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현대도예에서 발생하는 현상학적 공간 연구

        허이서,이하린 한국기초조형학회 2022 기초조형학연구 Vol.23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on the occurrence of phenomenological space is to explains design principles of new space in contemporary ceramics in order to solve the question of how we can perceive, understand, explain, and describe the constantly changing concept of new space in contemporary ceramics. In this process, it aims to present the necessity of progressive theoretical research based on the specificity of ceramics, to suggest directions for interpretation of works, and finally to broaden the basis of expression and appreciation of ceramics.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the phenomenological space that occurs in contemporary ceramics. To explore the new spatial concept and formative expression methods of contemporary ceramics based on Maurice Merleau-Ponty's body phenomenology, we used to reveal the correlation between ceramics and the phenomenological space. By adding Gilles Deleuze's theory of sensation and haptic space concept, it is divided into the perspective of artists who are the subject of expression and viewers who are the subject of acceptance, and separately explains the phenomenological space occurring on both the expression and appreciation of the work. As a case study, the phenomenological space that occurs in contemporary ceramics are divided into two types: occurrence by expression based on physicality and occurrence in haptic space. The results of this study, ceramic art and Merleau-Ponty's phenomenology are based on physical perception in understanding and expressing the essence of the world in common.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the direction of interpretation of works based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eramic art and the phenomenological space is suitable for in-depth understanding and explanation of the new spatial concept of contemporary ceramics. Through this, it is expected that the independent status of ceramic art, which had been blurred by borrowing interpretations from other media, will be restored, and the discussion in this study will serve as a theoretical background to broaden the concept of ceramics in the future production of actual works. 본 연구의 목적은 현대도예에서 끊임없이 변화하는 공간 개념을 우리가 어떻게 지각하고 이해하고 설명하고 기술할 수 있는가에 대한 의문을 해결하기 위해 현상학적 공간의 발생에 대한 연구를 통해 현대도예의 새로운 공간 개념의 독자적인 조형적 원리를 설명하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도예의 특수성에기반한 발전적인 이론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작품 해석의 방향을 제안하며 최종적으로는 도예의표현과 감상의 지반을 넓히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연구의 대상은 현대도예에서 발생하는 현상학적 공간이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현대도예의 새로운 공간 개념과 조형적 표현 방법들을 모리스 메를로퐁티(Maurice Merleau-Ponty)의 신체 현상학에 근거하여 설명하기 위해 도예의 장르적 특수성과 현상학적 공간 간의 상관성을 밝히고 질 들뢰즈(Gilles Deleuze)의 감각론과 촉지적 공간 개념을 더해 작품과 얽혀 있는 표현 주체인 도예가와 수용 주체인 관람자의 입장으로 나누어 작품의 표현과 감상 양측에서 발생하는 현상학적 공간을 구분하여 설명한다. 사례연구는 현대도예에서 발생하는 현상학적 공간을 신체성에 기반한 표현에 의한 발생과 촉지적 공간에서의 발생으로 방식을 나눠 작품에 적용하여세부적으로 분석을 진행해 현대도예 작품 속에서 보이는 현상학적 공간을 구체적으로 기술해 본다. 연구의 결과, 도예와 메를로퐁티의 현상학은 공통적으로 세계의 본질을 파악하고 표현함에 있어 신체적지각을 바탕으로 한다. 따라서 도예의 장르적 특수성과 현상학적 공간의 상관성에 기반을 둔 작품해석의 방향이 현대도예의 새로운 공간 개념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설명하는데 적합함을 확인했다. 이를통해 다른 매체의 해석을 빌려 희미해졌던 현대도예의 독자적인 지위를 회복하고 앞으로 실제 작품의제작에 있어 본 연구에서의 논의가 도예라는 장르의 개념을 넓혀주는 이론적 배경이 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중국현대도예의 일체성과 개방성에 관한 연구 - 1950년 이후 태동기를 중심으로

