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심리적 안녕감 증진을 위한 마음챙김명상 기반 무용/동작 치료 프로그램 개발 기초연구

        강혜림 ( Hey Lim Kang ) 한국무용교육학회 2015 韓國舞踊敎育學會誌 Vol.26 No.3

        This paper presents a basic study to develop a mindfulness meditation-based dance/movement therapy program to promote psychological well-being.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psychological well-being, mindfulness meditation, and dance/movement therapy, the study arranged the concepts, goals, principles, and characteristics of mindfulness meditation-based dance/movement therapy for psychological well-being. The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As for the concepts and goals of mindfulness meditation-based dance/movement therapy for psychological well-being, it is structured dance/movement therapy provided to increase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individuals. Mindfulness meditation-based dance/movement therapy for psychological wellbeing programs are characterized by the active utilization of the mindfulness meditation technique in dance/movement therapy. The principles of mindfulness meditation-based dance/movement therapy for psychological well-being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indfulness meditation training allows one to reveal his or her problems at the levels of body, emotion, thought, and unconsciousness and recognize them him or herself, which facilitates the dance/movement process. The psychotherapeutic process of dance/movement therapy helps with the mindfulness process, which in turn improves psychological well-being. Second, internal psychological issues revealed through mindfulness meditation can be actively resolved through dance/ movement therapy, and better solutions can be found through creative movements and dances. Third, therapeutic relationships with the therapists of dance/ movement therapy and collective group activities are effective for being mindful about the difficulties stemmed from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resolving them. Fourth, one can consistently cultivate his or her positive inner strength such as self-esteem and happiness by continuing mindfulness meditation. Finally, the attitude required from participants in the implementation process of mindfulness meditation can enhance positive relations with oneself, others, and further the world as well as the mindset toward the program. The characteristics of mindfulness meditation-based dance/movement therapy programs are as follows: first, the healing technique combines the Oriental asceticism tradition with Western psychotherapy; secondly, the programs can not only treat and heal the wounds of life, but also help to establish a positive attitude toward life through a education and training process as programs structured to increase psychological well-being. Finally, the programs propose a new type of dance meditation with movements, dances, and meditation incorporated into it.

      • KCI등재

        한국무용 기반 통합예술동작치유콘텐츠 프로그램 연구: 명상, 호흡운동, 근육이완요법 중심으로

        강준영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2023 글로벌문화콘텐츠 Vol.- No.56

