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DSRP이론을 적용한 메타인지와 사고 디자인 연구

        강병길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4 조형미디어학 Vol.17 No.1

        Design process is based on decision making, and decision making is a result of thinking. Thinking is an action and the overall process of comprehending and understanding through perception of the object. Thus, in designing, thinking process is crucial to determine the character and quality of the purpose and outcome. However, a large number of designers get to do only partial tasks rather than apprehending the whole process and reading the flow. The cause of it is mainly due to the wrong conception on design and the role of designers which resulted them to train partial skills. The problem grounds from an old custom of education system. Cramming method of education has made people to perceive that knowledge is proportional to the amount of information stored. This misconception about knowledge had resulted in an insufficient exercise to process information. In other words, many people lack metacognition skill, a skill to acknowledge the differences between stored information and new information, finding connections between them and volunteerly recognizing what information to seek next. The reason why designers require such thinking skill is because of the nature and attribute of design. A great difference between design and fine art is that design is aimed to meet the demands of many users. Also the goal of design is achieved through cooperation and interaction with other partners in a corporate environment. In other words, designers achieve their goals through collaborating in interactions. To accomplish the ultimate goal of design, designers should grasp the matter of the subject, identify the distinctions, find relationships, understand the system, and be able to alter perspectives. Therefore, training system thinking become essential. System thinking is ‘thinking about thinking’ which enables to understand the essence of the subject matter and have the ability to process information. For this study, DSRP theory is analysed for an effective system thinking. Applying DSRP theory, the thesis is suggesting a way to improve designer's thinking skills through understanding attributes, mutual relations, structures and point of view among cooperators to be able to autonomously reach the ultimate goal. 디자인 행위는 의사결정을 바탕으로 하며 의사결정은 사고의 결과물이다. 사고는 대상에 대해 지각하여 이해하고 파악하는 활동과 그 과정이다. 따라서 디자인을 함에 있어서 목적과 결과물의 성격을 결정짓는 사고 과정은 매우 중요한 단계이다. 그러나 디자이너들은 자신의 일과 전체를 보고 흐름을 읽으며 스스로 진단하기 보다는 특정 과업만을 담당하는 역할을 하는 경우가 많다. 그 이유는 왜곡된 디자인의 의미와 역할이 디자이너를 제한적으로 기능하게 한 것이라 볼 수도 있다. 여기에 주입식 교육체제가 악순환을 반복시키고 있다. 기억된 정보의 양이 지식의 정도라는 오인은 정보를 가공하여 자기 것으로 만드는 훈련 부족을 초래하였다. 즉 새로 받아들인 정보와 기존 보유한 정보와의 차이점 및 연관성을 찾고 앞으로 알아야 하는 정보가 무엇인지 파악하는 능력, 즉 사고를 점검하고 제어하는 능력인 메타인지능력이 부족한 것이다. 디자이너에게 메타인지력을 비롯한 스스로 사고하는 능력이 필요한 이유는 디자인이라는 분야의 본질과 특성으로부터 기인한다. 디자인은 일반적으로 다수를 위한 작업이며 디자이너는 다른 분야 종사자와의 협력을 통해 목표를 달성한다는 점에서 순수예술가와 구별된다. 즉 디자이너는 협력자들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목적을 이룬다. 따라서 디자이너에게는 궁극적 목표 달성을 위한 효과적이며 올바른 사고를 위한 사안의 성격을 파악하여 차이점을 구분하고, 관계를 찾으며, 체계를 이해하고, 관점을 이전시킬 수 있는 능력이 요구된다. 이러한 필수적 사고를 개발하기 위해 시스템 사고 훈련이 필요한 것이며 이 시스템 사고는 단편 지식의 축적을 뛰어넘어 본질을 파악하고 정보의 가공 및 판단을 스스로 하기 위한 사고 자체에 대한 사고를 뜻한다. 본 연구는 디자인에 있어 시스템 사고를 효과적으로 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론으로서 DSRP이론을 분석, 적용하였다. 그리고 DSRP이론의 디자인 구조화를 바탕으로 디자이너가 스스로 사고능력을 향상시킴으로써 협력자들의 특성파악, 상호연관, 구조이해, 시각적용을 통해 공동 목표를 이루어 자주적으로 궁극적 디자인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 KCI등재

