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분절된 시간: 동시대성에 대한 미디어 고고학적 이해

        김희영 서양미술사학회 2018 서양미술사학회논문집 Vol.48 No.-

        This paper contends that some critical discourses on contemporaneity and media archaeology resonate with each other in their challenges to the convention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while seeking the new role and the mode of existence of art in the contemporary social, cultural, political, economic, technological environment. It also examines the artistic practices based on the media-archaeological methodology. A reflection on contemporaneity is conducive to a critical view on the way we understand the present. It refuses the teleological and linear history, which places the present between the past and the future in a homogeneous time. It suggests a new vision for the future based on a reconsideration of the past and the present. Media archaeological methodology can be extended to artistic practices, in which the past media is excavated and resurrected in contemporary media culture in a creative manner. Critical discourses on contemporaneity and media archaeology reveal the differences and conflicts in contemporaneity. The two share the philosophical, historical, existential reflection on the human presence, while criticizing the conventional method of history writing. Parallel to each other, the two areas would continue to compliment each other without erasing their differences. 본 논문은 동시대의 사회, 문화, 정치, 경제, 기술적인 환경 안에서 새롭게 요구되는 예술의 역할과 존재 방식에 대해 성찰하는 동시대 미술 담론과 미디어 고고학 간의 공유 지점을 고찰하고, 이에근거하여 미디어 고고학의 예술적 실행 가능성에 대하여 논의한다. ‘동시대성’에 대한 두 영역의 논의가 ‘현재’에 대한 급진적인 이해를 제시하고 진보적인 역사관을 재고하는 점에 있어서 비견됨을 살펴본다. 동시대에 대한 성찰은 현재를 이해하는 비판적인 시각이다. 즉, 목적론적이고 선형적인 발전사관에 입각하여 현재를 과거에서 미래로 이어지는 균일한 시간으로 보는 것을 거부하고, 과거와 현재의관계를 재고함으로써 미래에 대한 새로운 전망을 제안한다. 현재에 대한 성찰에 근거한 미디어 고고학은 과거의 미디어를 발굴하여 동시대의 미디어 문화 안에서 창의적으로 소생시키는 예술적인 실행의태도에 밀접하게 연계된 유용한 방법론을 제시한다. 동시대성에 대한 담론과 미디어 고고학은 차이와모순 안에 존재하는 동시대성의 다층적인 측면을 드러내는 진보적인 성찰로서 공존한다. 동시대에 대한 두 영역에서의 성찰은 전통적인 역사기술방식을 비판적으로 재고하며 인간 현존에 대한 철학적, 역사적, 존재론적인 성찰을 공유한다. 평행선상에서 전개되는 두 영역은 서로의 차이를 상쇄하지 않으면서 지속적으로 서로를 보완할 것으로 전망한다.

      • KCI등재

        오에 겐자부로(大江健三郎) 『M/T와 숲의 신비한 이야기』 - 번역으로서의 다시쓰기와 이언어 간 다시쓰기로서의 번역 -

        심수경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연구소 2022 日本硏究 Vol.- No.91

        “M/T”(M/T and the Narrative About the Marvels of the Forest) is a work that was criticized for the difficulty of “The Game of Contemporaneity” and was written to overcome it. In this paper, I argued tha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translation defined by Roman Jakobson, the rewritten “M/T” of “The Game of Contemporaneity” can be seen as a translation of “The Game of Contemporaneity”. In “The Game of Contemporaneity”, the tradition of the valley village is told through a formal-educated knowledge and history expert in the field of reason, but in “M/T” it has nothing to do with knowledge or reason. It has been rewritten into a story written by a person trained with nostalgic feelings and emotions. This can be seen as a kind of translation, and it can be said that this translation description has overcome the difficulty of “The Game of Contemporaneity” to some extent. On the other hand, M/Ts of various phases have appeared in “M/T”, and both works also function as M/Ts. “M/T” and “The Game of Contemporaneity” exist as independent texts. However, just as M and T were independent figures in “M/T”, but they could do something together at the same time, these two works are also related to M/T as a novel. In other words, although each of these works is an individual text, it functions as a context for understanding each other’s works, and it seems that the range of interpretation or appreciation of the text can be expanded. It works similarly for translations between languages ​​and is considered to serve as a valid context.

