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잠재 프로파일 분석을 통한 대학생의 갈등관리 유형 탐색

        김은정,이경화 숭실대학교 한국평생교육ㆍHRD연구소 2019 평생교육 · HRD연구 Vol.1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ypes of conflict management used by university students and what conflict management strategies they potentially use in managing conflic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65 university students at a university in Seoul. And the conflict management type measurement tool that developed by Kilmann and Thomas (1975) and translated by Lee(2007) was used in this study. The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through bivariate correlation analysis and latent profile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university students used compromise, cooperation and acceptance type in conflict management, and competitive and avoidance type were used relatively little. Second, there were positive and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five conflict management types at the p=.01 significance level. However,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competition type and acceptance type.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tendency of college students to use conflict management styles, 69% of college students use similar types of cooperation, compromise and acceptance types, and less competition and avoidance types in managing conflict. However, 31% of university students use cooperative type, compromise type, acceptance type, avoidance type and competition type evenly. This means that not all college students use specific types more or less when faced with conflict, but some use similar five types of conflict management, which means that there are two groups of characteristics in conflict management. 본 연구는 대학생들이 사용하는 갈등관리 유형간의 관계와 대학생들이 갈등을 관리함에 있어 잠재적으로 어떠한 갈등관리 전략을 사용하는지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조사대상은 서울지역 소재 1개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365명이었으며, 갈등관리 유형을 측정하기 위하여 Kilmann과 Thomas(1975)의 갈등관리 도구를 이건협(2007)이 번역․수정한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이변량 상관분석과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통해 처리한 결과, 첫째, 대학생들은 갈등관리에 있어서 타협유형과 협력유형, 수용유형을 주로 사용하였으며, 경쟁유형과 회피유형은 비교적 적게 사용하였다. 둘째, 다섯 가지 갈등관리 유형 간에는 p=.01 유의수준에서 정적,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그러나 경쟁유형과 수용유형 간에는 상관관계가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대학생들의 갈등관리 유형을 사용하는 경향을 살펴본 결과, 69%의 대학생은 갈등을 관리함에 있어 협력유형과 타협유형, 수용유형을 비슷한 수준으로 사용하였고, 경쟁유형과 회피유형의 사용빈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31%에 해당하는 대학생은 협력유형과 타협유형, 수용유형, 회피유형, 경쟁유형을 비슷한 수준으로 골고루 사용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모든 대학생이 갈등을 직면했을 때 특정유형을 많이 사용하거나 적게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일부는 다섯 가지의 갈등관리 유형을 비슷하게 사용하고 있는데, 이는 갈등관리 방식에 있어 두 가지 특성의 집단이 있음을 의미하는 결과이다.

      • KCI등재

        가족기업의 갈등유형이 승계과정만족도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분석

        김은준 ( Eun June Kim ),유왕진 ( Jin Yoo Wang ),이상진 ( Sang Jin Lee ) 한국중소기업학회 2016 中小企業硏究 Vol.38 No.1

        가족기업의 승계에서 갈등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경영자와 후계자의 갈등문제는 가업승계와 기업경영 성과를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는 가족기업의 승계에 있어서 갈등유형이 승계과정만족도와 경영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 분석하였다. 갈등 유형을 목표갈등, 과정갈등, 관계갈등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고 갈등관리 유형을 경쟁형, 회피형, 협력형으로 분류하여 승계과정 족도와 경영성과의 관계에서 갈등관리유형에 어떤 효과가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갈등유형에서는 관계갈등이 승계과정만족도에 유의적 부(-)의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승계과정만족도와 경영성과 간에는 유의적 정(+)의 관계가 나타났다. 승계과정만족도와 경영성과에 있어서 갈등관리유형을 조절변수로 하여 측정한 결과 기존 선행연구와는 다르게 경쟁형 갈등관리 유형이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시사점은 승계는 세대를 넘어 현세대에서 다음세대로 바통을 이어 받는 과정이므로 경영자와 후계자간 관계에서의 갈등을 사전에 인식하고 관계갈등을 합리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으며, 혈연관계에 있는 현경영자와 후계자일지라도 경영성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경쟁우위 확보 의지를 보이는 경쟁적 갈등관리유형이 필요하다 하겠다. Conflict management is critical in the succession of a family business. The conflict issues between the executive and the successor is an important factor that affects the business management performance. This study presents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impact that conflict types have on the satisfaction in succession process and the business performance, in the family business. To test the influence in the satisfaction in succession process and the business performance, the types of conflicts are categorized into a goal conflict, a process conflict and a relationship conflict, and also the types of conflict management are categorized into a competitive type, an evasive type and a cooperative type. As a result of the test, the relationship conflict has a negative significant effect on the satisfaction in succession process in the conflict types, while the satisfaction in succession process and the business performance show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 Differently from previous studies, the competitive conflict type appears to have a moderating effect, after the conflict management type was set as a moderating variable for the satisfaction in succession process and the business performance. The study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and rationally manage the relationship conflicts between an executive and a successor since the succession is a lengthy process. And a competitive conflict management between the executive and the successor is necessary to increase business outcomes.

