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비교교육학과 교육사학 : 비교교육학사 서설(敍說)

        한용진(Hahn, Yong-Jin) 한국비교교육학회 2018 比較敎育硏究 Vol.28 No.3

        비교교육학의 학문적 정체성을 확인하기 위한 학사적(學史的) 정리를 하는데 가장 적합한 학문적 방법론은 역사학일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이 글은 교육사학의 관점에서 비교교육학이라는 학문을 조명하며, 비교교육학사에 대한 시론적(試論的) 접근을 목적으로 한다. 모든 학문에는 그 학문의 역사를 정리하는 것이 이를 전공하는 사람들을 위해서도, 그리고 학문 자체의 발전을 위해서도 반드시 필요하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으로 비교교육학의 연구방법은 ‘비교연구’뿐만 아니라, 개별적 ‘지역연구’도 포함하는 것이지만, ‘비교교육학사’라는 시간계열에 의한 연구를 통해 학문적 깊이를 더 할 수 있다. 둘째, 비교교육학의 시기별 발전과정은 1단계 비교교육학 전사(前史), 2단계 ‘맹아기’, 3단계 ‘성립기’, 그리고 4단계 ‘발전기’로 나누어 볼 수 있다. 특히 세계화 시대를 맞아 비교교육학의 학문적 확장 가능성은 매우 높다는 점에서 추가적으로 ‘확장기’를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셋째, 비교교육학의 학문적 정체성 확보를 위해서도 ‘비교교육학사’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이를 통해 비교교육학에 대한 개념적 이해와 함께 향후 비교교육학의 전망과 과제를 보다 쉽게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기 때문이다. In order to confirm the academic authenticity of comparative education, the academic methodology which is also appropriate for the historical arrangement is the history. In this sense, this article focuses on the study of comparative education from the viewpoint of history of education and aims for a tentative approach to comparative education history. In every discipline, it is essential to organize the history of the discipline both for those majoring in it and for the development of the discipline itself. The conclusion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general, the method of studying comparative education includes not only ‘comparative studies’ but also ‘regional studies’, but it can add academic depth through the study of time series called ‘comparative education history’. Second,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the comparative education can be classified into four stages; the first stage is ‘the pre-history’ of the comparative education, the second stage is the ‘embryo stage’, the third stage is the ‘establishment stage’, and the fourth stage is the ‘development stage’. Especially, in the era of globalization, the academic potential of comparative education is even higher, so it is possible to add an ‘expanding period’. Third,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comparative education history’ in order to secure the academic identity of the comparative education study.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possible to more easily confirm the perspectives and issues of comparative education in the future, together with a good conceptual understanding of comparative education.

