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Criticality: A Framework for Teaching English in EFL Context

        Eun Jeo Kim 한국영어학학회 2018 영어학연구 Vol.24 No.1

        When designing a language class syllabus, focus is commonly given to language acquisition whereas the influence of content and how to handle it are largely ignored. In fact, students constantly face new information and knowledge, the influence of which can make a difference to their thought and judgements. This is especially indisputable when teachers and curriculum developers attempt to foster critical thinking. The present study attempts to describe aspects of criticality as a framework to aid language acquisition and some of the possible interactions. Criticality can be developed as a framework to support teachers at all levels; to develop syllabi, to consider integrative language skills, to manage class, and to suggest mediative questions. The framework takes into account the flow of various topics and critical perspectives as tasks progress, and it accommodates individual, pair, and group work. The broad significance of criticality for class practice and teacher training are dealt with in this study.

      • KCI등재

        새로운 비판이론을 위하여 - 임계적 인식론

        김동규 대동철학회 2023 大同哲學 Vol.103 No.-

        This essay divides the concept of criticism into three categories. It is the limit, boundary, and criticality. Among them, this essay founds the starting point of a new critical theory by paying attention to the concept of criticality as an other-centered critical concept. Critical criticism is fragmented and hybrid, so it is difficult to exert the power of criticism properly, but once the power is properly exercised, it can subvert the existing structure and order. To this end, this essay first examines why the position of critical criticism is inevitably fragmented, and how the fragmented recognitions is related to social theory. Transition and translation help these fragmented recognitions come into theirs own shape. Continuing, this essay surveys the positions of representative thinkers who developed critical thoughts in the critical position, and extracts the common of their critical positions. Finally, this essay shows that critical recognition is inevitably related to the vulnerable, and argues that a new critical social theory should start at this critical places that the vulnerable live in. 이 글은 비판 개념을 세 가지로 나누면서 시작된다. 한계, 경계, 임계가 그것이다. 그 중에서도 이 글은 타자 중심적 비판 개념으로서 임계 개념에 주목하여, 새로운 비판이론의 출발점을 마련한다. 임계적 비판은 파편화되어 있고, 혼종적이어서 제대로된 비판의 위력 을 발휘하기는 어려우나, 일단 그 힘이 제대로 발휘되기만 하면, 기존 구조와 질서를 전복 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이 글은 우선 임계의 자리가 왜 파편화될 수밖에 없는지, 그리고 그 파편화된 인식이 사회이론과 어떻게 관계를 맺게 되는지를 살펴본다. 변역과 번역은 이 러한 파편성이 제 모습을 찾을 수 있도록 돕는다. 계속해서 이 글은 임계의 자리에서 비판 적 사상을 펼친 대표적 사상가들의 입장을 살펴보면서, 이들의 비판이 어떻게 임계의 특성 을 가지는지 그 공통점을 추출한다. 끝으로 이 글은 임계적 인식이 취약한 존재와 관련될 수밖에 없음을 보여주고, 새로운 비판사회이론이 바로 이 취약한 임계의 지점에서 새롭게 출발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 KCI등재

        Critical Affective Pedagogy as a Tool for Holistic Critical Literacy Practices

        허선민,서영미 한국언어과학회 2020 언어과학 Vol.27 No.4

        The purpose of this qualitative case study is to investigate how critical affective literacy pedagogy can facilitate students’ affects to become pedagogical resources for critical analysis of target social issues and lead them to be holistic critical readers of English texts. Two researchers recruited six fif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designed and taught them sixteen hours of American history English lessons. Data has been collected from videotaped class discussion and student artifacts. Data analysis focused on students’ affective responses about the topics. Data analysis revealed that teaching pedagogy that had students imagine the affects of Native Americans and the slaves in American history activated students’ critical affective literacy skills as they affectively connected to them and critically questioned the target social issues. This research suggests pedagogical implications for integrating critical literacy with affectivity and methods to make use of critical affective pedagogy for holistic development of criticality.