      • KCI등재

        2000년대 이후 현대미술의 동시대성

        김수정(Kim, Soo-Jung)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18 조형디자인연구 Vol.21 No.2

        니꼴라 부리요는 1990년대 이후의 미술이 기존의 모더니즘이나 포스트모더니즘의 전략들로는 설명되기 힘든 부분이 있음을 인식하고 동시대미술에 대해 규정하고자 한다. 본고에서는 먼저 동시대 시점구분에 있어서 부리요가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해 질 들뢰즈(Deleuze, G.)가 말하는 이접적인(disjunction) 관계라고 접근하고 있음을 인식하고 동시대를 포스트모더니즘과 연결된 정체된 상태라 보는 진영과는 다르다는 점을 분석했다. 그리고 전 세계적 시간과 공간의 차이, 그리고 그 다양성들 때문에 시기적 구분보다는 담론적(discursive)인 접근이 우세함을 논하였다. 이러한 동시대를 규정하기 위한 시도들 중 부리요의 담론이 어떠한 의의를 갖는지에 대해 연구하기 위해 첫째, ‘관계의 미학(Esthétique relationnelle)’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며 이론을 개진함을 살펴본 후 관계의 미학적 유형의 정당성을 부여하기 위해 논의한 학자들의 주요 개념에 대해 검토하고 둘째, 클레어 비숍(Bishop, C.)이 에르네스토 라클라우(Laclau, E.)와 샹탈 무프(Mouffe, C.)에 따라 민주적이지 않음을 시사한 것, 자크 랑시에르(Rancière, J.)의 논의를 통해 관계의 미학이 ‘비판적 예술’의 담론에 대한 일치와 불일치적인 면을 드러낸 것을 통해 동시대를 포괄하기에는 제한적임을 논의하고 셋째, ‘포스트프로덕션(Postproduction)’ 이론을 동시대 다른 담론과 함께 검토했다. 부리요는 동시대성을 논하고자 작품들의 공통성을 찾기 위해 제작방식을 분석하는데 그 주요 용어인 ‘포스트프로덕션’이 어떻게 동시대의 여러 현상들을 대변하는지 알아보는데 주력했고 그에 따른 작가들을 분석했다. 본고에서는 ‘포스트프로덕션’이 동시대미술이 테크놀로지의 변화를 인식하며 동시대성이라는 함의를 지니는 점에서 하나의 중요한 전략임을 논증하겠다. Nicolas Bourriaud recognizes that the art since 1990 can not be explained by the strategies of modernism or postmodernism, and defines contemporary art. In this article, we first analyzed the fact that Bourriaud approached postmodernism as the disjunction of Gilles Deleuze in contemporary time segment, and that it is different from the faction that regards the contemporaries as stagnant state connected with postmodernism. And the discursive approach is more prevalent than the time segment because of the difference of time and space in the world and their diversity. In order to study what significance Bourriaud s discourse has had in attempting to define the contemporary First, The use of the term Esthétique relationnelle was used to examine the concept of the theory, and then the major concepts of scholars discussed in order to give legitimacy to the relationship Esthétique type were examined, Second, Claire Bishop s suggestion that it is not democratic in accordance with Ernesto Laclau and Chantal Mouffe, and Jacques Rancière s discussion that the relationship aesthetics is a consensus on the discourse of critical art , Third, discussed the postproduction theory with contemporary discourses. In order to discuss contemporaneity, Bourriaud analyzed the production method in order to find commonality of his works. He focused on finding out how postproduction represents the contemporary phenomena, and analyzed the writers accordingly. In this article, I will argue that postproduction is an important strategy in that contemporary art recognizes the change of technology and implies contemporaneity.

