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DNA 집단테스트」 규정 도입 여부에 관한 법적 검토

        조성용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2023 형사정책연구 Vol.133 No.-

        DNA 집단테스트는 현행 형사소송법 해석상 허용되지 않는다. 우선 DNA 집단테스트의 관련 대상자들은 형사소송법 제140조 및 제219조 그리고 제221조의 4조 및 제173조 제1항의 의미에서 피의자가 아니다. 그리하여 형사소송법 제140조 및 제219조 그리고 제221조의 4조 및 제173조 제1항은 DNA 대중테스트의 법적 근거가 아니다. 또한 DNA 집단테스트의 관련 대상자들은 형사소송법 제141조 제2항 및 제219조 그리고 221조의 4조 및 제173조 제5항의 의미에서 피의자 아닌 자가 아니다. 그리하여 형사소송법 제141조 제2항 및 제219조 그리고 221조의 4조 및 제173조 제5항은 DNA 대중테스트의 법적 근거가 아니다. 요컨대 우리나라 현행법상 DNA 대중테스트의 법적 근거는 없다. 나아가 동의에 의한 DNA 집단테스트 또한 현재의 법적 상황에 의하면 허용되지 않는다. 다만 사인 주도의 자발적 집단테스트는 국가 주도의 DNA 집단테스트와 달리 허용된다. 입법론적으로 DNA 집단테스트를 이용한 수사를 허용할 것인지, 허용한다면 어떠한 범위까지 허용할 것인지 그리고 어떠한 방식으로 통제할 것인지 여부는 본질적으로 사회정책적 물음이다. 여기에서 형사소추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어느 정도로 자유의 상실을 감수할 준비가 되어 있는지 그리고 범죄투쟁이라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어느 정도로 수사기관과 시민 사이에 연대성을 요구해야 할 것인지 결정해야 한다. 현재의 법적 상황에 비추어 보면 신설되는 DNA 집단테스트 규정은 다음과 같은 목표를 지향해야 할 것이다. 첫째는 과학기술의 발전에 따라 가능하게 된 새로운 수사기법을 활용해 형사절차에서 효율적인 형사소추를 추구해야 한다. 둘째는 DNA 집단테스트 규정 도입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관련 대상자들의 기본권 침해를 최소화하는 보호장치를 마련해야 한다. 이러한 의미에서 DNA 집단테스트의 전제조건에 대해 높은 장벽을 세우고 관련 대상자들의 정보보호를 위해 만전을 기해야 한다. 셋째는 실무에서 나타나는 법적 불안정을 해소시켜야 한다.

      • KCI등재

        Diamond™ Nucleic Acid Dye를 사용한 Touch DNA 시각화 및 검출

        오대환(Oh, Dae Hwan),홍승범(Hong, Seung Bum),최하영(Choi, Ha Young),신강일(Shin, Kang Il) 경찰대학 경찰학연구편집위원회 2021 경찰학연구 Vol.21 No.3

