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패러다임과 법의 변화

        한상훈(HAN, Sang Hoon) 한국법학원 2017 저스티스 Vol.- No.158-1

        본고는 지난 70 여년 서양법학을 수용하여 발달한 한국법학, 형사법학이 21세기 어떠한 방법론을 가져야 할 것인지 검토하면서, ‘법 패러다임주의’(legal paradigmism)를 시론적으로 제시하였다. 인류가 아직 경험하지 못한 새로운 시대에 올바른 법, 바람직한 법을 발견하고 적용하기 위해 본고는 사회의 변화와 새로운 현상의 출현에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고 본다. 특히 Basalla교수의 토착과학의 3단계 발전모델과 이종범 교수의 사회과학 4단계 발전론에 주목하면서, 본고는 1980년대 후반까지는 단순모방기이고, 1990년 이후 2006년까지는 적응모방기, 그리고 2006년 이후는 창조태동기로 조심스럽게 평가한다. 이러한 발전이 가능했던 중요한 요소로 우리나라의 판례와 입법역사에 대한 연구의 역할을 평가한다. 본고는 향후 한국법학이 더욱 발전하기 위한 모델로 토마스 쿤(Kuhn)의 패러다임주의를 적용하려고 시도한다. 쿤은 하나의 패러다임이 지배적인 패러다임으로 정착되면 그때의 과학은 정상과학이 되고, 과학자들은 정상과학하에서 개별적인 문제풀기에 몰두한다. 그러다가 종래의 지배적 패러다임으로 설명되지 않는 이상사례(anomaly)들이 관측되어 누적되면, 결국 기존 패러다임의 위기가 도래하고, 이러한 이상사례를 잘 설명할 수 있는 다른 경쟁 패러다임이 등장하여, 기존의 패러다임과 경쟁하다가 점차로 새로운 패러다임이 지배적인 패러다임의 지위를 차지하여 결국 새로운 지배적 패러다임이 되고, 이에 입각하여 다시 정상과학이 정립된다. 쿤은 이러한 지배적 패러다임의 전환(paradigm shift)을 정치혁명에 비유하여 ‘과학혁명’(scientific revolution)이라고 한 것이다. ‘패러다임주의’는 법학방법론에도 적용할 수 있는데, 법학에서 ‘지배적 패러다임’은 통설과 판례가 모두 지지하는 견해라고 할 수 있다. 지배적 견해 또는 지배적 법리가 형성된다면, 이는 하나의 ‘정상법학’(normal jurisprudence)이 되어 대부분의 ‘통상사례들’(routine cases)을 해결한다. 지배적 견해를 기초로 성립된 법적 삼단논법(legal syllogism)에 의하여 대부분의 수많은 사건들은 큰 고민 없이 손쉽게 해결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으로 해결이 곤란하면 소위 “난해한 사례”(hard case)가 되는 것이다. 기존의 지배적 견해로 문제를 해결할 수 없는, 또는 적정한 결론에 도달하지 못하는 이상사례가 증가하면, 결국 이상사례를 보다 잘 해결할 수 있는 대안적 법리(경쟁 패러다임)가 등장하게 된다. 경쟁 법리는 마침내 기존의 지배적 패러다임 또는 지배적 견해를 대체하여 새로운 지배적 패러다임 또는 지배적 견해가 된다. 이러한 과정은 쿤이 말하는 과학에서 패러다임의 변화와 유사한 과정을 거친다고 볼 수 있고, 이러한 점에서 법의 영역에 패러다임의 이론을 적용하는 관점을 ‘법 패러다임주의’(legal paradigmism)라고 할 수 있다. 본고는 이러한 ‘법 패러다임주의’의 관점에서 복사문서를 문서에 관한 죄의 문서로 인정한 1989년의 대법원 전원합의체 판결, 2008년의 위법수집증거배제법칙에 대한 대법원 전원합의체 판결, 그리고 2015년 헌법재판소의 간통죄 위헌결정 사건을 검토한 후, 법 패러다임주의가 이러한 사례들, 나아가 다른 많은 사례들에서 적용될 수 있음을 설명한다. In the 21<SUP>st</SUP> century when artificial intelligence, internet of things, and the 4<SUP>th</SUP> industrial revolution are coming closer, it is more important to rethink and reflect our legal methodology and to devise a new method to navigate an unprecedented age. The majority of 11 review papers published from 1978 to 2011 recognizes that Korean jurisprudence has adopted, and is still widely influenced by Western jurisprudence, especially from Germany and United States, sometimes via Japan. Commentators emphasized the need to outgrow the imitation or import of jurisprudence and to develop an original Korean Criminal jurisprudence. However, the specific methodology how to get to the goal was rarely suggested. In 1987, Professor Shin Dongwoon evaluated the Korean criminal jurisprudence, and criticized that it overly concentrates on