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가증권 상장기업의 특성이 ESG성과에 미치는 영향: 가족기업을 중심으로

        전덕영 한국기업경영학회 2024 기업경영연구 Vol.3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유가증권 상장기업의 특성이 지배구조성과와 ESG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데 있다. 표본은 2020년부터 2024년까지 5년 기간 ESG등급이 있는 유가증권상장 가족기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변수확보가 가능한 가족기업은 182개 기업이고, 5년 기간 자료를 통해 910개의 표본 수를 확정하였다. 그리고 지배구조성과, ESG성과에 대해 2020~2022년(t), 2023년(t+1), 2024년(t+2)의 기간별로 분류하여 회귀 분석하였다. 첫째, 가족기업 규모(총자산)는 전체기간에서 지배구조성과와 ESG성과에 모두 유의한 양(+)의 영향이 있었다. 둘째, 사업기간, 대주주지분율은 전체기간에서 지배구조성과와 ESG성과에 모두 유의한 음(-)의 영향이 있었다. 셋째, 부채비율은 지배구조성과에서 2020~2022년, 2023년에는 유의한 음(-)의 영향이 있었으나, 2024년에는 유의한 양(+)의 영향이 나타났다. ROE는 지배구조성과와 ESG성과에서 2020~2022년, 2023년에 유의한 양(+)의 영향이있었다. 넷째, 가족구성원 수, 제조업 업종은 지배구조성과에서 전체기간에서 유의한 음(-)의 영향이 나타났다. 다섯째, 제조업 업종*대주주지분율은 지배구조성과에서 유의한 음(-)의 상호작용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지배구조성과와 ESG성과에 미치는 영향에서 유가증권 상장기업의 특성이 중요한 요소임을 확인하였다. 특히 가족기업의 자산규모, 사업기간, 대주주지분율의 요인들이 지배구조성과와 ESG성과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유가증권 상장기업의 성장과 지속가능경영을 위해 ESG경영, ESG평가, ESG투자와같은 기업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해야 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characteristics of securities listed companies on governance performance and ESG performance. The sample targets family companies in the securities market with ESG ratings for a five-year period from 2020 to 2024. There are 182 family companies that can secure variables, and the number of 910 samples was confirmed through 5 years data. In addition, regression analysis on governance performance and ESG performance was conducted by classifying them by period 2020-2022(t), 2023(t+1), and 2024(t+2). First, the size of the family company(total asset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both governance and ESG performance over the entire period. Second, the business period and the major shareholder share ratio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both governance and ESG performance over the entire period. Third, the debt-to-equity ratio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governance performance from 2020 to 2022 and 2023, but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was found in 2024. ROE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governance performance and ESG performance in 2020 to 2022 and 2023. Fourth, the number of family members and the manufacturing industry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 effect over the entire period in terms of governance performance. Fifth, the manufacturing industry*major shareholder’s share ratio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negative(-) interaction effect in governance perform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securities-listed companies are important factors in the impact on governance performance and ESG performance.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factors such as asset size, business period, and majority shareholder’s share of family companies affect governance performance and ESG performanc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ctively respond to changes in the corporate environment such as ESG management, ESG evaluation, and ESG investment for the growth and sustainable management of securities-listed companies.

      • KCI등재

        Government Subsidies, ESG, and Managerial Performance : Evidence from China

        Jin, Tiantian,Park, Saeyeul,Soh, Seung Bum,Kim, Jinhee 한국전문경영인학회 2024 專門經營人硏究 Vol.27 No.3

        이 연구는 2015년부터 2021년까지의 중국 상장 기업 데이터를 이용하여 기업의 ESG 성과와 경영자의 재무 성과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기업의 ESG 성과와 경영자 재무 성과 사이에는 유의한 양의 관계가 보고되었다. 특히 이러한 양의 관계는 국제 ESG 평가 기관이 아닌 국내 ESG 평가 기관이 발표한 ESG 등급을 통해 ESG 성과를 측정했을 때에 더 강하게 나타났다. 또한, 우수한 ESG 성과는 기업이 향후 더 많은 정부 보조금을 받게 하는 것으로 나타나, 정부 보조금이 경영자의 ESG 투자를 장려하는 수단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우리는 정부 보조금의 매개 효과가 ESG 성과와 경영자 재무 성과 간의 긍정적인 관계를 약화시킴을 발견하였다. 이는 정부 보조금을 통해 경영자 의사 결정에 영향을 줄 때 경영자가 정부 보조금을 위해 ESG 성과를 포장하는 ‘윈도우 드레싱’ 전략을 택할 가능성이 있음을 암시하는 결과이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ESG performance and managerial financial performance in Chinese listed firms from 2015 to 2021. We find a robus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ESG performance and managerial financial performance. Notably, the impact of ESG performance on financial outcomes is more pronounced when using domestic ESG ratings compared to international ratings. Moreover, our analysis reveals that superior ESG performance predicts greater future government subsidies, indicating the government’s role in incentivizing corporate ESG investments. Lastly, the intermediary effect of government subsidies attenuates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ESG performance and financial performance, suggesting nuanced implications for policy and managerial decision-making.