      • 中田薰法律思想及其對近代日本法律史學科建立的影響

        Hu wenyu(胡文字) 경북대학교 아시아연구소 2018 아시아연구 Vol.- No.22

        Kaoru Nakata, a Japanese legal historian and comparative jurist, has a pioneering contribution in the study of Japanese history of law and he is one of the founders of the history of Japanese law. At the same time, for the development of Japanese legal historiography, Mr. Kaoru Nakata has also trained a large number of outstanding and excellent scholars and these scholars have turned into the mainstay of the advancement of Japanese history of law until now. Taking Mr. Kaoru Nakata’s works and thoughts as the center, this paper mainly studies two main questions: in the first place, as the first part in the thesis, the author is aimed at to study Mr. Kaoru Nakata’s legal thoughts from Mr. Kaoru Nakata’s birth and Mr. Kaoru Nakata’s growth and Mr. Kaoru Nakata’s background and Mr. Kaoru Nakata’s works. Mr. Kaoru Nakata was born in the middle and late period of the Meiji Restoration in Japan. The education and growth experience of Mr. Kaoru Nakata’s youth were deeply influenced by the Meiji Restoration, and Mr. Kaoru Nakata received a large number of ideas of a great amount of modern countries and all kinds of areas. During the period of Meiji Restoration, Japanese society was in a critical period of transformation from Tokugawa feudal rule to modern society. In order to fit in with this kind of rapid social transformation as soon as possible, from the cultural perspective, it is necessary to turn from the traditional Zhu Zi tradition to the western political thoughts and at the same time, it is necessary to turn from the traditional Zhu Zi tradition to the state theories as well. Japan’s absorption of western culture is an a little bit tortuous and complex process, and there are a large number of thinkers’ games and a large number of thinkers’ discussions on this kind of issue. In the mainstream view of the Japanese and in the eyes of a great amount of scholars in Japan, the original changes and variations from the western view is also from the learning of advanced science and technology and then the acceptance of ideology and culture. Mr. Kaoru Nakata grew up in this era of long thought contending and ideological schools of thought contend for a long time, so Mr. Kaoru Nakata’s thoughts will inevitably be influenced by the social trend of thought and the mainstream view of the large number of Japanese in the period of Meiji Restoration. Mr. Kaoru Nakata’s main research method is characterized by comparing Japanese history of law with German history of law, by comparing Japanese history of law with French history of law and by comparing Japanese history of law with British history of law. With the research method of ancient precedents and on the basis of a large number of ancient precedents, Mr. Kaoru Nakata studied the history of Japanese law on the basis of having a good command of a large number of academic literature