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개헌의 바람직한 방향 - 정부의 개헌시안에 대한 비판적 분석과 기본권규정 개정을 중심으로

        임지봉(Jibong Lim) 한국헌법학회 2007 憲法學硏究 Vol.13 No.4

          The Constitutional Revision Proposal by Korean government which was made reflecting the constitutional revision on the Presidential term of office only having suggested by President Moo-Hyon Roh outlined "Presidential reelectable-term for 4 years each" and "simultaneous election for the Presidency and the Congress." This paper analyzes and reveals the problems from various viewpoints that appear on the Constitutional Revision Proposal by the government. Based on the critical analyses, it aims at exploring the desirable directions for constitutional revision focusing on the provisions on basic rights whose revision are, in my opinion, more urgent than that of the other constitutional provisions.<BR>  First of all, this paper critically analyzes the Constitutional Revision Proposal by the government mainly on the issue of changing Presidential term from "Presidential single-term for 5 years" to "Presidential re-electable-term for 4 years each", the issue of the timing of the constitutional revision to make simultaneous election for the Presidency and the Congress, the issue of the inevitability of the constitutional revision, the is-sue of the desirable leading group of constitutional revision and the problems of acting presidency by prime minister in the Constitutional Revision Proposal.<BR>  As for the desirable directions and concrete contents of constitutional re-vision on basic rights provisions, this paper examines the necessity and urgency to revise the basic rights provisions rather than the provision on Presidential term of office at first. Then, it suggests three major directions to revise the basic rights provisions; first, the revision to make the abstract provisions more substantial in details, second, the revision to make Social State Principle more concrete, and third, the revision to enlarge the scope of foreigner in enjoying the constitutional rights. Finally, based on the major directions, this paper explores the desirable revision directions for con-crete basic rights provisions including the creation of affirmative action clause in the Article of Equal Protection and the abolishment of Article 29 Section 2 of the Constitution which has excessively restricted the right to demand compensation by persons on active military service, employees of the military forces and police officials.

