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디지털 매체 읽기 환경에서 독자의 인권 감수성 향상을 위한 교수·학습 모형 연구

        신윤경 ( Shin¸ Yun-kyung ) 한국독서학회 2020 독서연구 Vol.0 No.57

        이 연구는 디지털 매체 읽기 환경에서 독자의 인권 감수성 향상을 위한 디지털 매체 읽기 교수·학습 모형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인권 감수성의 개념을 고찰하였으며 디지털 매체 읽기 환경에서 독자가 함양해야 하는 인권 감수성의구성 요소가 담고 있어야 하는 세 가지 능력을 밝혔다. 이 능력은 디지털 상황맥락 인식하기, 타인의 정서를 인식하고 도덕적 민감성으로 접근하기, 정보윤리 실천 의지를 다지고, 인권 이슈에 대한 책임감 지니기로 명명하였다. 본고에서는 배리 베이어(Barry K. Beyer)의 열 가지 비판적 사고 기능을 중심으로 디지털 매체 읽기 방향을 모색하였다. 그 특징으로는 독자의 인권 감수성 향상을 위해 정보인권지수를 높일 수 있는 디지털 매체 읽기 교육이 이루어져야 함을 제시하였다. 독자의 인권 감수성 향상을 위한 디지털 매체 읽기 교수·학습 모형은 글레이저(Glaser)의 교수·학습 모형을 준용하여, 각 세부 구성 요소를 도출하였다. 수업 목표는 인터넷 읽기 상황에서 인권 관련 상황과 디지털 맥락을 인식하고, 타인과 올바르게 소통·공감하며 도덕적 민감성을 실현하며 읽는 능력과 책임감, 실천 지향적인 인권 감수성을 함양하는 것에 두었다. 특히, 교수·학습 절차는1) 사회문화적 상황 접근 단계, 2) 타인의 정서 분석 단계, 3) 도덕적 민감성종합 단계, 4) 인권 감수성 성찰 단계로 명명하여 세부 내용을 제시하였다. 본 논의를 통해 독서교육에서 지향해야 할 디지털 매체 읽기 환경에서 독자의 인권 감수성 향상 교육 방안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presents a digital medium reading, teaching, and learning model to improve readers’ sensitivity to human rights in a digital medium reading environment. To this end, the concept of sensitivity to human rights sensibility was reviewed, revealing the three components of sensibility to human rights that readers should cultivate in a digital medium reading environment. These components were termed recognizing the context of a digital context, recognizing the emotions of others and approaching them with moral sensitivity, strengthening one’s will to practice information ethics, and taking responsibility for human rights issues. In this paper, the direction of reading digital media was explored, focusing on the ten critical thinking skills defined by Barry K. Beyer. As a feature, it was suggested that digital media reading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to increase the human rights index of information to improve readers’ sensitivity to human rights. For the digital media reading, teaching, and learning model to improve readers’ human rights sensibilities, each detailed component was derived using Glaser’s teaching and learning model. The objectives of the class were the following: recognize human rights-relatedsituations and digital contexts in an internet reading situation; correctly communicate and empathize with others; realize moral sensitivity; and cultivate reading ability, responsibility, and action-oriented sensitivity to human rights. In particular,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cedures were termed as follows: 1) the socio-cultural situation approach stage, 2) the emotional analysis of others stage, 3) the moral sensitivity synthesis stage, and 4) the sensitivity to human rights reflection stage. Detailed contents of each concept are presented within this paper. Through this discussion, an education plan for improving readers’ sensitivity to human rights in a digital medium reading environment was proposed; this plan should be pursued regarding reading education.