        이영미 한국도자학회 2016 한국도자학연구 Vol.13 No.2

        The contemporary Chinese ceramics started to develop in unique aspects under the influence of foreign art and industrialization on the inherent concept of craft as the political specificity of the planned economy of socialism and traditions of the ceramic history were converged after the launch of New China in 1949. Specialized art education came to be applied to ceramics, which used to be the subject of artisanship and inheritance,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Central Ceramic Art Institute in 1956. This study discusses a point that the uniform management of the socialist ceramic industry which emerged in the quickening period of the contemporary Chinese ceramics along with contemporary art education and openness toward other genres had a direct impact on the Chinese exclusive specificity of the contemporary Chinese ceramics. Cases in point for analysis include "Reign of Peace(盛世如意)”, the porcelain used for 2014 APEC banquet, and "Mr. Sea(海公子)”, an animation with the appearance of ceramic dolls, which have been spotlighted in the Chinese ceramic circles recently. The contemporary Chinese ceramics is unique in that Chinese distinctiveness came to be formed driven by several factors: the close cooperative ties between artists and the birthplace of porcelain making, which originated from the uniformity in the socialist regime; avant-garde expansion of ceramics as a medium of contemporary art; and the commitment for the restoration of traditional cultures. Against this backdrop, it can be discovered that ceramics of daily usage are included in the contemporary Chinese ceramics, traditional ceramics, industrial ceramics and artistic ceramics have such characteristics as uniformity and openness, and they strike a balance through mutual cooperation. 중국현대도예는 1949년 신중국 출범 이후 사회주의 기획경제라는 정치적 특수성과도자역사의 전통성이 융합되며 본연의 공예적 개념에 해외미술과 산업화에 영향을 받아독특한 양상을 띠면서 발전하게 되었다. 1956년 중앙공예미술학원이 설립되면서 기술과전승 중심이었던 도자공예에 전문적인 미술교육이 본격화된다. 본 연구는 중국현대도예태동기에 형성된 사회주의적 도자업의 일체적 관리와 현대식 미술교육, 타 장르에 대한개방성이 오늘날 중국현대도예의 자국적 특수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논하였다. 그 입증의 단서로 최근 중국 도예계에서 주목을 받았던 2014 APEC 연회자기 “태평성세(盛世如意)”와 도자인형이 출현하는 애니메이션 “바다공자(海公子)”를 분석하였다. 중국현대도예의 두드러진 특징은 사회주의 체제의 일체성에서 비롯된 예술가와 도자산지의 긴밀한 협력체계와 도자의 현대미술 매체로서의 전위적 확장과 전통문화 재건의의지로 중국만의 차별성을 형성하게 된 것이다. 이로써 중국현대도예는 일용도자(日用陶 瓷)가 중국현대도예의 범위에 포함되며 전통공예, 산업도자, 예술도자가 정치제도적 일체성과 개방성의 특수성을 띠며 상호 협력 아래 비교적 균형적 발전을 도모하고 있음을 알수 있다.

