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EPS패널에 설치된 연통의 발화 메커니즘 분석

        김용운 한국화재조사학회 2023 한국화재조사학회 학술대회 Vol.2023 No.11

        본 연구에서는 EPS패널에 설치된 연통의 발화 메커니즘 분석을 하고자 하였다. EPS패널 에 설치된 연통의 화재사례를 살펴보고, EPS패널의 시료를 제작하여 복사열로 인한 심재의 반응을 보았다. EPS패널은 복사열로 인해 부드러워지고, 녹으면서 점성을 띄며, 마침내 본 드와 같이 열분해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재연실험에서는 초기실험과 같이 복사열에 의해 심재가 없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강판과 스치로폼을 붙이는 본드로 인 하여 잔유물이 발생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때 발생한 잔유물이 연통에 근접하게 배치 한 뒤 Gas torch를 이용한 복사열로 착화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EPS패널을 통과하는 연통 주변을 메꾸기 위해 사용한 내열실리콘에 의해 발화될 수 있는 개연성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ignition mechanism of the communication installed in the EPS panel. The fire case of the communication installed in the EPS panel was examined, and a sample of the EPS panel was produced to see the reaction of the core due to radiant heat. It was confirmed that the EPS panel became soft due to radiant heat, melted and viscous, and finally pyrolyzed like bond. In the reproduction experiment, it was confirmed that the core material disappeared due to radiant heat as in the initial experiment.

      • KCI등재

        A Feasibility Study on Resilient Modulus of Expanded Polystyrene (EPS) Geofoam as a Flexible Pavement Subgrade Material

        Park, Ki-Chul(박기철),Chang, Yong-Chai(장용채) 한국지반환경공학회 2011 한국지반환경공학회논문집 Vol.12 No.12

        EPS지오폼은 다양한 강도, 밀도, 그리고 크기로 생산되는 일종의 화학합성물이다. EPS지오폼에 관한 근래의 발전으로 인해서, 그것의 사용은 급격하게 늘어나고있다. 이것은 초경량 재료로서 단위중량이 약 0.16~0.47kN/m3 인데, 이것은 채움재의 용도로 가장 대표적인 흙의 단위중량 6.3~15.7kN/m3와 동일한 내구성을 가진다. 이런 장점에도 불구하고, EPS지오폼에 대한 회복탄성계수 표준측정방법은 보고된 바가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연성포장의 노반에 적용될 때의 EPS회복탄성계수의 적합성을 연구하는 것이다. 적합성연구는 삼축압축시험의 결과를 토대로 이루어졌으며, 연성포장의 노반재료로써 EPS는 실험결과의 분석과 근본적인 회복탄성의 특성을 비교분석하여 그것의 적합성을 확인해 보았다. Expanded Polystyrene (EPS) is a type of geosynthetic material manufactured with various strengths, unit weights, and dimensions. Due to recent advances in research on EPS, the use of EPS has increased dramatically. This super light weight material has a unit weight of approximately 0.16~0.47kN/m3, equivalent to 6.3~15.7 of that of most natural soils with conditions of fill materials. In spite of this advantage, it is noted that no standard method of resilient modulus test on EPS geofoam was reported and no literature on resilient modulus test methods for EPS geofoam exist. The main object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feasibility of the resilient modulus of EPS when it was applied for flexible pavement. The investigation of the feasibility was completed based on the results from triaxial tests.

      • KCI등재

        고밀도 EPS를 이용한 돔하우스의 모듈설계 및 시공

        이동운,김영수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1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3 No.4