and materials. Mr. Kaoru Nakata’s research on Japanese history of law and comparative history of law laid a solid and strong foundation and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Japanese history of law. In the second place, as the second part in the thesis, the author is aimed to study and research Mr. Kaoru Nakata’s thoughts about history of law in Japan and the role of Mr. Kaoru Nakata’s many disciples in the future of Japanese legal history. from Mr. Kaoru Nakata’s contribution at the initial period of the history of Japanese law. Mr. Kaoru Nakata mainly studied the history of Japanese law and the history of comparative law under the guide of Mr. Miyazaki. At the same time, Mr. Kaoru Nakata’s interests and hobbies in the history of law is deeply influenced by Montesquieu’s separation of three powers thoughts and at the same time Mr. Kaoru Nakata’s interests and hobbies in the history of law is also deeply influenced by geographical determinism thoughts. The first study of the history of Japanese law as a branch was Mr. Miyazaki of the Imperial University of Tokyo in Japan. He introduced the 나까다(中田薰)는 일본 법률사학자ㆍ비교법학자로서, 일본 법률사학 연구를 개척한 일본 법률사학과 창시자 중 한 명이다. 동시에, 나까다(中田薰) 선생은 일본 법률사학계 발전을 위해 여러 우수한 학자를 양성하였으며, 지금에 와서 보면 이 학자들이 일본 법률사학계를 발전시킨 핵심 역량이 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문장은 나까다(中田薰) 선생의 저작과 그 사상을 중심으로, 두 개의 문제를 주요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첫 번째는 나까다(中田薰) 선생의 출생ㆍ성장 배경과 그의 저작을 통해 알 수 있는 법률 사상이다. 나까다(中田薰) 선생은 일본 메이지 유신 중후기에 출생하였고, 소년 시절 교육과 성장 경력은 메이지 유신의 영향을 많이 받았으며, 많은 근현대 국가의 사상을 수용하였다. 메이지 유신 기간 동안, 일본 사회는 도쿠가와 막부의 봉건 통치가 근대 사회로 전향하는 관건적인 시기였다. 문화적 시각에서 분석하면, 일본은 이런 급속한 사회 전환에 적응하기 위해서, 주자학 전통에서 서방의 정치사상과 국가 이론으로 전향하였다. 일본은 서방 문화를 흡수하는 과정에서 많은 곡절과 복잡한 과정이 있었고, 그 중 적지 않은 사상가들이 이 문제에 대해 게임과 토론을 하였다. 서방의 관점에 대한 일본인 최초의 변화 역시 선진 과학기술 학습으로부터 나왔으며, 그 후에 비로소 이데올로기와 사상 문화를 수용하였다. 나까다(中田薰) 선생은 이런 장기간의 사상쟁명 시대에서 성장했고, 그 사상도 메이지 유신 시기 사회사조의 영향을 받았다. 그는 고대 선례를 기초로 하는 연구 방법을 채용하였고, 풍부한 연구 자료를 기초로 일본 법률사 연구를 진행하였다. 나까다(中田薰) 선생의 일본 법률사ㆍ비교법률사에 대한 연구 성과는 훗날 일본 법률사학의 발전에 견고한 기초를 다졌다. 연구 방법에서, 나까다(中田薰) 선생은 일본과 독일ㆍ프랑스ㆍ영국을 비교하였는데, 이로써 그의 연구 특색을 형성하였다. 둘째, 일본 법률사학과 초창기 시기의 공헌을 중심으로, 나까다(中田薰) 선생의 법률 사상과 그가 양성한 많은 제자들이 훗날 일본 법률사학계에 기여한 역할을 살펴보았다. 나까다(中田薰) 선생은 미야자키 미치사브로(宮崎道三郞) 선생을 스승으로 삼고, 주로 일본 법률사와 비교법률사를 학습하였으며, 동시에 법률사에 대한 흥미도 몽테스키웨의 삼권분립 사상과 지리결정론 사상의 영향을 받았다. 일본 법률사가 일개 학과로서 연구가 진행된 것은 동경제국대학의 미야자키 미치사브로(宮崎道三郞) 선생부터였다. 그는 유럽 법률사를 법률사학 연구 범위로 도입하고 일본 법률사의 기초를 다졌으나, 미야자키 미치사브로(宮崎道三郞) 선생의 주요 연구 범위는 헤이안 시대였다. 도쿠가와 시대를 연구 중점으로 삼고, 아울러 건전한 연구체계를 구축한 분은 나까다(中田薰) 선생인데, 이는 당시 일본 비교법학계의 독창적인 의의가 있었다 나까다(中田薰) 선생은 훗날 학술 생애에서 일본 법률사학의 발전을 위하여 많은 인재를 양성하였으며, 특히 문하 6대 제자가 가장 특출하다. 그들은 각각 일본 법률사를 전공한 가네다 헤이이치로(金田平一郞), 다카야나기 신조(高柳眞三), 이시이 료스케(石井良助), 하라다 케이키치(原田慶吉), 구보 마사하타(久保正幡), 니이다 노보루(仁井田陞)이고, 법률사의 각개 영역을 포괄하고 있다. 지금에 와서 보면, 이들 학자들은 이미 일본 법률사학과 건립에 중요한 추진체였다는 점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영문 한국사 교재 A Concise History of Korea에 보이는 비교사적 서술의 한계와 교육적 효용성