        본 연구에서는 범죄현장 및 증거물에 잠복되어 있는 DNA (Deoxyribose Nucleic Acid)를 시각화하여 정확한 위치에서 유전자 증거물을 채취하고자 젤 전기영동에 사용되는 핵산 염색 시약 중 하나인 Diamond™ Nucleic Acid Dye를 사용하였다. 사람이 손으로 만진 물품의 표면에 Diamond™ Nucleic Acid Dye(10,000X) 원액을 75% 에탄올로 20배 희석하여 염색하였다. 생물학적으로 근연관계가 없는 4명의 공여자에게 멸균 처리된 물품을 만지게 한 후, 20배 희석한 DD(Diamond™ Nucleic Acid Dye)를 물품의 표면에 피펫으로 점적하여 Touch DNA를 염색하였다. 그리고 Dino-Lite 디지털형광현미경을 사용하여 물품 표면의 형광을 확인하였다. DD 분자는 구조적으로 DNA의 골격(sugar-phosphate backbone)에 효과적으로 결합할 수 있기 때문에 ssDNA(single-stranded DNA), dsDNA(double-stranded DNA) 그리고 RNA를 형광으로 확인 할 수 있다. DD는 dsDNA를 기준으로 청색 파장(494nm)에서 최대 여기(excitation)를 가지며 DNA와 결합하면 녹색 형광(558nm)을 방출(emission)한다. 이로써 4명의 공여자가 만진 물품에서 녹색 형광을 방출하는 발광체를 관찰할 수 있었으며, 멸균 면봉에 멸균수를 묻혀서 녹색 형광을 발현하는 발광체를 채취하였다. 현재 경찰청에서 국립과학수사연구원으로 유전자 감정 의뢰과정과 동일하게 사용 중인 유전자 증거물 채취 키트에 포장하여 한국유전자정보연구원으로 가져간 후 STR(Short Tandem Repeat) profiling 분석을 하였으며, 공여자 4명의 구강상피세포 DNA에서 분석된 STR profile을 대조한 결과 개인식별이 가능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 방법이 보급 된다면 보이지 않는 DNA를 시각화하여 유전자증거물을 채취할 수 있도록 과학수사관을 안내하고 DNA가 없는 시료의 무분별한 감정 처리 시간 단축 및 예산 절약의 효과가 있다고 사료되었다. This study used Diamond™ Nucleic Acid Dye, a nucleic acid staining solution used for gel electrophoresis to precisely locate and collect genetic evidence from the crime scene and evidence by visualizing DNA (Deoxyribose Nucleic Acid). Diamond™ Nucleic Acid Dye (10,000X) was diluted by 20times with 75% ethanol and was used to dye the surface of the touched items. After having four biologically unrelated donors touch sterilized items, the diluted Diamond™ Nucleic Acid Dye(DD) solution was dripped onto the surface of the items using a pipette to stain the Touch DNA. A dino-Lite digital fluorescence microscope was then used to observe fluorescence. ssDNA(single-stranded DNA), dsDNA(double-stranded DNA) and RNA can be confirmed with fluorescence since the structure of DD molecules effectively combine DD molecules with the sugar-phosphate backbone of the DNA. With dsDNA at the baseline, DD has the greatest excitation at the blue wavelength(494nm) and emits green fluorescence(558nm) when combined with DNA. Green fluorescence was observed on the items touched by the four donors, and sterilized cotton swabs moistened with sterile water were used to collect luminous matter emitting green fluorescence. To replicate the current genetic analysis request procedure, the sample was placed in the genetic evidence collection kit, sent to the Korea Genome Information Institute from the police agency, and analyzed with STR(Short Tandem Repeat) profiling. A comparison with the STR profiles derived from the buccal epithelial cells of the four donors confirmed that the collected sample could successfully identify the donors. Widespread use of the technique presented in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visualize invisible DNA and guide forensic field agents, reduce the processing time of DNA-less staining solution and result in a budget-saving.

      • KCI등재

        Activation Mechanism of Protein Kinase B by DNA-dependent Protein Kinase Involved in the DNA Repair System

        Yuwen Li,Longzhen Piao,Keum-Jin Yang,Sanghee Shin,Eulsoon Shin,Kyung Ah Park,Hee Sun Byun,Minho Won,Byung Lyul Choi,Hyunji Lee,Young-Rae Kim,Jang Hee Hong,Gang Min Hur,Jeong-Lan Kim,Jae Youl Cho,Jeong 한국독성학회 2008 Toxicological Research Vol.24 No.3

        DNA-dependent protein kinase (DNA-PK) is involved in joining DNA double-strand breaks induced by ionizing radiation or V(D)J recombination and is activated by DNA ends and composed of a DNA binding subunit, Ku, and a catalytic subunit, DNA-PKcs. It has been suggested that DNA-PK might be 2nd upstream kinase for protein kinase B (PKB). In this report, we showed that Ser473 phosphorylation in the hydrophobic-motif of PKB is blocked in DNA-PK knockout mouse embryonic fibroblast cells (MEFs) following insulin stimulation, while there is no effect on Ser473 phosphorylation in DNA-PK wild type MEF cells. The observation is further confirmed in human glioblastoma cells expressing a mutant form of DNA-PK (M059J) and a wild-type of DNA-PK (M059K), indicating that DNA-PK is indeed important for PKB activation. Furthermore, the treatment of cells with doxorubicin, DNA-damage inducing agent, leads to PKB phosphorylation on Ser473 in control MEF cells while there is no response in DNA-PK knockout MEF cells. Together, these results proposed that DNA-PK has a potential role in insulin signaling as well as DNA-repair signaling pathway.

