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ome Problems about Victim’s Consent under KOREA Criminal LAW

        Park Woong shin J-INSTITUTE 2017 Robotics & AI Ethics Vol.2 No.2

        The consent of the victim is that the subject of the legal interest allows the other person to infringe on his or her legal interest, and in some cases it is an effective system to engrave the illegality of the act by consent. In KOREA, as a legislative case, the consent of such victims is prescribed in the Article 24 of the Criminal Law, and it is a mainstream interpretation of our criminal law academics to view such acts as justification of illegal acts as self - defense, emergency evacuation. Of course, we also acknowledge tha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consti-tutional requirement may be denied by the consent of the victim even in this legitimate position. In other words, if the consent of the victim is accepted, the constitutional qualification of the act is denied, and the constitutional qualification is recognized but the illegality is sculptured. The study initiates a discussion on what kinds of legal interests victims of a violation can accept. The consent of the victim is recognized only if the right of the disposition is greater than the social necessity of disposing of the disadvantage. However, there are cases where the willingness of the individual to be consent may be a prob-lem if there are individuals who are also victims of the national and social. There is no doubt that the legal inter-ests of a victim’s consent is personal interests, but it will focus on the case of conflict between personal and legal interests. In this case, we will confirm that the consent of the person concerned does not affect the establishment of the crime if there is overlap between personal and legal interests and national and social interests. Next, the dispossessed right will review whether any legal interest is disposable, unless there are special re-strictions. This is to examine whether it is possible to limit the freedom of disposition by law. In this regard, we will consider that it is very difficult to uniformly define the limits for the restriction of consent, and that judging this by an uncertain phrase of social equity is not reasonable in terms of legal stability. It also examines how to see the effect of consent when the consent of the dispossessed person is made for illegal purposes. This is to examine whether it is possible to limit the freedom of disposition by law. In this regard, we will consider that it is very difficult to uniformly define the limits for the restriction of consent, and that judging this by an uncertain phrase of social equity is not reasonable in terms of legal stability. If the consent of the dispossessed person is made for illegal purposes, how to see the effect of the consent shall also be examined.It also examines how to see the effect of consent when the consent of the dispossessed person is made for illegal purposes.