      • 경기세계도자비엔날레 국제공모전을 통해 본 현대도예의 특징

        오가영 ( Oh Ga Young ) 이화여자대학교 도예연구소 2017 陶藝硏究 Vol.- No.26

        한국 도자재단이 주최하는 경기세계도자비엔날레 국제공모전(Gyeonggi International Ceramic Biennale International Competition)은 세계적으로 손꼽히는 규모의 도자공모전이다. 2001년부터 2017년까지 총 9차례 걸쳐 진행되었고, 역대 평균 70개국 1,500여명이 참가하여 많게는 305점(2001년), 적게는 89점(2017년)의 작품이 선별 전시되었다. 본 연구는 17년간 축적된 경기세계도자비엔날레 도자공모전의 현황을 정리하고 공모전의 형식과 내용 분석을 시도하였다. 나아가 국제공모전을 통해 동시대 도자 예술의 특성과 경향을 파악해보고자 노력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2001년부터 2017년까지 운영된 국제공모전의 개요를 정리하고 운영 방식을 분석해 보았다. 자료를 검토해 본 결과, 국제공모전 개최 10년을 즈음하여 운영상에 주목할 만한 변화를 읽을 수 있었다. 2001년부터 2009년에 해당하는 전반부에는 공모분야를 생활도자와 조형도자로 구분하고 심사위원 구성에 도자 작가의 비율을 확보하여 도자 고유의 표현 언어 탐구에 집중하는 심사경향을 보였다. 반면, 2011년부터 2017년에 해당하는 후반부에는 공모분야의 구분을 없애고 심사위원 구성에 이론가 및 타 분야 전문가의 비율을 확대하여 도자 외의 표현 언어를 함께 고려하는 경향을 관찰할 수 있었다. 점진적으로 진행된 경향 변화는 현대 도예가 흙이라는 물질문화를 기반으로 다양한 매체와 활발히 소통해 나가는 현상을 반영한 결과로 이해되었다. 공모전의 내용을 파악하는 방법으로는 대상 수상작 분석을 선택하였다. 7점의 국제공모전 대상 수상작은 재료·형태·주제·표현 방식 등의 측면에서 현대 도예의 다양한 특성을 제시해 주었다. 세부 작품 분석을 통해 특정 재료와 기법에서 비롯된 도자 고유의 조형성, 전통적으로 도자예술의 범주가 속했던 공예장르의 특수성, 그리고 여타 다른 미술작품과 공유하는 주제의 동시대성 등을 골고루 살펴볼 수 있었다. 종합적으로 국제공모전의 주최 측은 현대도예의 경향을 파악하여 효율적인 방식으로 공모전의 형식을 마련했고, 세계 각지에서 활동하는 도자 작가들은 다양한 기법과 경향을 지닌 본인의 작품을 통해 공모전의 내용을 구성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따라 경기세계도자비엔날레 국제공모전은 형식과 내용의 상호작용 속에 서서히 변화해왔고 이 같은 변화의 궤적 속에 규정하기 힘든 동시대 도자 예술이 투영되어 왔음을 확인하였다. The Korea Ceramic Foundation organizes the highly prestigious and competitive ceramics competitions, the International Competition of the Gyeonggi International Ceramic Biennale (GICB). Over the years from 2001 throughout 2017, nine iterations of the competition have been held. Each has featured approximately 1,500 participants from 70 countries,and between 89 (2017) and 305 works (2001) have been exhibited.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the GICB International Competition and analyze its format and details through data accumulated over the past 17 years. Moreover, by scrutinizing the nine competitions, it aim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and trends of contemporary ceramic art. Firstly, the outlines are examined and the operating system of the past nine events are analyzed, identifying a notable change in management around ten years into the progression. During its initial period, corresponding to the years from 2001 to 2009, the competition received entries in two categories―ceramics for use: function oriented and ceramics as expression: non-function oriented―and invited a number of ceramic artists to form the jury, therefore demonstrating a tendency towards selecting works that explore the unique vocabulary of ceramics. During the latter period, from 2011 to 2017, the competition discontinued the division of the entries into two categories and expanded the number of theorists and professionals from other disciplines on the jury, resulting in a tendency to incorporate other expressive languages than that of ceramics in the selection of works. These changes in the trend, which occurred in a gradual manner, can be understood as a reflection of the active exchanges between contemporary ceramics and other diverse media, with a basis in the material culture of clay. The contents of the competition are reviewed through an analysis of seven grand prize works, which helps to identify diverse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ceramics including material, form, theme, and expression. Through a detailed analysis of the entries, the study explores the uniqu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ceramics that have derived from its particular materials and methods; the specificity of the craft genre under which ceramic art has traditionally been categorized; and the thematic contemporaneity that is shared with other genres of artworks. Overall, the study reveals that the organizer has established the format of the competition in an efficient manner through an understanding of the trends in contemporary ceramics, and that ceramic artists from different corners of the world have submitted works embodying and demonstrating diverse techniques and tendencies. In this light, the study confirms that the GICB International Competition has gradually developed in connection with the mutual interaction between its format and contents, and that contemporary ceramics, which has been so difficult to define, is reflected in this trajectory of change.

      • KCI등재

        동시대 도예의 장소 특정성 연구

        김예성(Kim, Ye-Sung),김지혜(Kim, Ye-Sung)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21 조형디자인연구 Vol.24 No.2