      • KCI등재

        여항문화 연구와 데이터 모델링

        김지선,유인태 한국한문학회 2022 韓國漢文學硏究 Vol.- No.85

        This paper focused on organizing various information about conceptual data modeling for the building of a more extended range of 'Yeohang Culture' database based on the data model of Yeohang Literature proposed by ‘Kim Ji-sun(2019), A Study on the Design and Analysis of the Human Network in 19th-century Collections of Biographies of the Commoner Class(Yeohangjeongijip) -Focusing on Hosanoesa, Ihyanggyeonmunnok, and Huijoilsa’, a full-fledged digital humanities study in the field of Yeohang Literature. Data modeling refers to the process of designing a data model as a kind of blueprint for representing objects existing in the real world as data in the digital environment. Since the analog environment as a physical reality and the digital environment as an electronic representation have fundamentally different properties, the transforming an inseparable object of reality into a segmented one in the digital environment is not simple. When these concerns are combined with the humanistic awareness, the process of 'conceptual data modeling' as a method of conceptualizing objects inevitably entails complicated reasoning. On the other hand, the data modeling process based on micro reading and interpretation of humanities texts and clear humanistic awareness is the basis for creating sophisticated humanities data and the basic clue for enabling varied digital humanities study from it. As part of a model for organizing and portraying the world of 'Yeohang Culture', in which a large amount lot of information is in a complicated relationship through a variety of records, as three-dimensional data in a digital environment, The Class designed through this research includes ‘Person’, ‘Community’, ‘Group’, ‘Writing’, ‘Object’, ‘Book’, ‘Place’, ‘Site’, ‘Event’, ‘Clan’ and ‘Office’. The representative Relationship defined as semantic links between entities belonging to individual classes includes ‘A author B’, ‘A writer B’, ‘A calligrapher B’, ‘A painter B’, ‘A mentions B’, ‘A contains B’ and ‘A member B’. As a medium that comprehensively connects knowledge related to ‘Yeohang culture’, The Class and Relationship can be an effective channel that bridges the barriers between majors such as Sino-Korean Literature, Social History, Art History and Cultural History. In the future, a comprehensive discussion-research that crosses the fields of Literature-History-Art should be conducted in order to compile a 'Yeohang Culture' database that can extensively look into the status consciousness and artistic activities of the commoners in the late Joseon period through the literature directly or indirectly related to them. it is hoped that the contents summarized in this study might be meaningfully used as a basic clue for such a move. 이 글은 여항문학 분야의 본격적 디지털 인문학(digital humanities) 연구로서 졸고 ‘김지선(2019), 「19세기 여항전기집 수록 인물 관계망 구현 및 분석 연구-『호산외사』, 『이향견문록』, 『희조일사』를 중심으로」’에서 제안한 여항문학 데이터 모델을 바탕으로, 더욱 확장된 범위의 ‘여항문화’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한 개념적 데이터 모델링을 전개하고 그 고민을 정리하는 데 집중하였다. 데이터 모델링(data modeling)은 현실에 존재하는 대상을 디지털 세계의 데이터로 재현하기 위한 일종의 설계도로서 데이터 모델(data model)을 디자인하는 과정을 가리킨다. 물리적 현실로서 아날로그 환경과 전자적 재현으로서 디지털 환경은 근본적 속성이 다르기에, 연속하는 현실의 대상을 디지털 세계에 분절된 것으로 변환하는 과정은 간단치가 않다. 이러한 고민이 인문학적 문제의식과 결합할 경우 대상을 개념화하는 절차로서 ‘개념적 데이터 모델링’ 과정은 복잡한 사유를 수반할 수밖에 없다. 한편으로 인문학 텍스트를 대상으로 한 꼼꼼한 읽기와 해석 그리고 분명한 문제의식에 기초한 데이터 모델링 과정은, 정교한 인문학 데이터를 구축하게 하는 바탕이자 그로부터 다양한 디지털 인문학적 연구를 가능하게 하는 기초적 단서에 해당한다. 다종다양한 기록을 매개로 수많은 정보가 복합적 관계를 맺고 있는 ‘여항문화’의 세계를 디지털 환경에서 입체적인 데이터로 정리ㆍ표현하기 위한 모델의 일환으로서, 본 연구에서 정리한 클래스(Class)는 ‘인물(Person)’, ‘시사(Community)’, ‘단체(Group)’, ‘기록(Writing)’, ‘서화(Object)’, ‘저서(Book)’, ‘장소(Place)’, ‘공간(Site)’, ‘사건(Event)’, ‘가문(Clan)’, ‘관서(Office)’이며, 개별 클래스에 속한 개체들 사이의 의미적 연결로서 정의한 대표적 관계(Relationship)로는 ‘저자이다(author)’, ‘지은이다(writer)’, ‘쓴 사람이다(calligrapher)’, ‘그린 사람이다(painter)’, ‘언급하다(mentions)’, ‘수록하다(contains)’, ‘구성원이다(member)’ 등이 있다. 해당 클래스와 관계는 ‘여항문화’와 관련된 지식을 종합적으로 연결하는 매개로서 한문학, 사회사, 미술사, 문화사 등의 전공 간 장벽을 넘나드는 유효한 채널이 될 수 있다. 추후 여항인과 직간접적으로 관련된 문헌을 매개로 조선후기 다양한 직능을 향유한 중인들의 신분적 감각과 그들의 폭넓은 예술 활동까지 다채롭게 들여다볼 수 있는 ‘여항문화’ 데이터베이스를 편찬하기 위해서는, 문학-역사-예술 분야를 넘나드는 종합적 성격의 논의-연구가 진행되어야 하며 그와 같은 행보(movement)를 위한 기초 단서로서 본 연구에서 정리한 내용이 유의미하게 활용될 수 있기를 바란다.