      • KCI등재

        텔레비전 드라마에 있어 민속의 재현 문제

        염원희 실천민속학회 2012 실천민속학연구 Vol.20 No.-

        Folklore is a set of daily practices which has been shared by people since old times and a drama, on the other hand, is a story based on daily lives of people who are living in the present. This study shows a deep consideration on the reproduction of folklore by using television drama, which is the most popular media to the public, as a way of acquiring the contemporaneity. The folklore revived and shared through television could be another form of folklore of the current time. Hence, taking a look at how folklore is reproduced in television dramas and how the public reacts is very important and that allows us to think about the meaning and value of folklore in the current time. This study examined four recently broadcasted dramas, <Life Is Beautiful>(2010), <Sungkyunkwan Scandal>(2010), <New Tales of Gisaeng> (2011), and <The Moon Embracing the Sun>(2012), to identify how these four dramas reproduce folklore. And the study also surveyed how the viewers react to folklore in the dramas by analyzing viewers’ comments. Based on the examination, the study looked into the role of folklore contents in dramas, considering ‘temporality’ and ‘effectiveness’. At last, the study recommended some adequate ways of the reproduction of folklore in drama. The reproduction of folklore in mass media should have the practical goal that folklore should have positive effects on people living today. It is because folklore is a study dealing with people’s daily lives. The reproduction of folklore is not just to show us what happened in the past, but play a certain role, separate from the past, to contribute to lives of people in the present. Folklore should acquire the vitality based on contemporaneity. And television dramas can be an important tool for folklore to obtain the vitality. 민속은 예전부터 사람들에게 회자되고 유행했던 생활 습관이고, 드라마는 현재를 살아가는 사람들의 삶의 모습을 바탕으로 전개되는 이야기이다. 본고에서는 민속이 현재성을 획득할 수 있는 한 가지 방법으로 가장 대중적인 매체인 텔레비전 드라마를 통해 민속의 재현에 대해 고민하였다. 텔레비전을 통해 재현되고 향유되는 민속은 우리시대 또 다른 형태의 민속일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지극히 대중적인 매체인 텔레비전 드라마에서 민속이 어떻게 재현되었는지 그 양상을 확인하고, 이에 대한 대중의 반응을 살펴보는 것은 현시대에 있어 민속의 의미와 가치를 고민할 수 있는 중요한 작업이다. 본고에서는 비교적 최근 방영된 드라마 <인생은 아름다워>, <성균관 스캔들>, <신기생뎐>, <해를 품은 달>을 대상으로 민속이 재현된 양상을 살펴보고, 재현된 민속에 대한 시청자의 의견을 각 드라마의 시청자 게시판을 대상으로 조사하여 그 반응을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시간성’과 ‘효과성’을 기준으로 드라마에 있어 민속콘텐츠의 기능을 살펴보았다. 끝으로 민속이 드라마에서 재현되는 데 있어 바람직한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대중매체에서 민속의 재현은 ‘현대인의 생활에서 긍정적 역할을 할 것’이라는 실용적인 목표를 가져야 한다. 그 이유는 민속이 ‘구체적인 삶을 다루는 학문’이기 때문이다. 과거를 되새기기 위해 재현되는 것이 아니라, 과거와 분리되어 그 나름으로 생명력을 얻기 위해서는 현대인의 삶에서 구체적으로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 고민해 보아야 한다. 민속은 ‘현재성’을 바탕으로 ‘생명력’을 획득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그 ‘생명력’의 획득에 텔레비전 드라마는 중요한 수단이 될 수 있다.

      • 주변부 모더니즘과 분열적 위치의 기억

        신형기(Shin Hyung-Ki)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09 로컬리티 인문학 Vol.0 No.2