        Design Thinking에 관한 고찰 : 개념 형성과 의미 확장 과정을 중심으로

        안영식(An, Young Shi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4

        목적 본 연구는 Design Thinking의 개념 형성 과정에 대한 고찰을 통해 Design Thinking의 의미를 재음미하고자 하였다. 방법 Design Thinking에 대한 다양한 문헌을 검토하여 해당 논문의 내용들을 개념의 시작, 반동, 용어 및 의미의 형성, 의미의 확장 등 제 단계의 흐름으로 분류하고, 이러한 Design Thinking의 형성 및 발전과정에 대한 전체적인 검토를 통해 Design Thinking의 의미를 종합적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결과 연구의 결과는 첫째, Design Thinking은 1960년대 말경 문제해결을 위한 과학적 방법론으로서의 design 개념에서 출발하여, 1970년대 이에 대한 반동과 보완을 거친 후, 1980년대 학문적 디자인 개념을 거쳐 마침내 Lowe에 의해 Design Thinking으로 용어의 형식화를 이루었다. 2000년대 이후에는 Martin과 Brown 등에 의해 디자이너적 사고를 활용하여 기업의 난제들을 효과적으로 처리하고 혁신을 이끄는 경영적 능력으로 의미가 확장되었다. 둘째, 이러한 개념화의 과정에서 Design Thinking은 디자인과 경영이라는 두 가지 담론으로 발전하였고, 실행⋅사고 유형⋅심적 태도의 세 가지 구성 측면을 포함하였으며, 삶의 비구조화된 문제에 대해 다양한 인지적 방식을 통한 학제적 접근과, 학습자 친화적 방식을 통해 최선의 해결방안 도출을 지향하는 특성 등을 포괄하게 되었다. 셋째, 이러한 Design Thinking의 개념 형성 및 의미 확장 과정은 Design Thinking이 인간 중심의 전체적 접근법이며, 혁신을 일으킬 수 있는 고차 사고력으로서의 성격을 가짐을 시사하였다. 결론 이러한 점들을 고려해 볼 때 Design Thinking은 실험적이고 탐험적이며 긍정적인 태도를 바탕으로, 시각화와 실천과 협력을 통해 다양한 추론 및 반성적 재구성의 인지 과정을 학제적으로 실행하여 개인 및 조직의 어렵고 복잡한 실제 문제에 대해 최선의 해결방안을 이끌어내는 인간중심 및 전체적 접근 방식의 고차 사고력이라 재정의 될 수 있다. Objectives This study tried to reexamine the meaning of Design Thinking by examining the concept formation process of Design Thinking. Methods By reviewing various literatures on Design Thinking, the contents of the thesis are classified into the flow of each stage, such as the beginning of a concept, reaction, formation of terms and meanings, and expansion of meaning, and overall review of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Design Thinking Through this, we tried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Design Thinking comprehensively. Results First, Design Thinking started with the concept of design as a scientific methodology for problem solving in the late 1960s, went through reaction and supplementation in the 1970s, went through the academic design concept in the 1980s, and finally became Design Thinking by Lowe. formalized the term. After the 2000s, by Martin and Brown et al., the meaning was extended to the managerial ability to effectively deal with corporate difficulties and lead innovation by using designer thinking. Second, In the process of conceptualization, Design Thinking developed into two discourses, design and management, and included three aspects of construction: execution, thinking type, and mental attitude. and the interdisciplinary approach through various cognitive methods to the unstructured problems of life and the characteristics of seeking the best solution through a learner-friendly method have been included. Third, this process of concept formation and meaning expansion of Design Thinking suggested that Design Thinking is a human-centered holistic approach and has a character as a higher-order thinking ability that can innovate. Conclusions Considering these points, Design Thinking can be redefined as a Higher-order thinking of human-centered and holistic approach that draws the best solution to difficult and complex real problems of individuals and organizations by interdisciplinary executing the cognitive process of various reasoning and reflective reconstruction through visualization, practice, and cooperation, based on an experimental, exploratory, and positive attitude.

