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술치료 매체로써 푸드펜의 미술치료 적용에 관한 연구: 경도 치매 환자를 중심으로

        김종용(Jong-Young Kim),전병훈(Byung-Hoon Jeon) 융복합지식학회 2022 융복합지식학회논문지 Vol.10 No.2

        본 논문은 치매의 예방 및 개선에 이용되는 미술치료에 있어서 미술치료 매체로써 푸드펜을 활용한 서비스를 제안한다. 치매는 아직 치료제가 없어 예방 및 완화만이 유일한 대안인데, 미술치료는 접근성 및 사용 용이성이 좋아서 치매의 예방과 개선 서비스로 일반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미술치료 서비스는 아날로그적 대면 서비스로써 미술치료 전문가에 의존하므로 일반화 및 객관화에 한계가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최근 4차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미술치료 분야도 디지털과의 융합을 통하여 다양한 시도가 진행되고 있다. 즉 디지털 특성인 항상성과 변형 가능성, 결합성, 재생산성을 이용하여 치매 서비스로써 미술치료를 다양하게 접근하고 분석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치매 관련 서비스의 고도화에 발맞추어, 아날로그-디지털 미술치료 매체로써 푸드펜을 적용하는 서비스를 제안한다. 이를 위하여 선행연구로부터 치매에 대한 미술치료의 효과를 파악하고 치매와 관련하여 고도화되고 있는 트렌드를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미술치료 매체로써 디지털-아날로그 융합장치인 푸드펜을 미술치료에 어떻게 적용할 것인가와 어떻게 분석할 것인가에 대한 연구 문제를 도출하고 기존의 미술치료 매체들과의 차별성을 분석하였다. This paper proposes a service using a food pen as an art therapy materials in art therapy used for the prevention and improvement of dementia. There is no cure for dementia, so prevention and alleviation are the only alternatives, but art therapy is generally used because of its accessibility and ease of use. Art therapy service is an analog face-to-face service, and it is pointed out that there is a limit to generalization and objectification because analysis depends on art therapy experts. Recently, various attempts are being made through convergence with digital. In other words, various analyzes and advancements are being made using digital characteristics such as homeostasis, transformability, compatibility, and reproducibility.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a service that applies the food pen as an analog-digital art therapy materials in line with the advancement of dementia-related services. To this end, the effects of art therapy on dementia were identified from previous studies, and the advanced trends related to dementia were systematically analyzed. Based on this, the research questions on how to apply and analyze the food pen, a digital-analog fusion device as an art therapy medium, were pointed out and the differentiation from the existing art therapy media was analyzed.

      • KCI등재

        CogTrain: A Study on a User-Centric Mobile Sevrice for Dementia Prevention and Cognitive Management

        ·Jeanne Lee,Soon-Bum Lim,Dong-Whan Kim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24 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Vol.27 No.1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user-centric cognitive screening mobile app, “CogTrain”, focused on dementia prevention and cognitive management in South Korea. Unlike existing apps, CogTrain encourages continual and long-term usage by ensuring engaging user experiences. Traditional digital dementia screenings, while effective in identifying subtle cognitive changes unseen in hospital screenings, suffer from low engagement and utilization over extended periods. This research, conducted in two parts, first evaluates existing apps’ usability and then proposes and assesses a newly designed app through rigorous usability tests and iterative design approaches. Derived from in-depth interviews and multiple testing rounds with cognitively healthy adults aged 20 to 65, CogTrain offers incentivized short games targeting memory, psychomotor skills, and calculation abilities, integrating elements from medical dementia screenings. Findings underscore the significance of a user-centered design in fostering intrinsic motivation for users, encouraging consistent and long-term participation in remote cognitive screenings for dementia prevention.

      • KCI등재

        기능성 게임을 활용한 경도인지장애 선별 도구에 대한 체계적 고찰

        전봄이,이경주,노수림,심예린,윤대현,조성근 한국건강심리학회 2024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29 No.6

        본 연구는 기능성 게임을 이용한 경도인지장애(Mild Cognitive Impairment: MCI) 선별 도구의 타당성과 진단적 유용성을 평가하기 위해 체계적 문헌 고찰을 수행했다. 2014년부터 2024년까지 출판된 관련 문헌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기능성 게임 기반 선별 도구들은 MCI를 진단하는 데 있어 넓은 범위의 민감도(64.3%-96.5%)와 특이도(50%-96.1%)를 보여주었으며, 전통적인 인지기능 검사와 비교하여 유사하거나 더 우수한 진단 성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기능성 게임이 노인의 인지기능 저하를 조기에 감지하고, 치매로의 진행을 지연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도구로 활용될 가능성을 제시한다. MCI를 조기에 선별하는 것은 치매로의 진행을 지연시키고 예방할 수 있는 중요한 개입 창구를 제공하기 때문에 그 중요성이 크다. 연구 결과는 또한, 게임 기반 인지기능 평가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개선 및 다양한 신경인지 영역을 포괄하는 다차원적 평가 도구 개발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본 연구는 MCI 조기 선별을 위한 디지털 도구의 발전 방향을 탐색함으로써 치매 예방 및 조기 치료의 가능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