        최수정(Choi, Soojung),박현숙(Park, Hyunsook) 고려사학회 2023 한국사학보 Vol.- No.91

        한국에 대한 세계적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영문 한국사 교재의 필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과거에 다양한 영문 한국사 교재가 출판되었는데, 이들은 서로 다른 장점을 지니고 있다. 본 논문은 한국사를 글로벌 시각에서 설명하기 위해 비교사적 방법론을 채택한 Michael Seth의 A Concise History of Korea를 분석하여, 이러한 비교사적 접근법이 외국 학생들에게 ‘낯선’ 역사를 전달할 때 갖는 교육적 의의와 한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Seth는 비교를 통해 한국사가 유사한 세계사적 패턴을 따랐음을 보여주는 한편, 한국사의 특수성을 부각시키려고 하였다. 그러나 한국사 서술에 있어서 중국・일본・서양과의 비교에 지나치게 의존하는 경향을 보여줌으로써, 중국중심주의・유럽중심주의・오리엔탈리즘 등이 투영되어 있다. 또한, 비교사적 서술 방식에 몰두함에 따라 사실 오류, 지나친 단순화 및 맥락을 간과하는 등의 경향을 보였다. 한국사 연구자들은 영문 한국사 교재들이 비교사적 방법론을 사용하는 것에 대해 비판적이지만, 비교는 이해를 돕는 중요한 서술 방식이기도 하다. 비교사적 방법론은 한국사를 일국사를 넘어서서 바라보게 해 줄 수 있다. 따라서 외국 학생들의 이해를 높이고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영문 한국사 교재를 만들기 위해서는 비교사적 방법론을 포함한 다양한 접근법에 대해 개방적인 태도를 가져야 한다. 또한 외국 학자들과의 협업을 통해 외국 학생들의 수준과 요구에 맞는 영문 한국사 교재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With the heightened attention Korea receives globally, there is even greater need for English textbooks on Korean history. Numerous English books on Korean history textbooks have been published, each possessing distinct advantages. This paper analyzes Michael Seth’s A Concise History of Korea, which adopts a comparative method to explain Korean history from a global perspective, in order to explore the educational values and limitations of this approach when conveying “unfamiliar” history to foreign students. Seth demonstrates that Korean history followed similar global historical patterns through comparison, while highlighting its distinctiveness. However, he also demonstrates a tendency to excessively rely on comparisons with China, Japan, and the West in his description of Korean history, which reflects Sinocentrism, Eurocentrism, Orientalism, and other biases. Moreover, his focus on the comparative methodology leads to factual errors, oversimplification, and overlooking of contexts. Even though Korean scholars are generally critical of using the comparative method to present Korean history in English, it is no doubt that comparison is a powerful learning tool that aids understanding. Taking a comparative method can provide a broader perspective on Korean history beyond a national context. Therefore, Korean scholars need to show openness toward various approaches, including the comparative method, in order to create English textbooks that would not only enhance understanding but also stimulate interest in Korean history for foreign students. In addition, Korean scholars need to collaborate with foreign scholars to develop English textbooks that meet the levels and demands of foreign students.