      • KCI등재

        헌법개정과 기본권

        정재황 한국법학원 2013 저스티스 Vol.134 No.2

        There have been lots of discussions on the revision of the constitution for fundamental rights in Korea. While it is necessary to analyze and examine the discussions, it is also important to investigate the necessity of the constitutional revision despite great expense and to discuss the relevance of the basic direction for the constitutional revision. As for the basic direction of constitutional revision, in this study, a discussion on systematic and fundamental right-centered constitutional revision, the basic ideology of the constitution, the revision to realize basic principles, possible changes in circumstances where norms for fundamental rights are applied, a discussion on the revision reflecting the reality, a discussion on the revision through an analysis of precedents in the constitution, a future-oriented discussion, and a discussion in consideration of the openness, flexibility and abstractness of the constitution are dealt with (Ⅱ). Under these directions for discussion on the constitutional revision, this study reviewed the contents and issues that have been discussed or will be discussed for the revision of articles for fundamental rights in the present constitution. Since the domain of fundamental rights is too vast to deal with all the particulars, this study analyzed the main points of the discussions so far and focused on controversial points that have not been handled. First of all, this study examined the location and structure (arrangement in order) of articles for fundamental rights (Ⅲ). As for the introduction of issues regarding fundamental rights (Ⅳ), this study investigated an issue on the term, 'fundamental rights', the characteristics of fundamental rights and Article 10 of the constitution, the limitations of constitutional statements, the subjects of fundamental rights, the effectiveness of fundamental rights (state-versus effect and third-party effect), the restriction on fundamental rights and the limitation of such a restriction (grounds for the restriction on fundamental rights, proportionality (anti-overrestriction), the principle of due process, the principle of protection of confidence, principle banning retroactive effect). This study investigated new types of fundamental rights, on an issue on the establishment of individual articles for fundamental rights, an issue on human dignity and value in the particulars for fundamental rights(Ⅴ), and an issue on the statement of the right to life in the right to pursue one's happiness, an issue on the strict judicial scrutiny in the right to equality, and in the domain of the right to freedom, this study investigated personal liberty, the freedom of conscience, the freedom of thought, the freedom of religion, the freedom of private life, the freedom of expression (articles for the freedom of speech and the press, a principle banning pre-censorship) and economic freedom (the freedom of occupation and property rights). In the domain of social welfare, this study examined an issue on the arrangement of articles, the right to education, compulsory education, the right to labor, 3 rights to labor, maternity protection and health-related rights, and disabled-person protection. Lastly, this study investigated an issue on the revision of articles for political rights, the right of access to court in the domain of fundamental rights of claim and the right to national indemnification for damage. As the final part, this study discussed an actual necessity of the revision of articles for fundamental rights in the constitution based on the results of review above and complementary measures through constitutional interpretation(by constitutional litigation) and enactment in case of the practical difficulty to the immediate constitutional revision. Most of all, discussions on the constitutional revision should be made by focusing on fundamental rights, and should be dependent on people's final choice. 그동안 기본권분야의 헌법개정논의가 많이 있어왔는데 이를 정리하고 점검하는 것도 필요하겠지만 그 개정에 많은 비용이 드는데도 필요성이 있는지 하는 문제와 개정논의에서의 그 적실성을 위한 기본방향에 대한 충분한 모색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본다. 논의의 기본방향으로 헌법체계적․기본권중심적 개정논의, 헌법의 기본이념, 기본원리를 실현하는 개정, 기본권규범적용상황의 변화, 우리 현실에 비춘 논의, 헌법판례분석을 통한 논의, 미래지향적 논의, 헌법의 개방성, 유연성, 추상성을 감안한 논의 등을 설정해보았다(Ⅱ). 이렇게 모색된 개정방향 하에 현행헌법에서 기본권규정에 대한 개정논의로 전개되어 왔거나 논의될 사항이나 내용을 검토하였다. 이 검토에 있어서 대상들을 총망라하기는 기본권의 영역이 방대한터라 지면관계상으로도 어려우므로 그동안 거론되어 왔던 주요사항을 정리하고 많이 다루지 않은 논점사항들을 주로 검토하였다. 먼저 기본권장의 위치, 구조(배열순서 등)의 문제를 살펴보았다(Ⅲ). 기본권총론에 관한 문제로는(Ⅳ), 기본권이라는 용어의 문제, 기본권의 성격과 현행 헌법 제10조, 헌법에 의한 명시의 한계, 기본권주체, 기본권의 효력(대국가적 효력과 제3자적 효력), 기본권제한과 제한의 한계(기본권제한사유, 비례(과잉금지)원칙, 적법절차의 원칙, 신뢰보호원칙, 소급효 금지) 등에 관한 개정문제를 살펴보았다. 기본권각론에 있어서는(Ⅴ), 새로운 유형의 기본권, 개별 기본권 조항의 신설 문제, 인간의 존엄과 가치 및 행복추구권에 있어서 생명권을 명시하는 문제 등을, 평등권에 있어서 엄격심사를 할 경우 문제 등을, 자유권 영역에서는, 신체의 자유, 양심의 자유, 사상의 자유 문제, 종교의 자유, 사생활의 비밀과 자유, 표현의 자유(언론․출판의 자유 조항, 사전검열금지원칙 등), 경제적 자유권(직업의 자유, 재산권)에 대해 개정논의 사항을 살펴보았다. 생존권적 기본권(사회적 기본권) 영역에서는 권리규정화의 논의, 조문배열의 문제, 교육의 권리․의무교육, 근로권, 근로3권, 모성보호, 보건에 관한 권리, 장애인 보호에 관한 개정문제, 그외 참정권 영역에서의 개정문제, 청구권적 기본권 영역에서 재판청구권, 국가배상청구권에 관한 개정문제를 살펴보았다. 끝으로 위와 같은 검토결과를 두고 전반적으로 현행헌법의 기본권규정에 대한 실제적 개정필요성을, 그리고 당장에 개정이 실현되기 어려운 상황이라면 헌법해석(헌법재판에 의한 해석), 입법에 의한 개선노력 등의 보완책에 대해서 검토해보았다. 헌법개정논의가 기본권중심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헌법개정은 결국 국민의 최종적인 선택에 달려있다고 할 것이다.

      • KCI등재

        국회 개헌 논의의 동학: 제20대 국회 개헌특위와 헌정특위의 논의를 중심으로

        서덕교 한국의정연구회 2022 의정논총 Vol.17 No.2

        The aim of the research is to describe parliamentary discussion on the constitutional revision and point out the features of it focusing on the two special committees in the 20th National Assembly. First, there was a fierce conflict between parties in the discussion and the deliberation in the special committee could not be a mechanism to solve or control it. Second, not only political class but special interests took part in the discussion to articulate their interests. Third, the President’s initiative for the constitutional revision made things worse during the discussion. The research explores the causes of the features as follows; the political salience of constitutional revision, the influence of legislative performance on parties’ electoral prospects, and the fact that the constitutional revision has a wide impact on a polity and its members. The exploration is based on the partisan theory by Cox and McCubbins (2005; 2007), the legislative game model by Seo and Yoon (2020), and theoretical discussions on government reorganization which has a wide impact as the constitutional revision. The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the conflict between political parties is unavoidable, so it is important to consider how to manage and control it. Second, a direct negotiation between party leaderships could be important as a mechanism to manage the conflict. Third, it is also necessary to manage the conflict between special interests during the discussion on constitutional revision. Fourth, the initiative of the legislature rather than that of the President is helpful for the success of the constitutional revision. 본 논문은 제20대 국회 개헌특위와 헌정특위에서의 개헌 논의의 특징을 당시 특위의 회의록과 결과보고서들에 대한 질적 분석을 통해 살펴본다. 첫째, 개헌 논의에는 정당 간 첨예한대립이 나타났고 이는 특별위원회 기제로는 해결되기 어려웠다. 둘째, 개헌 논의의 기회가 열렸을 때 정치 세력만이 아니라 사회의 개별 이익들이 자신들의 이익을 반영하기 위해 활동한다. 셋째, 개헌의 주도권을 대통령이 가지고 추진한 것은 국회 개헌 논의에 좋지 않은 영향을주었다. 이러한 특징이 나타나게 된 이유로 이 논문은 개헌 의제의 정치적 현저성(political salience), 의회에서의 입법 성과가 각 정당의 선거 전망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 그리고 개헌이 사회 전분야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치는 총체성을 탐색적으로 제시하였다. 이러한 탐색은 정당이익이론과 이에 기초한 정당 간 입법게임 모델, 그리고 개헌과 유사하게 광범위한 참여자의 활동을유발하는 정부조직 개편의 정치성에 관한 이론적 논의들의 유추·적용을 통해 이루어졌다. 이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개헌 논의에서 정치 세력 간 갈등과 대립은 필연적이며 이를 어떻게 관리하고 통합하는 것을 고민하는 것이 중요하다. 둘째, 정치 세력 간의 갈등 해결 기제로는 정당 간의 직접 협상 기제도 중요하다. 물론 여기에는 이에 대한 통제 절차를 제도화하는 방법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셋째, 사회 특수 이익의 활동에 따른 이들 간의갈등 관리도 필요하다. 넷째, 개헌 논의는 대통령보다 국회가 주도하는 것이 그 성공 가능성을높인다..