      • KCI등재

        종업원이 인식하는 ESG 경영성과가 직무만족과 조직충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양재용,이상열,장동근 한국회계정책학회 2024 회계와 정책연구 Vol.29 No.3

        [연구목적]본 연구는 종업원이 인식하는 재직기업의 ESG 경영성과가 조직구성원 성과(직무만족, 조직충성)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분석하기 위한 모형과 측정지표를 개발하고,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ESG 리스크관리와 관련한 시사점 제시를 목표로 한다. [연구방법]선행문헌에 기초하여 ESG 성과지표(환경(E):친환경 경영, 친환경 제품 / 사회(S):고용안정, 차별인식, 상생경영, 자선활동 / 거버넌스(G):윤리경영, 의사결정)를 개발하고 ‘조직충성’에 미치는 영향관계에 있어서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측정하는 연구모형(1)과 기업규모에 따른 ESG 성과의 차이를 분석하는 연구모형(2)를 설계하였다. 연구모형의 분석을 위해서 국내 재직자 1,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거버넌스” 성과의 모든 지표는 “환경” 성과의 모든 지표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사회” 성과 지표 중 ‘고용안정’과 ‘차별인식’은 “거버넌스” 성과로부터 미미한 영향관계인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만족’은 ‘친환경 제품’, ‘차별인식’, ‘상생경영’으로부터 유의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만족’은 ‘윤리경영’, ‘의사결정’, ‘친환경 제품’과 ‘조직충성’ 간에 완전매개하고, ‘차별인식’ 및 ‘상생경영’과 ‘조직충성’ 간에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규모에 따라 대부분의 ESG 성과에 차이가 있었으나 ‘고용안정’과 ‘차별인식’은 기업규모가 작을수록 긍정적인 성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책적 시사점]본 연구는 ESG 경영성과가 조직구성원 성과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분석하기 위한 모형과 측정지표를 개발하였다는 점과 관련 연구의 주제와 방법에 있어서 학술적 기여점이 있다. 또한 ESG 성과 요인 중에서 어떠한 요인이 조직구성원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밝히고 있다는 점에서 실무적 의의를 갖는다. [Purpose]This study aims to develop a model and measurement indicators to analyze the impact of a company’s ESG management performance perceived by employees on the performance of members of the organization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loyalty), and to present implications for ESG risk management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Methodology]Based on previous literature, a research model 1 was designed to develop ESG performance indicators (Environmental performance:eco-friendly management, eco-friendly products/Social performance:employment security, discrimination awareness, win-win management, philanthropy/Governance performance:ethical management, decision-making), and a research model 2 was designed to measure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on Organizational loyalty and to analyze the difference in ESG performance according to company size. A survey was conducted on 1,000 employees for the analysis of the research models. [Findings]All indicators of Governance performance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all Environmental performance. On the other hand, among Social performances, employment security and discrimination perception were found to have a slight influence on Governance performance. Job satisfaction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affected by eco-friendly products, discrimination perception, and win-win management. Job satisfaction was found to be completely mediated between ethical management, decision-making, eco-friendly products and Organizational loyalty, and partial mediation between discrimination and win-win management and Organizational loyalty. Although there were differences in most ESG performance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company, employment security and discrimination perception showed that the smaller the company size, the more positive the performance was. [Policy Implications]This study has academic contributions to the subject and method of the study, as well as the development of models and measurement indicators to analyze the impact of ESG management performance on the performance of organizational members. It also has practical significance in that it reveals which of the ESG performance factors affects the performance of organizational members.

