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화국가 구현을 위한 문화분권의 과제

        김창규 한국공법학회 2014 공법연구 Vol.42 No.4

        현대국가는 헌법의 기본원리의 하나로 문화국가를 표방하고 있다. 이러한 문화국가의 구현을 위해서는 “문화예술의 진흥과 지역문화의 균형발전”이 중요하다. 이 가운데 ‘지역문화의 균형발전’은 ‘지역문화의 진흥’의 문제이며, ‘문화분권’(Cultural Decentralization)의 문제이다. 이러한 문화분권은 노무현 정부 출범이후 지금까지 문화민주화(Democratization of Culture)의 관점에서 문화적 지역분산, 행정적 지역분산, 재정적 지역분산을 통하여 달성되어 왔다. 그러나 2006년 5월 문화가치의 확산과 문화적 권리에 대한 선언을 담은 ‘문화헌장’이 제정ㆍ공포되고, 박근혜 정부의 출범 이후 문화헌장이 제시하는 문화적 권리를 실행에 옮기기 위한 법제도적 근거로서 2013년 12월 30일 제정되어 2014년 3월 31일부터 시행되고 있는 「문화기본법」이 문화 전반의 최상위 기본법으로서 문화의 개념을 삶의 총체적 방식으로 규정함과 동시에 ‘문화융성’(Culture Flourishing)의 바탕을 이루는 문화민주주의(Cultural Democracy)를 지향하는 방향으로 전환되고, 더 나아가 문화분권의 실현을 위한 「지역문화진흥법」이 2014년 1월 28일 제정되어 2014년 7월 29일부터 시행되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종전 한국 문화법정책의 이론과 실무에 있어서 대폭적인 전환을 요구하고 있다. 따라서 지금의 문화분권은 주민의 참여를 강화하고 자치를 강화하여 주민의 창의성과 적극성을 발휘하며 지역주민이 주체가 되는 사회를 추구하는 것을 의미하게 되었다. 다시 말해서, 문화분권은 문화생산ㆍ소비ㆍ분배에 있어서 탈중앙화와 문화다양성(Cultural Diversity)을 강조하며 지방자치단체와 주민이 주체적으로 문화활동에 참여하고 스스로의 의미와 가치를 느껴 주인이 되는 그러한 사회를 추구하는 것으로 의미가 전환되었다. 이것은 지역문화자치이며, 지역문화주권의 회복을 의미한다. 이러한 문화분권은 실제적으로 ‘문화의 균점’과 ‘지역문화의 자율성 확립’이라는 의미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문화의 균점’은 지역 간에 있어서의 문화격차를 해소하고 평균적 수준의 문화를 지역에서 균점하며 국가의 균현발전을 보장하는 것이고, ‘지역문화의 자율성 확립’은 지역별 특색 있는 고유의 문화를 발전시키며 국가의 문화다양성을 실현하는 것을 말한다. 이 경우 ‘문화의 균점’을 강조할 때에는 문화민주화의 실현으로, ‘지역문화의 자율성 확립’을 강조할 때에는 문화민주주의의 실현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문화분권의 실현은 다음과 같은 가치적 함의를 가진다. 첫째, 문화법정책의 결정구조를 다원화한다는 의의가 있다. 둘째, 중앙에 집중된 문화시설ㆍ문화행사ㆍ문화정보를 지역에 분산한다는 의의가 있다. 셋째, 문화관련 권한을 지역에 이양함과 동시에 지역의 문화재정을 강화한다는 의의가 있다. 넷째, 지역주민의 참여를 확대ㆍ심화하고 문화다양성을 실현한다는 의의가 있다. 우리나라 문화분권의 실현여건을 살펴볼 때에 「지역문화진흥법」의 제정과 시행을 통해 지역문화자치(문화분권), 즉 주민의 자주적 참여와 주민자치의 원칙에 따라 지역문화를 진흥시킬 수 있는 법적 근거는 마련되었으나, 지역문화의 현실은 지방자치단체와 지역민의 자율성에만 맡겨 두기에는 지역의 문화기반이 매우 취약하며 지역 간의 문화격차도 매우 크다. 이러한 측면에서 「지역문화진흥법」의 제정 이전부터 지금까지 「 ... The principle of the cultural state is one of the constitutional fundamental contents in a modern state. For the realization of the cultural state, ‘promotion of culture and arts’ and ‘balanced development of local culture’ are important. Balanced development of local culture is the problem of both promotion of local culture and the cultural decentralization. Cultural decentralization has been achieved through cultural,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regional dispersion from the viewpoint of democratization of culture since the inauguration of Roh Moo-hyun administration. However, ‘the Culture Charter’ was enacted in May 2006, ‘the Framework Act on Culture’ was enforced from March 31, 2014., and ‘the Local Culture Promotion Act’ is going to enforce from July 29, 2014. These changes require the extensive alteration in culture legal policy theory and practice. For this reason, today’s cultural decentralization means pursuing the society that encourage participation and strengthen self-government so that people can exhibit their creativity and activeness and they can be agents for the culture with emphasizing decentralization and cultural diversity in production, consumption and distribution of culture. It is the local culture self-government and it means a recovery of sovereignty over the local culture. Cultural decentralization includes ‘equal allotment of culture’ and ‘autonomy of local culture’; ‘equal allotment of culture’ is to bridge cultural divide between regions and to ensure national balanced development with equal allotment at the level of local; ‘autonomy of local culture’ is to realize cultural diversity as developing distinctive and unique culture in the different regions. In this case, democratization of culture would be realized by emphasizing ‘equal allotment of culture’ and cultural democracy would be realized by emphasizing ‘autonomy of local culture’. The realization of cultural decentralization has meaning of; the pluralization of decision structure in culture legal policy; the dispersion of centralized cultural facilities, events and information; the strengthening of the local cultural public finance with transferring the central authority; the expansion of local resident’s participation and the realization of cultural diversity. The legal grounds of the local culture self-government(cultural decentralization) has been established by enactment and enforcement of ‘the Local Culture Promotion Act’, but practically, the basis of local culture is too weak and the culture divide between regions is too huge to leave to autonomy of a local government and residents. In this regard, a diversity of culture and arts promotion policy which has been implemented by central government under ‘the Culture and Arts Promotion Act’ remains the problem of how to distribute the authority and the implement system relating to promotion of local culture to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 Therefore, it needs for the state to lead to settle ‘the Local Culture Promotion Act’ and then complete cultural decentralization could be achieved for the realization of cultural decentralization through local culture promotion. For this, the local projects transferred of jurisdiction that have been implemented by the central government need to be turned into local devolution projects, and the division of roles between the central government and the local governments needs to be turned into horizontal governance system. Further, the central government and the local governments should have consolidated duties to support life-culture and to expand life-culture facilities provided in ‘the Local Culture Promotion Act’. For this, it should systematically carry forward projects to create cultural-complex community center in local community, expand life-culture facilities and support culture and arts community and clubs in local community.