        역사의 시작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인류사에 등장하는 모든 유형의 도자는 주어진 환경과 장소에 따라 형태와 쓰임이 다른 ‘장소 특정적’ 성격을 지닌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도예의 장소 특정성에 관해 연구함으로써 도예의 영역을 넘어 동시대 미술과 문화로 그 담론을 확장해나가는 동시대 도예의 경향을 이해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장소와 공간에 관한 이론과 장소 특정적 현대도예 작품들을 연구하였다. II 장은 배경 연구로서, 모더니즘의 공간으로부터 동시대 미술에서의 ‘장소성’의 회복까지의 일련의 변화과정을 이 푸 투안(Yi Fu Tuan)의 이론을 대입시켜 설명하고, 권미원의 장소 특정적 미술(Site-Specific Art)의 계보를 기술하였다. Ⅲ 장에서는 포스트모더니즘의 영향 아래 전개된 현대도예에 대한 정리와 함께, 김예성, 이연숙, 야스민 스미스(Yasmin Smith) 등 도예의 언어로 장소 특정적 작업을 활발히 진행하는 국내외 작가들의 최근 작업사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일상과 현실의 장소에서 행해진 장소 특정적 현대도예 작업의 탐구과정을 통해 그 안의 서사들이 도예계를 넘어 우리 사회와 미술 안에서 확장된 담론으로서 기능함을 발견하며 동시대 도예의 새로운 가능성을 가늠하게 한다. From the beginning of history to the present, all types of ceramics appearing in human history have a site-specific character that differs in form and use depending on the given environment and pla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tendency of contemporary ceramics to expand its discourse beyond the realm of ceramics to contemporary art and culture by studying the specificity of the location of these ceramics. To this end, theories about place and space and site-specific contemporary ceramic works were studied. Chapter II is a background study, explaining the changes from the space of modernism to the restoration of the place in contemporary art by substituting the theory of Yi Fu Tuan, and Miwon Kwon s The genealogy of Site-Specific Art was described. In Chapter Ⅲ, along with a summary of the contemporary ceramic art developed under the influence of postmodernism, the recent cases in the language of ceramic or clay works such as Kim, Ye-sung, Lee, Yeon-sook, and Yasmin Smith are analyzed. In this study discovers that the narratives within the ceramic art world function as an expanded discourse within our society and art through the exploration process of site-specific contemporary ceramic works performed in everyday and real places. It allows us to gauge the new possibilities of contemporary ceramics.

      • KCI등재

        중국 현대 도예예술의 문화사적 맥락 연구

        김진비 ( Jin Zhenfei ),정원준 ( Chung Won-jun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23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84 No.-

        도자기는 일상용품과 예술 매체로서 사람들의 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본 연구는 중국의 현대 도예 예술의 발전에 초점을 맞추며, 서양의 현대 도예 예술 개념과의 상호 영향을 탐구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현대 도예 예술의 기원을 회고하고, 서양의 현대 도예 예술이 중국 도자기에 미친 영감을 분석하였다. 중국의 현대 도예 작가들의 작품을 소개함으로써 그 독특한 가치를 드러내고, 현대 도예 예술의 발전을 위한 이론적인 지원을 제공하였다. 결론적으로, 중국의 도예 작가들은 현대 사회와 개인의 감정을 표현하기 위해 독특한 조형 언어를 통해 현대적인 도예를 창조하였으며, 이는 추상성, 표현성 및 자발성의 특징을 지니고 있다. 중국의 현대 도예 발전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전통과 현대의 관계를 인식하고, 동서양의 현대 미술에 대한 미학적 이해를 강조하며, 도예의 비판적 사고를 강화해야 한다. 이러한 관점들은 중국의 현대 도예 예술 발전에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The research focuses on the development of contemporary ceramic art in China, exploring its mutual influence with the concept of contemporary ceramic art in the West. It reflects on the origins of contemporary ceramic art and analyzes the inspiration Western contemporary ceramic art has had on Chinese ceramics. By showcasing the works of contemporary ceramic artists in China, it reveals their unique value and provides theoretical support for the advancement of contemporary ceramic art. In conclusion, Chinese ceramic artists have created modern ceramics with a unique visual language to express the emotions of modern society and individuals. These ceramics possess characteristics of abstraction, expressiveness, and spontaneity.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contemporary ceramics in China, it is important to recognize the relationship between tradition and modernity, emphasize aesthetic understanding of both Eastern and Western contemporary art, and enhance critical thinking in ceramics. These perspectives hold significant meaning for the advancement of contemporary ceramic art in China.