      • KCI등재

        디자인씽킹 마인드셋 평가 문항개발에 관한연구

        류선주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구 시각디자인학회) 2020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73 No.-

        2000년대 이후 사고방식으로서의 디자인씽킹(Design Thinking)이 강조되면서 디자인씽킹은 비즈니스 마인드셋으로 해석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디자인씽킹의 마인드셋 평가를 위한 연구 활동은 크게 활성화되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디자인씽킹에 참여한 대상자들이 마인드셋 습득 정도를 평가할 수 있는 평가문항 개발연구를 실시하였다. 먼저 디자인씽킹을 대표하는 7명의 연구자와 2개의 기관들이 분석한 28개의 디자인씽킹 속성과 각 속성의 개념을 정리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전문가 워크숍을 통하여 속성분류 작업을 실시하였다. 모호성, 실험정신, 공감능력, 통합적 사고, 협동심, 열린 사고, 호기심, 창의적 자신감의 8개 속성이 디자인씽킹 마인드셋으로 분류되었다. 분류된 8개의 마인드셋을 중심으로 심리학과 디자인씽킹에서의 각 마인드셋에 해당하는 평가문항을 조합하여 57개의 초기 평가문항을 도출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전문가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57개 문항 중 각각의 마인드셋 평가에 해당하는 문항을 선정하도록 하였다. 전문가들이 공통으로 선택한 문항들을 종합하여 8개의 마인드셋을 평가하기 위한 33개의 설문문항이 최종 선정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서 향후 디자인씽킹 마인드셋 측정을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기를 바란다. Since a way of thinking has been emphasized in design thinking after the 2000s, Design Thinking has been interpreted as a business mindset. Nevertheless, research to evaluate Design Thinking's mindset have not been greatly activated.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questionnaires that allows subjects participating in design thinking to evaluate their own mindset acquisition level. First, 28 Design Thinking attributes and the definition of each attribute were summarized through synthesizing attributes described by 7 researchers and 2 organizations representing Design Thinking. Based on the 28 Design Thinking Attributes, an expert workshop was conducted to carry out attribute classification work. Among 28 Design Thinking Attributes, the eight attributes of ambiguity, experimentation, empathy, integrative thinking, collaboration, open mind, curiosity, and creative confidence were classified as Design Thinking mindsets. Focusing on the eight classified mindsets, 57 initial evaluation questions were derived by combining evaluation items corresponding to each mindset in psychology and Design Thinking. In order to extract right set of questions for each mindset, an expert interview was conducted. Among the 57 questions, experts were asked to select the questions related to the evaluation of each Design Thinking mindset. Composed of questions selected by experts in common, 33 questionnaires were finally selected to evaluate 8 mindsets. Through this study, I hope that various studies based on design thinking mindset measurement will be conducted in the future.

      • KCI등재

        디자인 사고(Design Thinking)에 기반한 ‘유임승차’ 앱(App)의 설계

        김용익 한국기술교육학회 2018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8 No.1

        This research was conducted by literature research and development research with the aim of designing 'Pay Ride' app based on design thinking. Design thinking is defined as "identifying the nature of the problem based on empathy with the future user(customer)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and finding the best creative solutions based on the integration of reason and emotion, and a series of recursive processes to verify and make i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omestic and doctoral theses related to design thinking, researches were conducted intensively in 2016 and 2017, whe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as emphasized, and the number of research papers for applying design thinking to education reached about half confirmed the fact. This suggests that design thinking needs to be actively introduced into school education because it is effective in fostering collaboration, creativity, and integrated thinking required in future society. I designed a 'Pay Ride' app based on design thinking. Through interviews with students, I extracted and redefined the seven problems of group meetings, solved ideas, and sought the best solution. Then, I made prototypes and applied them to the users, and they were verified and revised and supplemented the functional problems revealed. In the futur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based on design thinking, comparison of common problem and difference between general problem solving model and design thinking model, educational value of design thinking, design thinking training model, application of design thinking model to class. 이 연구는 디자인 사고에 기반한 ‘유임승차’ 앱(App)을 구상할 목적으로 문헌연구와 개발연구에 의하여 수행하였다. 디자인 사고를 “현재 삶의 질을 개선할 목적으로 미래 사용자(고객)와의 공감(empathy)에 기초하여 문제의 본질을 찾아 정의하고, 이성과 감성의 통합 사고를 바탕으로 최선의 창의적 해결책을 찾아 시제품으로 만들고 검증하는 일련의 순환적 과정”으로 정의하였다. 디자인 사고와 관련하여 국내의 석·박사학위논문을 분석한 결과, 4차 산업혁명이 강조된 2016년, 2017년에 집중적으로 연구가 수행되었으며, 디자인 사고를 교육에 적용하기 위한 연구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었다. 이는 디자인 사고가 미래 사회에서 요구하는 협업, 창의성, 통합적 사고력 등의 함양에 효과적이므로 학교교육에 적극 도입·적용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또한 디자인 사고에 기반한 ‘유임승차’ 앱을 설계하였다. 학생들과의 심층면접을 통하여 조별 모임의 문제 7가지를 추출하여 다시 정의하고, 해결 아이디어를 낸 후 최선의 해결책을 모색하였다. 그리고 시제품을 만들어 사용자인 학생들에게 투입하여 검증을 하였고, 드러난 기능상의 문제점을 다시 수정·보완하였다. 앱(App) 기능으로는 알람, 제비뽑기, 공강시간 찾기, 과제 달성률, 확인 메신저, GPS, 각종 양식 및 장소 추천 등의 기능이 추가되도록 설계하였다. 추후에는 일반적 문제해결 모형과 디자인 사고 모형의 공통점과 차이점 비교, 디자인 사고에 기반한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및 적용, 디자인 사고의 교육적 가치, 디자인 사고 교육모형, 수업에 디자인 사고모델 적용 사례 등의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디자인사고의 의미 비교 : 허버트 사이몬과 IDEO의 디자인사고를 중심으로