      • KCI등재

        공갈죄에서 처분행위가 피해자 승낙인지 여부

        김태수 중앙대학교 법학연구원 2018 法學論文集 Vol.42 No.2

        This judgment considered the act of withdrawing money from the ATM with the stolen cash card by a robber as the crime of burglary aside by the crime of robbery, but ruled that the act of withdrawing money from the ATM does not become a crime since the act received the authorization of using the cash card by the consent of victims despite the victim’s act which is authorized to dispose, defective declaration of intention. However, this judgment has several problmes. First of all, in order to become a crime of bribery, a victim shall be a disposing act giving a property or giving an interest of the property by assault or intimidation. If the disposing act is consent of the victim, receiving the cash card becoms the constituted requirements of the crime of extortion, but the consent of the victim shall be regarded and withdrawing money by means of the cahs card shall be considered the consent of the victim. However, receiving a cash card is the extortion, but it is not reasonable that after receiving the card and using it is the consent. Second, the nature of the crime of extortion is the acquisition or the act gaing interests of property using defective intention by assault or intimidation. However, in order to generate the requirement to preclude wrongfulness through the victim's consent, the declaration of intention shall be taken seriously and freely. Therefore, if the intent of consent is not determined seriously and freely by mistake, fraud, or obsession, the indication of consent is not considered valid. As a result, the victim's consent is not allowed to withdraw cash using the stolen cash card. Third, the court judged that cash cards can be used legally and effectively until the victim cancels the indication of consent. However, the consent of the victim shall be made before or when the infringement of the benefit and protection of the law violates the law occurs and the later ratification of an accomplished act under the Criminal Act is not allowed. Furthermore, it is not reasonable to acknowledge that the cancellation after the infringement of the law does not affect acceptance. 대상판결은 강도가 강취한 현금카드를 사용하여 현금자동지급기에서 예금을 인출한 행위는 강도죄와 별도로 절도죄를 구성하지만 공갈로 현금카드를 갈취한 후 갈취한 현금카드를 사용하여 현금자동지급기에서 예금을 인출하였다면 이는 피해자의 처분행위 즉, 하자있는 의사표시 이기는 하지만 피해자의 승낙에 의하여 현금카드를 사용할 권한을 부여받았기 때문에 현금자동지급기에서 예금을 인출한 행위는 따로 범죄가 성립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대상판결은 몇 가지 문제점이 있다. 우선, 공갈죄가 성립하기 위해서는 폭행 또는 협박으로 피공갈자가 재물을 교부하거나 재산상 이익을 공여하는 처분행위가 있어야 한다. 이러한 처분행위를 피해자의 승낙이라고 해석해 버리면 공갈자가 현금카드를 교부받은 행위 자체도 피해자의 승낙에 의거해 수령한 것이라 봐야 한다. 현금카드를 교부받은 것은 공갈이지만 교부받아 사용한 것은 승낙이라는 것은 모순이다. 둘째, 피공갈자가 현금카드를 교부한 행위는 폭행 협박 공포 상황의 처지를 모면하려는 의도에서 한 행위로 봐야 하는데, 현금인출행위의 위법성을 조각하는 피해자의 승낙으로 해석하여 별도의 절도죄가 성립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것은 잘못된 판단이라 생각한다. 피해자의 승낙을 통하여 위법성조각 시키기 위한 요건을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그 의사표시가 진지하고도 자유롭게 결정된 것이어야 한다. 승낙의 의사표시가 폭행, 협박, 착오, 사기, 강박 등에 의한 것이면 형법상 유효한 승낙으로 인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갈취한 현금카드를 사용하여 현금을 인출한 행위는 피해자의 승낙이 되지 못한다. 셋째, 대상판결은 처분행위가 하자 있는 의사표시이기는 하지만 피해자의 승낙에 해당하고, 피해자가 그 승낙의 의사표시를 취소하기까지는 공갈자가 현금카드를 적법,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다고 판시하고 있다. 하지만 피해자의 승낙은 법익 침해가 발생하기 이전이나 법익침해시에 있어야 하며 형법상 사후승낙이 허용되지 아니한다. 더욱이, 법익 침해가 발생한 이후에 취소하더라도 승낙에는 영향을 주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인정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

      • KCI등재

        과실치사죄에서 피해자의 승낙 -2014. 6. 26. 선고 2009도14407 판결을 대상으로-

        이상문 ( Lee Sang-mun ) 한국비교형사법학회 2017 비교형사법연구 Vol.19 No.1

        대법원은 2014년 6월 26일 선고한 2009도14407 판결에서 여호와의 증인인 환자가 수술 전에 표시한 수혈거부 의사에 따라 수술도중 생명을 구하기 위해 요구되는 수혈을 행하지 않아 환자가 사망한 사안에서 의사의 행위는 불가벌이라고 판단하였다. 즉 대법원은 환자의 자기결정권을 존중할 의무와 환자의 생명을 보호할 의무가 충돌할 경우에 원칙적으로 환자의 생명을 보호할 의무가 우선하지만, 자기결정권이 생명과 대등한 가치가 있다고 평가되는 특별한 사정이 있는 때에는 의사가 어느 하나를 존중하는 방향으로 행위를 하더라도 이를 처벌할 수 없다는 법리를 최초로 선언하였다. 이러한 의미에서 대상판례는 (업무상)과실치사죄에서 피해자의 승낙에 의해 행위자의 위법성을 조각할 수 있다고 판시한 사안이다. 이 글은 위 사건에 대해 과실범에서 피해자의 승낙이 가능한가라는 측면으로부터 이론적으로 검토하여 본 것이다. 이 사안은 이른바 양해있는 타자위태화의 사안이라고 파악되므로, 대법원이 과실범에서도 피해자의 승낙이 허용될 수 있는지를 먼저 검토하였어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과실범에서는 피해자 승낙의 대상은 행위자의 위험한 행위이고, 이에 대해 피해자가 정확하게 인식하고 있으면 족하다고 본다. 또한 피해자 승낙에는 사회상규에 의한 제한이 요구되지만, 과실치사죄의 경우에는 이러한 제한이 적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피해자가 행위자의 위험한 행위에 대해서 전반적으로 인식하고, 승낙을 하였다면, 과실치사죄에서도 피해자 승낙을 적용하여 위법성을 조각할 수 있다. 사안에서 피해자가 수술 중 대량출혈 가능성에 대해서 수술직전까지 의사로부터 설명을 듣고, 완강하게 어떠한 경우라도 타가 수혈을 하지 말 것을 요구하고 있다. 그렇다면 피해자가 무수혈수술과 대량 출혈의 위험성에 대해 정확하게 알았고, 수술에 동의한 것이므로 피해자 승낙으로 위법성이 조각된다고 생각한다. The Supreme Court upheld a lower court`s decision June 26, 2014 that a doctor who performed surgery on a Jehovah`s Witness patient without a blood transfusion at her request is not responsible for her death. The Supreme Court assesses that the death of the patient was the result of the right of the self-determination. Furthermore, the Supreme Court explains the conditions and terms to validate the patient`s right of the self-determination. The Supreme Court has also acknowledged the duty of the state to protect the life right of individuals, i.e. the duty of physicians to treat the patients, as the preferential duty. Specific circumstances such as religious belief of patients can also be taken into consideration with regard to the methods of treatment only when they can be evaluated as of the same value. This led to the conclusion that the respect for the autonomy of the patients falls within the discretion of the physicians, who should make decisions under comprehensive consideration of all of the related matters. This is the first case that the victim`s consent can justify the negligence of surgeon in Article 268 of Korean Penal code. And this case correspond to the assumption of risk. So in this paper, I point out that the Supreme Court should examine whether the consent of the victims was allowed. In criminal negligence, the object of the victim`s consent is dangerous behavior, so the victim`s exact perception is essential to the victim`s consent. In addition, the socialethical limitation of the victim`s consent is not applied in cases of Article 268(Death and Injury by Occupational or Gross Negligence). Therefore, if the victim is fully aware of the dangers of the actor`s dangerous behavior and agrees with that, the victim`s consent can justify the negligence of surgeon. In the case of an issue, the victim is informed about the possibility of a massive hemorrhage from surgery, and thus strongly refuses to transfuse the blood. In conclusion, the victim is informed of the dangers of the surgery and agrees with that, therefore the victim`s consent can justify the negligence of surgeon.