        This study developed a program that can help recover from depression and anxiety, which have emerged as a social problem along with the phenomenon of the COVID-19 pandemic, from a perspective of art therapy instead of using medicin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new program with simple movements, breathing exercises, and meditation that have been reorganized with a focus on Korean dance that provides aesthetic senses to help people recover from stress, depression, and anxiety, thereby providing the program as a progressive muscle relaxation therapy through concentration meditation for the public. The rhythms of Korean dance consist of breathing beats, and therefore, their beats are formed by interworking with the length of breathing. In this study, breathing exercises were appropriately applied to the movements of Korean dance movements through an active reflection of this advantage. The movements of Korean dance as a progressive muscle relaxation therapy are gentle and smooth, and thus form a phenomenon that is easily accessible by anyone. This program was intended to help people recover from their psychological stress by creating a dramatic harmony of the body and the spirit through an adequate application and reorganization of the upper body’s gently curved dance movements and the lower body’s rather static dance movements. The process of dance movement therapy via Korean dance is to learn movement techniques that participants can immerse themselves in. This process should enable them to express their immersion and perform appropriate movements even if these movements are not proficient. Dance movements have been applied to the program after being changed to a neutral status in order to allow men to participate in dance movements that used to be centered on women, and appropriate Gutgoeri rhythms for breathing exercise were also applied. This study organized a therapy program with Korean dance’s movements and sensitivity that are most suited to Koreans, which can also serve as a public health program that can relax, supplement, and cure contracted muscles and energy under the tensions of life built over a long period of life. In doing so, it intends to prevent greater stress, depression, and anxiety of the public than before and improve their abilities to resist external circumstances by strengthening their immun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also be able to promote the qualitative growth of national policy programs related to the improvement of public mental health, and to develop professional dance movement therapy instructors and enhance their expertise through the utilization of a dance movement therapy program. In addition, this program will contribute to job creation for dance majors and positively influence emerging dance industries. 이 연구는 팬더믹 현상과 함께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스트레스와 우울, 불안증을 약물이 아닌 통합예술치유 관점으로 회복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분석한 연구다. 스트레스 및 우울, 불안을 회복하기 위해서 아름다운 심미감을 주는 한국무용 중심으로 재구성한 단순한 동작과 호흡운동, 명상을 적용한 새로운 프로그램을 개발해 모든 국민 대상의 집중명상을 통한 점진적 근육이완요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한국무용의 장단은 호흡 박자로 이루어져 있어서 호흡의 길이에 따라 연동되어 박자가 형성된다. 이런 장점을 적극적으로 반영하여 한국무용의 동작에 호흡운동을 적절하게 적용하였다. 점진적 근육이완요법으로써 한국무용의 동작은 완만하고 부드러워 누구나 접근하기 용이하다. 한국무용의 완만한 곡선의 상체 춤사위와 정적인 흐름의 하체 춤사위를 적절히 적용, 재구성하여 신체와 정신의 극적인 조화를 이루어 심리적 스트레스를 회복하고자 하였다. 한국무용을 통한 무용동작 치료 과정은 스스로 몰입할 수 있는 동작 기술을 습득하기 위함이다. 능숙하지 않아도 몰입의 표현이 가능하게 적절한 동작 수행은 이루어지게 해야 한다. 여성 중심이었던 동작을 남성도 참여할 수 있도록 무용동작을 중성으로 변화하여 적용하였으며, 심상을 유도하기 위하여 호흡 운동하기에 적절한 굿거리 장구장단을 적용하였다. 이 연구는 한국인에게 가장 잘 맞는 한국 춤의 동작과 감성으로 구성하였으며, 오랜 시간 삶의 긴장으로 인해 수축된 근육과 에너지를 이완, 보완하고 치유하는 국민건강 프로그램이다. 이를 통해 더 많은 전 국민의 스트레스, 우울, 불안을 예방하고, 개인 면역력 강화로 외부 환경에 대한 저항 능력을 향상했다. 또한, 국민 정신건강 증진 관련 국가 정책 프로그램의 양적 성장에 기여하고 통합예술동작치료 프로그램이 현장에 활용됨으로써 전문 통합예술동작치유 지도자를 양성하여 전문성을 향상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대학 무용 전공자들의 일자리 창출에도 이바지할 수 있으며, 새로운 무용 산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다.

      • 국내 무용치료의 연구 경향 분석

        최윤선 ( Youn Sun Choi ) 한국스포츠리서치 2007 한국 스포츠 리서치 Vol.18 No.4

        This study is focused on dance/movement therapy, a study researchers have actively been involved in from the past based on its development at home and abroad. I analyzed many dance/movement therapy techniques and examined the current tendency and research objects, methods and effectivenes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for the academic growth, research tasks, and direction of dance/movement therapy development. I have collected 62 master theses, Ph.D dissertations, and domestic journals from the year of 2001, the year professional graduate schools in dance/movement therapy were established in Korea, to 2006. These materials were coded and calculated through the SPSS 12.0 program.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ly, the periods of research, methods and curriculums, and research effectiveness have been improved after the year 2001, however, professional research organizations for dance/movement therapy should be established for education and research. Secondly, the research objects were more focused on mentally challenged persons. The research subjects were more concentrated in the program of body training. The research methods were more concentrated on experimental study. The theories in dance/movement therapy should be more organized. Thirdly, more than half of the materials in effect of dance/movement therapy techniques were more centralized in psychological effects. In order to advance in dance therapy, more dance/movement therapy programs based on academic theories should be established, with each program molded especially for the Korean spirit.