the introduction of foreign theories, and that it neglects independent Korean research. As alternatives, he advocated the historical analysis method which studies the history of Korean legislation, the comparative law analysis method which utilizes the comparison of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Korean law and foreign laws in the interpretation of Korean law, and the case analysis method which emphasizes the research of court cases. This method contributed to the Korean Criminal jurisprudence enormously. However, in this fast changing era we need a more scientific method. Thomas Kuhn describes paradigm as an “exemplar” or “disciplinary matrix,” and says that scientist’s cognition and understanding of natural phenomena occurs based on a paradigm in his book The Structure of Scientific Revolutions (1962). Once a paradigm settles into a dominant or prevailing paradigm, the science at the time becomes normal science, and scientists devote themselves to individual puzzle-solving during normal science. When a crisis comes, a new paradigm becomes the dominant paradigm and a new normal science is established. In jurisprudence there can be a particular interpretation of law that receives support from both the Court and a majority of legal scholars. Let us call this ‘dominant opinion’(herrschende Meinung in German). Such a ‘dominant opinion’ has a similar status as the dominant or prevailing paradigm in science, which serves as exemplar or disciplinary matrix. Just as numerous puzzles are solved based on a prevailing paradigm in the field of science, legal professionals and academics solve a bulk of legal cases efficiently under the legal paradigm or dominant opinion. Once a dominant opinion or dominant legal theory is formed, it becomes normal jurisprudence and solves most of the routine cases. However, a normal jurisprudence is disturbed when such anomalies or non-routine cases emerge and accumulate. They cannot be resolved by existing dominant opinion or legal theory, and crisis comes. With the growth of anomalies an alternative legal theory or a competing legal paradigm appears, and it finally replaces the existing dominant paradigm or dominant opinion and becomes the new dominant paradigm. In this regard, the application of paradigm theory in the field of law may be termed ‘legal paradigmism.’ The paper examines 3 cases, regarding a forgery of photocopied documents case (1989), exclusion of illegally seized evidence case (2007), and the unconstitutionality of adultery punishing clause case (2015). This paper asserts that with the legal paradigmism, we can understand the structure of legal changes, and interpret the law more scientifically.