      • KCI등재

        생명과학 교과서에 수록된 DNA 종이 모형 분석과 개선된 DNA 종이 모형의 개발

        홍명진,김민경,이준규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2017 현장과학교육 Vol.11 No.1

        From the analysis of the concepts related with DNA structure and the paper models of DNA double helix in the five Biology II textbooks of 2009-revised curriculum, we found the current models in textbooks are either hard to represent the characteristics of DNA structure or hard to make a paper model. Therefore, we developed a new paper model that is easy to make and still showed all characteristics of double stranded DNA studied in the Life Science II course. Since the ribose-phosphate backbones of this paper model is relatively stable, overall three-dimensional structure shows much better shape than the previous models in textbooks. We hope that this new model is helpful to study the concepts related with DNA structure for high school students. 2009 개정 생명과학II 교과서 5종에 제시된 DNA 구조에 대한 개념과 DNA 모형 만들기 활동에 사용된 DNA 구조 종이 모형을 분석한 결과 현행 2009 교육과정의 생명과학 II 교과서에 수록된 DNA 종이 모형과 종이 만들기 활동은 DNA 구조가 가지는 특징이 일부 나타나지 않는 단순화된 모형이거나, 당-인산 골격이 잘 드러나지 않고 균일한 나선 구조를 만들기 어려운 등의 문제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DNA의 입체 구조가 가지는 특징을 가능한 많이 표현하면서도 더 쉽게 DNA 입체 모형을 만들 수 있는 종이 모형의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제시된 종이 모형은 당-인산 골격 부분이 연결되어 있어 균일한 나선 구조가 잘 유지되며, 고등학교 생명과학 수준에서 제시되고 있는 DNA의 구조적 특징을 모두 나타낼 수 있었다. 이 개선된 종이 모형을 이용한 DNA 모형 만들기 활동이 학교 현장에서 널리 사용되어 학생들의 DNA 입체 구조에 대한 이해를 돕고 이와 관련된 유전학 및 분자생물학 개념 학습에 도움을 줄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X선과 저에너지 전자선에 의한 DNA 손상

        Park, Yeun-Soo,Noh, Hyung-Ah,Cho, Hyuck,Dumont, Ariane,Ptasinska, Sylwia,Bass, Andrew D.,Sanche, Leon 대한방사선방어학회 2008 방사선방어학회지 Vol.33 No.2

        X선과 같은 고에너지 방사선에 의한 DNA 손상 중 간접적인 손상을 확인하기 위하여 탄탈륨(Ta) 박막위에 동결건조 과정으로 만들어진 pGEM-3Zf(-) plasmid DNA 단일층(monolayer)의 박막을 만든 다음, 에너지가 1.5 keV인 Al $K{\alpha}$ X선을 0분, 3분, 7분, 10분 동안 초고진공 상태에서 이 DNA 단일층에 조사하여 평균 흡수선량(mean absorbed dose)의 변화에 따른 DNA 손상을 관찰하였다. 또한 3 eV의 낮은 에너지 전자선을 조사하여 그 결과를 X선을 조사한 경우와 비교하였다. X선과 낮은 에너지 전자선으로 조사된 plasmid DNA를 전기영동(electrophoresis) 방법을 이용해 supercoiled DNA와 unsupercoiled DNA로 분리한 후 각각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Supercoiled DNA는 X선과 3 eV 전자선의 조사에 따른 평균흡수선량이 증가함에 따라 선형적으로 감소했다. 그와 반대로 circular DNA와 crosslinked form 1 DNA는 평균흡수선량이 증가함에 따라 선형적으로 증가했다. 이것은 supercoiled DNA가 낮은 에너지 전자와 상호작용하여 외가닥 절단(single strand break)을 일으켰고 그 결과 unsupercoiled DNA로 변화되었음을 보여준다. 본 실험을 통해 X선과 같은 고에너지 방사선에 의한 DNA의 간접적 손상이 일어남을 관찰할 수 있었고, DNA의 이온화 에너지보다 작은 에너지($0{\sim}10\;eV$)를 갖는 전자에 의해서도 DNA 손상이 일어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We observed DNA damages as a function of mean absorbed dose to identify the indirect effect of high-energy radiation such as x-ray. Monolayer films of lyophilized pGEM-3Zf(-) plasmid DNA deposited on tantalum foils were exposed to Al $K{\alpha}$ X-ray (1.5 keV) for 0, 3, 7 and 10 min, respectively, in a condition of ultrahigh vacuum state. We compared DNA damages by X-ray irradiation with those by 3 eV electron irradiation. X-ray photons produced low-energy electrons (mainly below 20 eV) from the tantalum foils and DNA damage was induced chiefly by these electrons. For electron beam irradiation, DNA damage was directly caused by 3 eV electrons. Irradiated DNA was analyzed by agarose gel electrophoresis and quantified by ImagaQuant program. The quantities of remained supercoiled DNA after irradiation were linearly decreased as a function of mean absorbed dose. On the other hand, the yields of nicked circular (single strand break, SSB) and interduplex crosslinked form 1 DNA were linearly increased as a function of mean absorbed dose. From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DNA damage was also induced by low energy electrons ($0{\sim}10\;eV$) even below threshold energies for the ionization of DNA.