      • KCI등재

        Perceptions of Criticality in Language Learning in EFL Context

        김언조 중앙대학교 외국학연구소 2018 외국학연구 Vol.- No.43

        It is often presumed that the advent of fourth revolution requires fundamental changes to the curricula,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approaches used in higher education. This paper explores the perceptions of EFL teachers and learners regarding whether criticality is an essential requisite for language learning. The researcher administered a Likert-scale questionnaire to 35 teachers and 214 learners in Korean universities to explore what the participants thought about criticality in the EFL context, how they evaluated themselves as critical individuals, and how they judged the criticality of their classmates and colleagues. The responses identified the need for criticality training and offered suggestions for such a program. The resulting analysis also revealed that L2 leaners in the EFL context are aware of the needs of gaining higher-order thinking to enhance critical-thinking ability, which should be integrated into the English program.

      • KCI등재

        1930년대 후기 신문 短評의 비평사적 가치

        이해년 한국문학회 2019 韓國文學論叢 Vol.83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Danpyung’ (short reviews) put in the journal literary columns from 1935 to 1940, as a link of the study on the history of Korean modern literary criticism. The authors of ‘Danpyung’ are mostly journalists, who are also novelists and critics having an effect on the literary world at that time. Therefore, ‘Danpyung’ has a great possibility of possessing the literariness(or criticality) and literary historical value. In this paper, ‘Danpyung’ is studied on the valuation in the history of literary criticism. As a result, the Value of ‘Danpyung’ in the History of Literary Criticism is as follows: 1. Like ‘comments on current literature’, ‘Danpyung’ is a form of criticism similar to an essay, originated from the constitutional feature in the literary world of those days. 2. In consideration of the criticality as one of essential elements of criticism, ‘Danpyung’ is a valuable criticism with the correct estimate and theory in the aspects of essays on works, authors, the currents of literary thoughts, the theory of literature and etc. 3. The significance of ‘Danpyung’ in the history of criticism is as follows : First, ‘Danpyung’ is very worthy to be considered in the history of criticism, because it exists in the Journal literary columns for a long time and the number of it is considerable. Second, ‘Danpyung’ is helpful to the grasp of the currents in the history of modern literature. It is also valuable as an assistant material for the correct estimate and understanding of literary works. Third, ‘Danpyung’ has the significance in making familiar the relation between popular readers and literary specialists and making both harmonious. In also plays an important role in recovering the literary world in crisis at that time. 단평은 1935~1940년 무렵까지, 4개 신문의 학예면과 문예종합지(신동아, 문학, 人文評論, 西海公論, 批判, 청색지 등)에 실렸는데, <동아일보>의 「정찰기」,「사백자평론」, <조선일보>의 「탐보대」, 「소형논단」, <조선중앙일보>의 「필탄」, 「미네르바-의 소총」, <매일신보>의 「납량대」란 등 20개 이상의 단평란이 있었다. 편당 400~800자 정도의 一回 단편물이 대부분이고, 2~3회 연재물도 많은데, 500여 편이 넘는다. 단평란의 필진은 저널리스트들로, 당시 문단에 영향력 있던 작가, 시인, 평론가들이었으므로, 文藝時評이 대부분이고 작품론, 작가론, 비평가론, 문학이론, 詩作法 등 전문적 비평이 많다. 단평은 당시의 文藝時評의 성격을 내용상으로 계승한 것이며, 일본 신문단평을 형식상으로 수용하여 변모한 비평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단평에는 時事性을 뛰어넘는 문학성(비평성)과 문학사적 가치가 내재해 있을 가능성이 충분히 있다. 단평이 가지는 우리 비평사적 가치와 의의를 살펴보면, 다음 몇 가지 측면에서 의미를 추출할 수 있었다. 1. 본질적인 측면에서 볼 때, 단평은 작품론, 작가론, 문학이론, 등의 측면에서 정확한 평가와 이론 전개를 보였던 가치 있는 비평이다. 2. 문학 外的인 측면에서 볼 때, 단평은 우리 批評史上 존재가치가 큰 비평형식이다. 또 흐름을 개괄하면 우리 문예비평史로 정립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며, 現代文學史의 흐름 파악에도 기여하리라 본다. 문학작품의 바른 이해와 평가를 위해서 문학裏面事나 文壇事에 관한 자료가 꼭 필요하다고 할 때, 단평은 문학연구를 위한 보조적 자료로서 가치가 큰 비평이다. 또, 날카로운 비평성을 구사한 몇몇 전문적인 단평 필자를 배출한 비평이다. 3. 비평의 기능면에서 볼 때, 단평도 독자와 전문지식인 간의 거리를 좁히고 융화시킨 의의와 당시 위기의 문단에서 훌륭한 지침 역할을 수행한 의의를 가진다. 본 연구에서 종합적으로 고찰한 결과, 단평은, 짧은 길이에서 오는 선입견으로 지금까지는 도외시되어 왔고 본격비평에 비해 낮은 가치평가를 받을 수 있지만, 긴 시간동안 많은 양의 단평작품을 산출한 비평이고, 문학사적 의의와 가치가 충분한 비평장르임을 증명할 수 있었다. 과연 단평은 비평으로서 어떤 역할과 기능을 담당하는 문학이었던가를 따져 한국근대문학비평사 연구에 기여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추후 단평의 비평문학으로서의 본질적 가치를 밝히는 연구는 계속되어야 한다고 본다.