      • 10학년 〈역사〉 교육과정의 ‘비교’ 내용 구성 방향

        방지원(Bang Ji-won) 효원사학회 2009 역사와 세계 Vol.- No.35

        There has been a conventional notion that comparative history is a field within history in academic institution, and that comparison is a useful method for discovering the historical likeness or differences and explaining the cause of them. In 2007 reformed curriculum, History, newly established subject claimed to stand for ‘connection between world history and korean history' as the important principals in content organization. History has two basic direction : self-reflection in teaching and learning history and self recognition in world History-based context. Especially in ten grade's syllabus, comparison is the main method for connection world history and korean history. So, in history education particularly in textbook development, comparison became a pressing topic of discussion. A history teacher frequently applies comparative methods or comparative approaches to classes, comparison will be more powerful influence on the process of teaching history.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stablish the basic rules or directions for ‘comparison' in ten grade's history textbook development. The real value of educational comparison lies in learner-centered historical thinking process, not in acquiring new knowledges or informations. I hope that we can have advance in studies about com parison in academic and educational institution.

      • KCI등재

        2009년 개정교육과정 고등학교 세계사 교과서에 나타난 독일의 현대사 서술에 대한 관점

        최선아 한국독일사학회 2020 독일연구 Vol.- No.45

        The world of today was integrated into one living zone beyond the dimension of a mutual exchange simply among countries, thereby having become the era that any race or nation cannot survive independently. Therefore, to proceed with living in the age of globalization, the attitude and the ability of trying to understand about diverse cultures and values, which exist in the world, are essentially demanded and were magnified as the necessary quality. Learning the world history makes us available for rightly understanding history and culture in many countries of the world and for broadening the width of international understanding and international sense through this. There have been many researches on history textbook so far. But there are many cases of being limited mostly to national history textbook. The elements other than history textbook are having great influence upon forming the historical consciousness. For example, above all, even a question about how much one country and society are giving importance and putting value in history education may be much varied every country. It is also what can be called a level of 'memory culture' in one country or society on the whole. Accordingly, to understand Korean history harmoniously from the position of world history with escaping from a nationalistic sight, the education of world history is needed. There will be a need to be carried out history education that understands both distinctiveness in national history and the generality in universal history. By the way, a matter is that it is not so in the reality of world-history education based on curriculum. 검정교과서인 고등학교 세계사 교과서는 국가가 정한 교육과정 세계사교과 내용체제와 준거안에 의거해 단원이 구성되었다. 세계사 교과서의 과제 중 하나는 서구 중심주의를 극복해야 하는 것이고, 서양사 서술의 비중은 줄어드는 추세이다. 교육과정은 사회의 변화과정 속에서 지속적으로 개선되었고, 세계사 교육은 비중이 약화되었으나, 글로벌 시대에 세계사 교육과정의 필요성과 중요성은 여전히 남아 있다. 이에 따라 세계사 교육은 단순 암기에서 벗어나 주요 개념이나 주제를 중심으로 학습자에게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 오늘날, 국가 및 지역 사이의 인적. 물적 교류가 역사상 그 유례를 찾을 수 없을 정도로 활발해져, 지구 전체가 하나의 생활권으로 통합되는 이른바 ‘세계화’가 급속히 진행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세계사’는대한민국의 청소년을 국가 또는 세계의 균형 잡힌 구성원으로 양성하기 위해 필요한 교과목이다. 그것은 현재의 세계가 형성되는 과정과 그 동인에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그 속에서 대한민국과 동아시아가 처한 현실을 냉철하게 이해하게 할뿐 아니라, 나아가 통합이 가속화되는 인류 전체의 평화공존에 필요한 가치를 깨우쳐주기 때문이다. 필자는 본 논문에서 세계사 교과서 중 천재교육, 금성출판사, 비상교육 3종을 비교 분석에서, 2009년 개정교육과정 고등학교 세계사교과서에 나타난 독일의 현대사 서술에 대한 관점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 독일은 양차대전을 일으킨 국가이고 냉전과 데탕트의 시기를 거쳐 통일을 이루었다. 남북한이 분단되어 있는 한국에서 통일을 논의하는 입장에서, 독일의 역사는 중요하게 평가받는 부분이다. 따라서세계사교과서에 서술되어 있는 독일 현대사는 통일을 대비하고 통일 전후역사교육을 대비하는 한국의 교육계에 반드시 필요한 연구일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이러한 연구는 세계사 교육과정에서 독일사의 효용가치를 ‘통일과 분단’ 같은 한국사와의 연계성에서만 찾을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이에 더하여 오늘날 공교육과 교과교육 등 공히 민주시민으로서의 가치인 ‘인권’, ‘평화’에 대한 감수성을 아우슈비츠나 전쟁 일반의 비극을 포함한 독일 현대사를 통해 어떻게 함양할 수 있는가를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러한 연구는 독일 역사교과서에서 한국의 분단상황을 어떻게 연구하는지에대한 비교 분석 및 공동 연구와 함께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헌법사의 의의와 접근방법