      • KCI등재

        KISTI에 있어서 한국인 인체정보의 생산과 활용

        이상호(Sang-Ho Lee),이승복(Seung-Bock Lee) 한국콘텐츠학회 201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0 No.5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는 2000년부터 한국인의 고유한 인체 특징을 나타낼 수 있는 디지털 코리언, 비저블 코리언이라는 한국인 인체정보 구축사업을 시작하였다. 비저블 코리언 사업은 한국인 시신에 대해 CT, MRI 영상을 촬영한 다음 연속 절단하여 절단면 영상을 얻고 이 절단면 영상에서 인체장기를 구역화하여 구역화 영상을 제작하였다. 남성 및 여성 전신과 남성 머리 및 여성 골반의 절단면 영상 제작을 마쳤으며 현재 구역화 영상을 이용한 3D 영상 제작이 진행 중이다. 디지털 코리언 사업은 약 100여명의 한국인 시신에 대해 촬영한 CT 영상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CT 영상으로부터 개별 뼈를 구역화하여 3D 골격 모델을 제작하였고 피부 모델도 추가하였다. 또한 개별 뼈들의 기계적 물성값도 측정하여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인체정보들은 2001년부터 국내외 연구자들에게 제공되어 왔는데 지금까지 국내 약 70여개 기관, 해외 약 20여개 기관들이 한국인의 인체 데이터를 제공받아 연구 활동을 진행하고 있으며 지금까지 약 160여 논문이 발표되었다. 향후에도 이러한 한국인의 인체정보는 의료 교육, 생체공학, 가상 현실 등의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의료정보 인프라의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The KISTI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began to produce the Korean human information called Visible Korean and Digital Korean since 2000 because there was no human information in Korea which could represent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human body. The Visible Korean consists of CT, MR, sectioned and segmented images of Korean human body. We obtained the serially sectioned images by grinding the Korean cadaver in horizontal direction and segmented these images by outlining the inner organs of human. We have produced the sectioned images of Korean male whole body, male head, and female pelvis in 2008. The segmentation and 3D reconstruction of these images are now in proceeding. The Digital Korean consists of CT images of about 100 Korean cadavers. These CT images were segmented by individual bone, reconstructed to produce the 3D bone models and the skin surface model was also added.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individual bones were obtained by measuring the property of individual bone sample. We have distributed these Korean human informations to users in domestic and abroad. About 70 institutes in domestic, and 20 institutes in abroad have used our data in research use and nearly 160 proceedings and articles were published since 2001. We think these human informations have a role of medical information infrastructure that could be used in the field of medical education, biomechanics, virtual reality etc.

