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김교신(金敎臣)의 신학 분석

        안수강(Su-Kang, Ahn) 한국기독교학회 2017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104 No.-

        본 연구 논문은 김교신이 저술한 다양한 논고들을 분석함으로써 개혁주의 조직신학적인 관점에서 그의 신학사상을 성찰하려는 데 목적을 둔다. 김교신은 1901년 함흥에서 출생하여 1945년에 세상을 떠나기까지 한국 근대사의 가장 참담했던 시대를 거쳐 간 기독교 사상가요 교육자였다. 그는 일평생 혼신의 힘을 다하여 무교회주의 사역에 투신한 인물이었으며, 그가 솔선하여 추구하고자 했던 진정한 기독교는 이른 바 ‘전적 기독교’(全的 基督敎, total Christianity)의 구현이었다. 1920년대에 뿌리내린 김교신의 초기 무교회주의 사상은 일본 강점기 식민치하에서 전혀 독특한 기독교 사상으로 디딤돌이 놓여졌다. 지금까지 그의 생애 및 사상과 관련하여 발표된 다양한 신학논문들은 주로 ‘무교회론’, ‘민족교육’, ‘생명에 대한 이해’, ‘지리학’, ‘전적 기독교’, ‘조선산(朝鮮産) 기독교’, ‘성서조선’, ‘인간화 교육’, ‘사회사상’, ‘인물 비교연구’ 등에 초점이 맞추어졌다. 본 논문에서는 김교신이 남긴 저서들을 통해 1) 하나님에 대한 이해, 2)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이해, 3) 구원론에 대한 관점, 4) 무교회주의에 대한 관점 등 네 가지의 논점으로 구분하여 분석했으며, 이 연구가 향후 김교신의 ‘성경관’, ‘인간론’, ‘종말론’, ‘신앙적 사고와 윤리’ 등과 같은 교리적 연구 작업으로 더 확장되기를 기대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Gyo-Shin Kim’s theological thoughts through his various article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reformed systematic-theology. Kim was born in Hamheung in 1901 and passed away in 1945. He was a Christian thinker and educator who lived in the darkest era throughout the modern Korean history. He devoted himself entirely to the field of non-congregationalism with all his strength to the end of his life. And the true Christianity for him was to realize ‘wholehearted Christianity’(total Christianity, 全的 基督敎). In 1920s his early idea of non-congregationalism was constructed as a entirely characteristic Christian thought under a colonial policy of Japan. Until now various theological articles on Gyo-Shin Kim’s life and thoughts have been produced by coining his main concenpts such as ‘non-congregationalism’, ‘national education’, ‘understanding of life’, ‘geography’, ‘wholehearted Christianity’, ‘Choseonsan(朝鮮産) Christianity’, ‘Bible Choseon’, ‘human education’, ‘social thoughts’, ‘comparative study on the characters’, and so on. I will deal with the main aspects of his theological thoughts he left to us as follows. 1)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God 2)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Jesus Christ 3) viewpoint of soteriology 4) viewpoint of non-congregationalism. I am looking forward to future extensions of this research into Gyo-Shin Kim’s other doctrinal thoughts such as ‘viewpoint of the Bible’, ‘anthropology’, ‘eschatology’, ‘faith thinking and ethics’, and so forth.