      • KCI등재후보

        은퇴 목사의 갈등관리유형과 삶의 만족도가 갈등감소에 미치는 영향

        서정국 ( Jung Kook Seo ),김미경 ( Mi Kyung Kim ) 한국복음주의 기독교상담학회 2013 복음과 상담 Vol.21 No.-

        본 연구는 은퇴 목사의 갈등관리유형과 삶의 만족도가 갈등감소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 았다. 연구대상은 은퇴 목사 84명이었으며, 갈등관리유형척도, 삶의 만족도척도, 갈등척도를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은퇴 목사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변인(연령, 학력, 은퇴유형)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연령과 학력에서는 주요 변인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하위변인인 개인 간의 갈등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은퇴유형에서는 주요 변인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하위변인인 삶의 만족도에서 원로 및 공로 목사의 자존감이 일반 은퇴 목사의 자존감보다 높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은퇴 목사의 갈등관리유형과 삶의 만족도가 갈등에 미치는 영향의 회귀분석 결과, 4개의 독립변인 중 친절통합형 갈등관리와 삶의 만족도 변인만이 34%의 설명력을 보였고, 지배형과 회피타협형 갈등관리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셋째, 은퇴 목사의 삶의 만족도가 갈등에 미치는 영향의 회귀분석 결과, 6개의 독립변인 중 신앙생활의 변인만이 29%의 설명력을 보였다. 이 결과는 은퇴 목사의 갈등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삶의 만족도의 하위변인인 신앙생활임을 보여준다. 넷째, 갈등감소에 부적영향을 미치는 것은 삶의 만족도와 갈등관리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은퇴 목사의 갈등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갈등관리유형은 친절통합형, 삶의 만족도는 신앙생활임을 규명함과 동시에 한국 교회 은퇴 목사의 갈등감소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variables as to how a type of conflict management and life satisfaction of retired pastors influence on the reduction of conflict. The subject were 84 retired pastors and scale of conflict management type, life satisfaction scale, and conflict that was used.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 of analysis on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age, academic background, and type of retirement) of retired pastors, there was no significant effect. But there was significant effect on interpersonal conflict as a sub-variable of conflict. However, there was significant effect on self-esteem as a sub-variable of life satisfaction represented with higher average score from senior pastors than regular retired pastors. Second, the regression analysis on how a type of conflict management of retired pastors and life satisfaction influenced on the conflict, kindness-integration conflict management and life satisfaction variables among four independent variables showed 34% of explanation. Third, according to the result how life satisfaction of retired pastors influenced on the conflict, only religious life variable among all six independent variables showed 29% of explanation. Fourth, factors which gave negative influences on conflict reduction were identified to be life satisfaction and conflict management. Based on the above study results, this study has a meaning to reveal that the conflict management type affecting the conflict reduction of retired pastors are kindness-integration type and that the life satisfaction is religious life and at the same time,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conflict reduction of retired pastors in Korean churches.

