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혁신 비즈니스 창출을 위한 디자인 역량과 디자인 경영 전략에 관한 고찰

        김경배 한국인더스트리얼디자인학회 2023 산업디자인학연구 Vol.17 No.3

        연구배경 4차 산업 혁명 시대는 비물질적 융합 서비스 시대로 과거의 문제 해결을 위한 마지막 단계의 디자인 역할을 넘어 기업의 경쟁력 강화와 혁신을 이끄는 핵심 요소로 인식하며 디자인영역이 확대되고 있다. 창의적인 디자인 사고를 바탕으로 디자인주도 혁신은 기업이 급변하는 비즈니스 환경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 핵심 전략으로 인식 되고 있다. 이러한 관점으로 본 논문은 디자인 경영변화와 디자인의 역량 변화를 고찰하고 디자인주도 혁신을 위한 실행 전략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연구문헌과 산업의 패러다임 문헌조사 및 통계자료를 통해 산업구조의 변화와 디자인경영의 환경변화를 인식 하고 디자인역량 변화 분석하였다. 이를 근거로 혁신비즈니스 창출을 위한 디자인 주도 혁신의 의미와 정의를 통해 실행 전략을 제안했다. 연구결과 디자인주도혁신을 실현하기 위한 디자인경영 전략으로 ‘디자인 큐레이션’ 전략을 제안, 정의하였다. 디자인 씽킹을 기반으로 문제인식, 문제 도출, 문제 해석, 문제 정의와 다양한 전문성의 융합, 창의적인 아이디어 발굴, 반복적 실험 조율, 외부 협력과 네트워크 등 혁신 플랫폼 구축은 디자인리더십을 통한 혁신비즈니스 창출은 물론, 창조적 기업문화와 혁신생태계 내재화임을 강조했다. 결론 본 논문은 혁신 비즈니스 창출을 위한 디자인 역량과 디자인 경영 전략 고찰을 통해 디자인주도 혁신을 위한 ‘디자인 큐레이션’을 제안하였다. 기업은 디자인 씽킹 기반의 조직문화와 의사결정 프로세스를 개선, 프로젝트를 위한 다 학제적 팀으로 구성으로 디자인 중심의 혁신을 주도 하고 기업문화를 만들어야 함을 주장했다. 또한, ‘디자인 큐레이션’ 전략은 일관된 방향의 디자인 리더십과 다양한 분야의 조율과 조화로 혁신을 주도하고 창의적 생각의 담론으로 기업의 문화를 만들 수 있는 실행전략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기업과 디자이너들에게 디자인주도 혁신을 위한 큐레이션 실행전략의 제시는 혁신을 위한 디자인경영의 태도와 접근방법 그리고 디자이너들의 주도적 역할에 대한 개념 정립에 의의 가 있다. Background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s an era of invisible convergence services, and the design area is expanding as it recognizes it as a key factor leading to corporate competitiveness and innovation beyond the last stage of design to solve past problems. From this perspective, this thesis aims to examine changes in design management and design capabilities and to propose implementation strategies for design-driven innovation. Methods This study analyzed changes in the industrial paradigm and industrial structure through research literature and statistical data The resulting environmental changes in design management and changes in design capabilities were analyzed. Based on this, an implementation strategy for creating innovative businesses was proposed. Results I proposed and defined the ‘design curation’ strategy as a design management strategy to realize design-driven innovation. It was emphasized that the convergence of various professional knowledge, discovery of creative ideas, and establishment of an innovation platform for external cooperation and networks based on design thinking are not only the creation of innovative business, but also the establishment and internalization of a creative corporate culture. Conclusion ‘Design-Curation’ for design-driven innovation was proposed by examining design capabilities and design management strategies for creating innovative businesses. From this perspective, presenting a curation implementation strategy for design-driven innovation to companies and designers is significant in establishing the concept of the leading role of designers as an approach and method of design management for innovation.