      • KCI등재후보

        문화정책의 새로운 철학과 패러다임 전환을 위하여

        이동연(Lee, Dong Yeun) 한국문화연구학회 2013 문화연구 Vol.2 No.1

        박근혜 정부의 출범으로 대안적 문화정책에 대한 새로운 전략이 필요한 시점이다. 그 출발점으로 박근혜 대통령의 취임사에서 언급한 문화융성의 개념에 대한 비판적 개입이 중요하다. 문화융성을 문화민족주의의 관점이 아닌 문화의 사회적 가치 확산이라는 관점으로 재사고할 수 있다면, 문화정책의 패러다임은 새롭게 바뀔 필요가 있다. 이 글의 목적은 새 정부 출범을 계기로 문화정책의 패러다임이 어떤 관점으로 전환되어야 하는지를 제안하는 데 있다. 이 글은 특정한 목적과 결과를 지향하는 문화창의성 대신에 개인들의 다양한 잠재성을 중시하는 문화역능으로, 이주노동자와 결혼이주 여성자들의 동화주의를 강조하는 다문화주의에서 차이와 공존을 인정하는 문화 다양성으로, 창작자들의 표현의 자유의 권리에서 모든 이를 위한 문화적 권리로, 중앙과 주변을 전제하는 지역문화에서 차이와 특이성을 중시하는 문화분권으로, 공공자원에 의존하는 문화복지에서 예술가들의 자발적인 연합을 강조하는 문화자립으로 문화정책의 패러다임의 전환을 요청하고자 한다. With launch of the Park Geun Hae’s Government, it’s time to need the new strategy of the alternative cultural policy. At the starting point, this article consider the critical intervention into the notion of “cultural flourishing” remarked on the Park’s inaugural address. If we regard it as the point of proliferation of social value rather than as that of cultural nationalism, the paradigm of cultural policy has to be changed. The implosion of the notion of cultural policy depends on the deep consideration of what kind of paradigm shift should be required for the critical intervention into the proliferation of social value on culture. This article aims to suggest how the paradigm of cultural policy should be shifted with the launch of new government. It suggests five cases for the paradigm shift of cultural policy. It asks for the shift from cultural creativity to cultural potentia, from multiculturalism to cultural diversity, from professional creator’s rights to culture to cultural rights for everyone, from local culture to cultural decentralization, from cultural welfare to cultural independence.