        돔구조는 공간효율성이 높고 형태가 아름다워 새로운 주거 형태로 많이 적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국내에서도 돔하우스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돔하우스 시공 시 사용되고 있는 철골, 목재, 석재, FRP 등의 건축자재들은 시공단가가 높고, 공사기간이 길고, 에너지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발포폴리스티렌(Expanded Poly-Styrene, 이하EPS)은 저렴하고, 가공이 용이하며, 단열성이 우수한 친환경 소재이다. 하지만 EPS소재는 많은 연구개발에도 불구하고 충분한 강도를 확보하지 못하여 건축 구조재 보다는 단열재 등 건축용 보조재로만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초고압으로 압축성형된 고밀도 EPS를 이용한 돔하우스의 개발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기존 건축자재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고밀도 EPS 제조방법을 소개하고 각종 성능을 시험하였다. 또한 모듈화된 돔하우스의 설계 및 조립방법을 개발하고 이에 대한 구조 안전성 검토를 실시하였다. Dome structure the effectiveness of space is excellent and the appearance to be beautiful is applied in new house form. Consequently domestic the demand is increasing consequently about the dome house. The iron frame, lumber and stone, FRP etc. which is used in dome house construction there is a problem where the construction unit cost is high, the construction duration is long and the energy effectiveness decreases. Expanded Poly-Styrene(below, EPS) are cheap and processing is easy and the adiabaticity is excellent and an environmental material. But EPS many research and development comes to accomplish but does not secure the strength which is sufficient not to be able, is used the construction structural material with only the assistance material of heat insulator etc. Consequentl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development of the dome house which uses the high density EPS compression molding with extremely high pressure. For this introduced the high density EPS manufacturing method will be able to complement the weak point of the existing construction material examined a various efficiency. In addition, modular design and assembly of the dome house and developed methods for structural safety review was carried out.

      • KCI등재

        희석주당이익의 주가설명력

        이세용 한국세무학회 2011 세무와 회계저널 Vol.12 No.2

        주당순이익(EPS)과 회석주당이익(DEPS)은 기업의 중요한 성과지표로서 포괄손익계산서에 동시에 표시되고 있지만, EPS가 가지는 정보효과에 대해서는 Ball and Brown(1968) 이후 수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온 반면, DEPS의 정보효과에 대해서는 깊이 있는 연구가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HusonㆍScottㆍWier (2001)과 CoreㆍGuayㆍKothari 2002)은 EPS의 가치관련성은 잠재적 보통 주의 회석효과가 존재하는 경우에 더 작게 나타남을 보이고 있으며, Park(2009)은 회석효과의 존재에 따라 투자자들은 기업의 가치를 더 낮게 평가한다는 것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선행연구들은 잠재적 보통주의 희석효과가 존재하는 경우, 잠재적 보통주의 희석효과가 투자자들에게 정보효과 (informativeness)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러한 잠재적 보통주의 희석효과를 DEPS는 직접적으로 반영하고 있으므로 그러한 희석효과를 반영하고 있지 않은 EPS에 비하여 DEPS의 가치관련성을 더 크게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기대를 DEPS의 주가설명력(즉, adj. R²)과 EPS의 주가설명력과 비교 분석함으로써 잠재적 보통주의 희석효과가 반영된 DEPS가 유의한 가치관련성(value relevance)을 갖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2000년부터 2008년까지의 기간을 대상으로 주가-이익 모형과 주식 수익률-이익 모형을 이용하여 DEPS가 EPS에 비하여 주가설명력이 높은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종합적으로 검토해 보면 DEPS가 EPS에 비하여 주가설명력이 높다는 결과가 일관되게 나오지는 않았다. 주가-이익 모형에서는 전체 표본을 분석하거나 연도별로 분석하는 경우, 모두 DEPS의 주가설명력이 EPS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규모효과를 통제하기 위하여 주가-이익 모형에 사용되는 변수들을 기초주가로 스케일링하는 경우에는 DEPS의 주가설명력이 EPS보다 크기는 하지만, 그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또한, 주식수익률-이익 모형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DEPS 변동액(즉, ΔDEPS)의 주가설명력은 EPS 변동액(즉, ΔEPS)의 주가설명력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다양한 추가분석의 하는 경우에도 DEPS (ΔDEPS)의 주가설명력은 EPS(ΔEPS)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과 같은 결과가 나타난 것은 첫째, 본 연구에서 사용된 잠재적 보통주의 희석효과는 EPS의 4% 정도로 아주 작은 까닭에 이를 포함하는 DEPS(ΔDEPS)가 EPS(ΔEPS)의 정보와 유의하게 차별화되지 못했을 수 있으며, 둘째, 현재의 DEPS는 잠재적 보통주의 전환가능성보다는 잠재적 보통주의 희석효과만을 고려하고 있는 까닭에 희석효과와 관련된 실질적인 경제적 효과를 반영하고 있지 못하다. 따라서 DEPS가 잠재적 보통주의 전환가능성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는 한, 본 연구의 결과 역시 편의되었을 가능성이 존재하는 것이다. As two important measures for firm performance, earnings-per-share(EPS) and diluted earnings-per-share(DEPS) are disclosed on the comprehensive income statement. Although the informativeness of EPS has been examined in various perspectives after Ball and Brown(1968) had published their prominent paper, the informativeness of DEPS has not been investigated sufficiently. HusonㆍScottㆍWier (2001) and CoreㆍGuayㆍKothari 2002) showed that the value-relevance of EPS is decreased with the dilutive effect of potential common stocks. In addition, Park(2009) showed that investors valuate lowly firm with dilutive effects. These prior studies imply that there exists the informativeness of potential common stocks’ dilutive effects. Therefore, compared with EPS, in which the dilutive effects of the potential common stocks is not reflected, DEPS is expected to be more value-relevant, because DEPS reflects the dilutive effects directly. In this persp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the value-relevance of DEPS is larger than that of EPS. To evidence the hypothesis, this paper analyze whether the explanatory power of DEPS is stronger than that of EPS, using both price-earnings model and returns-earnings model. The general result is that the explanatory power of DEPS is not likely to be consistently larger than that of EPS. In price-earnings model, the explanatory power of DEPS is higher than that of EPS for both the entire sample and yearly sample. However, in the case that, to control for the scale effect, all the variables are scaled with the beginning price, the explanatory power of DEPS is not significantly larger than that of EPS. In returns-earnings model,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change in DEPS(ΔDEPS) i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the change in EPS (ΔEPS). In addition, in various sensitivity analyses,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change in DEPS(ΔDEPS) i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the change in EPS(ΔEPS). The results of this paper is supposed to be driven from the following reasons. Firstly, the dilutive effects of the potential common stocks, which is shown as about 4%, is so small in this paper that the informativeness of DEPS can’t be discriminated from that of EPS. Secondly, because the current DEPS reflects only the dilutive effects of the potential common stocks, instead of their possibility of converging into the common stocks, DEPS is not likely to reflect the real economic effects related to their dilutive effects. Therefore, as far as this paper can’t reflect the possibility of DEPS’ converging into the common stocks, its results is not free from the bias.