      • KCI등재

        성폭력 수사에 있어 이차피해 과정: 남성 경찰관을 중심으로

        이명신(Lee Myung-Shin),양난미(Yang Nan-Mee)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2012 여성연구 Vol.83 No.-

        본 연구는 남성 경찰관의 성폭력 편견과 피해자에 대한 태도(비난과 의심), 수사과정의 어려움(증거부족, 동기부족), 이차피해유발 수사행동(저항ㆍ동의, 정황, 피해자 특성)의 정도에 대해서 알아보고 이러한 변인들이 성폭력사건수사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이차피해 유발 수사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남지역에서 성폭력수사 경험이 있는 남성경찰관 182명을 대상으로 빈도분석과 구조방정식 모형검증을 실시하였다. 빈도분석 결과, 남성경찰관의 성폭력에 대한 편견과 의심은 비교적 낮은 편이었으나, 피해자 비난태도는 상대적으로 높았다. 성폭력 수사의 어려움은 동기부족보다는 증거부족으로 인한 어려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차피해유발 수사행동 중에서는 정황이나 피해자특성 보다는 저항ㆍ동의를 중시하는 정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구조방정식 모형검증 결과, 성폭력에 대한 편견은 피해자에 대한 비난과 의심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피해자에 대한 비난이 증가될수록 저항ㆍ동의를 중시하는 수사행동이 증가되며, 의심이 증가될수록 동기부족으로 인한 어려움과, 정황을 중시하는 수사행동이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동기부족으로 인한 수사의 어려움이 클수록 증거부족으로 인한 수사의 어려움과 정황을 중시하는 수사행동이 증가되는 반면, 증거부족으로 인한 어려움이 클수록 저항ㆍ동의를 중시하는 수사행동이 증가되었다. 저항ㆍ동의를 중시하는 수사행동이 증가될수록, 정황을 중시하는 수사행동은 증가한 반면, 피해자 특성을 중시하는 수사행동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황을 중시하는 수사행동이 증가될수록, 피해자 특성을 중시하는 수사행동도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이차피해에 대한 경찰의 의식향상 캠페인, 경찰의 의식전환 및 전문화를 위한 교육, 이차피해 자가진단 사정도구의 개발 및 자가사정 체계구축, 성폭력 관련 법 개정, 여성친화적 환경 조성이 제안되었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secondary victimization process in police investigation of the sexually assaulted victims. For this purpose, a hypothetical model which explains the relationships among 3 attitudinal variables(prejudice against sexual assault, victim-blaming attitude, doubt on the victim's report), 2 investigation difficulty variables(difficulty due to lack of motive, and due to lack of evidence), and 3 investigative behaviors causing the secondary victimization(IBSV), by taking account of the importance of extra-evidences in the investigation process(victim's consent/or resistance, situational factors, and victim characteristics) was developed. Using the data collected from 182 male police officers in 3 cities in Gyeongnam, who had investigated the sexual violence crime, the model was tested by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of frequency analysis showed: ①Prejudice against sexual assault and doubt on victim's report were low, but victim-blaming attitude was relatively high. ②Difficulty due to lack of evidence was higher than difficulty due to lack of motive. ③Among IBSV, the IBSV of victim's consent/or resistance was higher than those of situational factors and victim characteristics. As a result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followings were found: ① Prejudice against sexual assault increased victim-blaming and doubt on the victim's report; ② Victim-blaming increased IBSV of victim's consent/or resistance; ③Doubt on the victim's report increased the difficulty due to lack of motive, and IBSV of situational factors; ④ Difficulty due to lack of motive increased difficulty due to lack of evidence; ⑤Difficulty due to lack of motive increased IBSV of situational factors, while difficulty due to lack of evidence increased IBSV of victim's consent/or resistance; ⑥ IBSV of victim's consent/or resistance increased IBSV of situational factors, while decreased IBSV of the victim characteristics; ⑦ IBSV of situational factors increased IBSV of victim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findings, ① consciousness raising campaign to reduce the secondary victimization among the police officers, ② educational program for the police officers, ③ development of the measurement for self-assessment of police officers' investigative behaviors as well as establishment of self-assessing system in police, ④ legistration reform to increase the protection and support for the sexually assaulted victims, and ⑤ social construction of the female-friendly environments were suggested as a way to prevent the secondary victimization in the police investigation as well as to protect the human right of the sexually assaulted victims.