      • KCI등재

        디지털 인문학 분야의 국내외 연구 동향 분석

        정유경 한국정보관리학회 2020 정보관리학회지 Vol.3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nvestigate the research trend on digital humanities. Previous studies focused on analyzing representative cases and national policies, not overall research trends in the digital humanities field. To this problem, this study intends to identify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the digital humanities by adopting bibliometric approach. In this study, 1,765 articles retrieved from Web of Science and 514 records from RISS were analyzed to investigate research trends. Structural topic models were applied to examine research topics and to grasp the time-series trend. The results show that humanities-based convergence studies and digitization were main research interests in both side. In Korea, research topics related to cultural contents and storytelling were prominent, while in terms of providing digitized data,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field was one of the important research topic abroad. 본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 인문학 분야의 국내외 주요 연구의 동향을 살펴보고 비교 분석하는 데 있다. 기존의 디지털 인문학 동향에 관한 연구들은 해외의 주요 연구사례와 국가정책, 발전 방향 등을 검토하는 연구들로, 디지틸 인문학 분야의 세부 연구주제 및 하위 분야를 파악하는 것과는 거리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학술 문헌의 계량서지적 분석을 통해 디지털 인문학 분야의 지적 구조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Web of Science와 RISS로부터 2020년 3월까지 출판된 디지털 인문학 관련 국내외 학술 문헌을 수집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이 자료들을 대상으로 구조적 토픽모델을 적용하여 세부 주제들을 살펴보았으며, 이 주제들의 시계열적 추이를 파악하였다. 분석결과, 국내외 공통적으로 인문학 기반의 융합 연구들이 수행되었으며, 주로 사료의 디지털화가 주된 연구의 관심사였다. 국내는 문화콘텐츠와 스토리텔링 관련된 연구주제가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며, 해외는 디지털화된 자료의 제공 측면에서 문헌정보학 관련 주제들이 주목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국내의 디지털 인문학 분야의 연구 공백을 파악하고 연구주제 확장이 가능한 영역들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한국과 독일⋅오스트리아의 ‘디지털 인문학’ 교육 현황과 국내 독어학 전공교과 적용가능성 고찰