      • KCI우수등재

        작업별 중요도 모드를 적용한 혼합 중요도 스케줄링에서 확률적 성능 평가 기법

        이재우(Jaewoo Lee) 한국전자거래학회 2018 한국전자거래학회지 Vol.23 No.3

        혼합 중요도 시스템은 중요도가 다른 컴포넌트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다. 최근 자동차시스템과 항공기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ISO 26262와 DO-178B 표준에서는 컴포넌트를 중요도에 따라 분류하고 있다. 기존 혼합 중요도 시스템 연구에서는 시스템 모드를 통해서, 효율적이면서 안전한 스케줄링을 추구했다. 이러한 연구의 단점은 고중요도 모드에서 저중요도 작업의 성능저하이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고자 작업별 중요도 모드를 도입하여 저중요도 작업의 성능을 개선하고 확률적 성능 지표를 설계했다. 시뮬레이션을 통해서 기존 연구 대비 성능 향상 효과를 보였다. Mixed-criticality systems consist of components with different criticality. Recently, components are categorized depending on criticality by ISO 26262 standard and DO-178B standard in automotive and avionic domain. Existing mixed-criticality system research achieved efficient and safe scheduling through system-level criticality mode. The drawback of these approaches is performance degradation of low-criticality tasks on high-criticality mode. Task-level criticality mode is one method to address the problem and improve the performance of low-critical tasks. In this paper, we propose probabilistic performance metric for the approach. In simulation results with probabilistic performance metric, we showed that our approach has better performance than the existing approaches.