      • KCI등재

        Creative Dance와 Dance Therapy의 움직임원리 탐색

        변인숙,남중웅 한국체육철학회 2008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16 No.2

        This study is aimed at examining how to progress and approach the body movement in Creative Dance, how to apply movement reaction in Dance Therapy, also how to be divided and evaluated two part of movement principle using movement of body. Creative Dance is the art through a simple body rather than the course that is the combination of body and soul, body and nature, and to make the one phenomenon world through creativity of real world. we will find new movement whatever the course, and do a role to solve the problem of movement related subject through experience of art creativity that gain the while oneself. It is Dance Therapy that can be made by a process in which feeling of movement and desire become material and basis by experience, and the meaning of movement is reflected to the mind of oneself and is recognized. Creative Dance coach selects and teaches 'work' or regular 'form'. But the coach(Dance Therapist) doesn't teach, but do guide and do a role like build bridge through volunteered participation. Creative Dance performs using 'technology', 'style' or 'aesthetic', creatives new images by being given one meaning by audience estimate. Dance therapy discern and interpret about emotion deeply, it called spontaneity, it is made up of motion vocabulary and it is judged to be change in everyday life. And also if two parts revitalze movement using matrial and properties that suit the subject, it bring about development of sociality. We think that this dance expand into movement principle in Creative Dance and Dance Therapy, is one of the methodology to present the way to go ahead, understand that transmission process be expressed by some facts, and we expect what contribute practical plan to make expand freedom, artistry, and psychological factor through Creative Dance and Dance Therapy. 본 연구는 무용이 창작무용에서의 신체움직임은 어떻게 진행되며 접근되는지를 살펴보고, 무용치료에서는 움직임의 반응이 어떤 방법으로 적용되며 또한 두 영역의 움직임원리가 그 바탕은 무용이라는 신체의 움직임을 활용해 어떻게 구분이 되어 평가되어지는지를 살펴보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창작무용은 그 과정이 어떤 것이든 새로운 움직임을 찾게 되고, 자신이 쌓아온 예술 창조의 경험을 통해 주제와 연관된 움직임의 문제를 해결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무용치료는 움직임의 내면적인 ‘정서’와 ‘의욕’이 자신의 ‘경험’에 의해 소재가 되고 근원이 되어 결실을 이루게 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으며 움직임의 의미를 자신의 심리에 반영시켜 의식화되어 나타나는 것이다. 창작무용의 지도자는 ‘작품’이나 일정한 ‘형태’를 선택하여 지도하는 것이다. 그러나 무용치료에서 지도자(무용치료사)는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자발적 참여를 통해 안내를 하며 가교적인 역할을 한다. 창작무용은 ‘기술’이나 ‘양식’, ‘미학적’인 것들을 통하여 공연을 하고, 관객들의 평가에 의해 하나의 의미를 부여받으면서 새로운 이미지를 창조하는 것이다. 무용치료는 ‘정서’와 감정을 깊이 ‘통찰’하고 ‘해석’하며 이것은 자발성이라고 하여 자신만의 움직임 어휘로 이루어지며, 일상생활에서 변화되어 평가되어진다. 이러한 무용이 창작무용과 무용치료에서 움직임원리를 확대시켜주며,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방법론의 하나가 될 것이다. 전달방식이 어떠한 요인에 의해 표출되는가에 대해 이해하고 창작무용과 무용치료를 통해 자유로움과 예술성, 심리적 요소를 확대시켜 실용방안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마리 뷔그만의"순수 무용(absolute dance)"에 나타난 무용동작치료적 요소