      • KCI등재

        디자인 혁신을 위한 디자인 속성 분석

        정재희(Chung, Jae Hee),한정하(Han, Jing He),고은주(Ko, Eun Ju)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6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2 No.1

        이 연구는 디자인 혁신을 위한 세부적인 디자인 속성을 정의하고 이에 대한 디자이너와 소비자의 인식의 차이를 비교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빠르게 변화하고 매우 복잡한 최근의 비즈니스 환경에서 혁신은 가장 중요한 기업 가치로서 대두되기 시작하였다. 혁신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는 가운데, 디자인 역시 비즈니스적 역할이 강화됨에 따라 혁신의 주요 요인으로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이 연구는 디자인 혁신을 가능하게 하는 디자인 속성을 소비자의 관점에서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있다. 이 연구는 두 부분으로 구성된다. 먼저, 8명의 디자인 전문가를 대상으로 디자인 혁신 제품으로 인정받는 10개의 제품에 대해 (1)제품 혁신성, (2)디자인 기여도, (3)디자인 속성에 대한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이 인터뷰를 통하여 형태, 기능, 사용성, 구조, 기술에 대한 20개의 디자인 속성을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29명의 디자이너와 29명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디자이너와 소비자는 제품 혁신성과 디자인 기여도에 있어서 매우 유사한 인식을 지니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단 상대적으로 덜 혁신적인 제품에 대해 디자이너가 소비자보다 제품을 더 혁신적이라고 인식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세부적인 디자인 속성에 대한 차이를 살펴보면, 디자이너는 형태, 사용성, 기능의 순서로 중요도를 평가한 반면, 소비자는 기능, 형태, 사용성의 순서로 중요도를 평가하였다. 디자이너는 새로운 형태와 새로운 사용성에 더 높은 가치를 둔 반면, 소비자는 새로운 기능에 더 높은 가치를 두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디자인 혁신을 위한 세부적인 디자인 속성과 이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 및 선호도를 보여주고 있다. This study is conducted to define concrete design attributes for design-driven innovation and to compare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design attributes between designers and consumers. Presently, innovation has emerged as the most essential value in a rapidly changing, highly complex business environment which sees the unexpected rise and fall of many companies. This has sparked several studies on innovation, in particular, design-driven innovation has been studied recently, given the expanding role of design in business over the past decade. Through empirical research, this study investigates the design attributes that consumers perceive to contribute to design-driven innova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wo stages. Firstly, 8 design experts were interviewed about (1)product innovation, (2)design contribution, and (3)design attributes, referring to 10 products that are acknowledged as design-driven innovations. Through these expert interviews, 20 design attributes concerning form, function, usability, structure, and technology were derived. Secondly, this survey was then repeated online among 29 designers and 29 consumers based on these 20 design attributes. The results showed that both designers and consumers had similar perceptions about product innovation and design contribution. However, for products that were perceived to be overall less innovative than others, designers evaluated the product as more innovative than did consumers. Designers perceived the essential design elements for designdriven innovation to be ranked in the order of form, usability, and function, while consumers ranked them in the order of function, form, and usability. Consistent with this finding, when evaluating design attributes, designers attached a higher value to new form and usability, while consumers attached a higher value to new functionality. This study suggests concrete design attributes for design-driven innovation and consumers’ perceptions and preferences regarding design attributes.

      • KCI등재

        기업의 디자인 중심 혁신 평가요인 연구

        Nam, Kristen Ko-Eun (사)한국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17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58 No.-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meaning and function of design in a corporation and establishes a foundation to define the meaning of design-driven innovatio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vide an “innovation study” perspective on design, to develop a tool to evaluate whether a corporation has the corporate capacity to introduce design thinking and draw from design-driven innovation. For a comprehensive study of design-driven innovation,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literature research, focus group interviews with experts, and a Delphi survey.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evaluation indicators of design-driven innovation are composed of thirty subsections under six categories presented in a framework. This study has value and meaning as a preliminary study to explore innovation from the viewpoint of design by studying the evaluation factors for a corporation through combining the broad and qualitative concepts of innovation and design. It is expected that this will be helpful in understanding and applying the role of design in a corporations, as well as in the evaluation of innovation. 본 연구는 디자인 관점에서 혁신을 연구하는 것으로, 기업이 디자인적 사고를 도입하여 디자인 중심의 혁신을 이끌어 낼 수 있는 기업역량이 있는지 또는 이러한 기업은 얼마나 혁신적인지를 평가하는 요인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국내외 연구물과 저서에서 디자인중심혁신의 요소를 추출하고 2차례에 걸친 FGI를 통해 요소들을 수정, 보완, 제거하고 개념화하는 과정을 거쳐 전문가 델파이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총 6개의 영역과 30개의 세부항목으로 구성된 디자인중심 혁신 요인이 도출되었다. 6개의 영역은 조직구성원 개개인의 의지, 기업의 선도적 투입, 의지를 보장하는 수평적 문화, 통합적 혁신 프로세스, 기업의 주도적 활동, 제품을 통한 가치공유이다. 본 연구는 디자인중심혁신을 전체적으로 종합하고, 중요 요인을 체계화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기업의 디자인 중심 혁신 평가요인 연구