      • KCI등재

        K-IFRS이후 주당영업이익과 주당순이익의 가치관련성

        기현희(Ki, Hyun Hee) 한국국제회계학회 2014 국제회계연구 Vol.0 No.54

        본 연구는 K-IFRS이후 주재무제표인 연결재무제표와 별도재무제표의 주당영업이익(OIPS)과 주당순이익(EPS)을 대상으로 연결재무제표와 별도재무제표간에 기업가치 설명력과 연결재무제표와 별도재무제표내에서 OIPS와 EPS의 기업가치 설명력을 비교해보고 K-IFRS실시 후 1차년도(2011년)와 2차년도(2012년)간 이들 성과측정치들의 기업가치 관련성의 변화를 보고자 하였다. OIPS와 EPS의 기업가치 관련성은 Ohlson(1995)의 기업가치 평가모형을 이용한 주가설명력으로 하였다. K-IFRS 도입이후 연결재무제표가 주재무제표가 되어 연결재무제표의 성과측정치의 기업가치 관련성이 별도재무제표의 성과측정치와는 차이가 있을 것으로 기대하였으나 OIPS모형과 EPS모형의 경우 모두 연결재무제표와 별도재무제표간에 주가설명력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연결재무제표내에서 OIPS나 EPS의 주가설명력은 EPS가 OIPS 보다 유의하게 크게 나타났다. 이는 연결재무제표에 포함되는 종속회사들의 업종이나 회계처리방법 등이 상이함으로 인하여 연결재무정보의 성과측정치의 유용성은 영업이익보다는 순이익의 정보가 더 유용함을 보여준다. K-IFRS 도입이후 OIPS와 EPS의 주가설명력변화에 대해서는 2011년도에 비해 2012년도에 연결재무제표와 별도재무제표 모두에서 OIPS, EPS의 주가설명력은 증가하였으나 그 차이가 유의하지는 않았다. Korean companies have adopted the Korean 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 (K-IFRS) since 2011. K-IFRS requires parent companies with subsidiaries to prepare and disclose the separate financial statements in addition to the consolidated financial statements.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s value relevance of OIPS and EPS between the consolidated and the separate financial statements, compares value relevance of OIPS and EPS in the consolidated financial statements and the separate financial statements, respectively. Also this study examines value relevance change of OIPS and EPS since 2011. The samples used in this study consist of non-financial firms listed in the Korea Stock Exchange Market which are required to prepare the consolidated financial statements. The Ohlson(1995) model was used to test the research questions. The results show that value relevance OIPS and EPS h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onsolidated and the separate financial statements, and value relevance of OIPS has greater than that of EPS in the consolidated financial statements. It implies that market perceives EPS more useful information than OIPS in the consolidated financial statement. Lastly, value relevance of OIPS and EPS is increased in 2012 than 2011 in the consolidated financial statements and the separate financial statements, but not significantly.