        이경희,김현남 한국체육철학회 2010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18 No.4

        The first attempts at cultural revival occurred in Germany with private initiative and at the grass roots levels. While the occupation forces helped to re-establish some order and stability after the unconditional capitulation of Germany in 1945. As expressionism appeared as a new art theory in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main substance of their dance was naturalness, authenticity of individual expression, body recognition, emotional topics such as stress, topics of human conflicts, despair, frustration, social crisis, magic that was ritual dance in the primitive society, religion and spirituality. because of Mary Wigman who was a dancer of expressional modern dance in Germany, a neologism, "absolute dance" was made. It didn't mean that dance must be a perfect one, but meant that dance itself must be perfectly pure. In other words, Mary Wigman believed that not with other equipment, but only pure dance can approach to human being's instinctive expressional desire most sincerely. Such spirit of Wigman was the essence of modern dance movement and centering on America in the 1930s-1940s, it was developed as a type of mental therapy. And this implies that Wigman's absolute dance provides academic basis for the dance movement therapy. Wigman's "absolute dance" and to study how her expressional modern dance has influenced on the dance movement therapy as a field of psychological therapy and thereby to help understanding of movements intended in the dance movement therapy and to supply basic data. 무용동작치료는 1900년대 초반 현대무용에서 뿌리를 찾을 수 있다. 표현주의 현대무용으로부터 이어받은 유산은 무용동작치료 선구자들에게 각자의 무용치료를 위한 방법론의 기초가 되었다. 표현주의 현대무용은 원시사회의 무용의식과 20세기 표현주의가 표방하는 인간갈등의 주제가 주요핵심이다. 독일의 현대 무용가 마리 뷔그만(Mary Wigman)의 순수 무용(absolute dance)은 표현주의 무용미학의 결과이었으며, 그녀의 춤에 관한 철학은 무용동작을 통해 심리치료적 방법으로 사용하는 무용동작치료에 커다란 영향을 주었다. 그녀의 ‘순수무용’은 춤이 완벽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춤 그 자체로서 온전히 순수해야 함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마리 뷔그만의 춤은 어떠한 장치에 의해서가 아닌 순수한 무용만이 인간의 본능적 표현 욕구에 가장 진실 되게 접근할 수 있다고 믿는 것이었다. 이러한 뷔그만의 정신은 현대무용 운동의 본질이었고, 1930-40년대 미국을 중심으로 정신치료의 한 형태로 발전되었다. 이것은 뷔그만의 순수무용이 무용동작 치료에서 본질적으로 다루고 있는 인간의 무의식적 움직임에서 내적 태도의 단서를 찾아내고, 그것을 치료하는 과정에서 사용할 수 있다는 근간을 제공한 것이다. 이 연구는 뷔그만의 표현주의에 입각한 순수무용이 심리치료인 무용동작치료에 어떻게 수용되었는지에 대한 이해를 돕고 이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이것은 무용동작치료가 심리치료의 한 분야로서 정확한 인식을 바탕으로 한 올바른 임상 치료적 접근의 활성화를 기대한다.

      • KCI등재

        정신지체인(精神遲滯人)을 대상(對象)으로 한 무용료법(舞踊療法) 프로그램에 관한 理論的 考察

        임인선(In Sun Lim) 한국무용과학회 2001 한국무용과학회지 Vol.3 No.-

        人間의 歷史는 움직임으로서 始作된다. 이 움직임은 인간의 內的인 感情과 外部的인 環境에 대해 反應하며, 특히 舞踊이라는 領域에서 더욱더 빛을 나타낸다. 舞踊은 人間의 感情이나 思想을 身體의 움직임으로 形象化시킨다. 舞踊이 어떠한 器具나 制約없이 人間 內面의 世界를 자유롭게 表現할 수 있음을 말해 준다. 이와 같이 舞踊이 가지는 特徵的인 面을 基盤으로 하는 舞踊療法은 身體的, 精神的 缺陷이 있는 患者들로 하여금 身體的 움직임을 통해 自身의 內面 世界를 認識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基礎로 하여 올바른 身體象을 깨닫게 하고, 더 나아가 患者 자신의 正常的인 社會 復歸를 誘導하게 된다. 本稿는 舞踊療法의 治療的 價値를 理論的으로 糾明하는데서 出發하여 이 理論을 精神遲滯人에게 適用하여 어떠한 治療效果를 期待할 수 있는가에 重點을 두었다. 제 2장에서는 硏究의 對象인 精神遲滯人에 관한 精神醫學的 側面을 다루어 特徵的 行動樣式을 把握하였다. 제 3장에서는 舞踊療法의 전반적 槪念과 治療 效果에 관하여 硏究하였다. 제4장에서는 硏究 對象인 精紳遲滯人을 실제로 舞踊療法과 관련지어 效果的 治療 方法을 위한 舞踊療法 프로그램을 設計하였다. 以上과 같은 硏究 內容을 根據로 하여 다음과 같은 結論을 導出할 수 있었다 첫째, 舞踊療法을 통해 感情 表現을 誘導하고 움직임의 潛在能力을 開發시킨다. 둘째, 緊張된 筋肉을 弛緩시킴으로써 安靜된 情緖를 獲得하며, 身體的 疲勞를 解消시킨다. 셋째, 그룹 爲主의 舞踊療法의 形態는 他人들과의 接觸을 社會的으로 提供한다. 이를 통해 社會的 經驗을 터득하고 身體의 敏捷性, 平衡性, 交叉性 向上에 도움을 준다. All the human history must be made of movement. All these motions the dance is particularly only one status of expressing by its own body through the space modification by manifesting human being's feeling or thought. The art of status of which the dance can only poses by expressing without any apparatus or interference freely the character of human being's inner world. Therefore the dance therapy aims to help patients perceive patient's inner world by experience of body movement instead of by words, who are lack of spiritual and physical experience. It also help patients feel their right self-estimation, perceive physical movement and bring them back to the their normal social life through effective dance therapy. This study is concentrated on how much of therapy effect could be expected by adapting this theory to the patients with mental deficiency, based on logically studying the therapy worthiness of dance therapy. In chapter 2, the characteristic manner and type has been found out by the spiritual medical viewpoint for the mental deficiency. In chapter 3, the overall concept of the dance therapy and curing effect has been studied. In chapter 4, the dance therapy program has been adapted for the purpose of effective curing method by actually linking dance therapy with mentally deficient patients. There is a final conclusion based on the aforementioned results of the study. Firstly, movement ability was developed by inducting the manifestation of emotional expression through dance therapy. Secondly, physical stress can be diminished and emotion stabilized by relaxing tired muscles by dance movement therapy. Thirdly, the characteristics of dance therapy utilizing a group mainly becomes a foundation of obtaining new formation of social experience through the contacts with other people, which occurs naturally, and dance therapy help to patients have balanced body.