        남고은 ( Nam Ko-eun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17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58 No.-

        본 연구는 디자인 관점에서 혁신을 연구하는 것으로, 기업이 디자인적 사고를 도입하여 디자인 중심의 혁신을 이끌어 낼 수 있는 기업역량이 있는지 또는 이러한 기업은 얼마나 혁신적인지를 평가하는 요인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국내외 연구물과 저서에서 디자인중심혁신의 요소를 추출하고 2차례에 걸친 FGI를 통해 요소들을 수정, 보완, 제거하고 개념화하는 과정을 거쳐 전문가 델파이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총 6개의 영역과 30개의 세부항목으로 구성된 디자인중심 혁신 요인이 도출되었다. 6개의 영역은 조직구성원 개개인의 의지, 기업의 선도적 투입, 의지를 보장하는 수평적 문화, 통합적 혁신 프로세스, 기업의 주도적 활동, 제품을 통한 가치공유이다. 본 연구는 디자인중심혁신을 전체적으로 종합하고, 중요 요인을 체계화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meaning and function of design in a corporation and establishes a foundation to define the meaning of design-driven innovatio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vide an “innovation study” perspective on design, to develop a tool to evaluate whether a corporation has the corporate capacity to introduce design thinking and draw from design-driven innovation. For a comprehensive study of design-driven innovation,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literature research, focus group interviews with experts, and a Delphi survey.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evaluation indicators of design-driven innovation are composed of thirty subsections under six categories presented in a framework. This study has value and meaning as a preliminary study to explore innovation from the viewpoint of design by studying the evaluation factors for a corporation through combining the broad and qualitative concepts of innovation and design. It is expected that this will be helpful in understanding and applying the role of design in a corporations, as well as in the evaluation of innovation.

      • KCI등재후보

        디자인 중심 혁신을 위한 창의성 발현 방법에 관한 연구

        이지연(Lee, Ji Youn),나건(Nah, Ken)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2019 한국디자인리서치 Vol.4 No.1

        본 연구는 디자인 중심 혁신을 위한 디자이너의 창의성 발현을 실행중심의 방법론 위주로 고찰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존재하지 않았던 신제품과 다기능 제품 개발에서 효과적이고 순발력이 있는 디자이너의 창의성 발현 방법으로 사용자 중심의 실행 위주의 아이디어 발현법이 적합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이 연구는 혁신의 정의와 방식, 디자인 중심 혁신 그리고 창의성 발현에 대해 이론적인 배경을 조사하고, 5년 이내의 디자인 경력을 가진 40명의 디자이너를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여 혁신, 창의성, 디자인 중심 혁신과 제품의 연관성 및 적용 방법을 알아보고 사례를 통해 근거를 마련하였다. 그 결과 디자이너가 생각하는 혁신은 패러다임, 생활 및 가능성의 새로움과 사용자의 경험을 위한 것이며 구체적인 형태나 기술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생활 전반에 걸친 광범위한 업그레이드의 의미를 가지고 있음을 도출하였으며 사례연구를 통해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디자이너의 디자인 중심 혁신과 창의성 발현은 실행중심의 방법론을 통해 이루어짐과 4차 산업혁명시대가 요구하는 혁신적 디자이너 양성이 가능함을 제시하는데 의의를 두었다. This study has its purpose in improving of a designer’s creativity for innovating the core of design by focusing on implementing-centered methodology. It is because the study has decided that methodology, which can develop ideas mainly through the user-centered tests, is appropriate as an effective & nimble method that can improve a designer’s creativity in developing new products & multi-functional products. This study has investigated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definition and method of innovation, design-driven innovation, improving of creativity, and implementing-centered methodology, interviews with 40 designers who had up to 5 years’ experience in design, examined the connection between innovation, creativity, & design-driven innovation and products as well as various applications of implementing-centered methodology, and created the basis with actual cases. As a result, the study has found that innovation in the designer’s mind is for novelty in paradigm, living, & possibility as well as user experience, & has analyzed it as a wide-ranging upgrade of life as a whole instead of being restricted to specific form or technology. In this study, it was suggested that the design-driven innovation and creativity of designers can be improved through the implementing-centered methodology & based on this, it is suggested that innovative designers required by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can be trained.