      • KCI등재

        공동체문화 실천의 분화와 지식생산의 주체화 -풀무학교와 지역사회 연대의 실천과 변화를 중심으로-

        이영배(Lee, Young-bae) 실천민속학회 2021 실천민속학연구 Vol.37 No.-

        풀무학교는 무교회주의 공동체의 이상이 내포된, 학교이면서 교회이고 동시에 자급자족하는 마을이다. 또한 생활 협동이 가능한 소규모의 지역 기반 위에서 공유되었던 무교회주의 신앙을 통해 성립 · 발전해왔다. 생명에 대한 보편적 사랑은 무교회주의 공동체 구상에서 있어 매우 중요하다. 현대 도시 문명을 비판하고 거대도시 중심 체제의 주변부 식민지로 전락해가는 농업과 농촌의 자립은 생명으로 생명을 키운다고 하는 생명사상에 입각해있다. 이러한 생명사상은 풀무학교를 통해 농업과 농촌의 자립 · 자율의 공동체적 실천으로 나타났다. 풀무학교는 개교부터 마을 속 학교를 표방하고 지역과 연대하는 마을공동체 교육을 추구해왔다. 학교에서 시작한 협동조합이 마을로 나아갔듯이 유기농업도 풀무학교를 기반으로 마을공동체를 중시하는 협동조합의 흐름 위에서 실천되었다. 2000년대에 들어 이 지역 공동체문화 실천들은 제도 속으로 포섭되거나 새로운 실험을 통해 대안성을 계승해가고 있다. 한편으로 풀무학교의 대안성이 교육제도의 혁신 속에서 제도로 포섭되고 협동조합의 성과가 이른바 제3섹터의 영역으로 포섭되어 협치의 한 부문으로 제도화된다. 다른 한편으로 장곡지역을 중심으로 활성화되고 있는 협동조합의 실험들은 도시의 청년들이 귀농 · 귀촌하면서 지역사회의 공동체성을 변환시키고 새로운 층위를 만들어내는 변화 상황을 예시하고 있다. 또한 실천 주체들은 지식생산 주체로 변환되어 자기 경험과 의식에 의거하여 역사와 지식을 새롭게 구성하고 전망을 도출하고 있다. 이는 대안의 생성이 더욱 역동적으로 전개될 수 있는 가능한 지점을 보여주는 것으로 공동체문화 실천의 지평을 확장하고 있다 하겠다. Pulmu School, which is implicit in the ideals of the non-congregationalism community, is a self-sufficient village that plays the role of a school and a church simultaneously. It has also been developed through non-congregationalism faith, shared through small regional bases where cooperation in life was possible. The universal love of living things is highly significant in the non-congregationalism community initiative. Agriculture and rural independence, which criticize modern urban civilizations with most of the rural areas’ degenerating into a peripheral colony of multi-centered metropolitan system, are based on a sort of life philosophy, namely the idea of rearing life via life. Through Pulmu School, this idea of life emerged as a community practice of self-reliance and autonomy in agriculture and rural areas. Since its opening, Pulmu School has stood for a borderless school where the village has become a school and the school is open to the village. Just as the cooperatives that started at school moved to the village, organic farming was also performed with the flow of cooperatives which valued the village community based on Pulmu School. In the 2000s, community culture practices in Andong region were either embraced into the system, or inherited alternatives through new experiments. On one hand, the alternatives of Pulmu schools are institutionalized in the innovation of the education system, and the performance of cooperatives is institutionalized as a sector of cooperation in the so-called third sector. On the other hand, experiments by cooperatives, which have been activated around the Janggok area, exemplify the change in the youth of the city, which transforms a community and creates new layers of groups as they return to rural communities. In addition, practitioners are transformed into knowledge production entities, which newly construct history and knowledge based on their own experiences and consciousness and originate their prospects. This shows several feasible points where the creation of alternatives can develop more dynamically, expanding the horizon of community culture practice.

      • KCI등재

        우치무라 간조(內村鑑三)의 무사도 이해 - 예언자적 시각을 중심으로 -

        한석호 한국일본어문학회 2019 日本語文學 Vol.80 N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by reinterpreting the perception of Uchimura's bushido through prophetic vision, contemplate global perception inherent in Uchimura's Japanese Christianity and compare it with global perception inherent in Nitobe Inazo’s bushido, comparing and reviewing Uchimura and Nitobe’s position on ‘Two Js’ within globalperception. Through prophetic vision, Uchimura's Japanese Christianity, formed by Uchimura's understanding of the traditional Japanese traditional bushido spirit and its limitations, was able to relativize Japanese Orientalism grafted with traditional Japanese bushido thus shaping up Paul’s bushido spirit(Pauline Christianity) standing up to absolute power of Rome to true bushido spirit. In this context, Uchimura's Japanese Christianity, unlike Nitobe who has not escaped from the framework of Orientalism set by the West, has created the Non-Congregationalism based on Pauline Christianity and thus it can said that it has escaped the frame of Western Christian Orientalism to some extent. In the end, Nitobe's bushido, which did not deviate from the Western idea of Orientalism, is the actual starting point signifying the shift of center of Two Js to Japan side whereas Uchimura's Pauline bushido Christianity that overcame the limits of traditional bushido spirit could be the basis of a concrete claim meaning the movement of the center to Jesus among the two J's.