        류수린 한국독일어문학회 2023 독일어문학 Vol.100 No.-

        Ziel dieser Arbeit ist es, erstens den aktuellen Stand des derzeit in den geistes- und sozialwissenschaftlichen Bereichen expandierenden Studiengangs „Digital Humanities“ zu überblicken, der eine Neuordnung der Grenzen zwischen den Studienfächern auf Basis digitaler Technologien aufweist. Zweitens wird ein Unterrichtsmodell des Hauptfachs Germanistik als Bestandteil des Studiengangs „Digital Humanities“ vorgestellt. Am Gegenstand literarischer/kultureller Texte, sprachlicher Daten, Philologie sowie Geschichte und Soziologie werden Sentiment-/Emotionsanalyse, Netzwerkanalyse, Topikmodelling etc. hauptsächlich unter Verwendung natürlicher Sprachverarbeitungstechnologie und statistischer Techniken unternommen, sowie Visualisierung anhand zeitlicher und räumlicher Daten sowie automatische Klassifikation, Zusammenfassung und neue Interpretation sowie Generierung mithilfe von Machine Learning ausgeführt, was sich zum Schluss in die neuen Bildungsinhalte integrieren lässt. Diese Fachunterrichtsformen, die geistes-/sozialwissenschaftliche Inhalte und Digitaltechnik verbinden, bilden über die Grenzen bestehender Fachbereiche und Studienschwerpunkte hinweg einen neuen Studiengang „Digital Humanities“. Inmitten dieser Veränderungen kann eine Reihe von germanistischen Unterrichten mit Anwendung der digitalen Analysetools entwickelt und angeboten werden, wodurch die Bildungspalette der Germanistikabteilung bereichert werden kann. Dazu ergibt sich die Perspektive, dass digitaler Germanistikunterricht in einem Studiengang „Digital Humanities“ einen konstituierenden Studienschwerpunkt bildet. Darüber hinaus wurde sich mit den Vorzügen und Problemen bei der Durchführung dieses Unterrichts auseinandergesetzt, um zu Wandel und Weiterentwicklung des Hauptfachs Germanistik beizutragen. 본 논문은 최근 인문⋅사회학 분야에서 확산되고 있는 ‘디지털 인문학’ 교육의 국내, 그리고독일⋅오스트리아 대학의 교육과정 현황을 개괄하면서, (1) 디지털기술 기반 연구방법론에 근거하여 전공 간 경계가 새롭게 재편되는 양상을 살펴보고, (2) 이러한 변화의 구성 주체로서 독어독문학 전공교과의 디지털 교과 운영 가능성을 특히 독어학 전공 분야의 사례를 중심으로 검토하고자 한다. 2010년대부터 디지털화 digitization를 마친 대규모의 개별 문학/문화 텍스트, 언어코퍼스들이 주로 자연언어처리 기술과 데이터사이언스의 통계적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감성/어조 분석, 관계/ 네트워크 분석 등 텍스트 마이닝 기법으로 연구되었다. 또한 문헌학, 역사학, 사회학 분야의 디지털 자료들이 다양한 시⋅공간 자료화에 근거한 시각화 및 이미지로 구현되어분석되었다. 인문⋅사회분야의 디지털 자료들은 최신 기계학습에 적용되어 자동 인식 및 분류, 서사 요약과 생성 등의 연구 성과로 이어졌다. 이들 연구 내용이 최근 새로운 디지털 인문학의교육 내용으로 자리 잡으면서, 기존 인문⋅사회학의 학과 및 전공의 경계를 넘어서는 ‘디지털인문학’ 전공과정, 대학 간 네트워크형 교육모델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다양한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독어학 연구들과 이를 수업 내용으로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앞으로 디지털 독어학 교과의 개발과 운영을 통해 기존 독어독문학과 체계 내에서 전공교육의 선택지를 넓히고, ‘디지털 인문학’ 과정의 구성 교과로 적극 참여하면서 상호 발전하기위한 필요성을 논구하였다.

      • KCI등재

        공적 미디어 기록을 활용한 디지털 휴먼 트렌드 분석: 토픽모델링 분석을 중심으로

        김태영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023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Vol.24 No.10

        This study conducted topic modeling analysis on news archives, a type of public media record, to understand the current levelof digital human utilization and the major trends in the field. Latent Dirichlet Allocation (LDA) was applied to a datasetcomprising 5,381 news articles related to digital humans, collected from January 1, 2020, to June 30, 2023. Topic modelinganalysis identified four primary trends: (1) the expansion of digital human investments and acceleration of global advancements,(2) technological innovations in digital humans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3) the growth of startups through the expansionof digital human content, and (4) virtual influencer marketing and branding. Based on these findings, we present insights andimplications regarding economic, technological, business, and marketing dimensions concerning digital human-related issues.

      • KCI등재

        여러 대의 키넥트 뎁스 카메라를 이용한 인간공학 시뮬레이션 모델링 자동화에 관한 연구

        전찬모(Chanmo Jun),이주연(Ju Yeon Lee),노상도(Sang Do Noh) (사)한국CDE학회 2016 한국CDE학회 논문집 Vol.21 No.1

        Applying human engineering simulation to analyzing work capability and movements of operators during manufacturing is highly demanded. However, difficulty in modeling digital human required for simulation makes engineers to be reluctant to utilize human simulation for their tasks. This paper addresses such problem on human engineering simulation by developing the technology to automatize human modeling with multiple Kinects at different depths. The Kinects enable us to acquire the movements of digital human which are essential data for implementing human engineering simulation. In this paper, we present a system for modeling automation of digital human. Especially, the system provides a way of generating the digital model of workers’ movement and position using multiple Kinects which cannot be generated by single Kinect. Lastly, we verify the effects of the developed system in terms of modeling time and accuracy by applying the system to four different scenarios. In conclusion, the proposed system makes it possible to generate the digital human model easily and reduce costs and time for human engineering simulation.