        이 글의 목적은 주변부가 분열의 장소임을 밝히고 주변부 모더니즘 소설 텍스트를 통해 분열적 위치의 기억을 읽으려는 것이다. 주변부 모더니즘은 지구적 당대성을 호흡하려 했다. 모든 것을 바꾸어 가는 모더니티의 시간은 그것의 주제였다. 그러나 주변부에서 당대성은 역설적이게도 잔존하는 과거를 의식하지 않을 수 없게 하는 것이었다. 모더니티의 시간이 지역적 과거와 불균등하게 공존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모더니티를 주목한 주변부 모더니즘은 당대성과 파열된 과거의 불균등한 공존이 일으키는 소란을 또한 기록하지 않을 수 없었다. 이 글에서는 모더니즘 문학의 위상을 민족주의 문학이나 프롤레타리아 문학과의 비교를 통해 드러내려 했다. 주변부에서 주권을 획득하려는 기도가 ‘향수’의 메커니즘에 빠지고 만 경우들을 설명함으로써, 식민지 시대의 민족주의 문학이나 프롤레타리아 문학으로부터 주변부 모더니즘 문학을 차별화했다. 모더니즘 문학의 의미는 모더니티와의 관련을 통해 논의되어야 할 것이었다. 그렇기 때문에 주변부라는 분열적인 위치에서 포착되고 이해된 모더니티의 모습에 대해서도 간략히 언급했다. 나아가 이 글에서는 모더니즘 소설텍스트들이 그려낸 불균등성의 소란들, 특히 모더니티-지구적 당대성이 폭력적으로 관철되는 과정에서 초래되었던 ‘비극’들을 읽는 독법을 문제시했다. 과연 이 비극들이 주변부의 원한을 상기시키는 것이었던가 하는 물음이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는 모더니티의 관철에 따른 혼종화의 의미와 가능성을 고찰했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make clear that the periphery was a dislocated place and to read the memory of dislocated place through the texts of modernism novels on the periphery. modernism on the periphery attempted to absorb global contemporaneity. This was the task of the temporality of modernity which changed everything in its path. However, paradoxically, contemporaneity could not avoid bringing with it an apprehension of that past in the periphery that still remained. This is because the temporality of modernity co-existed unequally with the local past. Further, modernism on the periphery, which was cognizant of modernity, could not help but record the disturbance brought about by the unequal co-existence of contemporaneity and the fractured past. In this study, I tried to explain the status of modernism literature through a comparison of nationalist or proletarian literature. And I tried to differentiate modernism from nationalist or proletarian literature by showing that the attempt to appropriate sovereignty in the periphery run into the mechanism of "nostalgia". I think the significance of modernism literature must be discussed in the context of modernity. It is for that reason that I feel that some mention must be made of modernity as it is apprehended in the dislocated site of the periphery. Another thing I wish to discuss in this paper is the practice of reading as "tragic" the trouble caused by uneveness as described in modernism texts, especially the violent process of arriving at modernity and global contemporaneity. Such tragedies generally consist of readings which draw attention to the enmity carried by those on the periphery. There is a need to examine whether such readings are appropriate. This will be followed by a discussion of the significance of the hybridity brought about by the advent of modernity and the possibilities it created.

      • KCI등재

        역사동화에 나타나는 ‘우리’의 특성과 미래적 상상력

        김지연,박성애 한국아동문학학회 2024 한국아동문학연구 Vol.- No.48

        In historical fairy tales, writers reconstruct historical events from the current perspective, revealing contemporaneity and suggesting future directions to child readers. The way writers perceive the current state of our society and their perspectives on it hold significant meaning. This paper focuses on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our community revealed in historical fairy tales to explore their contemporaneity. It also contemplates the direction we should take. To achieve this, three historical fairy tales-Kim, Nam-jung's The Child Who Became a Spy, Han, Yoon-seop's The Child Conveying the Letter, and Jo, Kyung-suk's Hong Yi, Son of the Independence Army-are analyzed. Despite different temporal and spatial backgrounds, these works share a commonality in portraying narratives centered around child characters facing threats to survival amid intense conflicts between the existing nation and external forces. The child characters, deprived of proper family care, inevitably focus on their own survival. However, they undergo growth by experiencing various events and move towards imagining and experiencing the expanded reasoning of 'us' as a community. The community elicits sublime emotions while simultaneously serving as a community that helps sustain the life of the child, the most victimized existence. What writers depict as a community named 'us' is a solidarity that freely communicates in an egalitarian and democratic manner regardless of status, age, or gender, avoiding objectification of each other. A non-authoritarian and non-violent leader who does not impose only one-sided messages is suitable for this 'us'. Such characteristics of 'us' are imbued with contemporaneity, as writers reconstruct past events through them and suggest the direction our community should take by conveying them to child readers. Historical fairy tales is written with the future-oriented time and community of child readers more open to the future than adults. Through carefully analyzing, selecting, and concreti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munity called 'us' as virtuality, the writers want that it will continue into the future with child readers.