      • KCI등재

        문화예술정책의 맥락에서 "일상생활 속 무용의 확산": 문화복지를 실현하기 위한 무용융성의 방안 모색

        김지영(JiyoungKim),김형남(HyoungnamKim),윤정은(JungeunYun) 한국체육학회 2015 한국체육학회지 Vol.54 No.5

        문화융성의 정책기조에 따라 문화예술정책의 방향은 ‘문화가 있는 삶’, 즉 일상생활에 스며드는 생활밀착형 문화의 확산을 지향하고 있다. 이러한 정책 관점은 무용분야의 지형 변화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되고 있지만 실제활동영역은 공연예술과 이를 위한 엘리트 예술교육에 치우쳐져 있기에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문화예술정책에 따른 제도와 사회적 요구를 살펴보고 향후 무용 분야의 사회적 진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본 연구는 문화기본법을 통해 문화향유의 기본 권리와 기회 확대를 강조하고 있다는 점에서 무용분야 역시 문화복지실현을 위한 수요자 중심의 ‘무용융성’을 추구해야 한다는 것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첫째, 무용의 장르에만국한하지 않는 생애주기별 맞춤형 문화예술교육의 콘텐츠 발굴과 보급, 둘째, 예술강사 및 문화예술교육사 예비인력양성을 위한 전문성 제고, 셋째, 범부처 협력 사회문화예술교육에서 수요자 중심의 무용 전문성 구축, 넷째, 지역사회기반의 커뮤니티댄스의 활성화, 다섯째, 소외계층을 위하여 사회적 목적을 수행하는 사회공헌 프로보노의 구축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였다. In regards to the direction of culture and arts policy according to the policy paradigm of flourishing culture, it seeks ``life with culture`` namely, spreading of life-oriented culture permeating everyday life. Although such policy stand is expecte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in the change of topography in the area of dance, it is revealing its limitation due to the biased emphasis on performing arts and according arts education.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policy and social demands resulting from culture and arts policy, as well as present a plan of social advancement of dance. In the sense that expansion of basic rights and opportunities for cultural enjoyment is being emphasized based on the Fundamental Act on Culture, this study proposed the need to pursue ``flourishing of dance`` focused on consumers for the cultural welfare realization. For the purpose of realizing flourishing of dance for cultural welfare, this study proposed following action plans. It would be necessary to first, develop and disseminate life cycle-specific customized dance contents for integrated culture and arts education; second, enhance expertise to cultivate arts instructor and culture and arts educators in the area of dance; third, establish dance expertise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for not only schools but also the society; fourth, vitalize local community-based community dance; and fifth, establish social contribution pro bono for social objectives for the socially disadvantaged.

      • KCI등재

        문화정책의 생태계적 접근에서 인문학적 관점의 필요성: 장애예술의 사례에 근거한 시론(試論)