      • KCI등재

        공공예술의 미학과 임계적 공공성

        김동규(Kim, Dong-gyu) 대한철학회 2022 哲學硏究 Vol.164 No.-

        이 연구는 공공성과 관련된 세 가지 개념인 한계, 경계, 임계 개념을 비교하는 것에서 시작한다. 공공성을 상상할 수 있는 개별 주체의 비판적 능력에 대해 ‘한계’ 개념을 적용할 수 있고, 그러한 주체들이 비판적으로 서로의 인식을 점검하는 과정에 대해서는 ‘경계’ 개념을 적용할 수 있다. 소위 공공성은 이 상호성이 성립되는 경계 개념부터 등장하는데, 주체와 타자가 서로 대등한 관계에서 공공성을 형성하므로, 경계 개념이 적용되는 공공성을 대칭적 공공성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개인의 비판적 인식과 그 인식의 상호 점검을 넘어서는 또 다른 인식 방법이 있다. 소위 타자 중심의 인식으로서, 타자의 등장으로 인해 주체의 인식 능력이 무력화되는 데서 출발하는 인식이다. 이 연구는 이를 ‘임계’라는 개념으로 규정한다. 배제되어 취약한 타자들이 기존 권리 주체들에게 제기하는 공적 긴장을 임계적 공공성이라 한다. 임계적 공공성은 비대칭적 관계에서 출발한다. 이 연구는 임계적 공공성을 근본적 공공성으로 간주한 후, 이를 공공예술을 위한 토대로 삼는다. 공공예술은 기존 예술계의 자장을 넘어 일상의 공적 장소와 가치에 개입하고, 새로운 공적 가치를 창출하기 위해 예술을 수단으로 삼는다. 최근 새로운 예술 사조로 급부상한 공공예술은 예술적 완성도도 중요하지만, 예술적 개입이 창출한 공적 효과나 가치에 더 무게를 둔다. 공공예술은 자신의 작업이 얼마나 공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느냐에 따라 그 성/패가 좌우된다. 따라서 공공예술은 공공성에 대한 고려 없이 공공예술의 미적 가치를 비평할 수 없다. 이 연구는 다양한 공공예술의 사례를 들어 공공예술과 임계적 공공성의 관계를 추적한 후, 공공예술의 미학에서 핵심이 되어야 할 개념을 추출한다. 일찍이 공공예술과 관련하여 비평적 접근은 있었으나, 미학 이론적 접근은 없었다는 점에서, 그리고 공공예술과 공공성의 관계를 추적해온 연구자의 기존 연구를 종합하여 공공예술의 미학을 구축하기 위한 첫 시도라는 점에서, 이 연구는 나름의 의의를 갖는다. This essay starts by comparing the three concepts related to publicness: limit, boundary, and criticality. The concept of limit can be applied to the critical ability of individual subjects to imagine publicness, and the concept of boundary can be applied to the process by which such subjects critically and intersubjectively check each opinion. The so-called publicness emerges from the concept of the boundary where this reciprocity is established. Since publicness is formed in relationship of symmetry between the subject and the other, we can call the publicness to which the boundary concept is applied as symmetrical publicness. However, there is another method of perception that goes beyond an individuals critical recognition and intersubjective check of that recognition. As so-called other-centered recognition, it is recognition that starts from the neutralization of the subjects recognitive ability in the face of the other. This essay defines this as the concept of ‘criticality’, and defines the public tension that is excluded, and vulnerable others raise to existing subjects who have rights, as marginal-critical publicness. Marginal-critical publicness starts from an asymmetric relationship. This essay regards marginal-critical publicness as fundamental publicness, and then takes it as a basis for public art. publicness, considering critical publicness as fundamental publicness. Public art goes beyond the magnetic field of the existing art world, intervenes in everyday public places and values, and uses art as a means to create new public values. In public art, which has recently emerged as a new art trend, artistic perfection is important, but the public effect or value created by artistic intervention is more important. The success/failure of public art depends on the public intensity and the public effect that the work has. Therefore, public art cannot criticize the aesthetic value of public art without considering publicness. This essay traces the relationship between public art and critical publicness by taking various examples of public art, and then extracts concepts that should be at the core of the aesthetics of public art. From a long time ago, there was criticism on public art, but there were no aesthetical-theoretical approachs. Addressing this point, this essay has the first step to build up the aesthetics of public art by synthesizing my research in track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ublic art and publicness.