      • KCI등재

        1990년대 이후 한국 현대 분청의 자연성과 공예성의 재해석-화이부동(和而不同)과 대교약졸(大巧若拙)을 중심으로-

        홍지수 한국기초조형학회 2017 기초조형학연구 Vol.18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at what kind of aesthetic qualities and direction Korean contemporary ceramics in Buncheong finds out and creates new expression. Buncheong has been a central expression of the traditional reinterpretation of Korean contemporary ceramics since the 1990s. On the back of the reinterpretation of the Korean contemporary ceramics, there is a fundamental problem of reflection on the indiscreet acceptance of western plastic arts language which was used in Korean ceramics in the 1980s and 1990s, limitations of indianization and creation of Korean ceramics. Since the 1990s, contemporary ceramics has returned to tradition again in order to create a new creation based on contemporary arts. The writers brought nature, freedom, and harmony as qualities of Korean beauty in the context of Korean arts rather than foreign arts and chose Buncheong as the material of reinterpretation and transformation to conform to it. This study is based on the assumption of Huoerbutong(和而不同)’, ‘Daqiaoruozhuoin(大巧若拙)’ as a concept that can capture the naturalness, liberalism, and harmony that are the characteristics and aims of Korean artists, I examined how Korean contemporary ceramics is succeeding and developing with new expression. The study pays attention to the works and the artists who has returned to the traditional Buncheong after striving for plastics arts since the 1990s and achieved their own expressions in terms of plastic arts. The study also shows what they see as the goals and contents to be inherited by Korean contemporary arts, and narrowly, what they are taking in the context of traditional arts and crafts, and looking at new modern arts. The new interpretation of Buncheong in Korean contemporary ceramics from the 1990s has not copied or inherited the visible style of tradition and it perceived, inherited, and developed a new source and temperament behind it, I would like to emphasize that it is an experiment and a challenge to work on a new ceramic plastic arts language. 본 연구는 한국 현대 도예가 전통 분청의 어떤 미적특질을 바탕삼아 새로운 표현을 도모하고 있는지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분청은 1990년대 이후 한국 현대 도예의 전통 재해석의 중요 소재였다. 이러한 한국 현대 도예의 분청 재해석 이면에는 1980~90년대 한국 도예에 일었던 서구 조형언어의 무분별한 수용과 토착화 실패에 대한 반성이 있다. 나아가 이것은 한국 도예의 자생성에 대한 근본적 의문이자 대안찾기이기도 하다. 이를 위해 당대 작가들은 전통의 외양이나 수법 뿐 아니라 그 안에 근본적으로 내재된 정신과 삶의 방식에 주목했다. 특히 현대 도예가들은 옛 분청(粉靑)의 수법과 표현에서 자연성과 자유, 조화로움을 발견하고 이를 한국미술의 보편성이자 미적특질로 상정하였다. 분청은 청자나 백자에 비해 재료, 수법과 표현의 제약이 덜해 자유분방함, 자연스러움의 특질이 더욱 도드라진다. 이것은 자연을 존중하고 재료, 신체, 기술 등의 조율을 통해 자유분방함과 자연스러움을 획득하는 수많은 옛 장인들의 공예적 태도이자 방법이기도하다. 본 연구는 작가들의 인터뷰와 자료 수선을 통해 현대 도예가들이 한국 분청의 특질인 자연스러움, 자유분방함, 조화로움 등을 어떻게 자신의 작업에 이입하고 승화시키고 있는지 파악한다. 이들은 옛 장인들과 마찬가지로 자연 존중과 융합을 전제로 한 공예적 태도를 여전히 중시하고 있으며, 형태와 장식의 자연에 준한 조화로움과 자연스러움을 목표로 하되 그 속에서 자신의 개성을 드러내고자 노력하고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전통분청에 이어 현대분청으로 계승되어 온 조형정신을 화이부동(和而不同)과 대교약졸(大巧若拙)로 상정하였다. 이것을 1980년대와 90년대 초 설치, 비소성 등 서구 조형방식에 매진하다 1990년대 이후 전통 분청으로 회귀하여 조형예술의 견지에서 독자적 표현을 성취한 작가와 작품들에서 확인한다. 종당 이들이 지닌 예술적 목표와 콘텐츠는 무엇이며, 나아가 전통 분청과 공예의 문맥에서 무엇을 취해 새로운 현대 미술로 견인하고 있는지 분석한다. 이로서 1990년대 이후 한국 현대 도예의 전통 분청의 재해석이 단지 전통의 모방이나 복원이 아닌 전통에 담긴 근원과 기질을 감지하고 계승, 발전시켜 우리 시대만이 표출 가능한 새로운 도자조형언어를 창출하는 새로운 조형/공예 행위라는 점을 강조하고자 한다.