      • KCI등재

        한국춤을 활용한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 개발 사례연구 : ‘코로나블루 해소를 위한 소상공CEO 대상 예술치유 Dance Therapy 케어사업’을 중심으로

        강준영 무용역사기록학회 2022 무용역사기록학 Vol.67 No.-

        Through a case analysis of small business CEOs who have accumulated social stress as a result of the pandemic of COVID-19 and participated in a dance movement therapy program, this study analyzes and reconstructs Korean dance movements in order to develop a dance movement therapy program and presents its effects. This program incorporates meditation and breathing exercises based on Oriental philosophy. In particular, the study examined the development process and results of the program in order to expand its scope and apply it to stress, menopausal disorders, depression, and anxiety that are common among the general population. Firstly, we found that gender neutralizing the feminine dance movements would make male participants more comfortable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In addition, the dance movement treatment program using Korean dance movements was found to be an effective alternative complementary therapy for relaxing muscles and solving physical and psychological issues. Moreover, the Korean dance-based movement therapy program, which employs movements and sensibilities that are best suited to Koreans, can further improve the health and well-being of Koreans.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춤 동작을 분석 및 재구성하고, 동양철학 사상에 근거한 명상과 호흡운동을 적용하는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을 개발 및 효과를 제시하는 것에 있다. 이 연구는 일반인들이 겪는 스트레스, 갱년기 장애, 우울, 불안 등을 완화시키는데 확장, 적용되길 기대하며 프로그램의 개발 과정 및 결과에 대해 연구하였다. 여성 중심이었던 춤동작을 남성들도 참여할 수 있도록 성별의 구분이 없는 동작들로 적용하면 남성 참여자의 불편한 현상을 극복할 수 있다는 것을 파악하였다. 한국춤 동작을 활용한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은 점진적으로 근육을 이완시켜 신체적, 심리적 문제를 해결하는데 상당한 도움을 주는 대체 보완 요법으로 적합한 것을 알 수 있었다. 한국인에게 가장 잘 맞는 동작과 감성으로 구성된 한국 춤 기반의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은 한국 사람이 고질적으로 가질 수 있는 수축된 신체 및 심리를 이완시키는데 도움을 주고, 나아가 국민의 건강증진에 효과를 줄 수 있다.