      • DRIVERS OF ESG AND FIRM PERFORMANCE

        Jeong-Bin Whang,Jong-Ho Lee,Jaeho Lee 글로벌지식마케팅경영학회 2023 Global Marketing Conference Vol.2023 No.07

        Environmental, social, and governance (ESG) considerations have become increasingly important for firms' sustainability. Mandates for ESG information disclosure have been implemented in over 25 countries, including the EU, Australia, and China (Krueger et al., 2021). However, little attention has been paid to the drivers and mechanisms of ESG, which remain unclear. The existing literature has mainly focused on the consequences of ESG which shows mixed results and paid little attention to the drivers of ESG (Paolone et al., 2021). The majority of prior research suggests that ESG activities positively affect firms' financial performance (Nekhili et al., 2019). On the other hand, some researchers show a significant and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ESG performance and a firm's financial performance (Duque-Grisales and Aguilera-Caracuel, 2021). To fill the research gap, this study attempts to identify 1) firms'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that lead to ESG performance as drivers of ESG, and 2) firm performance as the consequences of ESG. The study found that environmental innovation activities, ESG committees, external audits, and ESG compensations related to environmental innovation could be drivers of ESG application and performance, leading to better firm performance. Moreover, the findings indicate that ESG performance positively affects firms' financial and non-financial performance. Understanding the adoption of ESG is crucial for firms since ESG requires a long-term perspective.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on ESG and firm sustainability and suggests new directions for managers to implement ESG in their business model. Especially, this study argues that taking a carrot-and-stick approach could lead to better ESG performance and firm performance. Therefore, managers might consider internal policies to encourage ESG that can lead to better firm performance.

      • KCI등재

        61개 포춘 글로벌 기업의 비재무적 ESG 경영활동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 이사회 속성의 조절효과 연구

        양오석,한재훈 한국전문경영인학회 2024 專門經營人硏究 Vol.27 No.1

        본 연구는 글로벌 기업의 ESG 경영활동이 재무성과와 시장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포춘 500대 기업 가운데 자료수집이 가능한 61개 글로벌 기업을 대상으로 2008년~2021년 패널자료를 사용하여 일반 재무특유요인과, 비재무적 ESG 활동이 재무성과 및 시장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실증분석에 사용된 ESG 자료는 본 연구팀이 개발한 딥러닝 알고리 즘으로 연구대상 기업의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분석하여 추출한 연간 시계열 자료이다.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주요 사실을 발견하였다. 첫째, ESG 비재무적 속성 가운데 환경(E) 부문은 재무성과를 악화시키는 비용으로 작용하고, 사회(S) 부문과 지배구조(G) 부문은 재무성과를 개선시키는 편익으로 기능한다. 반면 시장성과에 대해서는 모든 ESG 비재무적 속성들이 통계 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이사회 속성과 ESG 활동 간 상호작용효과(조절 효과)는 이사회 구성원수만이 S 부문 경영활동과 재무성과(ROE) 간 관계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조절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고정효과 모형에서는 구성원수, 국적 다양성, 여성비율 등과 같은 이사회 속성은 재무성과와 시장성과에 대해 직접효과가 부재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임의효과 모형을 살펴본 강건성 검정에서는 재무성과에 대해서 는 구성원수와 국적 다양성이 양(+)의 관계를 나타냈고, 여성비율은 음(-)의 관계를 보여주었 다. 반면 시장성과에 대해서는 모든 이사회 속성들이 양(+)의 관계를 나타냈다. This study examined the impact of global companies’ ESG management activities on financial performance and market performance. Financial attribute performance consisting of general financial items using time series data from 2008 to 2021 on ESG management activities of 61 global companies for which data can be collected among Fortune 500 companies, and non-financial performance consisting of total ESG score and annual score for each individual sector. The impact of attributes on financial performance was empirically analyzed. The ESG data used in the empirical analysis is annual time series data extracted by analyzing the sustainability management reports of companies under study using a deep learning algorithm developed by our research team. The main facts discover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among non-financial attributes, the environment (E) sector functions as a cost concept that reduces financial performance, while the social (S) sector and governance (G) sector function as a benefit concept that improves financial performance. On the other hand, all non-financial attributes did not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market performance. Second, the interaction effect (moderation effect) between board attributes and ESG activities showed that S division management activitie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moderating effect only on financial performance (ROE). Third, in the fixed effects model, board attributes such as number of members, nationality diversity, and female ratio were found to have no direct effect on financial performance and market performance.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e robustness test showed that the number of members and nationality diversity had a positive (+) relationship with financial performance, and the female ratio showed a negative (-) relationship. On the other hand, all board attributes showe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market performance.