      • KCI등재

        성폭력 수사에 있어 이차피해 과정: 남성 경찰관을 중심으로

        이명신,양난미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2 여성연구 Vol.79 No.-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secondary victimization process in police investigation of the sexually assaulted victims. For this purpose,a hypothetical model which explains the relationships among 3attitudinal variables(prejudice against sexual assault, victim-blaming attitude, doubt on the victim's report), 2 investigation difficulty variables(difficulty due to lack of motive, and due to lack of evidence),and 3 investigative behaviors causing the secondary victimization(IBSV),by taking account of the importance of extra-evidences in the investigation process(victim's consent/or resistance, situational factors,and victim characteristics) was developed. Using the data collected from 182 male police officers in 3 cities in Gyeongnam, who had investigated the sexual violence crime, the model was tested by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of frequency analysis showed: ①Prejudice against sexual assault and doubt on victim's report were low, but victim-blaming attitude was relatively high. ②Difficulty due to lack of evidence was higher than difficulty due to lack of motive. ③Among IBSV, the IBSV of victim's consent/or resistance was higher than those of situational factors and victim characteristics. As a result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followings were found: ① Prejudice against sexual assault increased victim-blaming and doubt on the victim's report; ② Victim-blaming increased IBSV of victim's consent/or resistance; ③Doubt on the victim's report increased the difficulty due to lack of motive, and IBSV of situational factors; ④Difficulty due to lack of motive increased difficulty due to lack of evidence; ⑤Difficulty due to lack of motive increased IBSV of situational factors, while difficulty due to lack of evidence increased IBSV of victim's consent/or resistance; ⑥ IBSV of victim's consent/or resistance increased IBSV of situational factors, while decreased IBSV of the victim characteristics; ⑦ IBSV of situational factors increased IBSV of victim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findings, ① consciousness raising campaign to reduce the secondary victimization among the police officers, ② educational program for the police officers, ③ development of the measurement for self-assessment of police officers' investigative behaviors as well as establishment of self-assessing system in police, ④ legistration reform to increase the protection and support for the sexually assaulted victims,and ⑤ social construction of the female-friendly environments were suggested as a way to prevent the secondary victimization in the police investigation as well as to protect the human right of the sexually assaulted victims. 본 연구는 남성 경찰관의 성폭력 편견과 피해자에 대한 태도(비난과 의심), 수사과정의 어려움(증거부족, 동기부족), 이차피해유발 수사행동(저항․동의, 정황, 피해자 특성)의 정도에 대해서 알아보고 이러한 변인들이 성폭력사건 수사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이차피해 유발 수사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남지역에서 성폭력수사 경험이 있는 남성경찰관 182명을 대상으로 빈도분석과 구조방정식 모형검증을 실시하였다. 빈도분석 결과, 남성경찰관의 성폭력에 대한 편견과 의심은 비교적 낮은 편이었으나, 피해자 비난태도는 상대적으로 높았다. 성폭력 수사의 어려움은 동기부족보다는 증거부족으로 인한 어려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차피해유발 수사행동 중에서는 정황이나 피해자특성 보다는 저항․동의를 중시하는 정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구조방정식 모형검증 결과, 성폭력에 대한 편견은 피해자에 대한 비난과 의심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피해자에 대한 비난이 증가될수록 저항․동의를 중시하는 수사행동이 증가되며, 의심이 증가될수록 동기부족으로 인한 어려움과, 정황을 중시하는 수사행동이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동기부족으로 인한 수사의 어려움이 클수록 증거부족으로 인한 수사의 어려움과 정황을 중시하는 수사행동이 증가되는 반면, 증거부족으로 인한 어려움이 클수록 저항․동의를 중시하는 수사행동이 증가되었다. 저항․동의를 중시하는 수사행동이 증가될수록, 정황을 중시하는 수사행동은 증가한 반면, 피해자 특성을 중시하는 수사행동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황을 중시하는 수사행동이 증가될수록, 피해자 특성을 중시하는 수사행동도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이차피해에 대한 경찰의 의식향상 캠페인, 경찰의 의식전환 및 전문화를 위한 교육, 이차피해 자가진단 사정도구의 개발 및 자가사정 체계구축, 성폭력 관련 법 개정, 여성친화적 환경 조성이 제안되었다.