        정종은 한국미학회 2014 美學 Vol.78 No.-

        Since ‘cultural flourishment’ became one of the four government principles of the current Korean government, and ‘promoting humanisticㆍspiritual culture’ was officially adopted as an action plan to realize the principle, the interest in the importance of humanistic perspective in cultural policy has arisen. However, behind the scene, it has been rarely noted how ‘promoting humanisticㆍspiritual culture’ can contribute to achieving the strategic objective of ‘promoting culture and the arts’, and thereby to realizing the principle of ‘cultural flourishment’. To address this issue, this article aims to explain why humanistic perspective is essentially required to promote culture and the arts, with the example of the ‘ecosystem approach’ which has recently grown into a new trend in the Korean cultural policy field. The article starts by examining the historical and conceptual context of the ecosystem approach. It will help clarify the significance and features of the approach as well as the process through which the concept has been elevated into a key word in Korean cultural policy. On this ground, with the case study of disability arts in Korea, I will proceed to show that the ecosystem approach is very useful in formulating and implementing government policy, not only for nurturing ICT or content industries, but also for culture and the arts; and, more importantly, that the usefulness of the approach can be guaranteed only when humanistic perspective, as fundamental understanding of human and culture, is centered on it. ‘문화융성’이 현 정부의 4대 국정기조의 하나로 설정되고 ‘인문·정신문화의 진흥’이 공식적으로 이 기조의 실현을 위한 실천과제로 채택되면서 문화정책에서 인문학적 관점이 갖는 중요성에 대한 관심이 제고되고 있다. 그러나 ‘인문·정신문화의 진흥’이라는 과제가 어떠한 논리를 통해서, 어떠한 과정을 거쳐서 ‘문화예술 진흥’이라는 전략적 목표와 나아가서는 ‘문화융성’이라는 국정기조의 실현에 이바지하게 되는지에 대한 설명은 거의 시도된 적이 없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 논문은 우리나라 ‘문화정책’의 새로운 트랜드에 속한다고 할 수 있는 ‘생태계적 접근’을 근거로 삼아, 인문학적 관점이 우리나라 문화예술의 진흥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먼저 ‘문화정책의 생태계적 접근’에 대한 역사적·개념적 맥락을 고찰할 것인바, 이는 생태계적 접근의 의의와 특질을 분명히 하고, 이 개념이 우리나라 문화정책계에서 핵심어로 떠오르게 된 과정과 배경을 밝히는 데 기여할 것이다. 다음으로는 국내 ‘장애예술정책’의 실제 사례를 통해서 생태계적 접근이 비단 ICT산업이나 콘텐츠산업 진흥정책만이 아니라 문화예술 진흥정책에서도 중요한 공헌을 할 수 있다는 점, 그러나 문화예술정책 분야에서 이러한 접근이 실질적인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인간과 문화에 대한 원천적 이해’로서 인문학적 관점이 반드시 그 중심에 자리를 잡아야한다는 점을 보이고자 한다.

      • KCI등재

        특별 학술대회 팔표논문 : 문화정책의 생태계적 접근에서 인문학적 관점의 필요성: 장애예술의 사례에 근거한 시론(試論)

        정종은 ( Eun Chung Jong ) 한국미학회 2014 美學 Vol.78 No.-

        ‘문화융성’이 현 정부의 4대 국정기조의 하나로 설정되고 ‘인문·정신문화의 진흥’이 공식적으로 이 기조의 실현을 위한 실천과제로 채택되면서 문화정책에서 인문학적 관점이 갖는 중요성에 대한 관심이 제고되고 있다. 그러나 ‘인문·정신문화의 진흥’이라는 과제가 어떠한 논리를 통해서, 어떠한 과정을 거쳐서 ‘문화예술 진흥’이라는 전략적 목표와 나아가서는 ‘문화융성’이라는 국정기조의 실현에 이바지하게 되는지에 대한 설명은 거의 시도된 적이 없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 논문은 우리나라 ‘문화정책’의 새로운 트랜드에 속한다고 할 수 있는 ‘생태계적 접근’을 근거로 삼아, 인문학적 관점이 우리나라 문화예술의 진흥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먼저 ‘문화정책의 생태계적 접근’에 대한 역사적·개념적 맥락을 고찰할 것인바, 이는 생태계적 접근의 의의와 특질을 분명히 하고, 이 개념이 우리나라 문화정책계에서 핵심어로 떠오르게 된 과정과 배경을 밝히는 데 기여할 것이다. 다음으로는 국내 ‘장애예술정책’의 실제 사례를 통해서 생태계적 접근이 비단 ICT산업이나 콘텐츠산업 진흥정책만이 아니라 문화예술 진흥정책에서도 중요한 공헌을 할 수 있다는 점, 그러나 문화예술정책 분야에서 이러한 접근이 실질적인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인간과 문화에 대한 원천적 이해’로서 인문학적 관점이 반드시 그 중심에 자리를 잡아야한다는 점을 보이고자 한다. Since ‘cultural flourishment’ became one of the four government principles of the current Korean government, and ‘promoting humanistic·spiritual culture’ was officially adopted as an action plan to realize the principle, the interest in the importance of humanistic perspective in cultural policy has arisen. However, behind the scene, it has been rarely noted how ‘promoting humanistic·spiritual culture’ can contribute to achieving the strategic objective of ‘promoting culture and the arts’, and thereby to realizing the principle of ‘cultural flourishment’. To address this issue, this article aims to explain why humanistic perspective is essentially required to promote culture and the arts, with the example of the ‘ecosystem approach’ which has recently grown into a new trend in the Korean cultural policy field. The article starts by examining the historical and conceptual context of the ecosystem approach. It will help clarify the significance and features of the approach as well as the process through which the concept has been elevated into a key word in Korean cultural policy. On this ground, with the case study of disability arts in Korea, I will proceed to show that the ecosystem approach is very useful in formulating and implementing government policy, not only for nurturing ICT or content industries, but also for culture and the arts; and, more importantly, that the usefulness of the approach can be guaranteed only when humanistic perspective, as fundamental understanding of human and culture, is centered on it.