      • KCI등재

        범죄피해자 권리의 실효적 보장

        김재민(Kim, Jae min) 한국피해자학회 2017 被害者學硏究 Vol.25 No.3

        Although there are various Korean laws which claim that they are designed to secure criminal victims’ rights, they are often ineffective and unenforceable. To make matters worse, some of them are only the victim’s policy. However, the criminal victims should be given the enforceable victims’ rights, through identifying their status as a victim and recovering their damage in criminal procedure. The substance of the criminal victims’ rights can be described as ‘maintaining human dignity’and ‘the pursuit of happiness’which are stipulated in Article 10 of the Korean Constitution. Those precious values can be achieved by securing the en-forceable victims’ rights. The enforceability of victims’rights can be varied according to the chosen paradigm among the witness paradigm, damage paradigm, harm paradigm, and rights paradigm. Above all, the rights paradigm is most suitable to secure the enforceability of victims’ rights. In order to expand the rights of them and ensure more effective rights, the criminal justice system should be improved based on the rights paradigm. To prevent the side effect of rapid improvement, at a initial stage, it would be better to adopt a Japanese model that combines the status of a witness with that of parties to a lawsuit as a victim, and then take a German or French model which has given strong legal power to criminal victims in the criminal procedure.

      • KCI등재

        경찰 우범자 관리의 패러다임 전환

        조대희(Cho, Dae Hee) 경찰대학 경찰학연구편집위원회 2016 경찰학연구 Vol.16 No.3

        경찰의 우범자 관리를 법제화하기 위해 정부와 국회에서 입법화를 시도하였으나, 인권침해 등을 이유로 답보상태이며 그간 제시된 법안의 내용도 지금 경찰이 하고 있는 업무관행 현실을 법제화하는 수준에 그치고 있어 국민적 공감대를 형성하지도 못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우범자 관리는 애초부터 조직폭력배 검거 등 ‘신속한 수사’ 목적에 초점을 두고 관리해왔기 때문에 재범방지와는 거리가 멀고 특히 우범자의 재사회화라는 가치와는 동떨어져 있어 실질적인 범죄예방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즉, 경찰 주도의 우범자 관리는 ‘감시’ 중심으로 흐를 수밖에 없어 형식적인 점검 수준에 그치고 있는 것이다. 이제는 우범자 관리를 신속한 수사보다는 ‘재사회화를 통한 재범방지’에 방점을 두고 경찰 단독이 아닌 ‘관련기관간의 협업’을 통해 이루어지도록 패러다임이 전환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Polibation과 같은 경찰과 보호관찰의 유기적 협력방안 뿐만 아니라, 치안 거버넌스 차원에서 지역 치안공동체를 활용하는 방안이 검토되어야 한다. If an potential offender repeats a crime, the primary responsibility is given to the police because they did not handle the situation very well. The regulation of potential criminal is required, despite how late it is, in order to establish a safe society. In Korea potential criminals are controlled by minor police branch groups such as “rules regarding potential criminal information gathering”. Especially when the 1991, the rule was established, observing those with a criminal record, establishing them as potential criminals in order to prevent repeated crimes. So far, the regulations of potential criminals have no laws or systems overseeing it in Korea. This fact comes in conflict with the rules regarding individual privacy, leading to a rather overly formal and minimal method. In addition, the regulations related to potential criminals management have not affected the original purposes, efficient investigation and crime prevention. And there are no regulatory justifications in terms of purpose, definitions, types, selection(inclusion), screening and material disposal. As mentioned before, while problems regarding repeated offence by potential criminals are found in many areas, the solution can be first found in considering change on how the law treats the so-called potential criminals. It is considered the most realistic solution in terms of problem solving so far as to especially insert provisions for the amendment on the act to promote the regulation of “the Act on the Performance of Duties by Police Officers”, which can be called the common law standard in police activity. But, since the ultimate goal of the prevention of recidivism is to fully reintegrate criminals back to society, we must consider that multi-agency public protection arrangements such as the police and protection surveillance to install related agencies configure the system to work together and consistently manage the rehabilitations. There is a limit to prevent recidivism only by police surveillance. In particular, amid no measures in place for existing problems, such as no criteria for proper assessment of recidivism risks and blind spots in the control of data collected by police, allowing for management of potential criminals is not desirable from the criminal policy standpoint.