      • KCI등재후보

        디엔에이(DNA)신원확인정보의 수집 및 관리에 관한 제문제

        서주연 경찰대학 치안정책연구소 2015 치안정책연구 Vol.29 No.3

        현대 과학기술의 발달은 범죄를 수사함에 있어 긍정적인 역할을 하기도 한다. 유죄입증을 위한 증거수집 및 분석에 있어서도 과거에는 관련기술의 부재로 증거로서의 중요성을 가지지 못했던 것들이 이제는 유죄의 입증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과거 혈액형의 동일성을 증명하였던 것에 불과하던 혈흔에서도 이제는 DNA유전자형 분석을 통해 범행을 입증할 수 있기에 이른 것이다. 이에 우리는 DNA정보가 가지는 중요성에 주안점을 두고 DNA정보 운용을 위한 디엔에이(DNA)신원확인 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을 마련하여 시행중에 있다. 그러나 이와 관련해서는 DNA신원확인정보의 수집․관리 적용대상이 너무 포괄적이라는 지적에서부터 DNA대량검색을 통한 그물망 수사 문제 및 관련 정보의 폐기와 관련한 문제에 이르기 까지 여러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DNA정보 운용과 관련해서는 우리뿐만 아니라 세계 각국에서 관심을 가지고 있는 분야이며 그 중 미국의 경우 1990년대부터 관련 법제가 마련된 바 있다. 미국은 DNA관련 규정을 연방과 각 주에서 따로 규정하고 있으나 각 시스템이 연계되어 운용되고 있다는 특징이 있다. 뿐만 아니라 DNA신원확인정보의 대상을 확대하고 있으며 관련 정보의 폐기와 관련해서도 각 주별 관대한 입장을 취하고 있는 경우가 많아 우리와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현재 실행 중인 디엔에이신원확인 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에 대해 전반적으로 검토한 후 미국에서 시행 중인 DNA관련 법제와의 비교를 통해 우리 법제의 나아갈 방향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Development of science technology has a positive influence in crime investigation. Especially technology of DNA analysis gave us possibility to compare prisoners blood or body fluids. DNA information for identification is based on Deoxyribonucleic acid, it gave us to information for human identity. DNA analysis is a kind of forensic science, and it means a lot in police investigation today. DNA information raised very important thing to solve the case, so the DNA Act in Korea was enacted in 2010. It regulated method of collecting samples, warrant issues, disposal of it and delete the data etc. Nonetheless it has some problems like a including none violent crimes, collecting samples in suspects and massive collecting issues. United States is the one of the country has attention about DNA information and well regulated. Database about DNA information in US separated by CODIS and States databases, but its connected both way. It also has a feature like a expansion to none violent crime, regulations of saved DNA samples for the re-analysis, these things are huge differences between us. DNA information is very important in human life, so we have to have more caution to collecting and make databases.