      • KCI등재

        함석헌(咸錫憲)의 신앙전환(信仰轉換) 고찰

        안수강(Su-Kang Ahn) 한국기독교학회 2016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102 No.-

        본 논문에서는 함석헌의 신앙전환을 고찰하고 그 현상적 배경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함석헌의 초기 민중사상은 1930년대 기독교 민중사상으로 구축되었으며 1950년대에 그의 씨알사상의 골격이 되었다. 함석헌은 이론가나 철학가로만 안주했던 것이 아니라 평생 생명을 내걸고 민중의 현장에서 헌신한 인물이었다. 그는 혼이 담긴 저작과 열정적인 시국선언을 통해 민중을 일깨우는 교육자와 섬기는 자로서 자신의 사역에 투철했으며 그의 이러한 사역은 1970년대와 1980년대에도 지속적으로 전개되었다. 함석헌의 신앙전환은 바로 이 민중(씨알)에 기초되어 있으며 청소년기 애국심, 무교회주의, 수정 무교회주의, 퀘이커 평화주의, 종교다원주의, 탈기독교 신앙 등 여섯 분야에서 분석할 수 있다. 이 여섯 가지의 관점은 그의 신앙전환과 관련하여 매우 견고한 이론적 기초를 형성하며 그의 민중운동과 관련하여 폭넓게 기승전결(起承轉結)의 구도를 형성한다. 본 논문에서는 거시적인 틀에서 함석헌이 남겨준 그의 신앙전환의 중요한 국면들을 1) 그의 신앙전환의 배경, 2) 신앙전환이 갖는 의미, 3) 민중의 가치와 미래라는 관점에서 다루고자 한다. 그의 민중과 기독교사회에 관한 참신한 사상은 한국기독교가 지금 그리고 여기에서 추구해야 할 뚜렷한 방향성과 진로를 보여준다.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am Seokheon’s transformation of faith and it’s phenomenal background. In 1930s Ham’s early idea of the minjung was well constructed as a Christian idea of the minjung, which in 1950s became a basic framework of his idea of Ssial. He devoted himself entirely to the field of the minjung at the risk of his own life to the end of his life, not remaining as a simple theorist and philosopher. He was devoted to his roles as a educator and servant to enlighten the minjung with his soulful works and passionate declaration of the state of affairs, which continued on in the 1970s and 1980s. Ham’s transformation of faith is on the basis of the minjung(Ssial) and it is analyzed in six ways: adolescent patriotism, non-congregationalism, revised non-congregationalism, Quaker pacifism, religious pluralism, post-Christian faith. These six viewpoints are very sound theoretical basis for his transformation of faith and show the structure of wider narrative arcs in relation to his minjung movement. With big picture, I will deal with the main aspects of Ham’s transformation of faith he left to us as follows. 1) background of his transformation of faith. 2) meaning of his transformation of faith. 3) value of the minjung and future of the minjung. I think that his novel thoughts on the minjung and Christian society can show a way and clear direction that Korean Church should pursue here and now.

      • KCI등재

        해방 후 한국 무교회주의자들의 공동체 구상

        김건우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2015 사이 Vol.19 No.-

        The korean non-congregationalist movement was really started by korean followers of Uchimura Kanzo such as Kim Kyo-Sin and Ham Seok-heon in late 1920s. After liberation, the lineage of non-congregationalists who were searching for the ideas of community, was divided into two groups. One is the vein which flowed down via Kim Kyo-sin to Ryu Dal-yeong, and the other is the vein which flowed down via Ham Seok-heon to Lee Chan-gap and Hong Sun-myeong. Ryu Dal-yeong tried to realize his master Kim Kyo-sin’s idea of community on a national scale by participating in Anti-usury Project National Rebuilding Movement during the period of 5.16 military regime. Lee Chan-gap attempted to build the small scale, self-sufficient community, more faithful to the original creed of the non-congregationalism. Ryu Dal-yeong’s idea was reappropriated into SaeMaul Undong by the later government, and Lee Chan-gap’s idea is still activated by Hong Sun-myeong in Hongseong, Chungnam. 한국 무교회주의는 1920년대 말, 일본의 무교회주의 사상가 우치무라 간조의 조선인 제자였던 김교신과 함석헌 등에 의해 본격 시작되었다. 해방 후 공동체 구상과 관련하여 무교회주의의 계보는, 김교신을 경유하여 류달영으로 내려가는 맥과 함석헌을 경유하여 이찬갑-홍순명으로 내려가는 맥으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류달영은 5․16 군정기 재건국민운동을 통해 스승 김교신의 구상을 국가적 스케일에서 현실화하려고 시도하였다. 이찬갑은 보다 더 무교회주의의 본령에 충실한 소규모의 자족적 지역 공동체를 만들고자 했다. 류달영의 구상은 후일 정권에 의해 새마을 운동으로 전유되었고, 이찬갑의 구상은 홍순명을 통해 충남 홍성에서 지금까지도 이어지고 있다.