      • KCI등재

        선행 디자인 혁신 전략이 기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

        김용욱,송인암,황희중 한국유통과학회 2013 유통과학연구 Vol.11 No.10

        Purpose -This paper empirically studies the effects of advanced design innovation strategy on business performance, to investigate manufacturing industries that can develop design-driven-innovation strategies. Many researchers now recognize the importance of design in a CEO's decision-making process. To analyze these effects, this study deduces the definition of advanced design strategy by reviewing existing studies. The advanced design is a strategy that is applied to improve business performance instead of the appearance of a product for increasing its sales. In terms of business processes, the advanced design strategy is defined as the incorporation of business activities prior to the development of the product, to offer new experiences and values to users, from those designs. Research design/data/methodology-This paper establishes a model for empirical analysis. In this study, we derived factors of the characteristics of advanced design based on previous studies. We tried to investigate whether advanced design innovation strategy and entrepreneur’s characteristics could have any impact on business performance. At the same time, we tried to find out the moderating effect of entrepreneurs’characteristics. The advanced design is made up of three elements: precedence, integration, and immersion of design activities. These three elements are independent variables for the model. The dependent variables are: increased rate of sales, R & D performance, and public image of the company. Specifically, this study establishes a CEO's characteristics as a moderating variable between the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Results-We proved that the level of entrepreneurs’ characteristics has a moderating effect on the business performance. The findings of this study offer the following theoretical implications. The precedence of design activities positively affects the increased rate of sales by offering new experiences to users and creating new values. The integration of design activities also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R&D performance. In addition, the immersion of design activities positively influences all the elements comprising business performance. The analysis of moderating variables elucidates that CEO's characteristics have a moderating role between precedence, integration, and immersion of design activities, and business performance. Conclusions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progression of advance design theories by conducting an empirical study on the advanced design concept. More importantly, the empirical study on the CEO group seeking exploratory innovation supports Verganti's "design-driven innovation" concept, according to which design can make innovation successful by offering useful values to users, as evident in the case of many innovative companies, such as Nintendo and Apple. Future studies need to investigate the reliability of practical examples, including the various activities of business. We suppose that there may be real differences between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the applicative situation in the presence of a CEO group.

      • KCI등재후보

        사업기회발굴과 혁신수단으로서 디자인 방법론에 관한 연구

        김성범(Kim, Sungbum)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2013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3 No.2

        기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 디자인 경영은 최고 경영자가 디자인의 중요성을 인지하면서 시작되며 디자이너, 마케터, R&D인력 모두가 디자인 방법론을 익히고 업무에 적용함으로써 완성된다. 이에 본 연구는 조직구성원들이 학습을 통해서 각자의 업무에 적용할 수 있는 디자인 프로젝트관리를 위한 디자인 방법론을 선진 글로벌 기업의 사례를 중심으로 제시하였다. 디자인 방법론의 사례연구를 시작하기 전에 기존 디자인 방법론에 관 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서 각각의 방법론들은 프로세스에 입각해서 종합적인 가이드라인과 도구로서 평가 받을 수 있는 수준의 방법론이어야 함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IDEO의 디자인 사고의 강조점을 통해서 디자인 방법론의 수단으로서 관찰, 창의적 워크숍, 인사이트 통합(synthesis)을 사용하는 기업의 사례를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관찰은 에쓰노그라피의 종합적 실행을 통하여 숨겨져 있는 소비자의 니즈를 탐구하는 방법론으로서, 창 의적 워크숍 기법은 협업을 통한 비디자이너의 디자인 프로세스의 참여의 방법을 제시하는 방법론으로서 제시 되었다. 마지막으로 통합의 방법은 고객의 목소리와 기술, 시장의 트렌드를 종합하는 융합적 방법론으로 소개 되었다. 기업들은 각각의 디자인 중심의 방법론들을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 발굴과 혁신을 위한 가이드라인과 실용적 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 연구는 디자인 중심의 이노베이션은 디자이너와 비디자이너와 협업을 통하여, 그리고 고객 중심의 인사이트에 시장 트렌드와 기술에 대한 고려가 더해져 구현됨을 제시하였다. Design management for competitiveness starts from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design management by CEO and is expected to completed when the design methodology was applied to work by designers, marketers, and R&D personnel. This paper studies the design methodology as a tool for managing design project focusing on the cases of global companies. Before starting the case study of the design methodology, a theoretical study on the existing design methodologies was conducted. Through this, we suggest that each case study should be methodology based on process and evaluated as comprehensive guidelines and a tool. It offers real cases dealing with observation method, creative workshop, synthesis process based on IDEO’s design thinking framework. Observation is a tool for exploring consumer needs hidden with integrated ethnography method. In addition, the creative workshop is a participation tool for cooperation with designer and non designer. Lastly, synthesis is introduced as a convergent tool integrating consumer voice, technology and market trend. These methodologies present a practical guideline for companies to develop business opportunity and realize innovation. Design centric innovation can be embodied through cooperation with designers and non-designers, and integration including consumer based insight, market trend, and technical considerations.