      • 한국 현대도예와 이화여자대학교(梨花女子大學校) : 전통도자의 현대적 재해석과 조형도자에 대한 모색

        엄승희 ( Seunghui Eom ) 이화여자대학교 도예연구소 2020 陶藝硏究 Vol.- No.29

        한국의 현대도예는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된 이후 점진적으로 그 형태를 갖추게 되었다. 격동기를 겪은 이후 체계적인 문화정책과 현대화를 위한 문화예술계의 타율적인 조화는 전통의 올바른 계승과 고형도자의 수용이라는 이분화 된 맥락 속에서 점진적으로 전개되었다. 특히1960년대 전반까지도 전통도자는 전승의 대상을 넘어 창작의 주요 영역으로 인정하는 양상이 만연하였고, 이화여대는 관련 교육을 도입하며 올바른 도예교육을 지향하고자 하였다. 즉 1959년 한국 대학에서는 최초로 전통도자의 현대화와 계승의 중요성을 인지하면서 관련 도예교육을 시작한 이화여대는 당시의 시기적 요구에 적극 부흥하였다. 특히 이화의 도예교육은 1960~70년대 전통을 강조하는 국가정책과 관련 사업에 주목하면서도 전통의 의미부여를 다양한 각도에서 재조명하는데 주력하였다. 초대 교육자로서 황종구교수가 부임하면서 청자를 비롯한 각종 전통자기에 대한 과학적인 실험과 재현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졌고, 이를 바탕으로 현대적인 감각과 조형에 대한 탐구를 위한 교육과정 및 연구가 이루어진 것이다. 1970년대 중반 이후, 급격한 도예 인구의 증가로 현대도예계는 이전과 다른 구조를 갖추게 되었으며, 특히 조형도자의 수용은 기존 도예문화를 변화시키기에 충만했다. 이화의 교육은 이 같은 흐름을 포괄하면서 한면으로는 기존의 교육을 유지하는 가운데 현대도예의 발전과 비전을 지속적으로 제시하였다. 따라서 1959년부터 시작된 이화여대의 도예교육과 연구는 한국의 전통성과 현대성을 결합, 융화하는 가운데 거듭나며 오늘에 이르렀고, 향후에도 이와 같은 도예문화를 확장하여 한국 도예의 발전에 기여할 것이다. Korea's Modern Ceramic gradually took its form after the Korean government was established. After the turbulent period, the systematic cultural policy and the harmonious harmonization of the cultural and art world for modernization gradually developed in the dichotomous context of the correct succession of tradition and the acceptance of formative ceramics. In particular, even in the early 1960s, traditional ceramics were recognized as a major area of creation beyond the object of tradition, and Ewha Womans University tried to aim for correct pottery education by introducing related education. In other words, Ewha Womans University, which first started teaching related pottery in 1959,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modernization and succession of traditional ceramics, actively revived the needs of the time. In particular, Ewha's ceramic education focused on national policy and related projects that emphasized the traditions of the 1960s and 1970s, while focusing on rethinking the meaning of traditions from various angles. As the first educator, Professor HwangJong-gu(황종구) was appointed as a first-time educator, and scientific experiments and representations were successfully performed on celadon and various other traditional ceramics. Since the mid 1970s, the rapid increase in the pottery population has resulted in a structure different from that of the modern ceramic art industry. In particular, the acceptance of formative ceramics was sufficient to change the existing ceramic culture. Ewha's education encompassed this trend and, on the other hand, maintained the existing education and continuously presented the development and vision of Modem Ceramic Art. Therefore, ceramic education and research at Ewha Womans University, which started in 1959, has been reborn as a combination of Korean tradition and modernity, and will continue today, and will continue to expand this pottery culture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Korean Ceramic.