      • KCI등재

        K-IFRS이후의 성과측정치의 가치관련성

        기현희,왕현선 한국회계정책학회 2014 회계와 정책연구 Vol.19 No.1

        This study investigates the value relevance of accounting income measures;EBITDAPS (EBITDA per share), OIPS(operating income per share), IBCTPS(income before corporation tax per share), EPS(net income per share), CIPS(comprehensive income per share), OCFPS (operating cash flow per share) with consolidated and separate financial statements. Also, this study examines whether there is difference of R2 in individual income measures between consolidated and separate financial statements. The samples used in this study consist of non-financial firms listed in the Korea Stock Exchange which are required to prepare consolidated and separate financial statements under K-IFRS. The Ohlson (1995) model was used to test the research question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e find that the value relevance of EPS is highest in consolidated financial statements. IBCTPS takes in the second place, R2 between EPS and IBCTPS displays significant difference. And the value relevance of OIPS is highest in the separate financial statements, followed by EPS. R2 between OIPS and EPS shows significant difference. Second, we investigate whether these accounting income measures have difference of value relevance(R2) from consolidated and separate financial statements. We find that R2 of only EPS in consolidated financial statements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separate financial statements. It implies that market perceives that EPS in consolidated financial statements has better information than EPS in separate financial statements for stock price. 본 연구는 K-IFRS이후 주재무제표인 연결재무제표와 별도재무제표의 주당장부가치(BPS)와 성과측정치인 주당순이익(EPS) 이외에 주당EBITDA(EBITDAPS), 주당영업이익(OIPS), 주당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IBCTPS), 주당포괄이익(CIPS), 주당현금흐름(OCFPS)등이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또한 이들 성과측정치 각각에 대해서 연결재무제표와 별도재무제표를 비교함으로써 어느 성과측정치 정보가 기업가치를 보다 잘 설명하는지를 검증하고자하였다. 표본은 2011-2012년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기업으로 연결재무제표와 별도재무제표를 동시에 공시한 기업으로 선정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K-IFRS 채택 이후 주재무제표인 연결재무제표에서는 EPS가 주가와의 관련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종속기업들이 연결범위 기준을 충족한다면 업종, 상장여부 등을 불문하고 연결에 포함되기 때문에 연결재무제표에서의 OIPS는 K-IFRS 이전의 영업이익으로서의 의미가 희석된 OIPS라고 볼 수 있다. 그렇다면 모든 활동을 포함한 성과측정치인 EPS가 오히려 의사결정에 보다 목적적합 할 수 있기 때문에 영업이익 보다는 당기순이익이 대표적인 재무성과 지표로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반면에 별도재무제표에서는 OIPS가 주가와의 관련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별도재무제표는 종속기업이 포함되지 않은 지배기업만의 재무제표이기 때문에 별도재무제표의 OIPS는 특정기업의 영업활동에 대한 성과를 잘 나타내주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별도재무제표에서는 분석대상 성과측정치 중에서 영업활동을 잘 나타내주는 OIPS가 주가와의 관련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연결재무제표와 별도재무제표간의 각 성과측정치들의 설명력 차이를 검증하였는데 연결재무제표의 EPS가 별도재무제표의 EPS와 비교하여 설명력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시장에서는 EPS의 경우 별도재무제표의 EPS보다 연결재무제표의 EPS를 기업가치에 더 반영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 KCI등재후보

        바실러스 미생물을 이용한 하수처리에서 포기조의 DO농도 변화에 따른 EPS 물질생성과 슬러지 침강성에 관한 연구

        이상호(Lee Sang-Ho),손한형(Son, Han-Hyu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07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8 No.3