      • SCOPUSKCI등재

        Activation Mechanism of Protein Kinase B by DNA-dependent Protein Kinase Involved in the DNA Repair System

        Li, Yuwen,Piao, Longzhen,Yang, Keum-Jin,Shin, Sang-Hee,Shin, Eul-Soon,Park, Kyung-Ah,Byun, Hee-Sun,Won, Min-Ho,Choi, Byung-Lyul,Lee, Hyun-Ji,Kim, Young-Rae,Hong, Jang-Hee,Hur, Gang-Min,Kim, Jeong-Lan Korean Society of ToxicologyKorea Environmental Mu 2008 Toxicological Research Vol.25 No.4

        DNA-dependent protein kinase(DNA-PK) is involved in joining DNA double-strand breaks induced by ionizing radiation or V(D)J recombination and is activated by DNA ends and composed of a DNA binding subunit, Ku, and a catalytic subunit, DNA-PKcs. It has been suggested that DNA-PK might be $2^{nd}$ upstream kinase for protein kinase B(PKB). In this report, we showed that Ser473 phosphorylation in the hydrophobic-motif of PKB is blocked in DNA-PK knockout mouse embryonic fibroblast cells(MEFs) following insulin stimulation, while there is no effect on Ser473 phosphorylation in DNA-PK wild type MEF cells. The observation is further confirmed in human glioblastoma cells expressing a mutant form of DNA-PK(M059J) and a wild-type of DNA-PK(M059K), indicating that DNA-PK is indeed important for PKB activation. Furthermore, the treatment of cells with doxorubicin, DNA-damage inducing agent, leads to PKB phosphorylation on Ser473 in control MEF cells while there is no response in DNA-PK knockout MEF cells. Together, these results proposed that DNA-PK has a potential role in insulin signaling as well as DNA-repair signaling pathway.

      • DNA 복제 시스템의 기원에 대한 고찰

        조경원(Kyung Won Jo),김경태(Kyong-Tai Kim) 한국창조과학회 2021 Origin Research Journal Vol.1 No.1

        1953년, 왓슨과 크릭(Watson and Crick)에 의해 발견된 DNA의 이중나선 구조는 분자생물학이라는 새로운 학문이 시작되게 할 만큼 획기적인 발견으로 평가된다. 수십 년이 지난 현재 과학계는 DNA가 어떻게 복제되고, 손상을 복구하며, 후세에 유전되는지 그리고 이어지는 후속 발견을 통해 DNA에 대한 이해를 넓혀가고 있다. DNA를 연구하며 DNA가 가지고 있는 복잡한 기전들을 밝혀가는 노력을 통해 우리는 그 정교함에 놀라움을 금할 수 없다. DNA 유전체에 대한 비밀들이 풀려나가는 것은 매우 바람직한 일이지만 우리가 이해하면 할수록 ‘어떻게 이러한 복잡한 기전들이 존재할 수 있게 되었는가’에 대한 질문을 스스로에게 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본 논문에선 이러한 다양한 DNA 관련 기전 중 DNA 복제 과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자 한다. 세균영역, 고균영역, 진핵생물영역 각각의 DNA 복제 기전을 비교해 봄으로써 기존에 진화론을 기반으로 설명하던 DNA 복제 기전의 기원에 대한 가설들이 정말 타당한 가설인지 검토해 보고자 한다. In 1953, discovery of double helical structure of DNA by Watson and Crick led to a breakthrough which gave birth to a novel field of molecular biology. Now with decades of research, we understand more than just how DNA is replicated, repairs itself, and inherited to the offspring. More we study about the DNA we cannot ignore but marvel at the intricate mechanism of DNA regulation. It is very welcoming that mystery of DNA is slowly being unraveled. However, because we are discovering more about the complexity of DNA regulation, we cannot help but ask ourselves: ‘How did they come?’. In this article we will be speculating about one of the DNA regulatory mechanisms: DNA replication. By comparing the DNA replication machineries in Bacteria, Archaea, and Eukarya, we will evaluate whether existing hypothesis about origin of DNA replication derived from evolutionary theory is acceptable.