      • KCI등재

        국민참여개헌의 당위성과 방법론

        장영수 ( Young-soo Chang ) 안암법학회 2017 안암 법학 Vol.0 No.54

        30년만의 개헌이 목전에 있다. 국회에서는 개헌특위를 구성하여 개헌안 마련을 시작하였고, 문재인 대통령도 개헌에 대한 확실한 입장을 밝힘으로써 내년 지방선거에서 개헌안에 대한 국민투표를 한다는 공약대로 개헌이 추진될 가능성이 매우 높아진 것이다. 개헌의 절차 내지 방식과 관련하여 이번 개헌은 과거의 개헌과는 달리 국민의 의사가 최대한 반영되는 국민참여개헌이 되어야 한다는 요청이 폭넓은 공감대를 얻고 있다. 하지만 과연 어떻게 국민참여개헌이 가능 한가에 대한 방법론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확실한 대안이 존재하지 않는 가운데 수많은 단편적 아이디어들이 제각기 제시되고 있을 뿐이기 때문이다. 국민`참여`개헌은 말 그대로 국민들이 개헌안의 마련에 직접 참여하는 개헌절차를 요구한다. 국민참여개헌은 정치권에서 마련한 개헌안에 대해 국민투표를 통해 가부만을 최종적으로 정하는 것은 국민의 의사를 제대로 반영하기에 부족하다는 비판에서 비롯된 것이며, 개헌안의 세부 내용들을 마련하는 과정에서 국민들의 의사가 반영될 것을 요구하는 것이다. 문제는 국민 `참여`의 방법이다. 개헌안의 조문 하나하나에 대해서 다양한 대안들을 놓고 국민들이 직접 투표로 결정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가능하지도 않고, 바람직하지도 않다. 그렇다고 국민에 의해 선출된 대표자인 국회에 모든 것을 맡긴다면 기존의 헌법개정절차와 달라지는 것이 없다. 이런 문제로 인하여 국회와는 별도로 시민의회를 구성하자는 안이 나오기도 한다. 그러나 시민의회의 대표성 내지 민주적 정당성, 그리고 헌법개정을 담당할 수 있는 전문성을 담보하지 못하는 한, 시민의회도 성공하기 어렵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상황을 전제하고, 과연 현 시점에서 가능한 대안은 무엇인지를 진지하게 모색하였다. 먼저 국민참여개헌의 당위성을 확고하게 정리하기 위하여 국민이 헌법개정의 주체라는 점을 확인하였고, 그 바탕 위에서 역대 헌법개정에서 국민의 역할이 어떠했으며, 국민의사가 과연 제대로 반영되었는지에 대해 검토함으로써 국민참여개헌의 당위성을 확인하였다. 국민참여개헌의 구체적 방법론과 관련하여서는 전자민주주의의 방식, 여론조사를 통한 민의의 수렴, 시민의회의 구성 등을 개관한 이후에 국회와 시민단체, 그리고 개별국민의 역할 분담에 대해 검토해 보았다. 이러한 대안들은 향후 많은 논의를 거쳐서 다듬어져야 할 것이며, 이와 더불어 국민참여의 실질화를 위한 성공조건들에 대해서도 나름의 기준을 제시해 보았다. It has been 30 years since the last constitutional revision and a new revision is now before our eyes. The National Assembly organized a special committee and has started to prepare the bill for constitutional revision, and president Moon Jae-In as he had previously expressed in his campaign pledge, took a firm stand regarding the revision. The possibility that a referendum regarding the bill of constitutional revision will be held in next year`s regional election has risen. Regarding the procedure and methods of the upcoming constitutional revision, there is a national consensus that the new revision should reflect the public`s intention as much as possible, unlike previous revisions. However, the problem is that there is currently no definite methodology to enable a public participation in constitutional revision and only fragmentary ideas are being suggested. A public `participation` in constitutional revision is literally a revision in which the people directly participates in the process. Such type of revision was introduced from the criticism that previous revisions in which the politicians made the bills and the citizens only made the final decision by showing their approval or disapproval by holding a referendum was insufficient in reflecting the public`s intentions. The key issue is the method of public `participation`. Listing numerous alternatives for every single provision and holding a referendum for each one is unrealistic and undesirable. Yet, having the National Assembly, the elected officials that the citizens have chosen to represent themselves to handle everything will make the new constitutional revision no different from previous ones. Due to this issue, there has been a suggestion to create a separate citizen assembly. However, since the citizen assembly fails to guarantee representativeness or democratic legitimacy, as well as the professionalism to handle the constitutional revision, it is unlikely for the citizen assembly to succeed. This article takes such problematic situations as a premise and has seriously searched for the most feasible alternative that best suits the current situation. First, in order to clarify the justifiability of public participation in constitutional revision, this article confirmed that the people are the principal subjects of constitutional revision. On this premise, the article reviewed the public`s role in past revisions and confirmed the imperativeness of public participation in constitutional revision by overviewing whether the people`s opinions were reflected sufficiently. Regarding the detailed methodology of public participation in constitutional revision, the article overviews the usage of electronic democracy, gathering public opinions through polls, and creating a citizen assembly. After creating a citizen assembly, there lies the issue of dividing to roles between the National Assembly, citizen assembly, and the people. Such alternatives need to undergo numerous discussions and revisions. In addition, the article presents some standards that can lead to successful public participation in constitutional revision.