        슬러지의 침전성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F/M비, 유입수의 성분과 조성, 처리수온, 포기조의 pH‘ 슬러지 일령, 사상성세균의 증식 등으로 알려져 있으며, 유기산의 잔류량이 EPS의 분비에 영향을 미쳐 슬러지의 침강성에 영향 을 주게 된다. 바실러스를 이용한 공법에서 생물 반응조는 특히 바실러스 종의 우점화를 위한 포자화의 진행을 이루는데 중요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이에 대한 기작 설명은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바실러스를 이용한 B3 공법과 RABC 공법으로 운전 중인 처리장의 생물반응조는 정감포기를 하고 있으며 침전조에서 포자를 형성한 바실러스가 생물반응조로 반송되면 l.6㎎/L로 높아진 DO농도와 유기물질 유입으로 바실러스가 발아를 하고 활성도가 높아지며, 0.5㎎/L로 낮아진 DO농도로 인하여 포자를 형성하면 EPS 추출물질 중 Protein의 합량이 109.95 ㎎EPS/gSS에서 131.77 ㎎ EPS/gSS로 증가하고 SVI는 85 mL/g에서 96mL/g사이로 양호함에 따라 DO농도가 EPS 추출물질 중 Protein의 생성에 영향을 미치며 Protein의 함량이 침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Protein/Carbohydrate 비율에 따라 침강성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RABC 공법에서는 Protein/Carbohydrate의 비가 침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B3 공법에서는 Protein/Carbohydrate의 비에 영향을 크게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factors affecting on sludge sedimentation are reported as F/M ratio, ingredient, composition of influent substrate, dissolved oxygen concentration, temperature, pH, filamentous bacteria and SRT. Aeration tank applying Bacillus sp. has an important role for maintaining the dominant microorganism species to make steady progress for spore growth affecting sedimentation. This research aims to investigate the affecting factor for the sedimentation in B3 system and RABC system with aeration tank applying tapered aeration. Extracellular polymeric substances (EPS), protein and carbohydrate can be produced for the extreme condition, that is down to 0.2 ㎎/L of dissolved oxygen in the aeration tank. This research found out the relation between the sedimentation and the EPS production, especially the ratio of protein/carbohydrate. The spore of Bacillus sp. was formed at the low DO then microorganisms produced EP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roduction of EPS was 109.95 ㎎EPS/gSS at 1.6 ㎎/L of DO, however it was 131.77 ㎎EPS/gSS at 0.5 ㎎/L of DO. The sedimentation was affected by protein content in EPS and the ratio of protein and carbohydrate. The settleability of sludge was not affected by the ratio of protein/carbohydrate in B3 process, meanwhile settleability was affected by the ratio of it in RABC process, respectively.

      • MMBR system에서 탄소원 종류가 미세조류 Scenedesmus quadricauda 의 EPS 생성 및 fouling에 미치는 영향

        최윤정 ( Yun-jeong Choi ),심태석 ( Tae-suk Sim ),황선진 ( Sun-jin Hwang )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2021 춘계학술연구발표회 Vol.2021 No.-

        미세조류는 대사과정에서 단백질 및 다당류를 포함하는 EPS(extracellular polymeric substances)를 생산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EPS는 미세조류 세포 간 가교작용 유도 및 세포 외 에너지원 및 기질 섭취를 도와주는 매개체 역할을 한다. 이러한 EPS 발생은 기질 섭취에 의한 영향을 받으며, 탄소원 및 질소원이 부족한 경우에 EPS를 기질로 사용한다. EPS의 성분 중 protein-EPS는 질소 섭취에 의한 영향을 받으며, 질소가 부족한 경우, 세포 내 Chlorophyll-a 및 protein-EPS를 질소원으로 활용한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질소 부족으로 인한 C/N ratio에서 초과된 탄소만큼 체내 탄수화물 및 carbohydrate-EPS 형태로 과잉축적한다는 선행연구도 있다. 이러한 EPS는 고부가가치 미세조류 바이오매스를 효율적으로 수확하기 위한 MMBR(Microalgal Membrane BioReactor) 시스템에서 막 fouling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주요 인자로 알려져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정폐수 자원화를 통하여 미세조류 고농도 배양을 하고자 할 때, 유기탄소가 풍부한 공정폐수와 무기탄소가 풍부한 공정폐수가 MMBR 공정에 유입될 경우 미세조류의 EPS 발생 및 막 fouling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평가하고자 하였다. 즉, 탄소원 종류가 막 fouling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유기 및 무기탄소 기반의 MMBR을 구성하여 EPS, TMP, flux, P/C ratio, 막 여과저항 등 주요 항목에 대한 분석을 통해 fouling을 평가하였다.