      • KCI등재

        회복적 정의와 형사사법 정의

        이용식(Lee, Yong-Sik) 동아대학교 법학연구소 2012 東亞法學 Vol.- No.54

        피해자학의 발달과 회복적 정의이념의 도입은 단순한 피해자에 대한 형사법적 ‘관심’을 넘어서서 ‘피해자의 정의’를 우리의 형사사법체계에 도입해야 한다는 경향에 이르고 있다. 즉 회복적 정의이념으로부터 도출된 피해자의 정의를 통하여 형사사법에서의 ‘정의 패러다임’에 변화가 요구된다고 하는 주장이 대두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전통적인 형사사법 정의를 추구하는 형사절차에서 회복적 정의와 회복적 사법절차를 절충하려는 시도는 형사사법정의와 회복적 정의 모두에게 불만족한 결과를 가져올 수 있으므로 방법론적으로 이러한 시도는 일정한 한계에 봉착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그렇다면 범죄피해의 회복과 피해자의 정의를 추구하는 회복적 정의와 회복적 사법의 주된 내용은 형법과 형법의 기능적 실현을 목적으로 하는 형사사법의 영역이 아니라고 선언을 하고 두 정의를 절차적 혹은 정책적으로 개별화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회복적 정의와 형사사법 정의를 절충하려는 시도는 애초 형법과 형사사법절차가 회복적 정의의 이념과 목표를 수용하고 피해자의 피해회복과 보호라는 정책적 기능을 맡을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에 기인한다. 그러나 형법과 형사사법절차는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만능의 수단이 결코 아니라는 점을 다시 한번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이는 형법의 최후수단성의 원칙으로부터도 간접적으로 도출된다. 형법은 사회질서유지에 필수불가결하고 형법 이외의 사회통제수단에 의해서는 효과적으로 보호될 수 없는 법익을 보호하기 위해서만 투입이 허용된다. 형법의 최후수단성 원칙은 이러한 소극적 측면뿐만 아니라 그러한 영역에 대하여 국가가 적극적인 사회정책을 제공하여 실질적인 자유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개인의 자율성을 보장하는 역할을 담당하도록 하는 적극적인 측면도 가지고 있다. 즉 범죄피해의 회복과 피해자의 정의를 추구하는 회복적 정의의 영역은 형사사법의 본래의 기능과는 부합하지 않는 면이 상당하므로 형사사법절차를 통하여 회복적 정의를, 주된 목적이든 부가적 효과이든, 적극적으로 추구하는 것은 형법의 최후수단성 원칙의 취지와는 맞지 않는다고 할 것이며 형사사법절차와는 별개의 차원에서 정책적으로 다뤄지는 것이 형사사법의 취지와 회복적 정의의 취지를 동시에 보다 효과적으로 구현하는 방안이 아닌가 생각해 본다. The development of victimology and introduction of restorative justice raise not only a criminal interest to victim but also introduction of justice for victim in our criminal system. That is the assertion, that we have to change the ‘paradigm of justice’ in our criminal process with a justice for victim came from restorative justice. But the attempt to compromising traditional criminal justice and restorative justice on the traditional criminal process may make a dissatisfactory result to both sides. So such an attempt methodologically has a definite limit. Well then, I want to suggest that the contents of restorative justice concluded the restoration of criminal damage and justice for victim should not be in the area of criminal justice for the functional realization of criminal law. And I also want to separate two justice procedurally or on policy consideration. The attempt to compromising restorative justice and criminal justice came from the thinking that criminal law and criminal process can accept an ideology and a target of restorative justice and have a policy function for damage restoration and protection of victim. But criminal law and criminal process can not be a omnipotent method to solve social problems. The ‘ultima-ratio’ principle of criminal law points to this meaning.

      • KCI등재

        경찰의 범죄피해자 보호 실태와 대책에 관한 연구

        박상식(Park, SangSik) 한양법학회 2011 漢陽法學 Vol.36 No.-

        With the recent changes in the perception of public opinion and related institutions on criminal victims, rights of criminal victims have been improved significantly. However, criminal victims have still been alienated from Criminal Justice System. Police, in particular, is the primary investigation institution performing crime prevention and control, and plays very important role in victim protection by directly contacting the victim and the crime itself. It may be fairly said that police is in the foremost frontline for the protection of criminal victim. Fortunately, police have tried their best to protect criminal victims by establishing Victim Consolation Room, providing victims with information on violators, and starting Victim Supporter Center, One-Stop Support Center, and Crisis-Intervention Assistance & Response (CARE). It is because they made criminal victim protection major policy agenda and shifted the paradigm of police activities from criminal centered to victim centered. Although police have published various policies in the form of manuals, manuals seem to be mere forms to show off. In particular, the provision of information on violators to the victims is most wanted by victims. However, it is still not in place. It is because according to the positive law, the provision of information to victims can be made by prosecutors and the police have separate instructions. Additionally, in Crime Victim Support Center which is acting in the front line for the protection of criminal victims do not include the police. It is being independently operated under the name of "Victim Protection Committee" however its operation has not been in place. Besides, there are victim supporters, one-stop support centers and Crisis-Intervention Assistance & Response (CARE) are being introduced. However, they do not seem to satisfy the victims expectation. Accordingly, this article tried to analyze the status of protection schemes for victims that the police is currently performing and to find the countermeasures. To achieve the goal, it is emphasized to shift the paradigm of police investigation from "violator-oriented" to "victim-oriented" based on the concept of criminal victims.