      • KCI등재

        진리 안에서 그리고 자발성에 의한 하나됨: 성경적 교회 일치를 향한 존 오웬의 탐구

        이성호(박사) ( Sung Ho Lee ) 한국복음주의신학회 2010 성경과신학 Vol.54 No.-

        교회론은 평생 동안 존 오웬의 주요 관심사였음에도 불구하고 학자들의 관심을 끌지 못하였다. 오웬은 특별히 자신이 속한 회중파(Congregationalist) 교회를 분리주의라는(schism) 비판으로부터 변호하는 데 온 힘을 기울였다. 그는 영국교회가 분리의 늪에 빠져 있을 뿐 아니라 ‘일치’와 ‘분리’에 대한 개념 자체가 심각하게 왜곡되었다고 판단하였다. 따라서 오웬은 그런 교회론적 용어들에 대한 성경적 정의를 분명히 해야 할 책임을 느꼈다. 교회의 일치에 대한 오웬의 개념은 교회 그 자체에 대한 개념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교회가 비가시적 가톨릭 교회, 가시적 가톨릭 교회, 그리고 개체 교회로 구분된다면, 우리는 교회의 일치에 대해서도 뭉뚱그려서 정의할 수 없다. 실제적으로 불가시적 가톨릭 교회의 경우, 분리 자체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분리나 일치에 대한 논의 자체가 불가능하며, 따라서 오직 가시적 가톨릭 교회와 개체교회에 대해서만 분리를 이야기 할 수 있다. 오웬은 근본 진리(fundamental truth)만이 가시적 가톨릭 교회의 일치에 대한 유일한 근거라고 생각하였기 때문에, 어떤 교회가 이 근본 진리를 신실하게 고수하는 한, 그 교회를 분리주의라고 정죄할 수 없다고 보았다. 개체 교회는 신자들의 자발적 합의에 의하여 하나가 되었기 때문에, 강요에 의한 하나됨은 교회에서 허용될 수 없다고 보았다. 진리 안에서 그리고 자발성에 의한 하나됨이야 말로 성경이 가르치는 교회 일치라고 할 수 있다. 오웬이 이해한 이 성경적 개념에 의하면, 회중주의는 분리주의가 아니라 오히려 성경적 교회 일치를 가장 잘 구현한다. John Owen’s ecclesiology has not drawn scholars’ interests despite his great efforts for the unity of the church throughout his life. In particular, Owen devoted a great amount of his energy to defending Congregationalism from the charge of schism. Owen believed not only that the church fell into schism but that the concepts of unity and schism themselves were seriously corrupted. Owen felt the need for a biblically grounded criterion determining the meaning of unity and schism. Owen’s concept of the ecclesiastical unity is closely related to the very concept of the church. Given that the church can be distinguished into the invisible catholic church, visible catholic church, and the particular church, we cannot deal with the unity of the church in general. Since it is impossible to breach the unity of the invisible catholic church, the only last two churches should be seriously considered with regard to unity and schism. Owen believed that since the fundamental truth is the only ground for the unity of the visible catholic church, no church should be charged for schism as far as she faithfully defends the Christian truth. Owen also argued that the members of a particular church should be united by voluntary agreement, and force should not be used in the church for the sake of unity. These two ways, unity in truth and unity by voluntary agreement, are the only biblical way of the church unity. On the basis of his own interpretation of the Scripture on unity and schism, Owen argued that congregationalism is not a schismatic movement but the true way to the Christian unity since his Congregational churches were firmly united in the truth and all their members enjoyed the mutual communion in love.

