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애전담어린이집과 일반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 수준과 직무만족도 분석

        김정은,손영수 한국학습장애학회 2012 학습장애연구 Vol.9 No.3

        The aims of this study was to expand general understanding of teacher's professionalism and job satisfaction between childcare teachers in special daycare center and those in general daycare center.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84 childcare teachers working at daycare center. Some were 182 childcare teacher working at general daycare center and other were 202 childcare teacher working a special daycare center.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ed. First, in some significant differences was found between the groups, total teacher's professionalism, socioeconomic status, autonomy, professional knowledge and skil of special daycare center teacher were to be lower than those of teachers in general daycare center. Second, in job satisfaction. some significant differences was found between the groups, total job satisfaction, reward, task pressure, possibilities of special daycare center teacher were to be lower than those of teachers in general daycare center. Third, through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he teacher's professionalism variables on special daycare center childcare teacher's job satisfaction were professional knowledge and skill, community service, vocational ethics which accounted for 46% of the variance in the data. And through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eacher's professionalism variables on general daycare center childcare teacher's job satisfaction were professional knowledge and skill, socioeconomic status, autonomy which accounted for 40% of the variance in the data. 본 연구는 부산, 경남, 경북 지역의 장애전담어린이집 보육교사와 일반어린이집 보육교사 384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만족도 수준을 배경변인에 따라 살펴보고,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전문성 인식의 하위요인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먼저, 장애전담어린이집과 일반어린이집 보육교사는 전체 전문성 인식 수준, 하위영역인 사회경제적 지위, 자율성, 전문적 지식과 기술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전담어린이집과 일반어린이집 보육교사는 전체 직무만족도와 하위영역인 발전성, 혁신성, 자율성, 업무부담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장애전담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전문성 인식 요인은 전문적 지식과 기술, 사회봉사성, 직업윤리 요인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일반어린이집 보육교사의 경우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전문성 인식 요인은 전문적 지식과 기술, 사회경제적 지위, 자율성 요인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장애전담어린이집 교사와 일반어린이집 교사의 역량강화와 직무만족도 분석

        김정은 ( Jung Eun Kim ),박병도 ( Byung Do Park ),이철환 ( Chul Whan Lee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1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2 No.4

        The aims of this study was to expand general understanding of empowerment and job satisfaction between teachers in special daycare center and those in general daycare center.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49 teachers working at .daycare center. Some were 152 teacher working at general daycare center and other were 197 teacher working a special daycare center.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ed. First, in teacher empowerment. some significant differences was found between the groups, total empowerment, professional development, teacher status and personal-teaching efficacy of special daycare center teacher were to be lower than those of teachers in general daycare center. Second, in job satisfaction. some significant differences was found between the groups, total job satisfaction, reward, comradeship, possibilities of special daycare center teacher were to be lower than those of teachers in general daycare center. Third, through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he empowerment variables on special daycare center teacher’s job satisfaction were teacher status, autonomy, personal-teaching efficacy which accounted for 62% of the variance in the data. And through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empowerments variables on general daycare center teacher’s job satisfaction were teacher status, personal-teaching efficacy, teacher impact, which accounted for 48% of the variance in the data.

      • KCI등재

        장애전담어린이집 교사와 일반 어린이집 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 분석

        김정은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10 유아특수교육연구 Vol.10 No.2

        The aims of this study was to expand general understanding of teaching efficacy and occupational stress between teachers in general daycare center and those in special daycare center.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40 teachers working at .daycare center. Some were 119 teacher working at special daycare center and other were 121 teacher working a general daycare center.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ed. First, special daycare center teacher's efficacy level and personal-teaching efficacy showed to be lower than the other group(teachers in special daycare center). Second, special daycare center teacher's occupational stress(task, young children parents) showed to be higher than the other group. Third, through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he occupational stress variables on special daycare center teacher's teaching efficacy were young children, task, parents stress which accounted for 47% of the variance in the data. And through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he occupational stress variables on general daycare center teacher's teaching efficacy were parents, environment stress which accounted for 44% of the variance in the data. 본 연구는 부산과 경남 지역의 장애전담어린이집 교사 119명과 일반 어린이집 교사 121명으로 총 240명을 대상으로 교사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 차이를 살펴보고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직무스트레스 요인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먼저, 일반 어린이집 교사들은 장애전담어린이집 교사보다 전체교사효능감과 일반적 효능감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을 나타났다. 둘째, 장애전담어린이집 교사는 일반 어린이집 교사보다 전체 직무스트레스와 업무관련, 원아관련, 환경관련 스트레스가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셋째,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직무스트레스 요인을 살펴본 결과, 장애전담어린이집 교사의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직무스트레스 요인은 학부모관련, 업무관련, 원아관련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일반 어린이집 교사의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학부모관련, 환경관련 요인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의 보육교사 직무수행능력에 대한 운영주체에 따른 보육교사의중요도 인식 비교