      • KCI등재

        신체동학: 심신 조율 그리고 예술치료 -인도의 춤 미학을 중심으로-

        김재숙 ( Jae Sook Kim ) 고려대학교 철학연구소 2008 철학연구 Vol.0 No.36

        본글은 신체동학의 대상이 되는 춤ㆍ동작을 통해 심신의 조율이 어떻게 가능한지를 인도의 춤의 미학과 연결지어 살펴보는 글이다. 춤은 신체의 움직임을 매개로 하는 예술형태이며, 그런 움직임을 일으키는 내면세계와의 감응 내지 일치에 따라 동작이 표현되어 나오는 것이기에, 신체와 마음의 상호작용을 전제로 하는 것이다. 춤은 몸의 움직임을 통해 심신의 일체감을 추구하는 것에 본래의 목적이 있다. 오늘날의 심리치료보다 더 강력하게 심신통합을 역설했다고 할 수 있는 고대 인도의 전통은 현대 춤ㆍ동작치료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인도인에게 춤은 육체적 기교를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영적 힘에 대한 도구였다. 인도인들은 춤을 브라만신으로부터 받은 신성한 것으로 여기며, 인간의 몸을 신의 춤을 출 수 있는 신성한 용기로 보았다. 인류에서 가장 오래된 춤의 경전 『나티야 샤스트라』에서는 춤의 목적과 효능을 말하고 있다. 춤은 신성에 이르기 위한 중요 매개였다. 춤을 추는 것으로 신과의 교감을 느끼고, 그후 비로소 심신에 새로운 생명력이 가득차게 된다. 이는 춤ㆍ동작을 통해 신인합일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범아일여 사상에 의하면 이는 곧 자신의 아트만과의 합일이다. 한편 춤은 일종의 비언어 의사소통의 매체이다. 춤ㆍ동작은 ‘생각하고 있는 신체’에 의한 것이다. 고도의 상징기호로서의 인간 몸짓은 인도 전통춤에서 정밀하게 나타나고 있다. 인도 무용극은 무드라라고 불리는 다양한 손동작 외에 얼굴짓ㆍ몸짓으로 표현되는 상징기호가 무궁하다. 그외 발동작은 대지의 힘을 상승시켜 우주로 확산되는 에너지의 확산을 보여준다. 그리하여 우주의 리듬을 호흡하며 우주의 신체화로서의 춤으로 확대된다. 춤은 성스러운 것의 거울, 몸짓의 거울로서 여겨진다. 춤ㆍ동작 치료는 말로써 표현할 수 없는 내적 감정들에 접근하는 것에 초점이 가해진다. 억압된 정서는 신체를 제약하고 왜곡시킨다. 춤은 언어로 표현할 수 없는 심층적 감정들을 발화된 언어표현보다 덜 왜곡된 방식으로 드러낼 수 있다. 몸심리학에서는 억압된 정서와 정신적 경직성이 근육긴장으로 신체에 축적된다는 근육갑옷 개념을 제기함으로써 몸중심 심리요법을 개발시키고 있다. 인도에서도 춤을 통해 자기에게 있는 감정을 조절하여 평정한 심리정서를 회복할 수 있다고 보았다. 이는 라사(미적 쾌)를 불러일으킴으로써 가능하다. 라사는 개인적 정서가 아니라 보편적 정서이다. 라사는 정신적 고양의 의미를 내포하는 신인합일의 경지와도 통한다. 춤은 자기 몸에 집중하고 자기 목격, 자기 감지의 능력을 개발시킨다. 자기 호흡을 느끼면서 몸의 감각을 회복한다는 것은 몸의 확장을 통해 자아가 확대되고 평정을 되찾는 것과 연관된다. 그리하여 관습에 젖어 있는 몸을 조율하는 오랜 치유를 거쳐 몸의 ‘자연’을 회복할 수 있다. This treatise examined how body movement gives rise to the harmony between mind and body in connection with Indian aesthetics of dance. From the ancient age, dance as the healing art was the archetype of union between body and spirit. In India, dance was the instrument of bringing Brahman into human body and was the mirror of human gesture. Incarnation of Brahman, Siva Nataraja, was a dancing queen. According to Upanisadic philosophy, dance aims at union of Brahman and Atman. To Indian people human body was regarded as holy container to accept the God`s gift. Natya Sastra was the oldest canon on dance and the theater in human history. Dance was the important medium to attain the divinity. Traditional Indian dance influenced today`s dance movement therapy. Dance was the medium of the non-verbal communication. Dance movement was the movement of the `thinking body`. Indian traditional dance exposed the human gesture as the symbolic sign to a high degree. It revealed hand, foot, face gestures etc. innumerably, but especially hand gestures to be called Mudra were substantial and sensitive sign system. Besides, foot movement showed the ascent of the energy of earth and the diffusion to the sky. Dancer breathed in the cosmic energy and rhythm. And then, dance was not the human bodily movement but cosmic dance. Dance movement therapy focuses on inner feelings and emotions beyond words. Oppressed emotions restrict the human body. Dance can express the oppressed emotions better than spoken words. According to somatic-psychology, oppressed emotion or mental rigidity is stored up in body because of psychological strain. In Indian Aesthetics, dance controled one`s inner feeling and recovered tranquility of psychological emotion. Dance aroused `rasa`(aesthetic pleasure). Rasa was not individual and subjective emotion but universal feelings. The concept of `Rasa` implied emotional pleasure and mental exaltation and religious union. Dance movement therapy developed the abilities of sensory awareness, self-witness and self-awareness. Eventually it leaded to the recovery of the Nature of Cosmic Body.