      • KCI등재

        가치창출 패러다임 전환을 위한 주요 5개국 인문·기술 융합연구 정책지원 사례 분석

        구인혁(Inhyouk Koo),변영조(Youngjo Byun),김상준(Sang-Joon Kim)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 2023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지 Vol.7 No.5

        본 연구는 지난 20년 간 한국, 미국, 일본, 대만, 중국의 인문학 진흥정책 변천사를 고찰하였다. 국가별 인문학-기술융합 정책의 핵심 키워드를 도출하고 초기-실행-발전 과정에 따른 정책 차별성을 비교·분석하였다. 트리플 힐릭스 모델(Triple Helix Model)을 적용하여 대학-정부-산업의 행동 양식을 구조화하고, 국가별 인문학 진흥계획에서 제시된 목표와 결과를 전략적 측면에서 재조명하였다. 예를 들어, 학제·학문 간 통섭, 인문학과 첨단 연구의 유기적 결합을 목표로 장기 지원책을 제공하는 미국, 인문학 디지털화를 정부 주도의 경제, IT 프로젝트와 연계하는 일본의 사례가 대표적이다. 대만도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대안 정책으로 인문학 유산의 디지털화를 적극적으로 추진하였고, 중국은 사회주의 이념에 입각한 인문인력 양성을 목표로 교육과정, 인문학 부흥 계획을 국가 주도로 속도감 있게 추진해왔다. 한국은 ‘인문학 제주 선언(1996)’을 필두로 인문 기반의 新지식 창출과 연계 사업화 프로그램을 다양하게 추진하였고, 인문학법 제정을 통해 중앙부처와 교육청까지 포괄한 정책지원까지 법제화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워드클라우드 분석을 통해 5개국, 34개 지원사업에서 56개 핵심 키워드를 추출하고, 인문학 지원의 특성에 따라 인프라 확산, 연구범위 확대, 산업화 연계, 디지털 기반구축 등 네 가지 핵심전략을 개념화하였다. 상기 결과를 바탕으로, 인문-기술융합 확산을 위한 인문학 연구사업의 확대 필요성을 제시하고, 창업 활성화를 유도할 수 있는 융합 연구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논의하였다. 즉, 기존 인문학 인프라의 효과적인 정비와 더불어 보유, 강화, 재확장 측면에서 인문-융합 연구의 균형 성장을 도모하고, 디지털 인문학의 패러다임내에서 인재양성, 제도 합리화, 창업지원 등 실현 가능한 계획들이 모색되어야 한다. 또한, 단순히 기술을 접목하는 수준을 넘어 인문·사회, 과학기술 영역의 전문가들이 적극적으로 협업할 수 있는 저변확대, 지원방식의 전환, 사업화(창업화) 중심의 성과문화도 조성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evolution of humanities policies in South Korea, the United States, Japan, Taiwan, and China over the past 20 years. Each country has taken different initiatives to develop the humanities in tandem with technology. For example, the United States provides a longitudinal support plan to facilitate an interdisciplinary combination of cutting-edge technologies with the humanities, and Japan combines the digitization of the humanities with government-led projects in the economic and IT sectors. Taiwan has also actively promoted collaboration between technology and the humanities as a means of solving social problems, and China has a state-led humanities revitalization plan to nurture new talent. South Korea, following its “Jeju Humanities Statement (1996)”, has not only implemented various programs to generate new knowledge based on the humanities, but also legalized educational policy support for such actions by enacting a “Humanities Law”. Using the triple helix model, we aim to define the actions of its three pillars (i.e., university, government, and industry) and analyze the strategic aspect of the goals and outcomes of each nation's policies. Through word cloud text analysis, 56 keywords were extracted from 34 projects in 5 countries and conceptualized as the following four core strategies: (a) expanding infrastructure, (b) widening research scope, (c) linking to industrialization, and (d) building a digital foundation. Further, this study sheds light on the need to expand humanities research and proposes a new paradigm for interdisciplinary research with the potential to lead social change. In conclusion, our study calls for both the revitalization of existing humanities infrastructures and the cultivation of humanities research integrated with other sectors. We also suggest the need to create an environment in which experts from all fields can actively collaborate, a shift in support mechanisms, and practice-based performance evaluation.