      • KCI등재

        공공갈등관리 과정의 주민참여 인식유형에 관한 연구

        장창석(張昶碩),김선경(金善璟) 한국지방정부학회 2023 지방정부연구 Vol.26 No.4

        우리사회에서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공공갈등은 갈등과정에서 나타난 여러 문제점으로 인해 주민참여형 갈등관리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는 Q 방법론을 활용하여 주민참여 형태에 대한 기존의 정책을 보완하고 갈등관리 과정의 설계에 활용할 수 있는 주민의 인식유형 분석을 시도하였다. 연구결과 갈등관리 과정의 주민참여에 대한 인식은 4개의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유형 Ⅰ은 주민주도 갈등관리 지향형, 유형 Ⅱ는 제도개선 중심 갈등관리 지향형, 유형 Ⅲ은 주민대표자 참여 중심 갈등관리 지향형, 유형 Ⅳ는 시민(환경)단체 중심 갈등관리 지향형으로 나타났다. 한편 이들 인식은 신분,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에 따라 향후 갈등관리 과정의 주민참여를 위한 제도의 개선, 인식변화, 역량 강화 등의 다양한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며 특히 신분, 연령을 고려한 과정설계가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Public conflicts are constantly increasing in our society. The importance of resident participatory conflict management is being emphasized due to various problems that appeared in the conflict process. This study attempted to improvement the existing policy on the form of resident participation by utilizing the Q methodology and to analyze the perception type of residents that can be used in the design of the conflict management proces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perception of resident participation in the conflict management process was classified into four types. Looking at each type, type I was resident-led conflict management-oriented, type II was institutional improvement-oriented conflict management-oriented, type III was resident representative participation-centered conflict management-oriented, and type IV was civic(environmental) organization-centered conflict management-oriented. Perception types were found to differ according to social status and ag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various policy efforts such as system improvement, awareness change, and capacity building for resident participation in the conflict management process are needed in the future. In particular, the consideration of social status and age can lead to the need for process design.

      • KCI등재후보

        위기관리정책 집행구조에서의 갈등 유형 분석

        변성수(Sung Soo Byun)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0 Crisisonomy Vol.6 No.3

        이 연구는 위기관리정책 집행과정에 있어 갈등의 작용에 관한 체계적인 연구가 요구되고 있음을 강조하며, 정책과정에 참여하는 조직간의 갈등 유형을 분석하고자 한다. 조직간 갈등 유형은 위기관리체계 및 갈등관리 전략 수립에 기본적 방향 설정에 도움을 주기 때문에, 그 중요성이 매우 크다. 이 연구는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사례분석을 실시하였다. 사례분석 결과, 집행과정에 참여하는 조직들은 정책 프로그램의 논리성보다는 조직 논리성에 충실한 행태를 보였으며, 대부분의 갈등 유형은 책임/손실 회피 갈등 유형으로 나타났다. 조직 논리성에 따른 행태는 위기관리정책 집행과정에서 갈등을 유발하는 원인 및 이를 심화․확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또한 책임/손실 회피 갈등은 권한/이익 추구 갈등보다 더 치열한 조직간의 마찰이나 대립을 가져온다. 따라서 효율적인 위기관리정책 집행을 위한 갈등관리는 위기관리조직들이 정책프로그램 논리성에 따르도록 하며, 책임/손실 회피 갈등을 해결할 수 있는 방향으로 설정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the types of interorganizatioal conflict in policy process. The types of interorganizatioal conflict is very important because it contributes to set a fundamental direction of building a crisis and emergency management system and devising a conflict management strategy. For this purpoes, this research adopted a case study about the oil spill from Hebei spirit Tanker in the sea off Taean(December, 2007), the Trucker's Strike(June, 2008). To complement the case study, this research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a staff in charge related to the cases. this paper analyzed the cases from five aspects including behavior rationale and conflict types in implementing structure and law and system, organization, operation, strategy in a conflict management influencing factors. Behavior rationale that was a policy programme rationale and a organization rationale had an effect on subunits of organizations, and conflict types was divided into a power/interests pursuit conflict and a responsibility/loss evasion conflict. From the results, we found that a power/interests pursuit conflict occurred when implementing organizations had a policy programme rationale and a organization rationale, and a responsibility/loss evasion conflict occurred when implementing organizations had a organization rationale, in the most case. And a conflict management influencing factors had been not established almost with the exception of strategy.