      • KCI등재

        디자인주도 혁신을 위한 신기술융합디자인 교육의 방향에 관한 고찰 : DX(Digital Experience) 융합 콘텐츠 디자인 중심으로

        김경배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23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74 No.-

        4차 산업시대가 도래하면서 환경변화의 속도가 빨라지고, 기존 산업의 경계를 완전히 허무는 초연결사회의 등장으로 기술 융합은 4차 산업혁명 시대를 관통하는 키워드로 자리 잡았다. 실제로 로봇, 모빌리티, IoT, AI, AR/VR 빅데이터 등 성장 잠재력이 높은 신기술에서 새로운 디자인과 디자이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디자인 역할은 인간과 환경, 기술, 사 회, 문화를 하나의 개념으로 연결하여 특별한 의미와 가치를 제공하는 영역으로 점차 확대되고 있으며, 산업계의 요구 또한 전통적인 디자이너들의 요구에서 디자인 주도 형 신기술융합 인재가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논문은 디자인 교 육 분야의 기존 교육 방식의 한계를 극복하고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새로운 교육 방향이 필요하며, 이러한 관점에서 국내 외 디자인 교육의 융합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첫째, 다 학제적 접근과 신기술융합 교육을 통해 공학, 디자인, 경영 등의 분야를 결합한 교육 방향을 제시하고 핵심 요소를 도출하였다. 둘째, 실무 연계 교육을 통해 협업 과 조율 및 조화로 디자인 리더십 능력을 개발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디지털 도구와 기술 활용 교육 및 디지털 역량의 중요성을 제고하기 위한 DX(Digital Experience) 융합 콘텐츠 디자인 중심으로 트랙 구성을 제안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디자인역할 에 대한 중요성과 융합교육의 변화 가능성을 인식하고, 향후 4차 산업시대를 선도하는 핵심인재 양성에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합니다. With the advent of the 4th industrial era, the pace of environmental change accelerates and the emergence of a hyper-connected society that completely breaks the boundaries of existing industries, technological convergence has become a keyword that penetrates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In fact, demand for new designs and designers is increasing in new technologies with high growth potential such as robots, mobility, IoT, AI, and AR/VR big data. The design role is gradually expanding to an area that provides special meaning and value by connecting humans, the environment, technology, society, and culture into a concept, and the needs of the industry are also required to be design-led new technology convergence talent.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paper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convergence education at home and abroa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existing educational methods in the field of design education and respond to changes. First, through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and new technology convergence education, an educational direction that combines fields such as engineering, design, and management was presented and key elements were derived. Second, a plan was proposed to develop design leadership skills in collaboration, coordination, and harmony through practical linkage education. Finally, a track composition was proposed focusing on digital experience (DX) convergence content design to enhance the importance of digital tools and technology utilization education and digital capabilities. Through this study, we recognize the importance of design roles and the possibility of changes in convergence education, and we expect it to be used as a reference for fostering key talents leading the 4th industrial era in the future.