      • KCI등재

        임계의 철학: 잠재성의 의미론

        김동규 대한철학회 2024 哲學硏究 Vol.171 No.-

        이 글은 어떤 의미의 체계를 새로 세우려는 것이 아니다. 이 글은 서발터니티의 의미를 다루면서 의미 바깥에 있는 의미의 잠재성과 기존 의미 사이의 관계를 다루는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 아직 의미가 갖춰지지 않은 미의미(未意味)에 새로운 의미의 체계를 선물할 수는 없는 노릇이므로, 새로운 의미의 체계를 만드는 일이 가능할지는 미지수다. 이를 대신 하여 이 글은 새로운 의미가 생성되는 근원적인 구조를 다룬다. 이 구조는 비대칭성이라는 개념과 관계한다. 그래서 유의미한 것과 무(또는 미)의미한 것 사이의 비대칭적 관계, 없던 의미에서 새로운 의미를 만들어내는 번역 과정의 비대칭성을 설명하는 데 논의가 집중되어 있다. 생산된 의미가 일종의 사회적 약속을 통해 확정되고, 번역 역시 사회적 실천과 관계하기에, 이 의미론은 단순히 의미론에만 머물지 않고 사회적 실천론이나 사회 이론과 연결될 여지도 있다. 나아가 비대칭적 구조에서 출발하는 잠재성의 의미론은 새로 만들어진 의미를 새로운 의미 체계의 내부로 투입시키는 일을 정당화한다. 이를 통해 나는 기존 의미의 체계와 그 의미를 확정지었던 사회가 임계에 직면하게 된다고 주장한다. 이것이 임계의 의미론이다. 끝으로 무의미와 미의미라는 의미의 바깥에서 부단히 새로운 의미 생산과 수용을 강요당하는 과정을 통해, 기존 의미체계가 매번 새로운 임계에 직면할 것이므로, 임계의 의미론은 의미를 규정하고 정의하는 것이 아니라, 부단한 의미 생성 과정과 실천을 강조하는 과정으로서 의미론이자 잠재성의 의미론이 될 것이다. This paper is not intended to establish a new system of semantics but focuses on the meaning of subalternit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existing meaning and the potential for meaning outside of meaning. Since it is impossible to present a new system of meaning to a not-yet-meaning that has not yet been given meaning, it is unclear whether it will be possible to create a new system of meaning. Instead, this paper deals with the fundamental structure through which new meanings are created. This structure is related to the concept of asymmetry and as such, this paper focuses on explaining the asymmetric relationship between the meaningful and the meaningless (or not-yet-meaning) and the asymmetry of the translation process that creates new meaning from the object of meaning that did not exist. Since the produced meaning is confirmed through a kind of social promise, and translation is also related to social practice, these semantics are not limited to mere semantics but can also be connected to social practice theory or social theory. Furthermore, the semantics of the potential that originates from an asymmetric structure, justifies the input of newly created meaning into a new semantic system. Through this, I argue that the existing system of meaning and the society that has established that meaning are facing a critical point, the semantics of criticality. Lastly, through the process of being constantly forced to produce and accept new meaning outside of the meaning of meaninglessness and not-yet-meaning, the existing meaning system will face a new criticality every time. The semantics of criticality is not about determining and defining meaning, but rather about the continuous process of meaning creation. Therefore, the semantics of criticality will be one of semantics as a process that emphasizes practice, and a semantics of potentiality.

      • KCI등재

        임계적 공공성과 공공예술

        김동규 국립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4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5 No.3