      • KCI등재

        머신러닝 기반 기업성과 예측 모델의 비교 연구: ESG 평가 등급 포함의 영향

        박기준,박찬욱 세명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3 人文 社會科學硏究 Vol.31 No.4

        · Research topics: This study reminds us of the importance of ESG information and objectively verifies that ESG is a significant factor in predicting corporate performance as a paper proving that ESG ratings are better predicted when included in predicting corporate performance. · Research background: Most corporate performance studies have used ROA as a proxy variable and focused only on regression analysis models, and there have been few attempts on other research methodologie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corporate financial performance prediction model using machine learning techniques to differentiate it from existing methods. · Differences from prior research: Most previous ESG studies have shown that ESG activitie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financial performance using regression analysis models. However, due to data collection restrictions, evaluation of corporate financial performance has relied primarily on the financial factors of financial statement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 ROA prediction machine learning model that considers ESG ratings, a representative non-financial factor. In particular, it is intended to prove that the performance of the corporate performance prediction model is better when the ESG evaluation rating is included. · Research method: In this study, the entire industry was sampled and long-term data of 10 years was used to predict corporate performance. In addition, the classifier method was used among machine learning analysis methods, and more reliable research results were presented by presenting the analysis results of two classifiers (Extra Trees, Random Forest) together. · Research results: In conclusion, these results were consistently derived from Accuracy analysis results, Precision analysis results, Recall analysis results, F1-score analysis results, and AUC analysis results. Therefore, when predicting ROA, which is a measure of corporate performance, it can be seen that predicting including ESG evaluation grade information can predict more accurately than predicting ROA without including ESG evaluation grade information. · Contribution points and expected effects: By proposing a new research methodology that utilizes machine learning in corporate performance research, it provides useful predictive model design guidelines for subsequent researchers. In practice, it provides investors with investment strategies that take into account ESG ratings and meaningful information for companies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ESG management.

      • KCI등재

        기업의 ESG와 재무성과

        장승욱,김용현 한국재무관리학회 2013 財務管理硏究 Vol.30 No.1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environmental, social, and governance (ESG) factor and its long-run financial performance in Korea. It is more than possible that prior studies examining the socially responsible investment (SRI) funds confused corporate ESG performance with fund manager performance. Our research use data not at the fund level but at the highly desirable company level. Moreover, current paper employs three measures of stock returns, operating performance, and Tobin’s Q as long-run financial performance. In addition, we follow the recommendation of Barber and Lyon (1996, 1997) to calculate abnormal stock returns, operating performance, and Tobin’s Q. We find that firms with superior ESG performance have higher stock returns, operating performance, and Tobin’s Q from 2008 to 2011. There has been a long-running controversy about the socially responsible issue on financial performance. The empirical findings imply that socially responsible companies do not suffer a performance loss by reaching their environmental, social, and governance (ESG) goals. 기업의 ESG와 재무성과에 대한 해외연구는 ESG 요소가 우수한 기업에 투자하는 사회책임투자(SRI) 펀드의 투자성과를 조사한 것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펀드의 성과는 펀드매니저의 운용능력에 크게 의존하는 바, 우월한 SRI 펀드의 투자성과가 우수한 ESG 때문인지 아니면 우수한 펀드매니저 운용능력 때문인지 모호할 수 있다. 또한 기업의 재무성과를 주식수익률로 많이 보지만, 최근으로 올수록 영업성과나 토빈큐로 측정한 논문이 많아지고 있다. 본 논문은 SRI 펀드의 투자성과 대신에 ESG 정보를 직접 이용하였고, 재무성과의 대용치로 주식수익률 뿐만 아니라 영업성과 및 토빈큐의 세 가지를 사용하였다. 또한 벤치마크로 KOSPI나 KOSPI200 등의 지수 대신, Barber and Lyon(1996, 1997)의 개선된 조사방법론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는 2008~2011년의 4년 동안에 걸쳐 서스틴베스트(2011)의 ESG 평가정보를 이용하여, 벤치마크인 매칭기업 대비한 초과 재무성과(abnormal financial performance)를 분석하였다. 실증결과 ESG 등급이 높은 AA 기업군은 등급이 낮은 E 기업군에 비하여 주식수익률이 대체로 우수하였고, 영업성과와 토빈큐는 매우 우수한 것을 발견하였다. 이는 ESG 등급이 좋은 기업이 재무성과가 우수하다는 것으로, 기업은 ESG 요소를 전략적으로 관리해야 한다는 증거를 보여준다고 하겠다. 또한 초과수익률을 종속변수로 하는 회귀분석 결과 기업규모, 시장가치/장부가치, 등급더미 변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을 발견하였다.