      • KCI등재

        회복적 사법의 한계에 대한 고찰

        장규원,윤현석 동아대학교 법학연구소 2012 東亞法學 Vol.- No.57

        People are arguing with each other for plans whenever problems are revealed due to school bullying or excluding. It is problematic that many countermeasures have already been discussed and attempted. Nevertheless, it is indefinitely repeated like the myth of Sisyphus or a Mobius strip. Although the disciplinary magnitude has been strengthened day by day, agonies on what could be the objective foundation for the strengthening have been covered due to the reason that crimes can be reduced. The thoughts of simple utilitarianism to ignore minority for majority have been accepted as if there were answers. Although we know there are many problems, it is difficulty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blems. Would they be problems out of the institutions? Would they be problems out of operations? Would those problems are fragmental or partial if the problems come out of the institutions? Or, would they be fundamental or comprehensive? Would they be external problems or internal problems in the penal and judiciary institutions if they are operational problems?The existing frames and their subsequent performance which have been made over issues called crimes and punishments up to now have been gradually negated with a new competitive paradigm appearing due to the doubt “Would it be good enough for these?” Consequently, a trend in an attempt to consider crimes, criminals and the issue on punishment against them appeared under the name of restorative justice. This essay attempts to deal with the applicability of restorative justice around the new paradigm as its main interest. Often, the traditional criminal laws in response to restorative justice have been discussed as an alternative for the limit of penal sanctions, especially one of the alternatives to be reviewed fundamentally in the juvenile laws. Accordingly, the applicability of thoughts for restorative justice around juvenile laws has been considered from the perspective of its limits. 학교폭력이나 따돌림 등으로 문제가 드러날 때마다 방안을 놓고 사람들은 왈가왈부한다. 문제는 이미 숱한 대응방안이 논의되고 시도되었다는 점이다. 그럼에도 시지포스(Sisyphus)의 신화마냥 뫼비우스 고리마냥 무한반복이다. 처벌의 강도는 날로 강화되는데 그 강화되어야 하는 객관적 근거가 무엇인가에 대한 고민은 범죄를 줄일 수 있다는 이유로 덮어진다. 다수를 위해서 소수는 무시될 수 있다는 단순한 공리주의 생각이 해답인양 받아들여지고 있다. 문제가 많다는 것은 알아도 그 문제의 성격을 분명히 말하기는 힘들다. 제도의 문제일까, 운용의 문제일까? 제도의 문제라면 단편적, 부분적 문제일까, 아니면 근본적, 전체적 문제일까? 운용의 문제라면 형사사법기관 외부의 문제일까, 내부의 문제일까?이제까지 죄와 벌이라는 화두를 놓고 이루어진 기존의 틀과 그에 따른 성과는 “과연 이래도 되는 것인가?” 라는 의구심에 차츰 부정되고, 경쟁적인 새로운 패러다임이 나타난다. 이에 범죄와 범죄자, 그리고 그 처벌의 문제를 새롭게 새겨보자는 흐름이 회복적 사법이라는 이름으로 고개를 내밀었다. 이 글은 새로운 패러다임의 중심에 있는 회복적 사법의 활용 가능성을 주된 관심사로 다루고자 한다. 흔히들 회복적 사법에 대응하여 이야기되는 전통적 형사사법은 형사제재의 한계에 대안으로서 논의되며, 특히 소년사법에서 핵심적으로 검토되는 방안의 하나이다. 이에 따라 소년사법을 중심으로 회복적 사법의 한계를 살펴본다.