      • 현대도자에 나타난 연극성 (theatricality) 연구

        이윤희 이화여자대학교 도예연구소 2023 陶藝硏究 Vol.- No.32

        최근 여러 예술이 통합되고 설치, 미디어등 표현의 방식이 전례 없이 다양해지고 있다. 현대 미술이다양해지고 각 장르들의 통합으로 발전하는 양상은 시대적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예술사에서 미술이분리되기 시작한 것은 얼마 되지 않았다. 18-19세기를 지나며 미술은 공간예술로 정의되며 시간예술인문학이나 연극과 엄격히 구분되었다. 그러나 20세기 중반 이후 각 매체가 서로 긴밀한 관계를 가지며 점점 구분이 모호해졌고 모더니스트들로부터 배격 당해 온 연극성이 포스트모더니즘 시기에는 강조되었다. 이는 미술에 대한 지각을 정적이고 시각적인 것에서 유동적이고 체험적인 것으로 나아가게 하였다.본 연구는 현대미술 안에서 연극성의 개념을 살펴보고 현대도자 안에서 발견되는 연극성에 대해 연구하여, 현대도자의 표현의 다양성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Ⅱ장 1절에서 미술사적맥락에서 미술과 연극성의 개념이 역사적으로 어떻게 변천되었는지 고대 그리스, 르네상스, 바로크, 모더니즘을 거처 동시대에 이르기까지 연극성을 고찰한다. 2절에서 현대의 작가들은 어떠한 방법으로 연극성에 대해 전개해나가는지 알아보았다. Ⅲ장에서 연극성을 통한 주요 도예가들의 표현을 분석함으로써 오늘날 현대도자에서 어떻게 작가들이 연극성을 이해하고 있으며 그를 통해 어떤 의미를 창출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상의 연구 과정을 통해 고대부터 지금까지 연극성의 개념은 연극과 미술 속에서 서로 영향을 주고 받으며 의미가 변하고 또한 다양화되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17세기 바로크 미술에 나타났던 연극성은환영적인 면모를 뜻하였으나 현대 미술에서의 연극성은 실제 시・공간을 인지하는 것을 뜻하는 것에 가까워졌다.조각과 연극의 관계는 점점 통합적으로 변하고 있다. 조각이 연극의 배우들처럼 연출되기도 하고 연극의 배우들이 조각처럼 연출되기도 하는 등 밀접한 관계성을 찾을 수 있었다. 또한 과거의 연극과 미술의 시・공간은 뚜렷이 구분이 되었지만 포스트모더니즘의 영향으로 미술과 연극의 구분이 모호해지면서 예술장르가 점차 통합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공간 안에서 구성되는 조각은 관람자에게 시간적, 신체적 경험을 부여함으로써 조각의 영역을 확장시킨다. 도자예술로 재해석된 연극성은 현대에 맞게 연출방식을 표현하여 새로운 연극성을 완성하는 것을 볼 수 있다. 현대조각에서의 연극성을 적용한다면 현대도자의 의미와 표현방법은 더욱 다양해지고 확장될 것이라고 기대한다. 그리고 현대미술은 점점 관람자와의 심미적이고 관계적인 시・공간이 중요해지고있다. 앞으로 전시연출에 있어 기존의 형식에 벗어나 작품과 관람자 사이의 시・공간에 대해 생각해보아야할 것이다. Recently, various forms of art have been converging and diversifying in unprecedented ways, incorporating installation, media, and other modes of expression. The trend of contemporary art diversifying and evolving through the integration of various genres can be considered a reflection of the spirit of the times. The separation of art from other forms of expression is a relatively recent development in art history. It was not until the 18th and 19th centuries that art began to be defined primarily as a spatial medium, distinct from the temporal arts such as literature and theater, marking a clear distinction between them. However, starting from the mid-20th century, various artistic mediums began to establish close relationships with each other, and the boundaries between them gradually became more ambiguous. The theatricality that had been marginalized by modernists gained prominence during the postmodernist era. This shift transformed the perception of art from something static and visual to something dynamic and experiential. Therefore, it is considered meaningful to examine the theatrical tendencies that arise during the process of breaking down boundaries between genres and integration. By exploring the artistic concept of "theatricality" and researching the presence of theatricality within contemporary ceramics it becomes possible to look at contemporary ceramics from a new perspectiv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is structured as follows. In Section 1 of Chapter Ⅱ, the historical evolution of the concepts of art and theatricality within the art historical context is examined, tracing their development from ancient Greece through the Renaissance, Baroque period, and Modernism, ultimately reaching the contemporary era. In Section 2, an investigation was conducted into the methods contemporary arts employ to develop and expand upon the concept of theatricality. In Chapter Ⅲ, an analysis of the expressions of theatricality by prominent ceramic artists was conducted. The goal was to understand how contemporary ceramic artists comprehend theatricality in the current context and to examine the meanings generated through their artistic expressions within the realm of modern ceramics. Through the research procedures outlined above,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concept of theatricality, from ancient times to the present, has undergone a transformation and diversification, influenced by and influencing both theater and visual arts. The theatricality evident in Baroque art of the 17th century, for instance, conveyed a welcoming aspect, whereas in contemporary art, theatricality has become closer to signifying the perception of actual time and space.The relationship between sculpture and theater is progressively evolving towards greater integration. Sculpture is sometimes directed like actors in a play, and actors in theater productions are also directed in ways akin to sculpture, highlighting a close and interrelated dynamic. Furthermore, while in the past, the realms of time and space between theater and visual art were distinctly separated, the influence of postmodernism has blurred the boundaries between them, leading to the gradual integration of artistic genres. Sculptures constructed within a given space extend the realm of sculpture by endowing viewers with temporal and physical experiences within that space.Reinterpreted theatricality through ceramic art can be seen as a way to express contemporary directing methods, thereby creating a new form of theatricality. Applying theatricality from contemporary sculpture to ceramics is expected to diversify and expand the meaning and expression methods within contemporary ceramics. Furthermore, in contemporary art, the aesthetic and relational aspects of time and space with the audience are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In the future, when curating exhibitions, it will be necessary to think beyond traditional formats and consider the temporal and spatial relationship between the artwork and the viewer.