        전윤숙 한국보육학회 2017 한국보육학회지 Vol.1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wareness of daycare teachers by the nursery school operation performance of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 For this purpose, 35 public and private daycare center, home daycare centers and corporation daycare center teachers were randomly sampled in Busan Metropolitan City. We conducted a questionnaire consisting of 230 sub - elements based on 45 sub - competency unit elements extracted from 12 areas of job ability of the national competence standards. Final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117 questionnaires of 28 national daycare teachers, 30 private daycare teachers, 30 home daycare teachers, and 29 corporation daycare teachers. As a resul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awareness of importance among the four groups in all 12 performance capability units. For the 12 job performance units, the importance was recognized in the order of corporate daycare center, national daycare center, home daycare center, and private daycare center. Among them, "Establishment of Child Care Center Management Policy", "Construction of Child Care Service", "Child Care Activity Management", "Infant and Child Playing Guide", "Body and Art Activity Guidance", "Language, Nutritional guidance"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corporate daycare teachers and national daycare teachers, and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national daycare teachers and home daycare teachers. However,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corporate daycare teachers and home daycare teachers.. There is also a difference in the awareness of importance between home daycare teachers and private daycare teachers. In the remaining five job competence units, "Child Care Assessment", "Support for Infant and Toddler Development", "Cooperation with the Home and Community", "Child Care Management", and "Child Care Research", corporation daycare centers, national daycare center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wareness of importance, bu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private daycare teachers. Also this tendency was consistently observed in 45 sub-capacity unit elements. 본 연구는 국가직무능력표준(NCS: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에서 제시하고 있는 직무수행능력에 대한 어린이집 운영추체별 보육교사의 중요도 인식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 소재 국공립어린이집, 민간어린이집, 가정어린이집, 법인어린이집 교사 각 35명을 무선표집하였다. 이들을 대상으로 국가직무능력표준의 직무능력단위 12개 영역에 근거하여 추출된 45개의 하위 능력단위요소를 토대로 작성된 하위요소 230개를 문항으로 작성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국공립 어린이집 교사 28명, 민간어린이집 교사 30명, 가정어린이집 교사 30명, 법인어린이집 교사 29명 총 117명의 설문지가 최종 분석대상이 되었다. 설문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2가지 모든 직무수행능력단위에 있어 네 집단 간 중요도 인식에는 차이가 있었다. 12가지 직무수행능력단위에 대하여 법인어린이집, 국공립어린이집, 가정어린이집, 민간어린이집 순서로 중요도를 인식하고 있었다. 그중, 「어린이집 운영방침 수립」, 「어린이집 활경구성」, 「보육활동운영」, 「영유아 놀이지도」, 「신체·예술활동지도」, 「언어, 수·과학활동지도」, 「건강·안전·영양지도」의 일곱 가지 에 있어서는 법인어린이집 교사와 국공립어린이집 교사들의 중요도 인식은 차이가 없었으며, 국공립어린이집 교사와 가정어린이집 교사 간에도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법인어린이집 교사들과 가정어린이집 교사 간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정어린이집교사들과 민간어린이집 교사들 간에도 중요도 인식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머지 다섯 가지 직무능력단위인 「보육평가」, 「영유아발달지원」, 「가정·지역사회와의 협력」, 「보육운영관리」, 「보육연구」에 있어서는 법인어린이집, 국공립어린이집, 가정어린이집 교사들의 중요도 인식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민간어린이집 교사들과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5가지 하위 능력단위요소에 있어서도 이러한 경향은 일관되게 나타났다.