      • KCI등재

        헌법개정과 기본권

        정재황(Jae-Hwang JEONG) 한국법학원 2013 저스티스 Vol.- No.134

        그동안 기본권분야의 헌법개정논의가 많이 있어왔는데 이를 정리하고 점검하는 것도 필요하겠지만 그 개정에 많은 비용이 드는데도 필요성이 있는지 하는 문제와 개정논의에서의 그 적실성을 위한 기본방향에 대한 충분한 모색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본다. 논의의 기본방향으로 헌법체계적·기본권중심적 개정논의, 헌법의 기본이념, 기본원리를 실현하는 개정, 기본권규범적용상황의 변화, 우리 현실에 비춘 논의, 헌법판례분석을 통한 논의, 미래지향적 논의, 헌법의 개방성, 유연성, 추상성을 감안한 논의 등을 설정해보았다(Ⅱ). 이렇게 모색된 개정방향 하에 현행헌법에서 기본권규정에 대한 개정논의로 전개되어 왔거나 논의될 사항이나 내용을 검토하였다. 이 검토에 있어서 대상들을 총망라하기는 기본권의 영역이 방대한터라 지면관계상으로도 어려우므로 그동안 거론되어 왔던 주요사항을 정리하고 많이 다루지 않은 논점사항들을 주로 검토하였다. 먼저 기본권장의 위치, 구조(배열순서 등)의 문제를 살펴보았다(Ⅲ). 기본권총론에 관한 문제로는(Ⅳ), 기본권이라는 용어의 문제, 기본권의 성격과 현행 헌법 제10조, 헌법에 의한 명시의 한계, 기본권주체, 기본권의 효력(대국가적 효력과 제3자적 효력), 기본권제한과 제한의 한계(기본권제한사유, 비례(과잉금지)원칙, 적법절차의 원칙, 신뢰보호원칙, 소급효 금지) 등에 관한 개정문제를 살펴보았다. 기본권각론에 있어서는(Ⅴ), 새로운 유형의 기본권, 개별 기본권 조항의 신설 문제, 인간의 존엄과 가치 및 행복추구권에 있어서 생명권을 명시하는 문제 등을, 평등권에 있어서 엄격심사를 할 경우 문제 등을, 자유권 영역에서는, 신체의 자유, 양심의 자유, 사상의 자유 문제, 종교의 자유, 사생활의 비밀과 자유, 표현의 자유(언론·출판의 자유 조항, 사전검열금지원칙 등), 경제적 자유권(직업의 자유, 재산권)에 대해 개정논의 사항을 살펴보았다. 생존권적 기본권(사회적 기본권) 영역에서는 권리규정화의 논의, 조문배열의 문제, 교육의 권리·의무교육, 근로권, 근로3권, 모성보호, 보건에 관한 권리, 장애인보호에 관한 개정문제, 그외 참정권 영역에서의 개정문제, 청구권적 기본권 영역에서 재판청구권, 국가배상청구권에 관한 개정문제를 살펴보았다. 끝으로 위와 같은 검토결과를 두고 전반적으로 현행헌법의 기본권규정에 대한 실제적 개정필요성을, 그리고 당장에 개정이 실현되기 어려운 상황이라면 헌법해석(헌법재판에 의한 해석), 입법에 의한 개선노력 등의 보완책에 대해서 검토해보았다. 헌법개정논의가 기본권중심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헌법개정은 결국 국민의 최종적인 선택에 달려있다고 할 것이다. There have been lots of discussions on the revision of the constitution for fundamental rights in Korea. While it is necessary to analyze and examine the discussions, it is also important to investigate the necessity of the constitutional revision despite great expense and to discuss the relevance of the basic direction for the constitutional revision. As for the basic direction of constitutional revision, in this study, a discussion on systematic and fundamental right-centered constitutional revision, the basic ideology of the constitution, the revision to realize basic principles, possible changes in circumstances where norms for fundamental rights are applied, a discussion on the revision reflecting the reality, a discussion on the revision through an analysis of precedents in the constitution, a future-oriented discussion, and a discussion in consideration of the openness, flexibility and abstractness of the constitution are dealt with (Ⅱ). Under these directions for discussion on the constitutional revision, this study reviewed the contents and issues that have been discussed or will be discussed for the revision of articles for fundamental rights in the present constitution. Since the domain of fundamental rights is too vast to deal with all the particulars, this study analyzed the main points of the discussions so far and focused on controversial points that have not been handled. First of all, this study examined the location and structure (arrangement in order) of articles for fundamental rights (Ⅲ). As for the introduction of issues regarding fundamental rights (Ⅳ), this study investigated an issue on the term, "fundamental rights", the characteristics of fundamental rights and Article 10 of the constitution, the limitations of constitutional statements, the subjects of fundamental rights, the effectiveness of fundamental rights (state-versus effect and third-party effect), the restriction on fundamental rights and the limitation of such a restriction (grounds for the restriction on fundamental rights, proportionality (anti-overrestriction), the principle of due process, the principle of protection of confidence, principle banning retroactive effect). This study investigated new types of fundamental rights, on an issue on the establishment of individual articles for fundamental rights, an issue on human dignity and value in the particulars for fundamental rights(Ⅴ), and an issue on the statement of the right to life in the right to pursue one"s happiness, an issue on the strict judicial scrutiny in the right to equality, and in the domain of the right to freedom, this study investigated personal liberty, the freedom of conscience, the freedom of thought, the freedom of religion, the freedom of private life, the freedom of expression (articles for the freedom of speech and the press, a principle banning pre-censorship) and economic freedom (the freedom of occupation and property rights). In the domain of social welfare, this study examined an issue on the maternity protection and health-related rights, and disabled-person protection. Lastly, this study investigated an issue on the revision of articles for political rights, the right of access to court in the domain of fundamental rights of claim and the right to national indemnification for damage. As the final part, this study discussed an actual necessity of the revision of articles for fundamental rights in the constitution based on the results of review above and complementary measures through constitutional interpretation(by constitutional litigation) and enactment in case of the practical difficulty to the immediate constitutional revision. Most of all, discussions on the constitutional revision should be made by focusing on fundamental rights, and should be dependent on people"s final choice.