      • KCI등재후보

        Blanche Evan과 Liljan Espenak의 DMT 연구 : 아들러 심리학 기반

        옥채영(Chae-Yeong OCK) 한국무용동작심리치료학회 2020 무용동작심리치료연구 Vol.4 No.1

        본 연구는 Alfred Adler의 심리학 이론이 Blanche Evan과 Liljan Espenak의 무용동작치료에 어떻게 나타났는지 5가지 핵심 개념 관점(전체성, 공격충동, 열등감, 사회적 감정, 생활양식)에서 연구하였다. Blanche Evan과 Liljan Espenak의 무용동작치료 문헌들을 분석하여, 아들러 심리학의 핵심 개념이 어떻게 무용동작치료에 나타났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문헌 연구로, 선정된 문헌들을 토대로 Alfred Adler의 핵심 개념들과 연관 있는 문헌들을 발견하여 이를 비교하는 과정을 통해 연구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아들러의 전체성, 공격충동, 열등감, 사회적 정서, 생활방식은 각자 Blanch Evan과 Liljan Espenak의 무용동작치료 전반에 통합되어 치료철학과 기법에 많은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두 선구자는 현대의 기계화, 언어화된 사회에서는 공격충동의 건강한 표현은 어려우며 이를 억압함으로 인해 신체의 근 긴장으로 나타난다고 주장하였다. 두 선구자는 움직임을 통해 공격 충동을 건강하게 방출하고, 창의성과 삶의 활력으로 전환할 수 있다고 보았다. 셋째, 열등감에서 Evan은 내재하는 열등감으로 인한 우울감, 공격성, 분노를 창의적 즉흥 무용을 통해 안전하게 표현할 것을 주장하였다. Espenak은 지적장애 아이들과의 작업에서 신체를 강화하고 자신감을 향상하기 위해 구조화된 움직임을 활용하였다. 넷째, Espenak은 자신의 치료에서 최종 단계는 집단치료에 있으며 사회적 감정을 위해 필요한 부분들에 치료적으로 접근하였다. 두 선구자는 모두 ‘리듬의 공유’를 주장하며, 함께 춤을 추는 것이 사회적 감정을 촉진하기 위한 좋은 활동임을 시사하였다. 다섯째, 두 무용동작치료 선구자에게 있어 개인이 선택한 생활양식은 신체를 통해 발견할 수 있었으며 ‘신체를 어떻게 사용하는가’에 대한 내담자의 인식 변화를 주는 것은 생활양식에 변화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무용동작치료에 대해 시사할 점이 많은 아들러의 심리학을 무용치료적인 관점으로 연구할 수 있었다. 문헌들을 통해 연구한 내용은 두 무용동작치료 선구자의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서양권의 무용동작치료사이다. 따라서 국내에서 실제로 프로그램에 반영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후속 연구를 통해 구체적인 프로그램의 개발하고 및 임상을 통한 실제적인 측면의 반영이 함께 되기를 제언한다. This study studied how Alfred Adler s psychological theory appeared in the treatment of dance movements by Blanche Evan and Liljan Espenak from five key conceptual perspectives (Totality, Aggression, Inferiority, Social Feeling, Life style). By analyzing the literature of dance movement therapy by Blanche Evan and Liljan Espenak, I tried to find out how the core concepts of Adler’s psychology emerged in dance movement therapy. As a research method, it was possible to derive the research results through the process of discovering and comparing documents related to the core concepts of Alfred Adler based on selected documents. First, it was found that Adler s Totality, Aggression, Inferiority, Social Feelings, and life style were each integrated into the overall dance movement therapy of Blanch Evan and Liljan Espenak, which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therapeutic philosophy and techniques. Second, the two pioneers argued that in modern mechanized and verbalized societies, the healthy expression of the aggression is difficult, and that it appears as a muscle tension in the body by suppressing it. The two pioneers saw that through movement, individuals could release the aggression healthy and turn it into creativity and vitality of life. Third, in the sense of inferiority, Evan insisted on safely expressing the feelings of depression, aggression, and anger caused by the inherent inferiority through creative improvisation. Espenak used structured movements to strengthen the body and improve self-confidence in working with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Fourth, Espenak s final step in her treatment was group therapy, and she approached the parts necessary for social feelins. Both pioneers insisted on ‘sharing rhythms’, suggesting that dancing together is a good way to promote social feelings. Fifth, for the two dance movement therapy pioneers, the lifestyle selected by the individual could be found through the body, and giving the client a change in the perception of ‘how to use the body meant providing a change in lifestyle. Through this study, I was able to study Adler s psychology with a lot of implications for dance movement therapy from a dance therapy perspective. The contents studied through the literature consist of the contents of two dance movement therapy pioneers and are Western dance movement therapis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program by actually reflecting it in the program in Korea. It is suggested that follow-up studies will develop specific programs and reflect practical aspects through clinical trials.

