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인공 지능에서 인공 감정으로

        천현득(Hyundeuk Cheon) 한국철학회 2017 철학 Vol.0 No.131

        인공 감정에 관한 철학적 탐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인간의 고유한 영역으로 간주되던 인지적 과제에서 기계의 추월을 염려하는 처지가 되자, 사람들은 이제 이성이 아니라 감정에서 인간의 고유성을 찾으려한다. 하지만 최근 인공지능 로봇에 감성을 불어넣는 작업이 새로운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이 글은 인공 감정의 실현가능성과 잠재적인 위험을 논의한다. 먼저, 감성 로봇의 개발 현황과 주요한 동기들을 개괄하고, 왜 로봇의 감정이 문제가 되는지 살펴본다. 진정한 감정-소유 로봇이 가능한지 검토하기 위해 감정을 선험적으로 정의하기보다는 감정이 수행하는 몇 가지 핵심 역할을 소개하고 이로부터 어떤 대상에 감정을 부여할 수 있는 기준들을 제안한다. 나는 이런 기준에 비추어 진정한 감정 로봇이 근미래에 실현될 가능성이 낮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감정-소유 로봇이 등장하기 이전이라도, 어느 정도의 자율성을 가진 로봇과 맺는 일방적 감정 소통은 잠재적으로 위험할 수 있으며, 이에 대비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주장한다. As artificial intelligence outperforms humans in some cognitive tasks which have been regarded as properly belonging to the human being, there is growing anxiety that people experience. Now, many people attempt to place the uniqueness of the humans in emotion rather than reason or intelligence. Since artificial emotions and emotional robots are emerging as new topics i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robotics, however, philosophical treatment of them is required. I begin with discussing what has motivated to develop emotional robots and why emotions matter in robotics. After reviewing the current status of emotional robots, I examine whether the emotion-possessing robots are possible. The possibility of artificial emotions depends on what emotions really are. Instead of stipulating the definition of emotions, I suggest criteria on which we can assign emotions to other people, animal, or alien objects including artificial agents by considering the key roles played by emotions in intelligent beings. On these criteria, I argue, it is unlikely for genuinely emotional robots to be realized in the near future. Still, even if emotional robots would not appear shortly, unidirectional emotional bonds with social robots equipped with some degree of autonomy are potentially detrimental, which ought to be seriously considered in an ethical discussion of robots.

      • KCI등재

        인공 지능에서 인공 감정으로‒감정을 가진 기계는 실현가능한가?‒

        천현득 한국철학회 2017 철학 Vol.0 No.131

        As artificial intelligence outperforms humans in some cognitive tasks which have been regarded as properly belonging to the human being, there is growing anxiety that people experience. Now, many people attempt to place the uniqueness of the humans in emotion rather than reason or intelligence. Since artificial emotions and emotional robots are emerging as new topics i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robotics, however, philosophical treatment of them is required. I begin with discussing what has motivated to develop emotional robots and why emotions matter in robotics. After reviewing the current status of emotional robots, I examine whether the emotion-possessing robots are possible. The possibility of artificial emotions depends on what emotions really are. Instead of stipulating the definition of emotions, I suggest criteria on which we can assign emotions to other people, animal, or alien objects including artificial agents by considering the key roles played by emotions in intelligent beings. On these criteria, I argue, it is unlikely for genuinely emotional robots to be realized in the near future. Still, even if emotional robots would not appear shortly, unidirectional emotional bonds with social robots equipped with some degree of autonomy are potentially detrimental, which ought to be seriously considered in an ethical discussion of robots. 인공 감정에 관한 철학적 탐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인간의 고유한 영역으로 간주되던 인지적 과제에서 기계의 추월을 염려하는 처지가 되자, 사람들은 이제 이성이 아니라 감정에서 인간의 고유성을 찾으려한다. 하지만 최근인공지능 로봇에 감성을 불어넣는 작업이 새로운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이 글은 인공 감정의 실현가능성과 잠재적인 위험을 논의한다. 먼저, 감성 로봇의 개발 현황과 주요한 동기들을 개괄하고, 왜 로봇의 감정이 문제가 되는지 살펴본다. 진정한 감정-소유 로봇이 가능한지 검토하기 위해 감정을 선험적으로 정의하기보다는 감정이 수행하는 몇 가지 핵심 역할을 소개하고 이로부터 어떤 대상에 감정을 부여할 수 있는 기준들을 제안한다. 나는 이런 기준에 비추어 진정한 감정 로봇이 근미래에 실현될 가능성이 낮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감정-소유로봇이 등장하기 이전이라도, 어느 정도의 자율성을 가진 로봇과 맺는 일방적감정 소통은 잠재적으로 위험할 수 있으며, 이에 대비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주장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