      • 사회보장에 관한 헌법 규정의 개정 연혁

        최기도(崔基度) 서울대 사회보장법연구회 2020 사회보장법연구 Vol.9 No.1

        문재인 대통령이 2018년 3월 제안한 대한민국헌법 개정안은 국회 본회의에서 의결정족수 미달로 사실상 폐기되었다. 그러나 해당 헌법개정안의 제안은 1987년 제9차 헌법 개정 이후 처음 이루어진 것으로서 현행 헌법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의문을 공식화하였을 뿐 아니라, 앞으로 언제든지 개헌 논의가 이루어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사회보장에 관한 헌법 규정의 개정은 사회보장을 둘러싼 헌법현실과 헌법규범의 괴리에 대한 반성적 고찰을 토대로 우리 사회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사회보장에 관한 헌법 규정의 개정 논의, 다른 나라의 입헌례, 그리고 사회보장에 관한 헌법 규정의 개정 연혁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이루어진다. 그 중 사회보장에 관한 헌법 규정의 도입 배경·이유에 대한 고찰은 규정에 대한 이해를 깊이 있게 하고, 개정 과정에서의 문제점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사회보장에 관한 헌법 규정의 개정 방향에 대하여 중요한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본 글에서는 사회보장에 관한 헌법 규정의 개정 배경을 당시의 자료 등을 통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사회보장에 관한 헌법 규정에 대한 개정 과정의 한계를 밝히고 개정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찾는다. 사회보장에 관한 헌법 규정의 개정 연혁에 대한 고찰이 향후 개정 과정에서 반면교사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roposed revision to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proposed by President Moon Jae-In in March 2018 was virtually abolished due to insufficient legislative meetings at the National Assembly. However, the proposed constitutional revision was first proposed after the ninth constitutional revision in 1987, and it not only formalized the question of the sustainability of the current constitution, but also suggests that discussions on the revision can be made at any time in the future. The revision of the constitutional rules on social security is based on a reflection on the disparity between the reality surrounding social security and the constitutional rules, discussions on the revision of the constitutional rules on social security in our society, comparative study of constitutional rules of other countries, and the consideration of the revision history of the constitutional rules on social security. Among them, in-depth consideration of the reason and background of the introduction and revision of the constitutional rules on social security deepens understanding of the regulations and identifies problems in the revision process. It may give some implications for directions for revision. This article clarifies the limitations of the revision process and suggests directions for revision by examining the background of the revision of the constitutional rules on social security through the constitutional data of the time. It is hoped that review of the revision history of the constitutional rules on social security will become a lesson in the future.