      • KCI우수등재

        피해자의 승낙 규정의 입안(立案) 경위 - 일본개정형법가안의 심의와 관련하여 -

        조인현 한국형사법학회 2019 刑事法硏究 Vol.31 No.2

        Our Penal Code Article 24 regulates the consent of victim as justification to crime. This article of Korean Criminal Act is known as a creative works and defined as follows. An act which infringes legal interests with the consent of a person who is authorized to dispose of such interests shall not be punishable except as otherwise provided by Acts. Such article of Korean Criminal Act couldn't be legislated in German or Japanese Penal Code. A model for the provision of the consent of victim originated from Italian Penal Code Article 50. While in Japan the consent of victim was seriously discussed in process of legislating the Japanese Draft for Revicing Criminal Act. Therefore in this article I have researched the legislative details to find how it came about. Moreover, the most important thing discussed in this article is the historical characteristics of consent of victim including ethical limitations of justification through consent. As a result, the consent of victim of Korean Criminal Act should be reasonably recognized as justification to crime. Firstly, the consent must be given freely and voluntarily. Secondly, in case of weighing legal interests the ethically prohibited motive may not be taken into account. otherwise the effectiveness of consent of victim would be misused by fraud and misunderstanding. Lastly, the consent of victim does not correspond to the behaviors that has nothing to do with the legally protected interests. 제정형법은 일본개정형법 가안과 달리 위법성 조각사유로서 제24조 피해자의 승낙을 도입하였다. 동법의 피해자의 승낙에 관한 규정은 독일 및 일본형법에도 도입되어 있지 아니하여 독창적이다. 그리하여 동법 제24조는 구성요건 해당성 있는 행위 유형들에 대해, 한국 사회의 현실에 적합하게 이를 다시 위법성 단계에서 위법성을 조각함으로써 위법행위의 정형을 축소하고 위법성을 제한한 입법기술이라고 일컬어진다. 필자는 피해자의 승낙 규정 도입 경위를 고찰하게 된 연구 목적을 다음과 같은 점에 두었다. 한편으로는 정확한 입법자 의도가 파악된다면 실무 해석은 형사 사건에 대해 확고한 기준 틀을 갖추게 될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는 장차 형법개정에 있어서 입법 방향이 바르게 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하여, 본고에서 일본개정형법 가안의 입안 경위로서 예비초안의 축조 심의 과정이 집중적으로 다루어졌다. 이 과정에서 일본 가안 입안자는, 독일, 인도, 이탈리아 형법을 입안의 중요한 참고자료로 취급하였다. 특히, 피해자의 승낙 규정의 존치 여부에 대하여 논의되었던 예비초안 심의 과정이 고찰되었고, 기초위원회와 본위원회 최종안 결의 과정이 형사법제사적 관점으로부터 연구 검토되었다. 제정형법의 피해자의 승낙 조문 입법 경위에 있어서 입법자가 이탈리아 형법의 입법 형식을 채택하였던 사실이 다루어졌다. 제정형법에 피해자의 승낙 규정을 도입한 입법 결단의 특징은 다음과 같이 정리되었다. 독일과 일본에서는 총칙에 피해자의 승낙을 위법성 조각사유로 도입하지 아니하였다. 승낙행위에 대한 처벌 여부는 판례에 일임된다. 이 때문에 독일과 일본에서는 피해자의 승낙의 체계적 지위에 대한 견해가 다양하게 나뉘어진다. 이 점은 실무 해석에 부담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생각된다. 하지만, 제정형법상 피해자의 승낙은 위법성 조각사유의 하나로서 규정되어, 추정적 승낙이나 가정적 승낙 이론을 체계적, 종합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 KCI등재