        공공예술은 모두를 위한 예술이라는 별칭을 가지고 있다. 공공성이 자유롭고 평등한 모두의 접근을 허용하는 개방성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공공성을 평가하는 일은 곧 ‘배제’의 흔적을 살피는 일이다. 이를 위해 이 글은 배제된 존재를 규정하는 서발터니티라는 개념을 먼저 살펴본다. 여기서 서발터니티는 ‘임계’와 ‘전복성’을 드러낼 것이다. 이것은 공공예술계 내부의 전복성과, 공공예술이 작동하는 사회를 향한 전복성과 연결된다. 이어서 이러한 임계와 전복성의 감각을 드러내는 데 예술이 특화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서발터니티가 ‘장소성’과 관련되는데, 공공예술도 장소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점에서 두 개념은 연결될 여지가 많다. 서발터니티의 장소성은 주로 주변, 경계 등과 결부된다. 그래서 서발터니티의 장소는 경계지와 밀접한 연관을 맺기 마련이다. 그 대표적인 장소가 관문도시다. 따라서 이 글은 서발터니티의 장소성을 드러내면서, 이 글이 작성되고 있는 관문도시 부산의 서발터니티를 추적하고 있다. 그 교점에서 완월동을 다루는 부산의 공공예술 사례가 언급된다. 이 글은 여기서 더 나아가 공공예술 전체가 그런 장소성을 주요한 임계의 감각으로 활용한다는 것을 언급함으로써 다양한 공공예술의 사례와 임계적 공공성의 등장을 설명한다. 결과적으로 공공예술은 임계의 감각을 활용하여 새로운 감각을 보여주고, 이를 통해 새로운 의미 생성을 요구한다. 이는 기존 공공성에 임계를 제공하여 특정 지역과 사회에 새로운 공공성을 창출하도록 촉구한다. 이 지역과 사회의 스펙트럼은 매우 유동적이고 중층적이다. 공공예술은 임계적 공공성을 근간으로 합리성 중심의 공론장을 넘어설 뿐만 아니라, 합리적 공공성에 우선한다. 그러므로 공공예술의 공공성은 임계적 공공성에 대한 감각 없이 자신의 공적 역량을 제대로 발휘할 수 없다. Public art is nicknamed art for everyone. This is because publicness has openness that allows free and equal access to all. In that case, evaluating publicness means examining traces of ‘exclusion.’ In this way, this article first examines the concept of subalternity, which defines excluded beings. Here, subalternity will reveal its ‘criticality’ and ‘subversiveness.’ This will be connected to the subversiveness within the public art world and the subversiveness toward the society in which public art operates. Next, this article shows that art specializes in revealing this sense of criticality and subversiveness. In particular, since subalternity shows that it is related to ‘placeness,’ there are many public art works that are connected to placeness. Placeness of subalternity is mainly associated with marginal places or boundaries. Therefore, places of subalternity are closely related to borderlands. The representative place is the gateway city. Therefore, this article reveals the placeness of subalternity and traces some of the subalternity of Busan, the gateway city where this article is written. At that intersection, an example of public art in Busan dealing with Wanwol-dong is mentioned. This article goes further to explain various examples of public art and the emergence of critical publicness by mentioning that public art as a whole utilizes such sense of place as a major criticality. As a result, public art shows new senses by utilizing critical senses, and through this, requires the creation of new meaning. This provides a threshold for existing publicness and urges the creation of new publicness in specific palces and societies. The spectrum of this palces and society is very fluid and multi-layered. I defined this as critical publicness, which not only goes beyond the rationality-centered public sphere, but also takes precedence over rational public sphere. Therefore, the publicness of public art cannot properly demonstrate its public capacity without a sense of critical publicness.

      • KCI등재

        D대학 수변전설비의 고장모드 영향 분석

        박영호 ( Young Ho Park ),김두현 ( Doo-hyun Kim ) 한국안전학회(구 한국산업안전학회) 2016 한국안전학회지 Vol.31 No.5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arry out Failure Modes and Effects Analysis (FMEA) and use criticality in order to determine risk priority number of the components of electric power installations in Engineering college building of D university. In risk priority number, GROUP A had 7 failure modes; more specifically, Transfomer had 4 modes, Filter(C)(1 mode), LA(1 mode), and CB(MCCB)(1 mode), and thus 4 components had failure modes. In terms of criticality, high-grade group a total of 16 failure modes, and 7 components-LA(1 mode), CB(MCCB)(1 mode), MOF(2 modes), PT(1 mode), Transformer(7 modes), Cable(3 modes), and Filter(C)(1 mode)-had failure modes. Comparison of risk priority number and criticality was made. The components which had high risk priority number and high criticality were Transformer, Filter(C), LA, and CB(MCCB). The components which had high criticality were MOF and cable. In particular, Transformer(RPN: 4 modes, Criticality: 7 modes) was chosen as an intensive management compon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