 활용한 가뭄 판단지수로는 Leaf Area Index (LAI), Vegetation Health Index (VHI), Enhanced Vegetation Index (EVI) 등이 있다. 하지만 식생을 기반으로 한 지표의 경우 식생의 조밀도 및 포화도, 토양반사, 식생의 종류 등에 따라 적용성에 차이가 발생하며, 가뭄 판단에 있어서 가뭄으로 인한 식생의 활력도 및 상태가 변할 때까지 시간이 소요된다. 잠재 증발산과 실제 증발산의 비를 이용해 산정된 위성영상 기반 가뭄지수인 Evaporative Stress Index (ESI)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가뭄지수 등과 비교하였을 때, 가뭄에 민감하고 빠른 반응을 보인다는 연구 결과로부터 단기간 급속하게 발생하는 Flash drought의 판단지표로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NASA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에서 제공되고 있는 5km 해상도의 ESI의 해상도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하여 8일 주기, 500m 해상도를 갖는 MODIS (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의 MOD16A2 영상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500m 해상도의 ESI와 기존 5km 해상도의 ESI를 활용하여, 과거 가뭄 발생 자료를 근거로 시군 단위의 가뭄 판단 능력을 비교하였다.

      • KCI등재

        닥나무 추출물이 함유된 Cosmeceuticals의 제조: 중심합성계획모델을 이용한 최적화

        홍세흠,박보라,이승범 한국공업화학회 2018 공업화학 Vol.29 No.6

        본 연구에서는 중심합성계획모델을 사용하여 닥나무 추출물을 함유한 cosmeceuticals 유화액의 안정성 조건을 설정하였다. 중심합성계획모델을 이용한 유화 최적화 조건으로 계량인자는 유화제와 유화안정제의 농도로, 반응치는 ESI와PDI로 설정하였으며 ESI의 목표값은 60% 이상, PDI의 목표값은 최소값으로 하였다. 유화 최적화 결과 유화제와 유화안정제의 농도는 각각 3.73, 3.07 wt%이었으며, 이때 예상 반응치 ESI는 60%, PDI는 0.585로 산출되었다. 유화제와유화안정제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제조한 유화액의 안정성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두 가지의 계량인자 중 ESI에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유화제였으며, PDI에 대한 두 인자의 영향은 유사하게 나타났다. 중심합성계획모델의실험조건으로 제조한 cosmeceuticals 유화액의 ESI는 적어도 약 45% 이상의 안정성을 보였으나 제조 후 4주 뒤에는모두 분리되었다. 유화제의 농도가 3.72 wt% 이상일 때 ESI의 값은 60%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유화안정제의 농도가증가할수록 층 분리 속도는 감소하였다.

      • KCI등재

        일본의 2022년 민사소송법 개정에 의한 전자정보에 대한 증거조사

        조수혜(CHO, SOO-HYE) 동아대학교 법학연구소 2023 國際去來와 法 Vol.- No.42

        The advancement of Information Technologies (IT) brings about changes in civil procedure. By integrating IT into the litigation proceedings, documents are now submitted online in the form of electronic documents to the court, and the case records are digitized. It has led to the transition to electronic litigation, where remote video trials are conducted without the need for direct attendance in the courtroom. In addition to the transition to electronic litigation, the development of IT has also had a comprehensive impact on civil procedure. One prominent example is electronic evidence, where various electronically produced, stored, and used data (referred to as “ESI”) is submitted as evidence in civil procedure. In order to achieve the ideals of civil procedure, such as appropriateness, fairness, efficiency, and economy,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methods and proceedings for evidence rules that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ESI. While Japan introduced electronic litigation through the amendment of the Civil Procedure Act of Japan in 2022, and established provisions regarding evidence rules of ESI, it falls short of providing rules that fully considers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ESI, while maintaining the traditional evidentiary methods. Nonetheless, it is significant that a comprehensive and unified regulation has been established, laying the foundation for systematic regulations on the evidence rules of ESI, which may have implications for Korea.

      • SCOPUSKCI등재

        UHPLC-ESI-qTOF-MS Analysis of Cyclopeptide Alkaloids in the Seeds of Ziziphus jujuba var. spinos

        ( Kyo Bin Kang ),( Dae Sik Jang ),( Jinwoong Kim ),( Sang Hyun Sung ) 한국질량분석학회 2016 Mass spectrometry letters Vol.7 No.2

        An UHPLC-ESI-qTOF-MS analytical method was developed for cyclopeptide alkaloids in the seeds of Ziziphus jujuba var. spinosa (Semen Ziziphi Spinosae), which is a commonly used herb in Chinese and Korean traditional medicines. Considering the basicity of cyclopeptide alkaloids, a specific separation method was developed for an UHPLC system. The compounds were detected by DAD and ESI-qTOF-MS, and their fragmentation patterns were also acquired by MS^{E} technologies. Peak-picking of major compounds was performed with nine previously isolated compounds and two reference standard compounds. Tandem MS fragmentation behaviors of type-Ia and -Ib cyclopeptide alkaloids were investigated with the acquired data to develop a strategy for dereplication of other cyclopeptide alkaloid compounds in Z. jujuba var. spinosa. Two more cyclopeptide alkaloids were tentatively identified with UHPLC-ESI-qTOF-MS using this method.

      • KCI등재

        Identification and Quantification of Steroidal Saponins in Polygonatum Species by HPLC/ESI/MS

        안미정,김진웅 대한약학회 2005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Vol.28 No.5

        An HPLC/ESI/MS method has been developed to identify and quantify the spirostanol glycosides in the rhizomes of five Polygonatum species. The relative distribution of two steroidal saponins in each extract was established using the selective ion monitoring (SIM) mode via an electrospray ionization (ESI) source.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mount of spirostanol glycosides among the Polygonatum species. The results showed that this method could be used to identify the steroidal saponins in the extracts and differentiate Polygonatum species with high sensitivity and reproducibility in a short time. Fragmentation patterns of the two reference compounds were also discussed with the electrospray ionization multi-stage tandem mass spectroscopy (ESI-MSn).

      • KCI우수등재

        위성영상기반 증발스트레스지수를 활용한 필지단위 논 가뭄 모니터링

        이희진 ( Lee Hee-jin ),남원호 ( Nam Won-ho ),윤동현 ( Yoon Dong-hyun ),김하영 ( Kim Ha-young ),우승범 ( Woo Seung-beom ),김대의 ( Kim Dae-eui ) 한국농공학회 2021 한국농공학회논문집 Vol.63 No.3

        Drought monitoring over paddy field area is an important role as the frequency and intensity of drought due to climate change increases. This study analyzed the applicability of drought monitoring on paddy crops using MODIS-based field surveys. As a satellite-based drought index using evapotranspiration for quantitative drought determination, ESI (Evaporative Stress Index), was applied and calculated through the ratio of MODIS- based actual and potential evapotranspiration. For the irrigated areas of Idong, Gosam, Geumgwang, and Madun reservoirs the availability of irrigation water supply, ponding depth, precipitation, paddy growth were investigated for the paddy field within one grid of MODIS. In addition, the percentile-based ESI drought severity was calculated to compare the growth process of paddy and changes in the drought category of ESI. The Idong area was irrigated about a week later than other reservoirs for the period of water supply, transplanting, and water drainage and the ESI drought category tended to be different. The Gosam, Geumgwang, and Madun area expressed moderate drought prior to the farming season, and indicated normal as the water was supplied. During the water drainage, the drought category intensified, indicating that the water available on land was decreasing.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MODIS-based ESI could be an effective tool for agricultural drought monitoring over paddy field a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