        폭력범죄로서 강간죄와 성적 동의 - ‘강간상황극’ 판결에 대한 검토를 중심으로 -

        유태권(Tae-Gwon Yoo) 이화여자대학교 젠더법학연구소 2021 이화젠더법학 Vol.13 No.3

        2020년에 있었던 강간상황극 사건은 강간죄의 폭력범죄성과 성적 동의의 본질에 대해 고찰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강간상황극 사건에서 핵심 쟁점은 강간상황극이라는 말에 속아 강간행위를 한 행위자의 형사책임 문제였다. 1심과 2심은 유・무죄의 결론이 달랐으나 모두 행위자가 강간상황극이라고 착오한 것을 고의와 관련된 문제로 보았다. 이는 강간죄에서 성적 동의는 구성요건 해당성을 배제하는 양해에 해당한다는 전제에서 비롯된 것이다. 그러나 폭행이 동반된 성관계에 대한 동의는 간음행위에 대한 동의뿐만 아니라 폭행에 대한 동의도 포함하는 것이다. 따라서 비록 간음행위에 대한 성적 동의가 구성요건 해당성을 배제한다고 하더라도 폭행에 대한 동의는 구성요건 해당성을 배제하는 동의가 아니라 위법성을 조각할 수 있는 피해자의 승낙에 해당하고, 전체적으로 강간죄와 관련해서도 피해자의 승낙으로 보아야 한다. 결국 강간행위자가 강간상황극이라고 착오한 것은 위법성조각사유의 전제사실에 대한 착오이며, 결론적으로는 강간행위자의 착오에는 ‘정당한 이유’가 없어 유죄의 죄책을 지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 타당하다. 성관계에서 성적 동의는 다의적, 다층적이며 특히 간음행위와 폭행행위에 대한 동의로 구별될 수 있다. 이는 성적 동의가 폭행・협박을 배제하는 증거가 아니며, 반대로 폭행・협박의 존재가 성적 동의의 결여의 징표가 아니라는 점을 보여준다. 그리고 결론적으로 폭행・협박과 성적 동의가 없는 강간행위가 가능하며 이에 따라 성폭력범죄 체계의 개선 필요성도 시사한다. The rape situational play case in 2020 provided an opportunity to examine the violent criminality of rape and the nature of sexual consent. A key point in the case was the issue of criminal responsibility for the perpetrators who were deceived by the word rape situational case. The first and second trial had different conclusions of guilt or innocence, but both viewed the misunderstanding of the perpetrator as a rape situational play as a matter related to intention. This is based on the premise that, in the crime of rape, sexual consent corresponds to an understanding that excludes constitutive applicability. However, consent to sexual intercourse accompanied by assault includes consent to assault as well as consent to adultery. Therefore, even if the sexual consent for the act of adultery excludes the constituency, the consent to assault is not the consent to exclude the constitutiveness, but the consent of the victim, which can sculpt the illegality, and as a whole, in relation to the crime of rape should also be viewed as the consent of the victim. In the end, it is reasonable to judge that the rapist mistakenly believes that it is a rape situational play is an error on the premise of the reason for the illegality, and in conclusion, the rapist’s error has no ‘justifiable reason’ and is guilty of guilt. In sexual intercourse, sexual consent is plural and multi-layered, and in particular it can be distinguished as consent for adultery and assault. This shows that sexual consent is not evidence to exclude assault or intimidation, and conversely, the presence of assault or intimidation is not a sign of lack of sexual consent. In conclusion, it is also suggested that, although violence or intimidation was not accompanied, it is possible to commit adultery against the will without sexual consent, that is, rape, and criminal punishment for this is necessary.