      • KCI등재

        유아교사 갈등관리 유형이 협동적 조직문화에 미치는 영향

        마지순(Ji-Sun Ma) 한국산학기술학회 202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갈등관리유형이 협동적 조직문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중소도시 I시 유아교육기관에 재직 중인 교사 138명이다. 검사도구는 유아교사의 협동적 조직문화 및 갈등관리 유형에 대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대상의 pearson의 적률상관 관계를 분석하고, 유아교사의 갈등관리 유형이 협동적 조직문화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유아교사의 협동적 조직문화와 갈등관리 유형 전체는 관계가 있었다. 협동적 조직문화 전체는 특히 갈등관리 유형의 통합형과 가장 높은 관계가 있었으며, 그 다음은 타협형, 배려형, 지배형의 순서로 나타났다. 반면 회피형과는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협동적 조직문화에 미치는 갈등관리 유형의 하위요인은 통합형이 가장 높은 영향력을 지니고 그 다음은 배려형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협동적 조직문화의 하위영역에서 협동적 지도성에는 통합형이 가장 높은 영향력 지니고, 그 다음은 배려형이 영향력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협동성, 동료지원, 학습 동반자에는 통합형이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유아교육 현장에서 유아교사의 갈등관리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시키는 계기가 되었으며, 갈등관리 유형과 협동적 조직문화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게 되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pre-service teacher"s cooperative organizational culture on the conflict management type. The subjects were 138 preschool teachers. The data were obtained by self-reporting and used to investigate the teacher"s conflict management type and cooperative organizational cultur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alysis and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The major findings in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relationship between the cooperative organizational cultur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 overall type of conflict management. The overall cooperative organizational culture had the strongest relationship, particularly with the integrated type of conflict management. The following appeared in the order of compromise, consideration, and domination.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relationship with the avoidance type. Second, regarding the sub-factor of conflict management type that affects the cooperative organizational cultur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integrated type has the strongest influence, followed by the caring type. In the sub-factor of cooperative organizational culture, the integrated type has the strongest influence on the cooperative leadership, followed by the caring type. The integrated type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teacher cooperation, peer support, and learning companion.

      • KCI등재

        공업계 고등학교 교사의 갈등관리 유형과 직무만족도 분석

        김태훈,이규녀,박기문 한국기술교육학회 2008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the conflict management types and job satisfaction of teachers in a technical high school, to analyze their job satisfaction by conflict type, and thus, to secure the basic materials to improve their job satisfaction. To survey the conflict management types and job satisfaction, the teachers in technical high schools were selected nationwide and the survey questionnaire research was carried out, and 49 questionnaires were used in total for the analysis. Through this study, a few trends of job satisfaction by conflict management type in technical high schools was checked out. First, in case of a teacher in a technical high school, there were many of non -arbitrary conflict management types. Second, the satisfaction on the speciality of a technical high school reached higher level but the satisfaction on the compensation system low. Third, in case of the teachers in non-arbitrary conflict management, their satisfaction on the human relationship, duty in charge, administration system, position acknowledgement, and speciality in a technical high school were high but in case of the teachers in arbitrary conflict management, those said indexes reached lower level. Fourth, in a conflict management type, the non - cooperative teachers reached high level in satisfaction on their work environment, but in case of the cooperative teachers, the satisfaction on their work environment reached low level. 이 연구의 목적은 공업계 고등학교 교사의 갈등관리 유형과 직무만족도를 조사하 여 갈등관리 유형에 따른 직무만족도 경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갈등관리 유형과 직 무만족도 조사를 위하여 공업계 고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 며, 총 49부의 설문지가 분석에 활용되었다. 이 연구를 통하여 공업계 고등학교 교사의 갈등관리 유형별 직무만족도의 몇 가 지 경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공업계 고등학교 교사의 경우 비독단적인 갈등관리 유형이 많다. 둘째, 공업계 고등학교 교사의 경우 공업계 고등학교의 특수성에 대한 만족도는 높으나 보상체계에 대한 만족도는 낮다. 셋째, 비독단적인 갈등관리 유형의 교사는 인간관계, 담당직무, 행정체제, 지위인 정, 공업계 고등학교 특수성 등에 대한 만족도가 높으나, 독단적인 갈등관리 유형의 교사는 비교적 낮은 만족도를 보인다. 넷째, 비협력적인 특성을 가지는 갈등관리 유형의 교사는 근무환경에 대한 만족 도가 높으나 협력적인 특성을 가지는 교사는 근무환경에 대한 만족도가 낮다.