      • KCI등재

        경찰의 범죄피해자보호에 관한 패러다임의 전환

        박봉진(Park Bong-Jin) 한국법학회 2011 법학연구 Vol.42 No.-

        그 동안 가해자의 인권을 강조해 온 사회적 분위기로 인해 수사에서 재판에 이르는 형사사법의 절차에서 범죄피해를 입은 피해자의 인권은 상대적으로 소홀하게 다루어져 왔다.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 속에서 경찰에서는 그동안 소홀하게 다루어져 왔던 범죄피해자에 대한 보호와 지원 방안 등에 관하여 체계적인 시스템을 마련하기 위해 각종 제도 등을 시행하고 있으며, 이를 좀 더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경찰청에 전담기구를 설치하고 전문 인력을 배치하는 등 적극적인 변화를 추진하고 있는 중이다. 범죄피해자에 대한 경제적ㆍ사회적 또는 정신적ㆍ심리적 지원이 수사기관에서도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수사기관에서도 경찰수사의 단계는 범죄피해자가 최초로 접하게 되는 형사 절차의 과정으로 피해자의 육체적ㆍ심리적 충격이 가장 큰 단계이기 때문에 피해자보호에 있어서 경찰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범죄와 관련된 1차적ㆍ2차적 피해에 관한 패러다임의 전환이라는 관점에서 접근하여 이를 정당화 할 수 있는 적합한 이론을 도출하고, 아울러 바람직한 경찰의 범죄피해자보호개선방안을 모색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형사절차상 범죄피해자의 권리와 이익을 존중하고 수사절차에서 이중의 피해를 당하지 않도록 피해자의 인권을 보호하는 한편 피해자가 신속히 사회생활에 복귀할 수 있도록 사회 각 분야의 지원체계를 연결함으로써 경제적ㆍ정신적으로 지원하고 형사절차상 권리와 이익을 존중함으로써 피해자의 인권을 보호하는 것은 국가와 사회의 의무이자 경찰의 의무라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is about the Paradigm shift of crime victims protection in police. By analyzing and finding the problems of victim protection system of the police, this study was performed with victim protection system as the center to search for the protect measures. We try to protect and support the crime victims in the investigative institutions and the support centers for crime victims, but these systems are not firmly established due to the lack of understanding about the crime victim protection. As the criminal investigation stage is generally the gate to criminal procedures which the victim may encounter first with biggest physical and psychological shocks, the role of the police is very important in victim protection. This article describes the reactions to the crime-victim protections by the police as mechanisms of Criminal Justice System for the purpose of protecting the victim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iscover an improvement scheme to support the first and second crime victims. The theoretical background is theories on the crime victimization of social minority owing to social power inequality. The postmodernism criminal theory are adequate to explain the crime victimization of social minority. For crime victims protection in police, we must to understand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crime victims protection in police, and to improve them. To this end, this study aims to review the development and the current status of the currently on going protection plans of the police for the criminal victims and a variety of systems and to examine the improvement directions to protect the rights and interests of the criminal victims.

      • KCI등재

        헌법정신과 범죄피해자 보호

        황태정(Hwang, Tae-Jeong) 한국피해자학회 2019 被害者學硏究 Vol.27 No.2

        1987년 개정 헌법이 범죄피해자의 재판절차진술권과 구조청구권에 관한 명문의 규정을 신설하면서 우리나라 범죄피해자 보호·지원 제도는 첫걸음을 내딛게 되었다. 범죄피해자 관련 입법이 전무한 상태에서 내려진 헌법적 결단 이후, 범죄피해자를 보호하기 위한 다양한 입법이 탄생하였고, 범죄피해자 보호·지원 관련 입법은 적어도 양적인 측면에서는 지속적인 성장을 해 온 것으로 평가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적 발전에 의해 형사사법의 패러다임이 피해자 중심으로 선회되었다고 보기는 어려우며, 우리나라 형사절차에서 범죄피해자는 여전히 증인 등 형사절차의 객체 또는 주변인으로서의 지위에 머무르고 있다고 생각된다. 선진 각국의 입법과 비교해볼 때, 사소권, 소송참가권, 변호인조력권 등 형사절차에서의 권리보장이나 적절한 손해전보를 포함한 범죄피해자에 대한 다각적 지원 등 향후 우리나라 범죄피해자 보호·지원 제도가 넘어야 할 산이 아직 많기 때문이다. 이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 아래, 형사사법체계 내에 투영된 피해자의 모습을 통해 우리 헌법과 형사법이 범죄피해자를 어떠한 관점에서 바라보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국가와 국민, 가해자와 피해자라는 다각적 구도 속에서 범죄피해자에 대한 정당한 대우는 어떠한 모습이어야 하는지를 헌법정신의 관점에서 검토해보고자 한다. In modern criminal procedure, crime victims were perceived only as peripheral ones for a long time, even though they were victims of crime. With the establishment of state power and penal rights of state, the main concern of criminal justice was 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ate power maintaining order of the community and criminals who broke the order. The composition of individual infringement of the victim-offender has changed into the composition of public infringement of the state-criminal, and the victims who gave their place to the state are pushed out to the outside of the criminal procedure and turned into peripheral or forgotten ones. In South Korea, various legislations were created to protect crime victims since the constitution stated the rights of crime victims in the late 1980s. Legislation related to crime victims is estimated to have continued to grow, at least in quantitative terms. However, it is hard to say that the paradigm of criminal justice has changed. There are many obstacles to the full protection and support of crime victims, such as strengthening the right of information, expansion of participation rights, and expansion of compensation. In this situation, we need to recall the example of 9th revision of constitution that has made numerous roots and branches by sowing seeds of constitutional determination in the wilderness of relevant legislation. Inductive changes through concrete system improvement are also meaningful, but I think it is time for deductive changes to change the situation in a top-down manner by putting the provisions on victim protection in the Constitution. his is because victim-centered criminal justice is not only a matter of specific institutional improvement but also a paradigm shift involving awareness and will to change.