      • KCI등재

        한국 창작음악의 전개에서 나타난 국악의 배치와 의미

        윤혜진 ( Yoon Hye-jin ) 한국음악사학회 2017 한국음악사학보 Vol.59 No.-

        한국의 창작음악 논의에서 국악은 때로는 과거 전통음악으로, 때로는 관련된 요소로, 그리고 때로는 한국음악으로 여겨진다. 각 구도에서 국악은 시대인식, 양악과의 대립적 구도, 창작행위, 개인, 국가와 공동체문화 등의 다양한 견지에서 다르게 배치된다. 이 글은 한국의 창작음악에서 국악이 어떠한 견지와 맥락으로 배치되어 인식되는 지를 살펴봄으로써 창작음악에 관한 관점을 확장하고자 한다. 한국문화에서 국악은 제한된 범주인 동시에 열린 범주이다. 국악은 양악에 대별되는 범주로서 과거의 음악으로 제한되기도 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한국의 정체성을 담고 있는 우리음악으로서 미래로 열려 있기도 하다. 국악이 제한됨과 열림의 역설적 구도를 지니는 데에는 우리음악의 전통과 시대성 논의에서 국악에 대한 관점과 구도가 명확하지 않았던 배경이 있다. 한국 창작음악의 논의에서 창작국악과 창작양악에 대한 시각은 양악 중심의 사고에 매몰되어있다. 음악의 정체성 문제에 있어서 양악은 한국의 음악으로서 정체성 논의의 대상이 되지 않았고 창작에서 사용되는 도구는 양악의 범주에 둠으로써 양악창작이 아닌 국악창작은 국악의 정체성과 양악적 서구화라는 시각으로 투영되었다. 한국의 창작음악 전개에서 창작국악만이 아닌 전체 창작음악을 조망하려면 국악·양악·창작의 구도를 세심하게 볼 필요가 있다. 국악은 선율적 재료로 사용되기도 하고 특정 기법이 음향적 구조로 활용되기도 하며 관련된 개념이 음악적 구성의 이디엄이 되기도 한다. 소리에서부터 개념까지 창작음악에서의 국악은 창작을 위한 구체적인 요소로부터 추상적인 요소까지 광범위하게 활용되거나 해석된다. 창작음악에서 국악기의 사용과 국악적 요소들과 관련된 개념 등은 전통, 시대성, 현대성, 그리고 민족성과 같은 담론에서 국악을 어떻게 배치하는 지 따라 음악적 활용과 해석이 달라진다. 현재 한국문화에서 창작음악을 음악으로 여기면서도 국악기가 들어가거나 국악적 재료가 사용되는 음악은 음악의 범주보다는 국악으로 모호하게 구분하기도 한다. 한국문화가 한국과 서양이 혼합된 만큼 창작음악에 대한 혼합적 시각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한국 창작음악의 전개에서 국악을 배치하는 구도는 전통과 시대성을 어떻게 인식하는 지와 연계되어있다. 시대를 관통하는 전통이 시대를 구분하는 시대성보다 더 넓고 열려 있는 개념이기에 우리의 음악적 전통인 국악은 과거의 음악에 제한되지 않는 열린 범주로 인식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시대적 가치나 개인적 성향을 따르는 창작자만이 아니라 전통과 시대성에 관한 새로운 시각을 열고 작업하는 많은 창작자가 존재해야한다. 우리음악에 대한 새로운 질문과 고민이 양 음악계 창작자의 의미 있는 작업으로 생산되고 한국 문화의 자생적이고도 주체적인 담론과 함께 이루어진다면 한국 창작음악은 새로운 전망으로 전개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The term kugak 國樂 discussed in Korean new music has been considered by the varied contexts as past traditional music, a musical element, Korean music, and so on. Those show that assemblage of kugak is deployed according to various standpoints such as the view on the times, an opposed to yangak 洋樂 (lit. Western music), creative compo- sition, and nation and community culture.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how kugak has been deployed and recognized in the various contexts so as to expand the view on Korean new music. Kugak belongs to the category not only being limited also being opened concept. That is, kugak lies in the limited concept as past music confronting with yangak, and also in the opened to future as our music containing Korean identity. The reason kugak has such paradoxical points is that the view points toward kugak have been vague in the matter on tradition and contemporaneity of our music. The main view to ch'angjak kugak 創作國樂 and ch'angjak yangak 創作洋樂 in discussing Korean new music is mainly focused by the thought centered on yangak. On the issue of music identity, yangak was not the issue of the debate and composition methods was considered inside the category of yangak. Ch'angjak kugak hereby has been criticized by its identity and Westernization. By virtue of having more wide perspective not only to ch'angjak kugak but to the whole new music, we need to investigate the context between kugak·yangak·creative composition emerged in development of Korean new music. Kugak might be used for musical elements for melody, its peculiar techniques would be applied for acoustic structure, or a related conception becomes the idiom for musical construction. In other words, kugak in new music has been broadly used and applied from sound as concrete musical element to conception as abstract element. The usage of Korean musical instruments and the pertinent idea to kugak are differently interpreted according to how to make assemblage of kugak in the discourses of various aspects such as tradition, contemporaneity, modernity, and the character of Korean culture. Korean culture of our current times classifies new composed music to music, however which of Korean musical instrument or utilizing elements is vaguely categorized in kugak rather than music. This is because there exists the mixtures of views to new composed music as much as Korean and Western cultures features a blend for a long time. Assemblage of kugak deployed in Korean new music has connected to how to recognize tradition and contemporaneity. Tradition penetrates the times. This tradition is more wide and opened concept than contempo- raneity of current times which provides periodization. Therefore our musical tradition, kugak, should be acknowledged as a more opened category not limited to past music. We pursue our path to a new inquiry and thought on our music along with our own discourse so that Korean new music would have a new perspective.