        이정열(Lee Jung-yeol),이주명(Rhi Joo-myung) 한국디자인학회 2010 한국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10 No.10

        In the past, design was considered only a styling on a product's shape or form. But now design has effect on the whole Life, in areas such as politics, economy, business, environment, etc. This design power expanded the design field and changed the design concept as well so that it rapidly raised more concerns for 'design think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ear the definition of 'design thinking' which is the core of the change. For the more detailed research,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Herbert Simon's 'design thinking,' the background and some of the historical concerns that have emerged with 'design thinking' were researched(based on Nigel Cross's research). Also compared of what the two design thinkers(Herbert Simon, IDEO) think about design thinking. It shows design thinking's common & difference features. In short, define the 'design thinking' clearly after synthesize design thinking's common features through two cases since 20C. In addition, Clear up the 'design thinking' should be more useful to develop variety fields like a society, politic, economy, and the environment more the better. Finally, I suggest some critical points of 'design thinking' today.

      • KCI등재

        브랜드 디자인 개발 과정에서의 디자인사고에 관한 연구

        이광득,이진호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19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57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design thinking that appears in the process of creating brand design and to identify its features. To this end, researchers who analyzed the contents of design thinking using protocol methods were selected among the leading researchers on design thinking. In addition, design processes and tables presented by prior researchers.The process of the design process of Jeong Kyeong-won in 4 was summarized to derive six steps of the design process to be used in the experiments of this study. In the experiment, six students were selected as a group of two students majoring in visual design to check the design thinking process. Through the experiment, the following was confirm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ontents of the retrospective report and the contents of the design thinking at each stage of the design process. The content of design thinking is 1. At the stage of the subject description, the content is accepted in a piecemeal manner through subjective thinking. In the subject description, which is an explanation of objective facts, subjective thinking considering the design outcome rather than objective object and content can be seen as leading rather than objective thinking. 2. The design process did not generate systematic and sequential ideas from the outset. 3. There has been insufficient logical conceptual analysis since the focus on the presentation of design outcomes-Conceptualization. You can see that the lack of understanding of design topics, ideas and concepts are not created. In conclusion, rather than the development of designs based on objective and logical analysis in the development of brand design, it is intended to be the basis for inferring the reasons for the expression of intuitive thinking and the types of design thinking that emerged at each stage. 본 연구는 브랜드 디자인 제작 프로세스 과정에서 나타나는 디자인 사고를 검토하고 그 유형을 확인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디자인 사고에 관한 선행연구자들 중 프로토콜 방식을 이용한 디자인 사고의 내용을 살펴보았다. 더불어 선행연구자들이 제시한 디자인 프로세스와 표.4 정경원의 디자인 프로세스의 과정을 정리하여 본 연구의 실험에서 사용할 디자인 프로세스의 6단계를 도출하였다. 실험에서는 시각디자인 전공 3학년 35명이 참여 하였으나 민화를 주제로 한 학생 6명을 2인 1조의 3개조로 편성하여 디자인사고 과정을 확인하기 위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디자인 프로세스의 각 단계에서 나타난 회상적 보고를 통해 디자인 사고의 내용과 유형을 알 수 있었고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연구에서 제시한 디자인 프로세스의 단계 중 1주제의 설명 단계에서는 주관적 사고의 유형을 보였다. 3주제와 연결하는 상품단계에서 직관적 사 고의 공통적인 유형을 나타내고, 5관찰된 사물들 단계에서 비유와 은유적인 사고의 유형을 나타내었다. 연구에서 브랜드 디자인 개발에 있어 마케팅적 관점을 고려하지 못한 한계점을 가지지만 도출한 디자인 사고의 유형을 통해 향후 디자인 사 고의 이유를 추론하는 근거와 다양한 디자인 사고의 방법을 모색하는 연구의 단초가 되는 것에 의의를 두고자 한다.