      • KCI등재

        일반 : 정교분리의 관점에서 조명한 사무엘 루더포드 -토머스 후커의 17세기 교회론 (교회 정부) 논쟁

        안상혁 ( Sang Hyuck Ahn ) 한국개혁신학회 2015 한국개혁신학 Vol.47 No.-

        이 논문은 사무엘 루더포드와 토머스 후커 사이에 벌어진 교회론 논쟁을 성경과 신학적 관점뿐만 아니라 정교분리의 역사적 정황 안에서 재조명한다. 특히 ‘회중의 치리권’에 관한 그들의 다른 입장을 조명한다. 이 과정에서 왜 정치영역에서 공통으로 발견되는 민주적인 원리-국민의 “근원적 권력”-가 교회 정부 형태에 대해서는 서로 다른 방식으로 적용되면서 둘 사이의 첨예한 대립을 불러일으켰는지에 대해 탐구한다. 루더포드는 국가교회의 정당성을 옹호했다. 그러나 일단 국가교회를 인정한 후에는 국가와 교회 각각의 고유한 영역을 구분 짓는 데에 세심한 주의를 기울였다. 특히 에라스투스주의를 논박하면서 루더포드는 두 왕국론의 입장에서 교회 안의 치리 원리가 세속 사회의 그것과는 본질에서 다르다는 사실을 부각했다. 장로들은 구약의 선지자들과 신약의 사도처럼 그리스도에 의해 직접 임명을 받는다. 따라서 그들이 행사하는 치리권은 소위 회중의 “근원적 권세”와는 무관하다. 한편 후커는 국가교회 및 정교일치가 제도화되는 것을 거절했다. 그러나 이와 동시에 교회에 대한 기독교인 관료의 책임을 크게 강조했다. 어떤 의미에서 후커는 소위 국민의 “근원적 권력”을 회중교회 안으로 도입한 것이 아니었다. 오히려 교회 안에서 하나님의 뜻에 따라 행사하는 회중의 치리 원리를(또 다른 하나님의 통치 영역인) 시민 사회로 확대하여 적용한 것이었다. 경건한 신자들이 하나님의 뜻에 다스린다는 면에서 두 영역 사이에는 분명히 연속성이 존재했다. This paper examines the Rutherford-Hooker dispute from the viewpoints of the separation of church and state as well as its theological and biblical underpinnings. Particularly, it deals with the subject of the congregational right of church discipline. Rutherford argues that "the fountain power" of people-as shown in his Lex Rex(1644)-has nothing to do with the congregational right of self government. According to his "two kingdom theory," the church and the state have their own ruling principles. As for the former, God has directly appointed the elders-as He did for both prophets in the Old Testament and apostles in the New Testament-as the rulers of the church. Hooker, unlike Rutherford, believes that there may be continuity between the "fountain power" of people in the state and that of visible saints in the church. Their differing views can be better understood if we examine their historical context in detail. Rutherford defended national church. Given the legitimacy of national church, however, he emphasizes the separation of church and state-particularly in his polemical engagement with both the Church of England and Erastianism. Hooker denies both national church and Boston``s policy to limit suffrage to church members. Given that Hooker accepted the principle of church and state, however, he also emphasized the critical roles of the magistrate for the church. Hooker``s position should be understood in the context of New England where Christian magistrates maintained a partnership with the Congregationalists in building up a godly society. The visible saints, Hooker believed, should rule in both church and state according to the will of God.