      • KCI등재

        어린이집의 조직문화가 보육교사의 행복플로리시에 미치는 영향: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서원경,이신영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2019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3 No.2

        본 연구는 어린이집의 조직문화와 보육교사의 행복플로리시와의 관계에서 임파워먼트가 매개하는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전남 지역의 보육교사 29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자료처리는 SPSS 21.0을 이용하여 상관 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Sobel Test 및 Baron과 Kenny의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조직문화 중 집단문화와 개발문화, 보육교사의 임파워먼트와 행복플로리시 간에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행복플로리시에 대한 조직문화와 임파워먼트 변인의 설명력은 총 41%였으며 행복플로리시에 미치는 상대적인 영향력은 임파워먼트의 지위, 조직문화 중 집단문화, 임파워먼트의 자아효능감, 임파워먼트의 자율성과 전문성의 순이었다. 셋째, 어린이집의 조직문화가 보육교사의 행복플로리시에 미치는 영향에서 보육교사의 임파워먼트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보육교사의 임파워먼트는 두 변인 간에 부분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보육의 질 제고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또한 보육교사의 행복플로리시를 높이는 방안으로 보육교사의 개인적 요인이 아닌 개선 가능하며 정책적으로 보완할 수 있는 조직문화와 임파워먼트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보다 의의가 있다고 본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the empower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of child care center and child care teachers’ flourishing. The participants were 296 child care teachers from Seoul, Gyeonggi and Jeon-nam districts among whom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Pearson’s correlation, hierarchical regression, Sobel Test and Baron & Kenny’s multi-regression were used for the analysis with SPSS 21.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of child care center(collective and developmental culture), child care teachers’ empowerment and flourishing. Secondly, the organizational culture and the empowerment explained their flourishing total 41%. The relative influence on the flourish of child care teachers was in the order of child care teacher’s empowerment and organizational culture of child care center. In terms of sub–factors, the relative influence on the flourish was in the order of status, collective culture, self–efficacy, autonomy and professionalism. Thirdly, child care teachers’ empowerment have partially mediated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of child care center and child care teacher’s flourishing.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d the basic data for improving child care teacher’s flourishing.

      • KCI등재

        화법 문화의 전통 계승을 위한 화법 교육의 방향

        임칠성 ( Chil Seong Im ) 한국어교육학회(구 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2014 국어교육 Vol.0 No.144

        It was politeness based on human relationship that the tradition of Korean speech communication has stress on. But it have changed into ego-centrism based on logic and profit. It is why Korean youths live their everyday life surrounded with swear words and their social relationship have faded way. Based on previous researches and ``Sasojeol`` written by Lee Deokmoo, which was a kind of training book of everyday life in 18 century, I argued the cultural heritage of Korean speech communication that ``we`` centered culture and high context culture. I suggest that sudden change into industrial society and pursuing to western value have spoiled the heritage. Besides, the absent of education have accelerated the change. For succession and flourishing of speech communication cultural heritage, I suggest three direction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irst, we should moderate the tradition with modern social situation, those are balances between ``we`` with ``I`` and high context with low context. Second, we should rediscover East Asian values and success them. Last, we should lay emphasis on ``conduct knowledge`` and practice in teaching speech communication.