      • KCI등재

        Quantification of Thioguanine in DNA Using Liquid Chromatography-Tandem Mass Spectrometry for Routine Thiopurine Drug Monitoring in Patients With Pediatric Acute Lymphoblastic Leukemia

        Choi Rihwa,Chun Mi Ryung,Park Jisook,이지원,Ju Hee Young,Cho Hee Won,Hyun Ju Kyung,Koo Hong Hoe,Yi Eun Sang,Lee Soo-Youn 대한진단검사의학회 2021 Annals of Laboratory Medicine Vol.41 No.2

        Background: We developed an assay to measure DNA-incorporated 6-thioguanine (DNA-TG) and validated its clinical applicability in Korean pediatric patients with acute lymphoblastic leukemia (ALL) in order to improve individualized thiopurine treatment and reduce the life-threatening cytotoxicity. Methods: The DNA-TG assay was developed based on liquid chromatography-tandem mass spectrometry, with isotope-labeled TG-d3 and guanine-d3 as internal standards. This method was applied to 257 samples of pediatric ALL patients. The DNA-TG level was compared with erythrocyte TG nucleotide (RBC-TGN) level in relation to the TPMT and NUDT15 genotypes, which affect thiopurine metabolism, using Spearman’s rank test and repeated measure ANOVA. Results: For DNA-TG quantification, a linearity range of 10.0-5,000.0 fmol TG/μg DNA; bias for accuracy of –10.4% –3.5%; coefficient of variation for intra- and inter-day precision of 3.4% and 5.8% at 80 fmol TG/μg DNA and of 4.9% and 5.3% at 800 fmol TG/μg DNA, respectively; and recovery of 85.7%-116.2% were achieved without matrix effects or carry-over. The median DNA-TG level in the 257 samples was 106.0 fmol TG/μg DNA (interquartile range, 75.8-150.9). There was a strong correlation between DNA-TG and RBC-TGN levels (ρ=0.68, P<0.0001). The DNA-TG/RBC-TGN ratio was significantly higher in NUDT15 intermediate metabolizers (*1/*2 and *1/*3) than in patients with wild-type alleles (P<0.0001). Conclusions: This simple and sensitive method for measuring DNA-TG level can improve therapeutic drug monitoring for thiopurine treatment.

      • KCI등재

        DNA 유전자 정보 DB구축에 관한 연구

        최종술 ( Jong Sool Choi ) 동의대학교 지방자치연구소 2010 공공정책연구 Vol.27 No.2

        『흉악범 DNA채취법』의 시행으로 흉악범죄자들로부터 DNA신원확인 정보를 채취하여 신원확인 하여, 범죄인 유전자 데이터베이스를 구축, 관리하고, 범죄발생시 데이터베이스 검색을 통해 범인을 신속히 검거함으로서 수사효율성 제고 등의 효과를 거둘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유전정보는 가족과도 공유하는 매우 민감한 개인정보이며, 체액이나 머리카락 등 신체의 극히 일부분을 통해서도 개인을 식별·추적할 수 있다는 점에서 DNA 데이터베이스 구축은 인간의 존엄성 침해와 국가 감시 체제의 확장이라는 측면에서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먼저 DNA 유전자 정보 DB 구축의 의미, 그리고 형사 사법적 활용에 대해서 살펴보고, 『흉악범 DNA 채취법』의 주요 내용, 즉, 채취대상 범죄. 채취시기, 관리 주체 등과 함께 외국의 사례와 비교 검토해 본다. 끝으로 데이터베이스 구축의 시행으로 예상되는 논란과 발전방안에 대해서 논의한다. The Government is planning to come into force the law for the Construction Data Base of deoxyribo nucleic acid genetic information for criminals in 2010 July 26th. Also the rule was notified beforehand. the Construction Data Base of deoxyribo nucleic acid(DNA) is as follows: The police are taking DNA samples from criminals and Data Base of DNA contains various DNA samples of criminals. If the crime occurred, DNA samples has made good use to be on the search for criminals. In this context, The purse of this paper is to research the Construction Data Base of DNA genetic information for criminals. The contents of the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We look see the meaning of Construction Data Base of DNA and application of Criminal Justice field. The use of Data Base of DNA genetic information for criminals continue to show an upward tendency all over the world. Second, we bounce back and forth legal details about Construction Data Base of DNA genetic information for criminals. For instance, The picking object, Picking time, Management subject, Elimination time and so on. Also we investigate the instance of the foreign nation, namely UK, USA, European Union. Third, we discusses a problem point and improvement program. The problems are partly due to abuses of human rights. Also The problems are misuse, wrong use, abuse of Data Base of DNA. The improvement of Data Base of DNA is interested mainly in strict standards. The use of DNA samples must conform to strict standards of Law.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