      • KCI등재

        성폭력범죄의처벌등에관한특례법위반(카메라등이용촬영·반포등)과 피해자의 의사 -위계에 의한 피해자의 동의가 있는 사안을 중심으로-

        윤소현 건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23 一鑑法學 Vol.- No.54

        As for the crime of the picture-taking, article 14 of the Special Act on the Punishment, etc. of Sexual Violence Crimes, Scholars have intensively discussed the “human body that can induce sexual desire or shame,” an object of the article 14, in relation to “video voyeurism”. However, there are cases where the victim is aware of the filming behavior but tolerates it by a defective intention due to deception, etc. Digital sex crime cases such as the so-called “Nth Room” are representative, and in these cases, the victims agree by mistake due to the actor’s deception. Regarding the legal nature of the victim’s consent, the majority opinion distinguishes the consent ot getting rid of the crime requirements and the consent of nullifying the illegality and considers protective legal interest of the picture-taking crime in relation to the valid requirements for the former meaning of the consent. It is obvious in context that the consent of the victim of the picture-taking crime is the former meaning. And the protective legal interest of the crime is sexual self-determination. Since this is a right based on autonomy, defective decision-making cannot be regarded as the exercise of full self-determination. Therefore, if the victim agrees by deception, it cannot be regarded as a valid consent that excludes the constituent requirements of the crime of the picture-taking. Furthermore, if considering the precedent trial case, in that the supreme court included the serious mistake of the victim as to the motive of the perpetrator in the meaning of the deception used for the adultery against minors, the victims in the case of the Nth room cases made the serious mistake as to the motive of the perpetrators because they were deceived into paying and not distributing pictures to the public.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제14조 제1항 위반의 카메라등이용촬영죄에대해서 종래 ‘도촬행위’를 중심으로 행위객체인 ‘성적 욕망 또는 수치심을 유발할 수 있는 사람의 신체’에 대하여 논의가 집중되었다. 그러나 피해자가 촬영행위를 인지하였으나 위계 등으로 인하여 하자 있는 의사에 의하여 이를 용인하는 경우가 있다. 이른바 ‘N번방’ 등 디지털 성범죄 사건들이 대표적이고, 특히 피해자가 행위자의 위계로 인해 착오로 동의한 경우가 문제된다. 피해자의 동의의 성질에 관하여 구성요건해당성을 배제하는 양해와 위법성을 조각하는 피해자의 승낙을 구별하고, 양해로서의 동의의 유효요건도 개별 구성요건의 보호법익 등을 고려한 해석에 맡기는 것이 우리 다수설이다. 카메라등이용촬영죄의 피해자의 동의는 구성요건요소임이 법문상 명백하다. 그리고 그 보호법익은 성적 자기결정권인바, 자율성을 본질로 하는 권리임을 볼 때 하자 있는 의사결정은 온전한 성적 자기결정권의 행사라고 볼 수 없다. 따라서 위계에 의하여 피해자가 동의를 한 경우는 카메라등이용촬영죄의 구성요건을 배제하는 유효한 양해라고 볼 수 없다. 나아가 미성년자에 대한 위계간음죄에 있어 중대한 동기의 착오를 포함하는 판례의 입장을 N번방 사건에 대입하면 대가 지급뿐만 아니라 유포행위를 하지 않을 것이라는 점에 대해서 위계가 있었고 이것은 중대한 동기의 착오에 해당한다.