      • KCI등재

        잘삶의 통합적 이해와 교육적 함의

        김희봉 ( Hee Bong Kim ) 교육철학회 2009 교육철학연구 Vol.44 No.-

        본 연구는 `잘삶(well-being)`을 통합적 관점에서 이해하고 이것의 교육적 시사점을 탐구한다. 전통적으로 잘삶에 대한 이해는 크게 객관적 이론과 주관적 이론으로 구분되어 왔다. 그러나 양자 모두 인간의 잘삶을 총체적으로 이해하는 데에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적인 통합적 접근으로 루이터(Doret de Ruyter)의 `행복한 잘삶`, 화이트(John White)의 `문화관련적 잘삶`을 중심으로 논의한다. 행복한 잘삶은 객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선의 충족과 개인적으로 만족스런 방식에서 이들 선에 대한 의미 있는 해석을 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학생들에게 객관적 선을 소개하는 교육과 그들이 선을 의미 있게 해석하고 성취할 수 있도록 하는 기반으로서 이상의 교육이 중요함을 논의한다. 문화관련적 잘삶은 역사적으로 발전되어 온 문화적 배경 속에서 형성된 개인의 검증된 욕구가 충족됨을 말한다. 잘삶을 가능케 하는 선은 전적으로 개인이 선택한다기보다는 역사적으로 발전되어 온 문화적 배경을 공유하고 있는 `느슨한` 집단에 속한 것이다. 잘삶에 대한 전문가는 없지만, 예술 비평가들이 비평을 통해 작품의 심미성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는 것처럼 선을 성취하고 경험한 사람들이 구성하는 `일반적인 내부자` 집단에서 이루어지는 대화와 소통을 통해 잘삶의 권위는 확보된다. 이런 점에서 잘삶의 선은 주체관련적이면서도 탈 개인적이다. 학생들이 문화적 배경 속에서 검증된 욕구를 형성하도록 돕는 것은 그들의 잘삶을 증진시키기 위한 중요한 교육적 과업이다.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oncept of well-being in the integral viewpoints and their implications of education. Until now, the well-being theory has been discussed with two theoretical tradition: Objective Theories; Subjective Theories. Both, however, have theoretical weaknesses. Doret de Ruyter, and John White try to make up for them. De Ruyter argues the concept of `happy flourishing`. She believes that human well-being consists of two aspects: the fulfillment of generic goods that are objectively identifiable and the meaningful interpretation of these goods by the individual in a way that is personally satisfactory. For this conception, she uses the term of `happy flourishing`. De Ruyter contends that educating children with ideals is important to motivate them to strive for something higher or better. White argues the issue of culture and authority in wellbeing theory. He argues that goods are not related to our particular desires. Goods lie to the outside of individuals. They are created largely within cultures. Authority on well-being does not belong to individuals, but to a `loose` collection of people. They not only must have some experience of most of the major areas of worthwhile activity, but are also interested in reflecting on what makes a flourishing human life. It is important task of education to guide children to participate the conversation and communication with loose collection of people. They contribute to the integral interpretation of the concept of well-being. Their arguments have a lot of implications to the practices of education. They remind us that the promotion of personal well-being is a central aim of education.

      • KCI등재

        渤海文化の二重的特徴

        李宗勳(Lee, Jong-Hoon) 백산학회 2003 白山學報 Vol.- No.67

        As Lia-Tung areas in ancient age had lived many nations and tribos, the Characteristic of that place did not explain a single concept Therefore, we cannot describe her culture as seen by modern national identity. But Bohai was a dynasty by the core factors of Malgals with the koguryo’s supports. Bohai was muti-nation dynasty, so that her history and culture could not compare with other ancient countries. This is the reason that Bohai’s stadies were very delicate and complicated in views of one side opproach. In conclusion, bohai(Balhae) had dual characteristics with Koguryo and Malgal. But these double-faced culture of this dynasty had much difficulties in studies. On the other hand, Bohai used the dual-national name by Koguryo and self countr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