      • KCI등재

        ‘-을 수 없-’의 의미 분석

        정연주 ( Jeong Yeon-ju ) 영주어문학회 2018 영주어문 Vol.40 No.-

        This paper aims to elaborate semantic descriptions on the ‘-ul swu eps-’ construction, and clarify the differences between this construction and its relatives, that is, ‘mos’, a negative adverb, and the ‘-ul jwul moru-’ construction. The ‘-ul swu eps-’ construction has three distinctive senses: wanting of the participant’s ability (Inability), wanting of valid circumstances (Forbiddenness), and wanting of the proposition’s realizableness (Unrealizableness). Inability could be a permanent one, a property of the entity in question (Entity Level Inability), or a relatively temporal one, happening at a specific situation (Situation Level Inability). Entity Level Inability can be expressed with the ‘-ul swu eps-’ construction, the adverb ‘mos’, and the ‘-ul jwul moru-’ construction. Of them, the ‘-ul jwul moru-’ construction expresses the Inability caused by ignorance, lack of know-how on the given matter; the ‘-ul swu eps-’ construction expresses Inability without considering whether having the know-how or not; the adverb ‘mos’ has both senses. Situation Level Inability can be expressed only with the ‘-ul swu eps-’ construction, and the adverb ‘mos’; the ‘-ul jwul moru-’ construction can not be used to express Situation Level Inability. Forbiddenness could be brought about by what should be (Should-Be Forbiddenness), as social norms, or else (Non Should-Be Forbiddenness). Non Should-Be Forbiddenness can be expressed with the ‘-ul swu eps-’ construction, the adverb ‘mos’, and the ‘-ki eryep-’ construction: while the adverb ‘mos’ expresses Forbiddenness despite the participant’s willingness, the ‘-ul swu eps-’ construction expresses Forbiddenness objectively without considering whether the participant has willingness or not. Should-Be Forbiddenness can be expressed with the ‘-ul swu eps-’ construction, the adverb ‘mos’, and the ‘-myen an doy-’ construction: as it has been above, while the adverb ‘mos’ expresses Forbiddenness despite the participant’s willingness, the ‘-ul swu eps-’ construction expresses Forbiddenness objectively based on social norms or logical reasonings. Unrealizableness could be expressed by the ‘-ul swu eps-’ construction, or the ‘-ul li eps-’ construction. The two are of synonymous relation. When the ‘-ul swu eps-’ construction is used to express Unrealizableness, other than the Unrealizableness meaning, the expression also delivers the assumed evidential meaning(the assumption is based on general knowledge).

      • KCI우수등재SCOPUS

        주당이익정보와 주당현금흐름의 가치관련성: 주당이익, 희석주당이익, EBITDA 및 주당현금흐름의 비교

        김정옥 ( Jeong Ok Kim ) 한국회계학회 2011 회계학연구 Vol.36 No.4

        We investigate the value relevance differences of accounting measures. In this study, we use Basic EPS, Diluted EPS, EBITDA, CPS as the accounting measures. First, we find that the value relevance of EBITDA is highest when we use EPS, Ordinary EPS and EBITDA. And Ordinary EPS takes in the second place. And also, when we include diluted income information, the value relevance of diluted EPS (or diluted ordinary EPS) is higher than basic EPS (or basic ordinary EPS). Finally, we find that the value relevance of CPS is higher than that of basic EPS (or basic ordinary EPS). But the value relevance of CPS is lower than diluted EPS (or diluted ordinary EPS). This results is consistent with findings using the diluted EPS and basic EPS. In summary, our results suggest that investors focus on diluted EPS (or diluted ordinary EPS) and EBITDA rather than basic EPS (or basic ordinary EPS) and CPS when they analysis the value relevance of compan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