      • KCI등재

        다국적기업 현지 자회사의 ESG 경영이 비재무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 재무적 성과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장순,최돈승,김창수 한국국제경영관리학회 2024 국제경영리뷰 Vol.28 No.1

        본 연구는 국내 시장에 진출한 다국적기업 현지 자회사의 ESG 경영과 비재무적 성과 간의 관계를 고찰하고, 그 과정에서 재무적 성과의 매개 효과를 분석함으로써 현지 ESG 경영 활동과 비재무적 성과 간의 경로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이해관계자 이론을 비롯하여 제도적 이중성 및 잉여 자원 이론을 채택하여 현지 자회사의 ESG 경영의 구체적인 경로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국내에 진출한 138개 다국적기업 현지 자회사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ESG 경영은 비재무적 성과 및 재무적 성과에 정(+)의 유의한 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개 효과를 분석한 결과, 재무적 성과는 현지 ESG 경영과 비재무적 성과 간의 관계를 유의하게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다국적기업 현지 자회사가 수행하는 ESG 경영 활동 자체가 비재무적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ESG 활동이 수행되는 과정에서 재무적 성과의 개선을 통해 비재무적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러한 결과는 ESG 문제의 해결 경로에서 재무적 지표를 개선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비재무적 성과도 얻을 수 있다는 ESG 경영의 순기능이 현지 자회사의 시각에서도 실현이 가능한 명제임을 시사해준다.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ESG and non-financial performance of Korean subsidiaries of multinational companies entering the Korean market. The purpose is to explore the path between local ESG activities and non-financial performance by analyzing the mediating effect of financial performance in this process.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ESG of local subsidiaries by adopting stakeholder theory, institutional duality, and surplus resource theory. As a result of analyzing 138 local subsidiaries of multinational companies operating in Korea, ESG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non-financial performance and financial performanc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ediating effect, financial performance was found to significant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local ESG and non-financial performance. This study shows that ESG activities performed by local subsidiaries of multinational companies could positively affect on non-financial performance. It also means that the process of carrying out ESG activities can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non-financial performance through improvement of financial performanc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positive function of ESG, which is to improve financial indicators in the path of solving ESG challenges and to obtain non-financial performance in this process, is a proposition that can be realized even from the perspective of local subsidiaries.