      • KCI등재후보

        헌법개정의 역사와 이론

        전광석 헌법재판연구원 2018 헌법재판연구 Vol.5 No.1

        The current constitution enacted in 1987 has worked as a living criteria for the constitutional life for longer than 30 years, which was a rare experience in comparison with the previous nine constitutions in Korean constitutional history. Considering this point the discourse about the constitutional revision from the outset hitherto seems unusual. This article aims to review the theory and history of the constitutional revision in the background of the recent discourse about it. Two discussing questions were pointed. First, in describing the korean constitutional history the following frame was applied, as enacting and revision of the constitution, pouvoir constituan and pouvoir constitue, limits of the constitutional revision. It should be reviewed if theses frames are adequate theoretical bases to describe the constitutional history. Second, one should pursue a new methodology in order to take into account the necessity and legitimation of the constitutional revision, for the frames enumerated above could not be applied to describe the korean constitutional history. The frames such as pouvoir constituan and pouvoir constitue appeared in the peculiar historical space and time of the French Revolution and at the outset of the immature democratic republic of Germany. It is therefore hard to be generalized and faces obstacle to be applied to korean constitutional history which has delivered a several rounds of ‘good’ and ‘bad’ constitutions. The constitutional revision is a decisive instrument to keep the constitution alive in face of the ongoing social and economic changes. In this context, on the one hand, the constitutional revision could be recognized as necessary, after the other methode of the constitutional change resulted from the interpretation and actualization of the constitution was exhausted, inter alia, through legalization in the congress and judicial review of the constitutional court. On the other hand, the constitutional revision could be legitimate mainly under condition that the constitution itself, its reality and the change of the both should be evaluated throughly, at the same time the perspective interaction of the envisaged constitution revised and its reality be more or less predicted. Based upon this theoretical consideration it requires a more profound discourse about the necessity and legitimation of the revision of the 1987 constitution. 현행 헌법은 1987년 이후 우리 헌법사에서 유례없이 오랜 기간 헌법생활의 기준으로 작용하여 왔다. 이 점에서 보면 1987년 헌법의 개정논의는 이례적이다. 이 글은 최근의 개정논의를 배경으로 헌법개정에 관한 이론과 역사를 재조명하는 목적을 갖는다. 두 가지 쟁점을 제기하였다. 첫째, 우리 헌법사를 서술하는 기준으로 그동안 헌법학계에서는 헌법제정과 헌법개정, 헌법제정권력과 헌법개정권력, 헌법개정의 한계 등이 적용되어 왔다. 이와 같은 서술기준이 타당한가 하는 의문이다. 둘째, 기존 이론의 틀이 적합하지 않다면 현재 진행되고 있는 헌법개정의 필요성과 정당성에 관한 논의에 있어서 새로운 구상이 필요하다. 헌법제정과 헌법개정의 구분은 프랑스혁명 또는 독일의 초기헌법국가와 같은 특수한 공간에서 특수한 시대의 상황에서 형성되었다. 따라서 일반적 성격을 가질 수 없으며, 특히 우리나라와 같이 여러 차례, 그리고 ‘좋은 헌법’과 ‘나쁜 헌법’이 교차하여 왔던 역사적 상황에서는 적용에 한계가 있다. 이 글에서는 헌법개정은 시대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헌법의 기능을 유지하는 목적이 가장 중요한 계기라고 보았다. 이에 비해서 기존의 헌법제정 및 헌법개정에 관한 이론은 소모적이며, 무엇보다도 헌법사를 도구화할 우려가 있었다. 또 그것이 우리의 경험이었다. 이와 같은 사고에서 보면 헌법의 변화를 국가작용, 특히 입법부와 헌법재판소의 해석과 구체화에 의한 변화가 한계에 이르렀을 때 비로소 헌법개정은 필요성이 있다. 또 기존의 헌법규범, 그리고 헌법현실 및 그 변화를 정확히 평가할 수 있어야 하며, 동시에 헌법개정이 헌법현실에 미치는 영향을 충실히 예측할 수 있을 때 비로소 헌법개정은 정당성을 갖는다. 이와 같은 기준에서 보았을 때 1987년 헌법에 대한 개정의 필요성과 정당성에 대해서는 보다 깊은 담론이 형성되어야 한다.

      • KCI등재

        기본권 조항 개정의 쟁점

        김명식(Kim, Myeong-Sik) 성균관대학교 법학연구소 2011 성균관법학 Vol.23 No.2

        This article deals with issues on constitutional revision, especially on revision points of fundamental right provisions. As we all know, in the history of the constitutional revision in South Korea, the nine constitutional revisions had been taken place, and their main subjects and concerns were changes of the governing structure related to presidential system, while issues on revision of fundamental right provisions were secondary or minor matters. Nowadays, because of the changes of constitutional environments, a lot of arguments on revising the Constitution have constantly been raised not by the people but by the political area. But in the fully developed democratical society, debates on constitutional revision should be leaded by the people as well as by the political area, I think. Although the people remain in a passive position in the process of constitutional revision, the people who have the right to render final approval on the constitutional revision should be able to understand and identify the main issues and contents of the constitutional revision. To accomplish this end, we have to know the importance of establishing a process of public consensus. Especially, among in the issues on constitutional revision, the most important issues should be those on revision of fundamental right provisons. The revision of fundamental right provisons has to go toward enhancing the normative power of the constitution and reflecting the results of the globalization, the advent of the information era, changes and diversification of the composition of the population, and multi-cultural social phenomena. For example, fundamental rights newly appeared through drastic changes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hould be understood as a kind of fundamental rights deduced from the basic principles about fundamental rights.