      • KCI등재

        어린이집 부모참여활동이 부모의 기관신뢰 및 교사신뢰에 미치는 영향

        심수아 ( Shim Sua ),이유미 ( Lee Youme ) 열린부모교육학회 2021 열린부모교육연구 Vol.1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집 부모참여활동이 부모의 기관신뢰 및 교사신뢰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지역 소재 어린이집의 학부모 284명을 대상으로 자기 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가 인식한 어린이집 부모참여활동 수준은 5점 만점에 평균 3.72점으로 중간정도로 나타났다. 부모의 기관신뢰와 교사신뢰 수준은 양호하나 기관신뢰보다 교사신뢰 수준이 상대적으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가 인식한 어린이집 부모참여활동, 기관신뢰, 교사신뢰 수준은 자녀와의 관계, 어린이집의 유형, 열린 어린이집 운영 여부, 부모참여활동 참가 횟수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가 인식한 어린이집 부모참여활동 수준이 기관신뢰와 교사신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부모참여활동 중 ‘의사결정의 참여’ ‘역량 경화를 위한 교육’ ‘어린이집과 가정의 연계 활동’ 이 기관신뢰에, ‘참여 활동의 일상성’ ‘운영의 융통성’이 교사신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어린이집 부모참여활동이 부모와 어린이집, 보육교사 간 보육 파트너로서의 신뢰 관계를 형성하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객관적으로 입증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지닌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activation level of parent' participation activities on the parents' trust in Daycare center and nursery teacher. For this reason, a self-reporting survey was conducted on 284 parents of Daycare center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3.0 program.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ctivation of parent' participation activities in Daycare centers" as recognized by parents was at an average of 3.72 out of 5. Parents have good trust in Daycare center and nursery teacher, but trust in nursery teacher is relatively higher than trust in Daycare center. Second, the level of Parents‘ participation activities in Daycare centers, trust in Daycare centers, trust in nursery teacher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their relationship with their children, the type of Daycare center and whether or not they had Open Daycare Center. Thirdly, it was found that the activation of parents' participation activities recognized by parents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trust in Daycare center and nursery teacher. Particularly, the activation of "participation in decision-making," "education for parent's capacity development," and "family linkage activiti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trust in Daycare center, and "everydayness of participatory activities" and "flexibility of managemen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rust in nursery teacher. This research is significant in that it objectively find out that activation of parent’ participation activities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building trust as a child care partner between parents and Daycare centers and nursery teacher.

      • KCI등재

        영아의 기질과 교사가 지각한 영아-교사관계가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에 미치는 영향

        임민영 ( Lim Min-yeong ),이강이 ( Lee Kangyi ) 한국유아교육학회 2020 유아교육연구 Vol.40 No.2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으로서 영아의 기질과 영아와 교사 관계를 살펴보고자, 경기도 소재의 13개의 국공립 어린이집 만 2세반에 재원 중인 영아의 부모 175명과 교사 25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자료 분석에는 SPSS 23.0을 사용하였으며, t-test, Pearson의 부분적률상관계수,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어린이집 적응에는 성차와 월령차가 나타났다. 둘째, 각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을 때, 사회정서적 적응과 기본생활습관 적응 사이의 유의한 상관이 나타났으며, 영아의 기질과 어린이집 적응 사이에는 유의한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어린이집 적응에 대한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보았을 때, 교사가 지각한 영아-교사 관계 중에서 친밀성만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드러났다. 본 연구를 통해 그동안 연구가 부족했던 어린이집 내에서의 식사와 수면에 대한 이해를 도울 뿐만 아니라 영아의 기질 및 교사와의 관계가 영아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과 관련된 연구와 보육 정책을 마련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infants’ acclimatization in a daycare center. This was accomplished by examining the effect of the infant’s temperament, age, and gender as well as the teacher’s perception of the infant-teacher relationship on the infant’s acclimatization in a daycare center. A total of 141 infants and 25 teachers were recruited from 13 daycare centers. The results showed the following. Firs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infants’ acclimatization in the daycare center according to age and gender. Infants aged 42-48 months had higher levels of acclimatization in the daycare center than those aged 36-41 months. Also, female infants exhibited higher levels of prosocial behavior and acclimatization to daycare routines than male infants. Second, there were no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the infant temperament and the infants’ acclimatization in the daycare center. However, socio-emotional development and basic life habits hadrted a significant impact on infants’ acclimatization. Lastly,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perception of the infant-teacher relationship and infants’ acclimatization in the daycare center. Among the sub-factors of the infant-teacher relationship, only closenes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fants’ acclimatization in the daycare center. Closer infant-teacher relationships led to positive effects in the daycare setting, such as an increase in infants’ prosocial behavior, better acclimatization to daycare routines, and more desired eating behavior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that it was possible to provide an adaptive view of eating and sleeping in a daycare center that is directly linked to the quality of life of infants and to provide a different perspective from the existing study. In addition, the intimacy of infant-teacher relationships is a factor that serves as an attachment to parents in the context of daycare centers, suggesting the importance of teacher sensitivity and professionalism for compassionate interactions with infants.