      • KCI등재

        한국인을 위한 심리치료로서의 전통 무용의 가치 — 살풀이춤을 중심으로 —

        차수정 한국사상문화학회 2008 韓國思想과 文化 Vol.41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possibility to use Salp’uri dance for methods of Dance or movement therapy which is part of psychotherapy. The reason of using Salp’uri for Dance therapy is Salp’uri is one of Korean traditional dance which represent to Korean’s emotional and psychological inner world. Therefore, Salp’uri can be most suitable dance therapy for Korean. Kind of these studies, mostly focus on discover to one of important Korean’s emotion and psychological character. Such as ‘Han’(Meaning of Han include in grudge, hatred, lamentation, regret, grief, pathos, self-pity, fate, mortification) which is immanent unconscious emotion of Korean people. Then study try to make relationship with Salp’uri and Psychological treatment as like relationship with ‘Han’ and ‘P’uri(solve). Because understand of ‘Han’ and P’uri is clue to emotional and psychological cure for Koreans. The significant meaning of this study is tries to make relate Salp’uri dance with Dance therapy that reflected of Korean’s Han and P’uri within Salp’uri to use part of dance therapy. Also try to find emotional and psychological meaning from Salp’uri dance for psychological treatment. 무용 혹은 무용을 통한 심리치유 개념은 심리학이라는 학문이 정립되기 시작하던 시기부터 논제의 대상이 되었으며, 특별히 융은 무용, 동작과 심리로부터 인간의 신체 활동의 깊은 관심을 가졌다. 물론 이러한 관심은 비단 무용이나, 무용뿐만 아니라 여러 예술 분야 즉 미술, 음악 등으로도 그 응용범위를 넓힐 수 있겠으나 본 연구에서는 특별히 무용이라는 분야에서의 심리적 개념에 중점을 두려고 한다.최근 생활과 심리라는 대중적 인기에 편제하여 예술분야를 심리치료와 연계 시키려는 많은 학문적, 비학문적 노력들이 진행 되고 있을 즈음 한국인의 정서에 맞는 한국적인 심리, 정서 프로그램을 만들기 위하여 준비 단계가 필요 하게 되었으며, 그 첫 걸음으로 살풀이춤에 나타나는 한국의 전통적 심리치료의 개념을 도출해 보려 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무용을 활용한 심리치료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그 첫 단계에 있어 한과 풀이라는 주제를 가지고 있는 살풀이춤을 선택하여, 무용을 통한 심리치유의 가능성을 밝히려 하였다. 이를 위하여 살풀이춤의 개념과, 한국인의 정서와 사상 그리고 심리치료로서의 현황 등을 조사하였으며, 기존의 자료를 토대로 전통적인 심리 치유의 개념을 연구하는 한편 살풀이춤과 심리치유의 연관성을 살의 풀이로써 정립하였다. 또한 무용을 추는 행위자와 행위를 감상하는 관찰자 간의 감정적 상호작용으로 인한 카타르시스를 통해 응어리도 대변되는 한을 새로운 감정으로 승화 시키는 과정으로 도출하였다. ‘살풀이춤에 나타나는 심리치유 개념’은 한국무용을 통한 심리치료의 개념 연구의 그 첫 단계로서, 기존 자료의 부제와 심리학과의 연결성을 찾기에 여러 난제들이 존재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무용과 심리치료라는 학문 분야가 이제 막 태동기를 지난 단계에 있어서 그 학문적 파급 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 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