      • KCI등재

        이미지와 동시대성의 사유 : 알랭 바디우의 이미지론

        장태순 ( Tae-soon Chang ) 한국미학예술학회 2017 美學·藝術學硏究 Vol.52 No.-

        이 글은 알랭 바디우의 2001년에서 2004년까지의 세미나를 수록한 『현 시대의 이미지들 Image du temps present』을 통해 바디우의 이미지론을 구성하려는 시도이다. 바디우는 예술에 대한 많은 글에서도 이미지에 관해서는 거의 언급하지 않았으나, 이 책에서는 동시대를 사유하기 위한 장치 중 하나로 이미지를 도입한다. 현재에 대한 사유의 출발점은 장 주네의 희곡 『발코니』이다. 바디우는 이 희곡을 네 가지 요소로 분석하는데, 이는 각각 구조, 구조의 예외상태, 벌거벗은 권력, 그리고 이 권력의 이미지이다. 여기서 이미지는 구조를 보여주는 역할놀이를 위한 배역으로서, 그리고 구조의 예외상태가 발생한 직후 나타나는 권력의 민낯인 ‘벌거벗은 권력’의 상징 또는 이미지로서 기능한다. 벌거벗은 권력은 자신의 이미지를 이용하여 예외상태를 정상성으로 포섭하는데, 바디우의 관심은 이 과정을 분석하여 예외상태가 정상성에 포섭되지 않는 길을 찾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현 시대에 대한 진단이 필요하며, 진단은 구조적 현실에서부터가 아니라 상징에서부터 출발해야 한다. 바디우는 우리 시대의 벌거벗은 권력의 상징이 ‘민주주의’라고 말하며, 이 상징을 분석한다. 구조와 구조를 벗어나는 것 사이의 관계 문제는 바디우의 오랜 관심사였으며, 『존재와 사건』은 이 문제를 아주 상세히 다루었다. 사건이 일어난 이후 상황에서 진리가 만들어지는 것 이외에 어떤 일이 벌어지는지는 90년대 후반부터 바디우의 관심사였으며, 이는 특히 주체 이론을 통해 나타난다. 이 글은 문제의 세미나에서 다루는 벌거벗은 권력의 상징과 이로 인해 탄생하는 주체성을 바디우의 2006년 작인 『세계의 논리 Logiques des mondes』의 1부에 등장하는 세 가지 주체성과 비교하고, 팔루스로 상징되는 벌거벗은 권력은 『세계의 논리』에 등장하는 반동적 주체와 어두운 주체의 측면을 모두 지니고 있음을 보인다. 또한 바디우는 이후에 벌거벗은 권력의 상징에 대항하기 위한 진리의 이미지를 제안하는데, 이것을 이념이라고 부르며, 그가 제안하는 이 시대의 이념은 ‘공산주의’이다. Badiou did not seem to have given the concept of the image any serious thought, despite his extensive work on the philosophy of art and the commentaries of other contemporary philosophers such as Foucault, Deleuze or Lyotard. However, in Images du temps present (Images of the Present Time), Badiou turns to image as a way of interrogating contemporaneity. More specifically, he refers to Jean Genet's play Le Balcon (The Balcony), in which he discerns four major elements: 1) structure, 2) truth or exception to the structure, 3) bare power, and 4) the emblem of bare power. Badiou claims that the play shows how an exception to the structure is “normalized” by the emblem of bare power. Here image plays a crucial role because it serves as an emblem of bare power. Badiou draws an analogy between the four elements in the play to contemporary society, where today's emblem of bare power is democracy. To fight this emblem, Badiou proposes to set up a kind of “image” of the exception, which he calls as “idea.” The image we need today is communism, and as a reference to this insight he named a series of conferences “The Idea of Communism.”