      • KCI등재

        어린이집 보조교사 운영실태와 개선방안

        김미정,김승희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2022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6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기관 유형과 직군 유형에 따른 어린이집 보조교사 운영실태를 살펴보고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경기지역의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원장 5명, 담임교사 5명, 보조교사 5명 등 총 15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시행한 후, 원장 372명, 담임교사 319명, 보조교사 125명 등 총 816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과 교차분석, 검증 등으로 분석되었다. 연구결과는 어린이집 보조교사가 주로 하는 일, 보조교사 배치 필요성, 보조교사가 가장 필요한 상황, 사전교육 내용 등이 어린이집의 유형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원장과 담임교사, 보조교사 각각의 처지에서 어린이집 보조교사를 살펴본 결과 역시 기관별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기관 유형에 따라 어린이집 보조교사가 다르게 운영되는 것이다. 이처럼 어린이집 유형에 따라 보조교사가 다르게 운영되므로 보조교사 지원제도를 개선하려면 기관의 자율성을 확대하는 등 기관의 특성에 맞는 지원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결국 본 연구는 기관 유형과 직군 유형에 따른 차이를 동시에 살펴봄으로써 어린이집 보조교사 운영실태와 개선방안에 관한 포괄적 정보를 제시하는 데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anagement status of the assistant teacher system of daycare center according to types of institution and job category and to suggest its improvement plan. This study conducted preliminary survey for 5 directors, 5 class teachers, and 5 assistant teachers of daycare centers in Gyeonggi Province. After preliminary survey, this study conducted survey research. The subjects were 372 directors, 319 class teachers, 125 assistant teachers of daycare centers in Gyeonggi Province. This study analyzed data using frequency analysis, crossover analysis, and χ2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roles of assistant teachers’ carrying out or the contents of prior education were operated differently according to types of daycare center. The results that the assistant teacher system of daycare center was investigated from the viewpoints of the each position of director, class teacher, and assistant teacher also showed the meaningful difference by institution. Because the assistant teacher system of daycare center was operated differently according to types of daycare center like this, the support plan to fi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institution such as enlarging institutional autonomy should be arranged in order to improve the assistant teacher system of daycare center. As a result, it is significant that this study provides comprehensive data about the management status of the assistant teacher system of daycare center by investigating simultaneously differences in types of institution and job category.

      • KCI등재

        초임교사 채용에 대한 어린이집 원장들의 담론

        박정빈 ( Park Jeong-bin ),권경숙 ( Kwon Kyung-sook ),황은희 ( Hwang Eun-hee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6 유아교육연구 Vol.36 No.6

        본 연구는 초임교사 채용에 대한 어린이집 원장들의 담론을 통해 초임교사 채용의 방법과 선발의 기준 등을 알아봄으로써 예비보육교사 교육의 실질적인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어린이집 원장 10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으며 이들을 대상으로 개별면담과 집단면담을 병행하는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 자료는 면담 즉시 전사하여 자료화하였으며, 수집된 자료의 반복적인 읽기와 분석을 통해 도출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집 원장들은 열정과 신선함에 대한 기대와 초임교사는 어린이집 운영 방침이나 원장 자신의 교육관을 긍정적으로 잘 수용하리라는 생각에서 초임교사를 채용하였다. 또한 어린이집 재정 여건이나 기존 교사와의 위계적인 질서를 고려함으로써 어린이집 운영의 효율성을 기하기 위해서도 초임교사를 채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어린이집 원장들은 자기소개서에 나타난 성장과정과 자기소개서 작성의 진솔함 및 면접에서 드러나는 인성을 중요한 채용의 기준으로 여겼다. 또한 원장들은 어린이집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문제에 대한 초임교사의 대처 능력 및 전문성을 채용의 중요한 기준으로 생각하였을 뿐 아니라 어린이집 현장 경험의 다양성과 교육과정에서 이루어진 수업과 관련된 실제적인 경험 유무를 기준으로 초임교사를 채용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basic data for providing the practical teaching measures to preliminary daycare teachers by identifying the methods and criteria of recruiting beginning teachers through a discourse with daycare center directors. To achieve the study objective, ten daycare center directors were selected as study participants and an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by carrying out individual interviews and group interviews. Interview records were immediately transferred to data. Results were drawn by repeatedly reading and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Thes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daycare center directors recruited a beginning teacher because they expected that a beginning teacher would be passionate and have fresh ideas and the teacher would positively accept the daycare center operation policy and the teaching philosophy of the director. Moreover, directors hired a beginning teacher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daycare center management with considering the financial situation of the center and the order of rank with existing teachers. Secondly, directors indicated that the most important criteria of hiring were the personal growth history written in the personal statement, the frankness of the personal statement, and the personality shown in the interview. Moreover, directors considered that the ability of a beginning teacher to cope with various issues possible to occur in the daycare center and expertise were important criteria in hiring. Furthermore, directors hired a beginning teacher based on the width of practical experience in daycare centers and the presence of actual experience related to the coursework.