      • KCI등재

        디지털 디자인씽킹 - 디지털 기술이 디자인씽킹 프로세스에 미치는 영향 -

        손현주 한국지역사회학회 2023 지역사회연구 Vol.31 No.3

        디자인씽킹은 디지털 전환을 통해 새로운 기회를 맞이하고 있다. 디지털 도구 기반 디자인씽킹은 디자인씽킹 과정의 교육 및 실습 환경을 변화시켰다. 이런 맥락에서 본 논문은 세 가지 목적을 갖고 있다. 첫째, 디지털 디자인씽킹의 개념을 정의한다. 둘째, 디자인씽킹 5단계에서 사용되고 있는 디지털 도구의 사용 현황과 특성을 살펴본다. 셋째, 디지털 기술이 디자인씽킹 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다. 디지털 디자인씽킹은 앱과 온라인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다양한 디지털 도구가 디자인씽킹 과정에 도입됨으로써 디지털 환경에서 새롭게 진행되는 디자인씽킹을 의미한다. 디지털 디자인씽킹은 디지털 도구의 사용, 가상 디자인씽킹 플랫폼 혹은 원격 디자인씽킹, 데이터 기반 디자인씽킹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디자인씽킹 프로세스에 사용되고 있는 디지털 도구는 수백 가지여서 간단히 그 현황과 특성을 살펴보는 것은 어렵기에 디자인씽킹 과정에서 사용되는 대표적인 디지털 도구들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디지털도구가 디자인씽킹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다. 긍정적인 측면은 1) 저렴한 비용, 2) 시간·공간의 확장성, 3) 데이터와 정보 수집의 용이성, 4) 창의적 협업의 증가, 5) 호손 효과의 배제가 있다. 부정적 측면은 1) 신뢰의 부족, 2) 독창적인 사고의 부족과 모방의 증가, 3) 정보 공유의 부재, 4) 디지털 격차에 따른 차별성 등을 들 수 있다. Design thinking is facing new opportunities through digital transformation. Digital tool-based design thinking has changed the education and practice environment of the design thinking process. In this context, this paper has three purposes. First, the concept of digital design thinking is defined. Second, the current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digital tools used in the 5th stage of design thinking are examined. Third, the influence of digital technology on the design thinking process is examined. Digital design thinking refers to design thinking that is newly conducted in the digital environment by introducing various digital tools, including apps and online software, into the design thinking process. Digital design thinking can be divided into the use of digital tools, a virtual design thinking platform or remote design thinking, and data driven design thinking. Since there are hundreds of digital tools used in the design thinking process, it is difficult to simply review their current status and characteristics, so we looked at representative digital tools used in the design thinking process. And finally, the influence of digital tools on design thinking is as follows. The positive aspects are 1) low cost, 2) scalability of time and space, 3) ease of data and information collection, 4) increased creative collaboration, and 5) exclusion of the Hawthorne effect. Negative aspects include 1) lack of trust, 2) lack of original thinking and increased imitation, 3) lack of information sharing, and 4) discrimination due to the digital divide.