      • KCI등재

        가정폭력특별법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개선방안 :「가정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을 중심으로

        김용화(Yong-Hua, Kim),정준섭(Joon-Seup, Chung) 이화여자대학교 젠더법학연구소 2020 이화젠더법학 Vol.12 No.1

        가정폭력은 피해자 대부분이 여성이고 가해자 대부분이 남성인 젠더폭력(gender violence)으로,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발생되어 왔음에도 범죄로 인식되지 않았고 단지 여성의 일상적 경험으로 치부되어, 제3자나 공권력이 개입할 여지는 거의 없었다. 가부장제 문화의 한 단면으로 자리매김한 가정폭력은 여성의 삶에 있어 의식주와 같은 생활경험으로, 남성(가장)의 권위 또는 권위에 대한 위협과 관련짓는 엄격한 성역할과 연관되어 왔다. 이러한 가정폭력이 사회문제로 대두되어 법적 제도의 도입 주장이 제기된 지는 불과 40여 년 밖에 되지 않았다. 1970년초, 미국과 독일 등에서 가정폭력을 사적 문제가 아닌 사회문제로 논의하기 시작되었고, 1970년대 중반부터는 유엔 중심으로 가정폭력을 근절하고 예방하기 위한 대안 마련이 국제적 차원`에서 시작되었고, 2020년 현재, 유엔은 각 국가가 전통과 문화로 지칭해 온 가정폭력이 피해자인 여성의 인권침해임을 천명하고, 각 국가에게 가정폭력을 근절하기 위한 입법 및 정책 기준을 마련하여 권고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1997년 12월, 「가정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과 「가정폭력방지 및 피해자보호 등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여, 가정폭력을 범죄로 규정하고 피해자 보호와 범죄예방을 위한 국가적 책무를 정하고 있다. 그러나 가정폭력이 중범죄가 아닌 한, 부부싸움 내지 자녀훈육 등 가정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소한 문제로 인식하는 경향은 「가정폭력특별법」이 제정된 당시나 지금이나 큰 변화는 없다. 이에 본 연구는 현행 「가정폭력처벌법」의 패러다임 전환을 전제로, 가정폭력범죄 행위자에 대한 가중처벌을 중심으로 형사적 처벌을 통한 실질적인 피해자 보호와 범죄예방에 대한 입법개정안을 제시함으로써, 21대 국회에서 이러한 입법개정안을 근거로 「가정폭력처벌법」을 개정함으로써 가정구성원의 인권이 보호되고 평화롭고 안전한 가정이 유지되도록 하는 제도적 보호 장치 마련에 기여하고자 한다. Domestic violence is a gender violence where most of the victims are female and most of the perpetrators are male. Although it has occurred in both East and West, it hasn’t been recognized as a crime and treated as a woman"s everyday experience, leaving little room for third parties or public power to intervene. As of 2020, the United Nations has declared that domestic violence, which each country has referred to as tradition and culture, is a violation of the human rights of women and has recommend each country to establish legislative and policy standards to eradicate domestic violence. In December 1997, Korea enacted the 「Act on Special Cases concerning the Punishment, etc. of Crimes of Domestic Violence」 and the 「Act on the Prevention of Domestic Violence and Victim Protection」, defining domestic violence as a crime and to prescribe national responsibilities for the protection of victims and the prevention of crimes. However, unless domestic violence is a serious crime, there hasn"t been a significant change in the tendency to recognize it as a minor problem that can occur in the family, such as marital quarrel or child discipline since the Special Act on Domestic Violence was enacted. Therefore, this study, on the premise of the paradigm shift of the current Special Act, suggests legislative amendments to practical victim protection and crime prevention through aggravated punishment for domestic violence offenders. And based on this legislative amendment, the 21st National Assembly will be able to revise the Domestic Violence Special Act, thereby contributing to the provision of institutional safeguards to ensure that the human rights of family members are protected and peaceful and the peace and security of the family are maintained.