      • KCI등재

        유아의 기질과 어린이집 적응의 관계에서 교사-유아 관계의 매개효과

        서미화(Mi Hwa Seo),최은실(Eun Sil Choi) 한국발달지원학회 2021 발달지원연구 Vol.10 No.3

        본 연구는 유아의 기질과 교사-유아 관계가 유아의 어린이집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유아의 기질과 어린이집 적응의 관계에서 교사-유아 관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만 3세∼5세 유아 215명의 양육자와 교사를 대상으로수집된 자료를 활용하여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 매개효과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질의 행동억제와 의도적 조절은 교사-유아 관계의 갈등과 부적상관, 기질의 긍정적 정서성과 사회적 민감성은 교사-유아 관계의 친밀감과 정적상관을 나타냈다. 기질의 행동억제, 사회적 민감성, 의도적 조절은 어린이집 적응과 정적상관을 나타냈다. 그리고 교사-유아 관계의 친밀감은 어린이집 적응과 정적상관, 교사-유아 관계의 갈등과 의존은 어린이집 적응과 부적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기질의 의도적 조절은 어린이집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교사-유아 관계의 친밀감, 갈등, 의존은 어린이집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기질의 행동억제, 의도적 조절은 교사-유아 관계의 갈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질의 행동억제, 의도적 조절과 어린이집 적응의 관계에서 교사-유아 관계의 갈등이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어린이집 적응을 위해 유아의 기질적 특질을 이해해야 할 필요성을 함축하며 아울러 어린이집에서 교사와 유아가 맺게 되는 관계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child temperament and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 on adaptation to daycare center,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temperament and adaptation to daycare center.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among behavioral inhibition, effortful control of child temperament and teacher-child conflict.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among positive emotionality, social sensitivity of child temperament and teacher-child intimacy. there were also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among behavioral inhibition, social sensitivity, effortful control and adaptation to daycare center.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eacher-child intimacy and adaptation to daycare center. There were negative correlations among teacher-child conflict, teacher-child dependence and adaptation to daycare center. Second, variables such as effortful control, intimacy, conflict, and dependenc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adaptation to daycare center. behavioral inhibition and effortful control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eacher-child relationship. Third, teacher-child conflict was found to be a mediating variable between behavioral inhibition, effortful control and adaptation to daycare center. The findings of this study imply the need to understand the significant of child temperament in explainings a child’s adaptation to daycare center, and also suggest the importance of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

      • KCI등재

        보육교사의 급여에 따른 보육시설의 근무환경과 보육시설에 대한 만족도 :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이연승,최진령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3 유아교육학논집 Vol.1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the pay of daycare center teachers to the working environments of daycare centers and their satisfaction level in the city of Busan.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200 daycare center teachers who were selected from among the subjects of a study on the state and improvement of childcare for infants and preschoolers. As for data analysis, statistical data on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ere obtained, and x2(Chi-square) test and one-way ANOVA were utilized to look for any possible differences in the variables. In addition, a post-hoc analysis was carried out.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what differences there would be among the daycare center teachers in working environments according to their pay was analyzed; the working environments of the daycare centers were found to be more appropriate when the daycare center teachers were better paid. Second, what differences there would be among the daycare center teachers in satisfaction with daycare facilities according to their pay was analyzed; the daycare center teachers whose pay was 1.5 million won or more expressed the most satisfaction with daycare facilities. 본 연구의 목적은 부산광역시 보육시설의 근무환경과 보육시설에 대한 만족도가 보육교사의 급여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나는지를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부산광역시 영유아 보육실태 및 개선방안 연구’의 조사 대상 중 보육교사 1200명으로 하였다. 자료 분석은 빈도와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를 사용하였고, 변인에 따라 차이가 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카이제곱 검증과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적용하였으며, 사후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급여에 따른 보육시설의 근무환경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본 결과, 보육교사의 급여가 높을수록 보육시설의 근무환경이 좀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급여에 따른 보육시설에 대한 만족도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본 결과, 150만원 이상의 급여를 받는 보육교사, 즉 급여를 상대적으로 많이 받는 교사가 보육시설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