      • KCI등재

        어촌관광 활성화를 위한 디자인 주도 혁신 플랫폼 전략 연구

        김경배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24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76 No.-

        본 논문은 현재 어촌이 직면한 인구 감소, 고령화, 그리고 노후화된 기반 시설로 인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정부가 추진 중인 '어촌뉴딜사업'의 한계를 극복하고, 지속 가능한 어촌관광 생태계 구축을 위한 디자인 주도 혁신 방안을 연구했다. 이 를 위해, 민・관・산・학 거버넌스를 기반으로 한 디자인 주도 프레임을 구축하고, 서비스디자인 관점의 큐레이션 플랫폼을 통해 어촌 지역의 콘텐츠와 정체성을 효율적이고 일관된 방식으로 반영할 수 있는 매력적인 경험을 제공하는 혁신 방안을 제안하였다. 연구는 어촌 관광의 현황과 정부 지원 사업의 문제점을 조명하고, 서비스디자인 개념과 디자인 주도혁신 이론 을 통해 플랫폼 전략의 제안했다. 마지막으로, 어촌관광 활성화를 위한 전략과 실행 방법론을 제시하며, 디자인 주도 플랫 폼 전략을 통한 어촌 지역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촉진하는 중요한 전략임을 강조하였다. 본 연구는 관련 분야의 정책연구 와 실무에 실질적인 기여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paper overcomes the limitations of the 'Fishing Village New Deal Project', which is being promoted by the government to overcome the difficulties faced by fishing villages due to population decline, aging, and aging infrastructure, and leads the design to build a sustainable fishing village tourism ecosystem. Researched innovation measures. To this end, we will build a design-driven frame based on public, private, industry, and academic governance, and create an attractive experience that can reflect the content and identity of fishing villages in an efficient and consistent manner through a curation platform from a service design perspective. An innovative plan was proposed. The study highlighted the current status of fishing village tourism and problems with government-supported projects, and proposed a platform strategy through the concept of service design and design-driven innovation theory. Lastly, it presented a strategy and implementation methodology for revitalizing fishing village tourism, emphasizing that it is an important strategy to promote sustainable development of fishing village areas through a design-driven platform strategy.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substantial contributions to policy research and practice in related fields.

      • KCI등재

        기술, 시장, 그리고 디자인 혁신의 사회적 역할에 관한 연구

        Nam, Kristen Ko-Eun (사)한국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18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62 No.-

        Since a paradigm of innovation was created to shared values between corporations and society, the perspective of innovation is also changing.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innovation by assigning them to various perspectives such as technology, market, design, to analyze the society role of each innovation perspective. For this, researchers selected 29 shortlists from the INNOVATION section of Cannes Lions, divided largely into social innovation for creating shared value, and using technology, market and design for corporate innovation. Corporations are promoting social innovation to benefit society by expanding their products and awareness of social responsibility, at the same time, innovating product to change the lifestyle of consumers through the latest technology, design changes or consumer insights. This study is significant that to classified the innovation of the macro perspective into the corporate and the society and to analyzed various factors for the current innovation trends. 기업과 사회가 공유가치를 창조하는 패러다임이 형성되면서 혁신을 바라보는 관점 또한 다양해지고 있다. 본 연구는 기업혁신의 사례들을 기업과 사회의 관점에 대입해 혁신의 최신 동향과 특성을 살펴보고, 혁신을 위한 기술, 시장, 그리고 디자인의 역할을 분석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제품, 디자인 그리고 기술 등으로 세계에서 가장 주목받고 있는 창의적 산물들의 경합 무대인 Cannes Lions의 INNOVATION부문에 출품된 29편의 최종 후보작을 선정하였으며, 분석의 틀은 기존의 혁신을 나누는 기술과 시장 혁신과 더불어 최근 혁신을 주도하는 역할로써 주목받고 있는 디자인 혁신과 혁신의 결과에 중요한 요인으로 부상한 사회 혁신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기업은 그 어느 때보다도 자사의 제품이나 사회적 책임 의식의 확장으로 사회적 역할에 대한 고민을 하고 있으며, 동시에 최신기술, 디자인의 변화 또는 소비자의 통찰(insight)을 중심 등 다양한 방법론을 대입해 자사의 제품 또는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 변화를 목표로 혁신을 진행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혁신의 특성을 4가지 유형(기업과 사회의 공유가치 창출을 위한 역할, 기업의 이윤 창출을 위한 역할, 삶의 질과 수준에 긍정적 변화를 주기 위한 역할, 전혀 새로운 영역 창출을 위한 역할)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거시적인 관점의 혁신을 기업과 사회로 분류하고, 현재 혁신의 다양한 요인들을 기존혁신관점과 디자인 및 사회적 역할에 대입해 분석했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