      • KCI등재

        형법상 친족간 특례규정과 피해자의 의사

        황태정(Hwang, Tae-Jeong) 한국피해자학회 2008 被害者學硏究 Vol.16 No.1

        In criminal act, there are some express provisions which have special legal effect in criminality and punishability of act by the reason of relationship among relatives. The provisions includes adultery, some kinds of crimes committed on lineal ascendant, killing or abandoning baby, special exceptions to relatives in harboring criminal, destruction of evidence and some property crimes. It is remarkable that the legal effect of some of those express provisions is related with the consent of victim. This paper tried to classify the express provisions based on the relationship among relatives and study correlation between the provisions and consent of victim and the possibility and appropriateness of the provisions. To point out the systematical problems and disharmony of legal effect of the provisions and suggest some of legal improvements is the purpose of this paper. When Property crimes committed among relatives, it is required to take consent of victim into consideration positively in a viewpoint that the law do not enter home. So it is not reasonable to give a legal effect to remit whole punishment because remittal of punishment does not reflect consent of victim. In this case, it is suggested that the crimes should be prosecuted only upon complaint or should not be prosecuted over the express objection of the victim, to take consent of victim into consideration. It would be an answer to the criticisms pointing out the problems like ignoring consent of victim and unbalance of criminal procedure.

      • KCI등재

        연명치료중단에 관한 형법적 고찰

        정진연(Chung Jin-Yeon) 한국법학회 2009 법학연구 Vol.36 No.-

        최근 연명치료중단과 관련하여 대법원 판결이 선고되면서, 인간답게 죽을 권리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사망의 단계에 접어든 환자에 대하여 단순이 현상태만을 유지시키는 연명치료를 중단하여 자연스러운 사망으로 유도하는 일련의 과정에 대하여, 여러 법률적 쟁점이 도출되고 있다. 이번 판결은 비록 무의미한 연명치료장치제거를 청구한 민사소송이지만, 다수의 형법적 쟁점이 포함된 것이다. 이에 연명치료중단의 의의와 관련하여 기존 안락사, 존엄사와의 관계가 문제되며, 연명치료중단의 형사처벌 가능성과 관련하여 처벌가능성 및 정당화 근거 등이 문제된다. 또한 연명치료중단 과정에서 환자의 동의의 법적 성질을 피해자 승낙으로 보는 경우 피해자 승낙의 유효요건 및 추정적 승낙의 형법적 처리 등이 문제된다. 의료적으로 연명치료를 중단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은 사전적인 판단이지만, 사망의 결과가 나타나고 관련자의 이해가 충돌하여 법적 분쟁으로 확대된 후 사후적 판단은 동일한 기준에 의할 수 없다고 할 것이다. 특히, 민사적 법률관계를 떠나 관계자의 형사책임을 논함에 있어 그 기준은 엄격할 수밖에 없다. 환자 본인인 피해자의 승낙이 아니라 그러한 승낙의 추정을 인정하여 사망이라는 결과에 적법성을 부여하는 추정적 승낙의 인정과정에서 관련자에게 ‘양심에 따른 심사’라는 주관적 정당화요소를 요구하는 것이 필수불가결하다. 형법이론 상 피해자의 승낙에 대하여 보충적 지위에 있는 추정적 승낙이지만, 연명치료중단의 경우에는 오히려 주가 되므로 이에 대한 연구가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Recent Supreme Court ruling on death with dignity has increased the interest in the right to die like a human being. Various legal issues have been raised within the process of guiding a person who has entered into the steps of death to a natural death by cease of medical treatment which has been prolonging such person. Although the current ruling was a civil case petitioning the removal of meaningless life-prolonging medical device, it includes number of criminal law issues. Thereupon, there are several issues including the definition of cease of life-prolong treatmentin relation to the existing voluntary or involuntary euthanasia, the possibility of criminal prosecution and the ground of justification. Furthermore, if a patient's consent to the cease of life-prolong treatment is viewed as consent of a victim then there are issues of what will constitute as the effective requisites for such consent of a victim and the handling of presumptive consent in the viewpoint of criminal law. Although the medical decision to cease the life-prolong treatment is a judgment before-the-fact, the judgment after-the-fact which will be required after the resulting death and related legal disputes between the related parties has been raised, cannot be viewed with equal standard. Especially, outside of the civil legal relationship, the standard must be stricter in the context of criminal liability of the related party. It is inevitable to require a subjective justification element such as 'judgment with conscience' to a related party when recognizing presumptive consent, which places legality to a death by acknowledging a presumptive consent rather than victim's consent by the patient, Despite of the presumptive consent having the supplementary status to the consent of a victim in criminal theory, as presumptive consent will be the main theory in the cases of cease of life-prolong treatments, studies need to be continued in this contex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