      • KCI등재후보

        F. R. 리비스의 초기 비평에 부각된 D. H. 로렌스의 종교성과 천재성

        정태진 ( Jung Tai-jin ) 대한영어영문학회 2003 영어영문학연구 Vol.29 No.2

        F. R. Leavis's interest in D. H. Lawrence is at the center of his literary criticism. After the pamphlet D. H. Lawrence Leavis dealt with Lawrence mainly in reviews until twenty years later when he published D. H. Lawrence: Novelist in 1955. Even in those early years Leavis recognized and praised the religious aspect of Lawrence's works. This thesis aims to discuss and examine the development in Leavis's response to Lawrence and the nature of his early religious concern. Leavis's ultimate concern is with the place of a religious sense in life and literature. The term “religious” first appears in “reminiscences of D. H. Lawrence” Here the qualities of lifewholeness, spontaneity, naturalness――that Leavis claims Lawrence sought are recurring terms in Leavis's attempt to define his use of the word “religious”. With the publication of A. Huxley's edition of The Letters of D. //. Lawrence Leavis now perceived a religious concern embodied in Lawrence's work as well as in his life. Leavis refers to a religious sense that leaves his criticism much ore open then the later F.liot can be. And In Revaluation Leavis makes use of the term “religious” only in connection with Wordsworth. Leavis wrote the review of The Letters of D. H. Lawrence in the Listener in October, 1932, in which he associated Lawrence with the religious nature of his concerns. He gained at least three things from reading The Letters\ they are deeper insight into the religious sense Lawrence represents, new awareness of Lawrence’s abilities as a literary critic, and greater understanding of Lawrence the man. Leavis’s review of The Letters established some of the main lines that his later defense of Lawrence would take. An article by Leavis entitled “Restatements For Critics” carried on the argument about the proper approach to Lawrence. What Leavis was concerned about was the total failure of Hliol and The Criterion to recognize Lawrence's greatness. The number of essays and reviews Leavis wrote on Lawrence between 1930 and 1933 shows how deeply he was involved with Lawrence at the very beginning of his critical career. < Wonkwang University >

      • KCI등재

        A Study of D. H. Lawrence's Pre-war Intellectual and Literary Development

        Koh, Jae-kyung 한국로렌스학회 2002 D.H. 로렌스 연구 Vol.10 No.2

        제 1차 세계대전은 로렌스의 삶의 중대한 변화를 가져왔다. 전쟁 발발 초기에 로렌스는 그의 세 번 째 장편 『아들과 연인들』을 발표함으로써 문단의 평론가들 및 일반 독자들에게 전도 유망한 젊은 작가로 인정을 받고 있었다. 그러나 전쟁은 그로 하여금 당시의 성공적인 작가 활동의 영역을 송두리째 파괴시켜 버렸다. 설상가상으로 그의 반전(反戰) 감정표출에 대한 영국 당국의 과민한 반응, 독일인 아내를 둔 사실, 그리고 장편 『무지개』에 대한 독자들의 격렬한 비난과 뒤이은 발매금지 조치 등은 로렌스로 하여금 자신의 조국에 대한 실망과 낙담에 처하게 하였다. 로렌스의 이러한 심리적 공황이 그의 전후(戰後) 작품 구상과 인물 묘사 등 전반적인 작품 세계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는 점은 주지의 사실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로렌스가 1914년에 이르기까지 그의 지적, 문학적 성장에 절대적 영향을 끼쳤으면서도 많이 알려지지 않은 새로운 인물들과 사상적 조류들을 추적해보는 것은 나름대로 큰 의미 있는 연구작업이라고 본다. 따라서 본 논문은 전쟁 발발 이전까지 로렌스의 지적, 문화적 각성과 성장과정의 사회문화적 배경을 전기적(傳記的) 틀 속에서 새롭게 조망하고 있다. 첫째, 대전(大戰) 발발 이전까지 로렌스가 교제한 주요 남성들 간의 우애 관계가 그의 지적 성장과정에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 지를 추적하고 있다. 둘째, 작가로서 로렌스의 문학적 성장과정을 탐색하되 그 시기를 작가 수습기간과 그리고 1912년에서 1914년까지의 직업작가 활동기간으로 양분하고 있다. 이렇게 구분된 두 시기에 이룩한 로렌스의 단계적인 지적, 문학적 수업과 성취는 다양한 작품에 투영된 그의 전후 역사 비전에 심대한 영향을 미쳤다. 이 중요한 기간 동안에 쌓은 로렌스의 지적 토대와 발전이 없었더라면 실존적 생명의 근원인 '어둠의 핵'의 개념을 경시한 과학적 합리주의의 모순 뿐만 아니라 산업화에 따른 전후 사회의 인간의 도구화와 기계화 현상을 그가 신랄히 비판하지는 못했을 것이다. 또한 이 시기에 제시 체임버스와의 교제를 통한 로렌스의 체계적이고도 집중적인 문학 성장과정, 그리고 지적인 영감의 원천으로서 아내 프리다의 도움을 받은 로렌스의 작품 집필을 향한 뜨거운 열정이 없었더라면 로렌스가 20세기의 가장 창조적인 작가 중의 한 사람이 되지는 못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