      • KCI등재

        헌법개정논의에 대한 재검토

        정만희(Jeong, Man-Hee) 한국비교공법학회 2018 공법학연구 Vol.19 No.1

        현행 헌법이 1987년 채택되어 30년 이상의 운용과정을 거치면서 개헌논의는 20년 전부터 정치권에서 시작되었으며, 최근에는 많은 국민들이 개헌문제에 대해 관심을 보이고 있다. 한국의 정치사회에서 현행 헌법의 개정논의는 초기에는 정부형태 분야에 한정하여 정치인들이 선거과정을 배경으로 정략적인 이유로 제기된 것이었으나, 2009년부터는 국회를 중심으로 헌법개정연구를 위한 자문위원회 활동이 전개되면서 개헌논의는 공론화되기 시작하였다. 그리하여 현 시점에서의 개헌논의의 성과는 국회의 헌법개정에 관한 2009년과 2014년의 자문위원회 보고서를 비롯하여 학계와 시민단체 등에 의한 헌법 전반에 걸친 문제점 분석과 헌법개정의 방향을 제시하는 연구결과보고서 등이 상당한 수준으로 축적되어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2016년 이후 한국의 급격한 정치상황의 변화와 박근혜 대통령의 탄핵사건을 계기로 헌법개정의 실현가능성은 그 어느 때보다도 높다고 할 수 있으며, 여론조사에서도 개헌에 대한 국민 다수의 적극적 의사가 나타나고 있다. 2017년 5월 문재인 정부가 출범하면서 2018년 6월 지방선거와 동시에 개헌 국민투표를 실시하겠다고 개헌일정을 밝혔으나 여야간의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 개헌시기는 지연될 가능성이 크다. 그러나 개헌에 관한 국민의 공감대가 형성된 이상 개헌을 계속 늦출 수 는 없으며, 개헌의 대상에 있어서는 전면적 개헌은 쉽지 않으므로 정부형태를 중심으로 하면서 국민적 합의가 이루어지는 일부 대상으로 한정하는 부분적 개헌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고에서 필자는 개헌논의의 핵심 쟁점인 정부형태에 관하여 지금까지의 개헌논의의 전개과정과 최근 2018년 1월 공개된 국회 개헌특별위원회 자문위원회 보고서를 분석하면서 정부형태의 개헌방향에 관한 필자의 견해를 다시 한번 정리해서 밝히도록 한다. 필자는 그동안 개헌문제에 대해 발표한 몇 편의 논문을 통해 이원정부제 개헌에 대한 신중론의 입장과 대통령 4년중임제 개헌을 일관되게 주장해 왔으며 지금도 그 소신에는 변함이 없다. 다만 2016년 이후의 정치적 상황의 급격한 변화와 대통령 탄핵사태 속에서 국민의 개헌필요성과 분권형 정부형태에 대한 관심이 확대되고 있는 시대적 변화를 직시하면서, 필자는 견해를 일부 수정하여 대통령제의 근간을 유지하는 개혁방안을 부분적으로 보완하여 제시함과 아울러 국민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새로운 분권형 정부제의 도입가능성과 그 성공조건에 대해서도 검토한다. As the current Constitution has operated for more than 30 years since its adoption in 1987, politicians have continued to discuss the revision of constitution for 20 years and recently many people show interest in the revision issue. Although early discussion has raised for political reasons with a background of election processes and has been limited to a form of government, the discussion on consitutional revision has publicized as an advisory committee led by the National Assembly began to act from 2009. Therefore, the discussion on the constitutional revisiont by now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yielded a significant amount of outputs including reports by the advisory committee in 2009 and 2014 and research results by academia and civil organizations analyzing the overall problems of the constitution and proposing the direction of the revision. Taking the rapid changes in political situations in Korea and the impeachment of the former president Park Geun-hye in 2016 as an opportunity, the realizability of the constitutional revision is higher than ever, and the majority of people actively show positive opinions on the revision, according to polls. Although the Moon Jae-in Administration, inaugurated in May, 2017, has announced that the plebiscite on the revision will be held at the same time as the local election in June, 2018, the constitutional revision is likely to be delayed due to the disagreement between the ruling party and the opposition parties. However, the constitutional revision cannot be delayed anymore because the nationwide sympathy on the revision has already formed. For the subjects of revision, the possibility of overall revision may be low, and thus the partial revision that limits subjects to parts with nationwide sympathy may be desirable. In this paper, focusing on the form of government that is the key issue of the discussion, the author analyzes the progress of discussion on the constitutional revision until now and the report released by the special advisory committee of National Assembly and restates own views on the direction of revising the form of government. Through the publication of several papers on the revision issue, the author has continued to express prudential opinions on the dual executive system and support the four-year, two-term presidential system, and the opinion has still not changed. However, observing the change of times in which people’s interest in the need of constitutional revision and the decentralized form of government induced by the rapid change in political situations and the impeachment of the former president since 2016, the author partially modifies the opinions, thereby proposing a reformation plan that maintains the foundation of the presidential system and reviewing the possibility of introducing the new decentralized government system with increasing national attention and its successful conditions.