      • KCI등재

        논문 : 건축 디지털 모델의 활용에 있어서 사용자 인터랙션을 위한인터페이스에 관한 연구 -NUI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건축적 산책 제안-

        류재호 ( Jae Ho Ryu ) 디자인융복합학회 2013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2 No.5

        본 연구는 최근 그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건축 디지털 모델의 제작 및 활용에 있어서 컴퓨터 인터페이스의 역할 검토 및 새로운 방식의 인터페이스에 의한 건축 디지털 컨텐츠의 활용방안을 제안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기존의 인간과 컴퓨터의 소통역할을 하는 인터페이스로는 키보드, 마우스, 조이스틱 및 터치패드 등을 비롯하여 다양한 방식이 제안되었으며, 가상현실(Virtual Reality) 분야에서는 위에 열거한 예 이외에도 Force-feedback 인터페이스 및 사람의 다양한 신체의 정보를 감지하는 센서를 활용한 유저 인터페이스 방식을 제안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다양한 형태의 인터페이스를 검토하고, 특히나 그중에서 최근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사용자의 자연스런 동작의 화상분석을 통해 컴퓨터를 제어할 수 있게 해주는 NUI(Natural User Interface) 방식에 대하여 조사하고, 새로운 인터페이스의 건축적인 활용방안을 제안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연구는 전문가와 일반인을 포함한 모든 사용자의 참여도를 높임으로써 디지털 모델을 이용한 건축디자인의 평가 및 품질향상에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되며, 건축분야에서의 디지털 컨텐츠의 제작 및 활용의 효율성을 높일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추가적으로는 제안 방식이 건축 디지털 컨텐츠의 활용에 그치지 않고, 향후 건축의 유비쿼터스 컴퓨팅 공간 디자인에 있어서 인간의 행위인식 등과 같은 분야까지도 연결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propose a new method of display of the architectural digital model with natural user interface (NUI). There are a lot of interfaces from mouse to force-feedback which has been developed to control the avatar and interact with the virtual object. In this paper, a survey was carried out about the several interfaces to review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vices. NUI was specially focused on during the reviewing, which can capture the human gesture. We try to figure out the architectural application of the NUI device with architectural digital contents. This paper suggests the new method of appreciation and experience of architectural design of building, which will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using architectural digital model in any type of display and presentation. Furthermore, the proposed method could be adopted to the different kind of application such as designing the ubiquitous computing space to recognize the human behavior.

      • KCI등재

        인성기반 창의,융합적 리터러시 교육 -뉴 3Rs 리터러시 언어학습 모형을 중심으로

        김지숙 ( Ji Suk Ghymn ) 21세기영어영문학회 2015 영어영문학21 Vol.28 No.1

        This paper is to provide a new language-learning model, ‘New 3Rs Literacy’, largely psycholinguistic in nature and sociocultural in practice, which emphasizes the role of literacy with a range of digital technologies. The model, taking the reciprocal teaching concept for communication, focuses on humanity-based teaching to foster a variety of language-using, learning activities. The model of ‘New 3Rs Literacy’ language learning is specifically of; 1) Reading through questioning language use and behavior of the characters who reflect various viewpoints and thinking in the storybook; 2) Researching of exploring various learning materials for the study to expand knowledge and critical thinking skills; 3) wRiting to lead a creative expressing ability in view of humanity and social discourses. The study is to provide the humanity-based literacy learning model for language learners to the extent that they can talk of, really language use and activities by various characters in the storybook and e-text, and creatively produce, share, access, and interact with meaningful content by engaging in participatory culture in the digital er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