      • KCI등재

        한국현대도예의 회화적 표현에 관한 연구

        이영미,정희승 사단법인 한국조형디자인협회 2022 조형디자인연구 Vol.25 No.3

        Today, the pictorial expression of modern ceramics plays a role as a major expression method to secure the uniqueness of ceramics and to express the artist's formative language. Ceramic paintings developed in the history of decorations and patterns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ceramics as pure art by revealing various themes due to the 1880s art movement, artists' participation in ceramic works, and the influence of modern ceramics in the 1950s. On the other hand, the pictorial expression of Korean modern ceramics has a difference that it began in the direction of inheriting traditional techniques and reinterpreting them in a modern wa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evelopment of pictorial expressions of Korean ceramics today, starting with the beginning of modern Korean ceramics. Korean ceramics, which had a weak history of colored porcelain, have attempted to use various color glazes since the 1970s, and were first fascinated by the free expression of the Buncheong techniques. Since sculptural ceramic of contemporary American ceramics have become popular, the three-dimensional ceramics, in which three-dimensional and flat surfaces are harmonized, have emerged strongly after the 1990s. After the 2000s, with the rise of European modern art, ceramic painting that contained messages of the times in the style of traditional ceramics, an oriental medium, developed into a style. At the same time, it reflects the critical recognition of nature and life faced by the present era, and is paying attention to the essence of ceramics such as soil, glaze combination, and firing temperature. Likewise, the pictorial expression of Korean contemporary ceramics rapidly reflects the needs of modern art and the era, and is steadily changing based on the material and historical specificity of ceramics. 오늘날 현대도예의 회화적 표현은 도자가 지닌 고유성을 확보하고, 작가의 조형언어를 표출하기 위한 주요한 표현 방법으로 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장식과 문양의 역사 안에서 발전해온 도자회화는 1880년대 미술공예운동, 예술가들의 도자작품 참여, 1950년대 미국현대도예의 탈공예적, 표현주의적 도자의 영향으로 다양한 주제를 드러내며 도자가 순수 예술로서 발전하는 데 이바지하였다. 한편 한국현대도예의 회화적 표현은 전통기법을 계승하고 이를 현대적 재해석하는 방향에서 시작되었다는 차이점을 지닌다. 본 연구는 한국현대도예의 태동을 시작으로 오늘날 한국도예의 회화적 표현 전개양상을 고찰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채색자기 역사가 미약했던 한국도자는 1970년대부터 다양한 색유 도자회화에 대한 시도를 하였으며, 분청기법의 자유로운 회화성에 먼저 매료되었다. 이후 미국현대도예의 도자조형이 유행하며 입체와 평면이 조화를 이루는 입체도자회화가 1990년대부터 강하게 나타난다. 2000년 이후에는 유럽 현대미술의 부상으로 동양적 매체인 전통도자의 양식에 시대적 메시지를 담는 도자회화가 하나의 양식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동시에 현시대가 직면한 자연과 생명의 문제의식을 반영하며 흙, 유약의 배합, 소성 온도 등 도자의 본질성에 주목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한국현대도예의 회화적 표현은 현대미술과 시대의 요구를 빠르게 반영하며 도자의 재료적, 역사적 특수성을 토대로 꾸준히 변화하고 있다.

      • KCI등재후보

        Study on Contemporary Ceramics under the context of Globalization through Structuralism

        Gao, Xue-Wen,김병율 한국도자학회 2020 한국도자학연구 Vol.17 No.1

        In the 21st century, globalization has already surged every corner of the world. As a result, the word "Contemporary Ceramics" has taken the position of "Ceramics" when describing clay objects. If Contemporary Ceramic can be categorized as one branch of Contemporary art, then it is extremely important to understand the essence of Contemporary Art. Contemporary art refers to works developed after 1960 that emphasize humanities and have a certain impact on society. This paper uses the Structuralism method approach to integrate the above-mentioned prerequisites and constructs four structures to make how globalization relates to Contemporary Ceramics, then applies those four structures to Contemporary Ceramic works which satisfied above prerequisites. Through further analysis, it is confirmed that structures as such are applicable to Contemporary Ceramics. And finally draws corresponding practical conclus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