      • KCI등재

        갈등모형에 입각한 지적갈등의 유형분류 및 해소방향

        김영학(Kim Young Hag) 한국지적정보학회 2015 한국지적정보학회지 Vol.17 No.3

        지적 분야에 나타나는 갈등은 공적 부문 및 사적 부문에 동시다발적으로 다양하게 발생하며, 지적정책의 효율적 추진에 장애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갈등모형에 입각하여 지적갈등의 원인 및 유형을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이를 토대로 지적갈등해소 방향 및 바람직한 지적갈등관리의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범위는 지적 분야에 발생하고 있는 지적갈등으로 한정하고, 조사방법은 문헌조사를 통하여 2차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접근방법은 서술적 접근방법과 체제론적 접근방법을 병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은 관점에서 도출하고자 하였다. 첫째, 지적갈등의 개념 및 접근 틀은 지적갈등의 정의, 갈등모형, 선행연구 및 접근 틀의 차원, 둘째, 지적갈등의 발생원인 및 유형의 분류는 접근 틀에 입각한 지적갈등의 원인, 지적갈등의 유형 차원, 셋째, 지적갈등의 유형별 관리는 갈등해결의 원칙, 지적갈등의 각 유형별 관리 방향 차원에서 검토하고자 하였다. Cadastral conflicts occur simultaneously in public and private sector, acting as obstructive factors for implementation of the efficient cadastral policy. Hence, this study is not only to classify cadastral conflict types and their reasons systematically according to the conflict model, but also to suggest the desirable directions for cadastral conflict resolutions and managements based on the results. To achieve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the scope of analysis is limited into cadastral conflicts that occur in the cadastral areas. The research is carried out through collecting the secondary data by literature review and a descriptive and systematic approach are concurrently applied as methodology.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reviewed in terms of following perspectives. First of all, the concepts of cadastral conflicts and the framework were reviewed in terms of definitions of cadastral conflicts, conflict model, literature review and framework. Secondly, as for the reasons of cadastral conflicts and the classifications of types, they were taken into account according to the framework, focusing on the reasons and types of the cadastral conflicts. Thirdly, management of cadastral conflict types were reviewed in terms of principles of conflict resolutions and directions of management of cadastral conflict types.

      • KCI등재

        원감을 통해 본 사립 유치원 학부모와의 갈등 원인과 갈등관리 유형

        박정민,제경숙,김현주 한국생애학회 2019 생애학회지 Vol.9 No.1

        By exploring the typical and difficult conflicts that vice principals of rather large private kindergartens have experienced with parents, this study was attempted to identify causes of conflict between the kindergarten and parents, and conflict management types of the vice principals toward the parents; to find out effective methods to resolve the conflicts; and to review the conflicts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vice principals. For the purposes of this study, four vice principals with over 10 year principal career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The typical and difficult cases of conflicts that the vice principals had experienced with parents during the recent three years, were investigated with in-depth interview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in the following: First, the causes of conflict were analyzed inconvenience due to mistakes of kindergarten staffs, conflicts between parents, concern due to maladjustment of children, needs of customized individual support, and convenience orientation of parents. Second, looking at the type of conflict management of the vice principals, there are several types of conflict management: pushing hard, avoiding responsibility and accepting as requested by parents, and caring and integration. The conclusions from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applying customized individual support, vice president’s capacity enhancement for communication technique and understanding parents, and parent education for the conflict management and communication are needed.

      • KCI우수등재

        도시재생사업에서 발생하는 갈등과 갈등관리 계획상의 갈등유형 간 차이에 관한 연구 - 도시재생 선도지역 사업과 도시재생뉴딜 사업계획서를 중심으로 -

        임미화,박희태,최성윤,김진영,김현수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2019 國土計劃 Vol.54 No.1

        This study used web crawling techniques to collect cases of conflicts in urban regeneration projects. The collected conflicts cases were sorted by identity of a stakeholder and an issue resulting in conflict to figure out the characteristics of conflicts in the real fiel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nalyzing whether these attributes were properly reflected in conflict management plan of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proposal. 124 cases of conflicts in 9 urban regeneration projects and the Urban Regeneration New Deal project proposal of two sites showed that there was a slight difference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conflicts in the real field and the characteristics of conflicts presented in the project proposal. According to conflict management in the project proposal, in terms of type of identity of a stakeholder, private sector such as residents and merchants appeared as the major participant in conflict. But in the real field, the public sector was also the major as well as private sector. In case of type of conflicts issues, conflict management in the project proposal relatively manages well various issues that may occur in the real field. So, conflicts management plan should be more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real confli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