      • KCI등재

        사법제도의 개정 필요성과 방향

        김종철(Jongcheol Kim) 한국헌법학회 2010 憲法學硏究 Vol.16 No.3

        그동안 헌정개혁의 논의는 입법권과 행정권과 같은 정치권력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사법작용의 활성화는 입법권과 행정권에 대한 중요한 제어기제로 작동하기 때문에 사법에 의한 국가권력통제기제의 발전은 입헌 민주주의 발전의 시금석이다. 특히 국가의 주요한 정책결정이 정치과정이 아닌 사법과정으로 해소되는 현상으로서의 정치의 사법화(judicialization of politics)가 헌정운영의 주요한 과제로 등장하고 있는 시점에서는 더욱 그러하다. 그러나 현행 헌법의 사법권력에 관한 규정은 한국입헌주의의 맹아기에 사법권력의 본질에 대한 전문적 인식이 결여된 채 도입된 것이다. 권위주의 시대를 거치면서 독재권력에 대한 사법전문가의 종속 혹은 협력관계를 강화하여 자유민주주의를 강화하기는 커녕 오히려 압박하는 체제로 잉태된 측면이 강하다. 따라서 현행 사법권력구조는 민주화와 자유화에 따른 조건과 상황의 변화를 수용하기에 적절하지 못한 측면이 적지 않다. 예컨대, 합의제의 정신을 살리지 못하도록 과도하게 대법원장에게 집중된 권한들, 다른 헌법기관의 구성에 대법원이라는 기관의 대표성이 아니라 대법원장의 지위에서 관여하도록 된 규정들, 전문성의 원리에 과도하게 집중하여 사법정책의 최고결정기구이자 집행기관으로서의 대법원의 폐쇄성을 초래할 수 있는 헌법의 법문들, 민주적 정당성을 확보하기에는 미흡한 구성방법, 국민의 참여에 대한 배려가 부족한 사법제도, 사법권력의 독립을 본질적으로 저해할 수 있는 사법의 관료화와 중앙집권화를 촉진하는 제도들이 그러하다. 이 글은 2009.8. 국회의장 자문기구인 헌법연구자문위원회가 제출한 결과 보고서(이하 ‘자문위 보고서’)에 제시된 사법권력관련 규정의 개헌논의를 주요 소재로 하여 입헌민주헌정에서의 사법의 핵심가치인 민주적 정당성, 전문성, 독립성을 기준으로 개헌논의에서 사법제도는 어떤 방향으로의 개선이 필요한 지를 개괄적으로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검토의 방향으로는 사법권력의 분권화 필요성을 강조하면서 대법원과 헌재의 구성방법, 내부조직의 구성, 사법권력간의 권한배분에 관한 세부적인 문제점과 대응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법관인사제도의 개혁, 상고허가제의 도입, 참심제와 배심제의 도입, 재판소원의 제한적 도입, 특별법원제도의 개선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다만 필자는 원론적인 차원에서 현행 헌법의 사법권력조항이 가진 문제점을 지적하면서도 현실정책론적 차원에서 개헌이 사법개혁의 유일한 수단이 아님을 강조하고 진정한 사법개혁은 국민의 인식의 개선과 입법등 현실정치적인 제도개선을 필요조건으로 함을 지적하고 있다. This article has two purposes. First, it aims to summarize a variety of judicial reform agenda including proposals by the Advisory Committee for Constitutional Revision for the Speaker of the National Assembly. Second, it aims to provide some critical reviews and suggestions about the proposed reform agenda in terms of their practical implications and relevancy with constitutional revision. What were taken on board to be examined in this article a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1) how to organize the judiciary and the Constitutional Court in the direction of enhancing democracy and judicial independence, (2) how to restructure the judiciary towards a more democratic and accountable institution, and (3) how to allocate judicial powers among arguably competing institutions, especially the ordinary courts and the Constitutional Court(or other, if any, special tribunals). A number of specific issues looked into under these three categories include whether or not constitutional revision is necessary for jury system or Schöffengericht, permission to appeal, constitutional complaint for judicial decisions, special tribunal and so on to be implemented in Koran constitutional arrangement. Although, in this article, the author acknowledges that constitutional revision for judicial reform has a number of merits to democratize constitutional institutions and enhance the rule of law in Korea, he also points out that it cannot be a panacia for judicial reform which will accomplish its goals only together with both supplementary legislative activism and civil will formation towards the better constitutional democra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