      • KCI등재

        사회과 학습에서 Design Thinking의 활용 가능성 탐색

        안영식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21 사회과교육연구 Vol.28 No.1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using Design Thinking in Social studies learning. To this end, first, the meaning and process of Design Thinking were examined, and its implications in social studies were confirmed. As a result, Design Thinking is based on: first, abilities to think about unstructured problems in real life, second,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to such problems, third, a cognitive process that processes acquired various knowledges comprehensively, fourth, process of finding the best solution to a problem, and fifth, a learner-friendly way of thinking. Furthermore, courses of Design Thinking proposed by researchers were redesigned with a DT model, which could be applied to social studies classes and have seven steps, consisting of (1) user empathy, (2) understanding and defining problems, (3) exploring and sharing of knowledge, (4) structuring knowledge, (5) drafting solutions, (6) evaluating and feedbacking solutions, and (7) deriving final solutions. Therefore, considering the fact that characteristics of Social studies is inherent in Design Thinking, Design Thinking can be used as one of various learning tools in social studies. 본 연구는 사회과 학습에서 Design Thinking의 활용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Design Thinking의 의미와 과정을 고찰하여 Design Thinking의 사회과적 함의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Design Thinking은 첫째, 실제 삶의 비구조화된 문제를 다루는 사고능력, 둘째, 그러한 문제에 대해 학제적으로 접근하는 방식, 셋째, 확보한 다양한 지식을 종합적으로 처리하는 인지과정, 넷째, 문제에 대해 최선의 해결방안을 도출하는 과정, 다섯째, 학습자에게 친화적인 사고방식 등 다양한 측면의 사회과적 특성을 포함하였다. 또한, 연구자들이 제안한 Design Thinking의 과정은 ‘사용자 공감, 문제의 이해 및 정의, 지식의 탐색 및 공유, 지식의 구조화, 해결방안 초안 도출, 평가 및 피드백, 최종 방안 도출’ 등 일곱 단계의 DT 모형으로 구안되어 사회과 수업에 적용될 수 있었다. 이러한 Design Thinking의 대상, 접근방식, 방법, 결과, 학습자 측면의 사회과적 특성을 고려할 때, 또 그것을 토대로 구안한 DT 모형을 고려해 볼 때 Design Thinking은 사회과의 다양한 학습 도구 중 하나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갖는다 할 수 있다.

      • KCI등재

        ‘디자인 사고’에서 사고의 융합

        김보섭 한국기초조형학회 2021 기초조형학연구 Vol.2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principles of convergence in design thinking. Given the fact that the concept is not only constructed in itself but also combined within concept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convergent thinking based on philosophical theories. When a concept is viewed as a basic unit of thinking, the establishment of the concept is derived by convergent thinking that combines inherent properties with the external perspectives. Kant's philosophy on ‘analysis and synthesis’ gave an effect that convergence in design thinking is based on synthesis not just by analytic thinking process. Design thinking has developed with the acceptance of Karl Popper, Thomas Kuhn, and Charles Peirce' philosophy of science and semantic positions of Krippendorff and Berganti, among which the perspective of philosophy of science has evolved abduction by which establishing hypothesis by observation and has provided the basis of convergent thinking. In the development of design thinking, the 3rd generation reveals the importance of the convergent thinking process followed by ardent debates over design thinking methodology. Design thinking which has evolved on the basis of various philosophical backgrounds puts an importance on dual thinking process such as observation and cognition, divergence and convergence, top-down and bottom-up, linear and lateral thinking, etc. In conclusion, the convergence of design thinking can be accomplished by systematic and professional thinking methodology to solve complex problems. The binary opposition process is developed into a specific thinking principle in the design field. 이 연구는 ‘디자인 사고(design thinking)’의 융합적 원리에 대해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사고란 사고의 기초 단위로서 개념과 그 개념의 관계를 맺는 방식으로 설명할 수 있다. 본 논의는 개념의관계 결합의 이론을 기초로 디자인 사고에 영향을 준 철학과 디자인의 방법론적 변화를 살펴봄으로써디자인 사고의 융합적 원리에 대해 탐색한다. 개념을 사고의 기초 단위로 볼 때, 개념의 생성은 개념안에 내재한 특성과 외적 관점과 결합하는 융합적 사고에 의해 이루어진다. 칸트의 분석과 종합 판단에 대한 철학은 분석뿐 아니라 종합을 통한 확장적 사고를 통해 융합적 사고가 생성되는 원리를 밝힌다. 디자인 사고는 포퍼, 쿤 퍼스의 과학철학적 입장과 크리펜도르프, 베르간티의 의미론적, 해석학적입장을 수용하며 발전해왔으며, 그 중 과학철학적 관점은 연역과 귀납의 종합 즉, ‘관찰에 의해 가설을추정’하는 가추법으로 발전하여 융합적 사고의 기초를 제공했다. 디자인 사고의 발전 과정은 디자인방법론에 대한 과학적 입장과 그 반대편 입장을 변증법적으로 융합한 3세대 디자인 방법론의 산물이다. 디자인 사고는 분석과 종합의 칸트의 두 가지 사고 방식을 중심으로 관찰과 인식, 발신과 수렴, 하향식과 상향식 접근, 연속적 사고와 옆길 사고 등의 이항 대립적 사고를 함께 사용한다. 결론적으로디자인 사고의 융합은 문제 해결을 위한 체계적이며 전문적 사고 과정으로서 이항 대립적 사고 과정은 디자인 분야의 특정한 사고 원리로 발전하고 있다.