      • KCI등재

        아시아 주요 국가 기업들의 ESG 성과의 결정요인에 대한 연구

        김종희 한국국제금융학회 2022 국제금융연구 Vol.12 No.1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 country’s macroeconomic and institutional background and the individual firm’s ESG performance while focusing on ESG data set of 68 Korea’s firms, 79 Chinese firms and 353 Japanese firms over the period 2011 – 2020, this paper analyzes how the stable economic and institutional background of a country affects companies’ ESG performance. It possible to use the results of this study’s empirical analysis to draw the following four conclusions. First, 79 Chinese firms show a relative low performance in the Governance (G) pillar. 353 Japanese firms show a low value in the Social (S) pillar over the 2011-2020 period. In case of the 68 Korean firms, relatively high performance can be seen in all three ESG pillars. Additionally, the ESG performance of 79 Chinese firms has been drastically increasing since 2016. Second, the macro-economic situation of the countries differently impacts the individual companies. For example, the size of the stock market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ESG performance of Korea’s and Chinese firms. Additionally, the positive impact of the country’s institutional background ESG performance is apparent in the individual firms in all three countries. Third, the strong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institutional index and Environmental pillar can be seen in 79 Chinese firms, whereas it shows a strong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Governance pillar in 68 Korean firms. In case of the 353 Japanese firms, such a tendency is relatively low. Finally, a strong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institutional index and ESG performance can be seen primarily in companies that show highly volatile ESG performance values. This is seen in companies that had an above average increase in ESG performance, and companies’ whose performance decreased below average over the 2011 to 2020 period. 본 연구는 한국의 68개 기업과 중국의 79개의 기업, 그리고 일본의 353개 기업 등 총 500개의 기업을 대상으로 2011년부터 2020년까지 10년간의 ESG 성과자료를 이용, 국가의 경제 및 정책과 제도의 환경이 해당 국가 기업들의 ESG의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분석하고 있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500개 기업의 ESG 지수의 분석결과, 중국의 79개 기업의 경우 기업지배구조(G) 분야에서 낮은 수치를 보였으며, 일본의 기업들은 사회(S) 분 야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수치를 보였다. 그러나 중국의 ESG의 성과는 2016년부 터 급성장하여 2020년에는 일본과 비슷한 수치를 보였으며, 한국과 일본의 기업 들은 일정한 수준의 패턴을 유지하며 점진적으로 성장하고 있었다. 둘째, 해당 국가의 거시경제의 요인은 각 국가에 속한 개별 기업들의 ESG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주식시장의 규모는 한국과 중국의 기업들의 ESG 성과에 (+)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또한 해당 국가의 정책 및 제도적 환경을 의미하는 제도지수는 중국 기업들의 ESG 성과와 강한 (+)의 관계를 보였다. 셋째, 중국의 기업들의 경우 제도지수와 환경(E) 분야에서 (+)의 관계의 정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기업들은 지배구조(G) 분야의 성과와 제도지수와의 유의한 정도가 강한 것으로 나타난 반면, 일본의 기업들의 경우에는 다른 국가의 기업들과 비교하여 변수들간의 유의성과 그 정도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넷째, 국가의 정책 및 제도환경을 의미하는 제도지수와 ESG 성과와의 관계는 ESG의 변동성이 상대적으로 큰 평균 이상 상승 기업들과 하락한 기업들에게서 (+)의 관계가 발견되었으며, 특히 ESG의 성과가 하락한 기업들에게서 (+)의 관 계가 더 강하게 나타났다.

      • KCI등재

        ESG 활동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균형적 ESG 경영전략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양병모,양오석 한국국제경영관리학회 2023 국제경영리뷰 Vol.27 No.2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nvironmental, social and governance (ESG) on corporate performance, exploring the moderating role of balanced ESG management strategy. This study uses a panel model consisting of variables representing the ESG scores, firm-specific advantages and a interaction of balanced ESG management. The results show that governance is particularly negative on corporate performance. Besides, environmental and social activities are no correlation between Tobin’s Q and financial performance. In Korea, ESG management can be evaluated as a factor that corporate financial performance is still incurring opportunity costs rather than investment benefits. However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positive moderating effect of ES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alanced ESG management and financial performance. It was found that high balanced ESG management strategies has a stronger positive effect on corporate performance than low group balanced. The nature of a balanced ESG management strategy can control the optimization of operational mechanisms by considering the interrelationships among ESG activities. Therefore, balanced ESG management was analyzed as strategy that helps improve performance by promoting harmonized operational activities. 본 연구는 ESG 경영 활동과 기업성과 관계에 있어 균형적 ESG 경영전략이 상호작용 조절 관계를 통해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해 본다. 이에 대한 대답을 찾기 위해 본 연구는 ESG 항목과 일련의 재무 속성, 그리고 균형적 ESG 경영전략의 상호작용을 나타내는 변수로 구성된 패널 모형을 실증 분석하였다. 재무성과와 ESG 활동 간에 직접 효과를 분석한 결과에서는 지배구조의 경우 유의한 부정적(-) 관계가 관찰되었으며, 환경과 사회 활동에서는 유의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국내 기업의 ESG 경영은 투자에 대한 편익보다는 여전히 기회비용을 발생시킴으로써 기업 재무성과를 저해하는 요인으로 평가할 수 있다. 하지만 환경, 사회, 지배구조 활동이 균형적 ESG 경영전략과 상호교차 분석을 포함하였을 때 재무성과에 유의한 긍정적(+) 관계로 조절되었다. 즉, 균형적 ESG 경영전략을 잘 수행하는 기업이 균형적 ESG 지수가 낮은 집단보다 기업성과에 강한 긍정 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균형적 ESG 경영전략이 가진 성격은 ESG 활동 간의 상호관계를 고려함으로써 운영 메커니즘의 최적화 작업을 조절하여 성과를 향상하는 데 도움을 주는 전략적 활동으로 분석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