      • KCI등재

        야콥스 규범이론과 적(敵)형법

        고봉진(Ko, Bong-Jin) 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 2016 圓光法學 Vol.32 No.3

        야콥스는 시민형법과 적형법으로 형법을 나눈다. 테러형법은 적형법의 대표적인 예이 다. 야콥스는 시민형법에서 시민에게만 인격(Person)에 의한 책임 귀속을 묻는다. 야콥스는 고립된 인간개체와의 비교를 통해 사회 속의 ‘인격’을 설명한다. ‘인격’에게는 규범적 기대를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규범효력(Rechtsgeltung)을 유지하고, 규범을 안정 화시킬 수 있다. 하지만 야콥스는 적에게는 인격에 의한 귀속을 묻지 않는다. 적을 인격이 아닌 非인격으로 보기 때문이다. 시민형법은 인격인 시민과 소통을 하려 하지만, 적형 법은 인격이기를 거부하는 적과 소통하지 않고, 적을 위해로 보아 제거하려 한다. 필자에게 야콥스의 적형법은 현대 예방형법의 범주를 벗어나는 새로운 시도로 보인다. 예방형법의 범주를 벗어난 적형법이라는 틀을 통해 예방형법에 부과되는 정당성 심사를 벗어나는 것은 아닌지 궁금하다. 테러입법은 예방형법의 관점에서 그 정당성이 심사되어 야지, 적형법으로 정당화할 것은 아니다. IS 테러처럼 민간인을 대상으로 한 무차별 테러가 벌어지는 현 시점에서 테러형법을 적극적 일반예방을 통해 근거짓는 것이 불가능해 보이지는 않는다. 테러형법의 경우에 한해 테러범의 책임귀속을 적극적 일반예방을 통해 근거짓는 것은 가능해 보인다. 필자 또한 야콥스의 적형법 구상을 규범이론과 귀속이론 차원에서 부정적으로 바라보 고, 다만 테러형법을 ‘예방형법’의 관점에서 정당화할 수 있지 않을까 조심스럽게 전망 했다. ‘예방형법’의 구상은 ‘법치국가 형법’의 예외로서 다루어지기 때문에, ‘법치 국가 형법’이라는 정상과학을 깨뜨리지는 못한다. 필자에게 야콥스의 ‘적형법’은 ‘법 치국가 형법’과는 거의 대등한 지위를 갖는 위치로 올려놓는다는 점에서 형법을 ‘법치 국가 형법’으로 바라보는 정상과학을 깨뜨리는 구상이라고 보여진다. 야콥스의 형법혁명은 성공하지 못했다. 하지만 필자는 야콥스의 ‘적형법’은 규범적으로는 수긍하지 못해도 분석적으로는 나름 의미있는 형법이론이라고 생각한다. Der Begriff ‘Feinstrafrecht’ ist eine vom deutschen Strafrechtler und Rechtsphilosophen Günther Jakobs vorgeschlagene Bezeichnung für ein Strafrecht, das bestimmten Gruppen von Menschen die Bürgerrechte versagt und sie als Feind der Gesellschaft stellt. Bestimmte Straftäter als Feind gelten nicht mehr für den verfassungsrechtliche Garantien. Jakobs sieht das Feindstrafrecht z.B. in der Sicherheitsverwahrung des Täters. Es ist kein Strafrecht im herkömmlichen Sinne, sondern ein von rechtsstaatlichen Bindungen befreites Instrument zur Gefahrenabwehr. Als Gegenbegriff prägt Jakobs den Ausdruck ‘Bürgerstrafrecht’. In diesem Aufsatz versuche ich das Konzept des Feinstrafrechts zu behandeln mit dem kritischen Ansicht zum Jakobs Normtheorie: die Regeln der Gestaltung der Identität der Gesellschaft und personale Zurechnung. Es wird der Vorwurf erhoben, dass Jakobs nicht nur eine rein deskriptiven Analyse des geltenden Strafrechts leistet, sondern zu einer Rechtfertigung dessen gelangt, was es unter ‘Feindstrafrecht’ versteht. Insbesondere das rechtfertigende Elements des Konzepts wird von der Mehrheit der Strafrechtswissenschaftler abgelehnt. Thomas Kuhn beschreibt in seinem Hauptwerk ‘The Structure of Scientific Revolutions’ die Wissenschaft als eine Folge von Phasen der Normalwissenschaft und von wissenschaftlichen Revolutionen. Ein zentrales Konzept ist hierbei das des Paradigmas. Eine Revolution ist nach Kuhn ein Paradigmenwechsel. Am Ende dieses Aufsatzes versuche ich das Feindstrafecht zu analysieren mit den Kuhns Komzepten: normal science, paradigm, theory-ladenness of observ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