      • KCI등재

        미술교육 관점에서 디자인 씽킹에 대한 비판적 고찰

        공완욱,임혜원,이미희,박수정,이주연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18 미술교육연구논총 Vol.55 No.-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innovative thinking that is driven by design thinking in other fields, not art, in line with the multifaceted changes in soc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difference between design thinking in design field and design thinking in other fields and starting from the question of how to view it in art education.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history, concept and trend of design thinking, and focused on critical analysis of design thinking in terms of art educati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nnovative thinking and empathy, which are mainly discussed in the design thinking of other fields, are characteristic of design thinking in the field of design and are not new. In addition, the concept of design thinking is not a direct term but it is a central concept that has been consistently emphasized in the field of art education. Second, 'human centered' emphasized in design thinking is focused on using for economic purposes, so it is necessary to revive the human understanding and human-centered nature which should be considered important in design thinking. Third, the important thing in the design thinking process is that it must be a thought process that finds problems in oneself and in one's own life, and should approach the process rather than the result. Based on these considerations, we classified design thinking in the design field as 'first generation design thinking' and 'second generation design thinking' as design thinking that utilizes in other fields such as companies. Based on the essential value of art, we have named the process-oriented thinking process of discovering problems in our lives, pursuing innovation for all human beings, and practicing it as 'third generation design thinking' and proposed to aim for third generation design thinking in applying design thinking. 사회의 다각적 변화와 맞물려 미술이 아닌 타 분야에서 디자인 씽킹(design thinking)을 동력으로 하는 혁신적인 사고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본 연구는 디자인 분야의 디자인 씽킹과 타 분야에서 바라본 디자인 씽킹과의 차이점이 무엇이며, 미술교육에서는 이를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에 대한 고민에서 출발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디자인 씽킹의 역사 및 개념, 동향 등을 살펴보고, 미술교육 관점에서 디자인 씽킹을 분석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타 분야의 디자인 씽킹에서 주요하게 논의되는 혁신적 사고 및 공감은 디자인 분야의 디자인 씽킹이 지닌 고유 특질로서, 새로운 것이 아님을 확인하였다. 또한 디자인 씽킹이라는 직접적인 용어 사용을 하지 않았을 뿐 미술교육 분야에서도 이의 개념 및 방법은 꾸준히 강조되어 온 것을 교과서 분석을 통해 알 수 있었다. 둘째, 타 분야의 디자인 씽킹에서 강조하는 ‘인간 중심’은 경제적인 목적 위주로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앞으로는 어느 분야에서건 디자인 씽킹을 적용할 때에는 인간 이해 및 인간 중심의 본질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는 것이다. 셋째, 디자인 씽킹 절차에서 중요한 것은 자기 자신의 삶에서 문제를 발견하는 사고 과정이어야 하며, 결과보다는 과정 중심으로 접근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고찰을 바탕으로 디자인 분야의 고유한 디자인 씽킹을 ‘1세대 디자인 씽킹’, 기업 등 타 분야에서 활용하는 디자인 씽킹을 ‘2세대 디자인 씽킹’으로 구분하였으며, 미술의 본질적 가치를 바탕으로 우리 삶 속에서 문제를 발견하고 모든 인간을 위해 혁신을 추구하며 실천하는 과정 중심의 사고과정을 ‘3세대 디자인 씽킹’으로 명명하고, 앞으로 어느 분야에서건 디자인 씽킹을 적용함에 있어 3세대 디자인 씽킹을 지향해 나갈 것을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