      • KCI등재

        탈점령의 ‘급진적 동시대성’으로써의 재일조선영화인집단의 합작다큐멘터리—미군정 한․일 문화영화의 자유주의 리얼리즘을 넘어서

        안민화 대중서사학회 2018 대중서사연구 Vol.24 No.1

        이 글은 한국과 일본의 미군정 시기와 그 직후의 주류영화였던 미군정 문화다큐멘터들과 그와 대척 지점에 있던 비주류 영화, 재일조선영화인집단의 합작다큐멘터리의 대조분석을 통해, 전후 동아시아에서의 미국 헤게모니가 재편되는 양상을 규명함과 동시에 그것에 대한 대안적인 서사를 추적하고자 한다. USIS와 CIE의 영화들은 존 그리어슨(John Greison)식 다큐멘터리 스타일을 통해 “자유주의적 통치성” 체현하는 자유주의적 주체와 국가를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럼으로써, 미군정은 경제적 성장과 안보의 기술들의 아이콘으로 각인되어 가는 동안 다양한 식민지적 유산들을 은폐할 수 있었다. 반면에 미군정이 추동한 미학적 궤도 안에서도, 그것에 회의적인 시선을 가진 예외적인 영화들이 한국과 일본에서 동시에 발견되는데, 그것들은 다이렉트 시네마 형식을 삽입함으로써, 문화 다큐멘터리의 자기 반영성을 드러낸다. 나아가, 재일조선영화인집단은 일본인 감독들과 합작 다큐멘터리들을 만들며, 미군정의 문화정치학을 비판한다. 예를 들어, 대표적인 합작 영화, <조선의 아이>는 존 그리어슨의 미학을 20년대 소비에트 영화스타일인, 선동적인 수사적 미학과 시네마 베리테의 조합으로 전치시킴으로써, 미군정의 소수인종에 대한 정책에 저항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미군정의 유사한 역할뿐만 아니라 그에 반대하는 한․일의 공통된 영화미학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제국과 식민지라는 이항대립을 넘어, 조나단 파비언(Johannes Fabian)이 말하는 급진적 동시대성(radical contemporaneity)의 개념을 통한 비교연구를 모색하고자 한다. 즉 급진적 동시대성의 한 예로써, 개인과 국가적 총체성이 상응하는 자유주의 통치성을 넘어선, 개인이 다양한 개별적 다수(singular plural)에 감응할 수 있고, 민족주의를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탈식민적이고 대안적 아시아공동체적인 서사․미학을 조망하고자 한다.

      • KCI등재

        한국 현대 조경의 한국성 논의를 위한 기초 연구

        최정민,최기수,Choi, Jung-Min,Choi, Key-Soo 한국조경학회 2007 韓國造景學會誌 Vol.3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te a basic foundation for the discourse of Koreanness of contemporary Korean landscape architecture by way of searching the conceptual definitions of Koreanness through analysis of Koreanness discourses. The results are that discourses of Koreanness are to be classified in aesthetics type, spatial-temporal type, and cultural type. Aesthetics type is understood as style in terms of formal and design representation planning principles of spatial composition and immanence in terms of philosophy. Spatial-temporal type is understood as contemporaneity. This is classified as the concept of connoting of tradition, and separating and keeping a distance from tradition. Cultural type is prescribed as cultural identity. This is classified as unity, generality and individuality. The intension of Koreanness of these types is represented as an aspect changing and shifting from one regulation to another regulation. First, in the concerns of substantial archetypes like Korean original form, decorative element, spatial composition aesthetic perception and philosophy, Koreanness shifts to the point of view of contemporaniety which is created and defined in history. Second, Koreanness as contemporaniety shows a trend of shifting the point of view which is to be found through the reconsideration on modem history and modernism. Third, Koreanness defined as cultural identity shows a trend to emphasize the differences in other cultures and includes all the modem cultural agents. The number of views understood as individuality and denial are small but provide important points. Programmatic definition of Koreanness is not suitable. This basic study uses a stipulative or operational definition of Koreanness in many ways such as spatial and regional identity. Koreanness study for Korean contemporary landscape architecture requires a systematic understanding of modernity and colonization relating to identity. Also, it is needed to elaborate on the discourse to divide the meaning of a concept of ident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