        장영수 ( Young Soo Chang ) 고려대학교 법학연구원 2014 고려법학 Vol.0 No.75

        국가질서의 근간을 정하고 있는 최고법인 헌법을 올바르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헌법사에 대한 검토가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헌법사를 통해 나타나는 수많은 역사적 사건들 속에서 헌법의 이념과 제도가 어떻게 형성되고 또 발전되었는지를 검토함으로써 비로소 현재의 국가질서, 현재의 헌법을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으며, 그 바탕 위에서 미래의 헌법과 국가질서를 설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볼 때 헌법사의 목적은 ‘현재’ 헌법의 올바른 이해와 실현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과거 헌법의 조문뿐만 아니라 그러한 조문이 형성된 현실적 배경과 그 조문들이 현실 속에서 어떤 규범력을 발휘했는지, 제대로 규범력을 발휘하지 못했다면 그 원인은 무엇인지 등에 대해서도 깊이 있는 검토가 필요하다. 그러나 이러한 검토가 현재의 헌법으로 연결되지 못할 경우에는 헌법사 본연의 과제를 제대로 수행하는 것이라고 보기 어렵기 때문에 과거의 헌법과 현재의 헌법 사이의 연결고리를 분명히 하는 가운데 의미 있는 유추가 가능해지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헌법사는 일종의 비교법학이라 할 수 있으며, 헌법의 통시적 비교·검토를 통하여 현재의 헌법에 대한 이해와 미래 헌법에 대한 대비를 충실히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우리 헌법사의 경우 근대적 헌법의 출발점을 어떻게 보는지에 따라서 헌법사의 대상범위가 달라질 수 있지만, 구한말의 헌법적 규범이나 대한민국임시정부 헌법에 대한 연구도 현재의 헌법과 간접적인 관련을 갖는다는 점에서 대상범위에 포함시킬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연구의 핵심은 역시 1948년 헌법제정 이후의 헌법사가 될 것이며, 이를 어떤 기준에 따라 단계화할 것인지도 논란의 대상이다. 분명한 것은 헌법사가 역사 속에서 형성·발전되어 온 헌법에 대한 법적 해명이며, 이는 미래를 내다볼 수 있는 창의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비록 헌법사가 헌법학의 중심은 아닐지라도 헌법학의 깊이 있는 이해를 위한 열쇠의 역할을 할 수 있는 중요한 위치에 있다는 점은 부정될 수 없다. 그런 의미에서 헌법사는 -인간의 지식과 지혜의 축적에서 역사가 갖는 의미가 일반적으로 그러하듯이- 과거를 통해 현재를 이해하고, 미래를 형성하는데 도움을 주는 창(窓)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In order to properly understand the Constitutional Law, which determines the national foundation, it is important to study the Constitutional history. By examining how ideology and system of the Constitutional Law have formed and developed, one can understand the current Constitutional Law properly as well as plan the prospective revision of the Constitutional Law. In other words, the purpose of Constitutional History is to rightly understand and realize the ‘current’ Constitutional Law. For this reason, it is not only important to understand the provisions of past Constitutional Law but also th examine how the provisions have formed, how they established the regulatory power, and if failed, reexamining the cause of failure of those provisions is required. However, these examinations can be considered ineffective and dysfunctional if they do not link the Constitutional History to the nature of today`s Constitutional Law.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clearly present the connection between past and present Constitutional Law to allow meaningful inference. Therefore, the subject of Constitutional History can be considered as comparative jurisprudence as it provides understanding of the current Constitutional Law and the knowledge necessary to prepare for prospective changes through diachronic comparison and examination of the Constitutional Law. Although the range may vary due to array of perspectives in regards to the point when the modern Constitutional History actually began; however, in researching of Constitutional History of Korea, one cannot disregard the Constitutional History under the latter era of the Choson Dynasty and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during Japanese Occupation because of their indirect influence in shaping the current laws. Nevertheless, th main focus of the research should be on Constitutional History after the establishment of Constitutional Law in 1948 while the criterion of phasing in chronology is controversial. What is clear is that the Constitutional History has brought forth legal explanation through ist formation of history and it serves as a window to the prospective laws. Even if Constitutional History is not at the heart of Constitutional study, the history will provide the key to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Constitution. In that note, the Constitutional History .like the general importance of history in mankind`s knowledge and wisdom- is a window which serves to the better understanding of today with hindsight of yesterday and also helps form what is to be for tomorrow.

      • KCI우수등재

        연구 분야의 지속과 확장: 중국근대사 연구(2016~17)와 대만사 연구(2013~17)

        문명기 역사학회 2018 역사학보 Vol.0 No.239

        This review article attempts to give a rough outline of the research results done by Korean scholars during 2016~17 in the fields of Chinese modern history and Taiwan history. In the field of Chinese modern history, researches of ‘traditional’ fields continued and some researches are excellent in ideas and analyses, whereas some researches of quite ‘new’ fields like medical history and maritime history stands out. Although the history of Taiwan history research in Korea is relatively short, there have been a lot of noticeable researches, and Korean historians demonstrated their own academic advantages mainly derived from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Korean history and Taiwan history. And also they revealed some points to be improved in that some of them are not able to utilize the research results made in Taiwan mainly because of their lack of Chinese languages. In sum, in spite that some inferior researches were published without thorough verification by academic societies, in general, we could find out more researches which let us anticipate fruitful and academically advanced publications in the future. 본고는 2016년과 2017년에 수행된 중국근대사 연구 및 2013년부터 2017년 사이에 수행된 대만사 연구에 대한 소개와 비평을 기본적인 목적으로 했다. 검토 결과는 아래와 같이 정리할 수 있었다. 중국 근대사 분야에서는 정치외교사나 사회경제사 등의 기존의 연구 테마에 대한 관심이 지속된 반면, 의료위생사나 해양사 분야에서의 연구가 상대적으로 활발해진 점이 눈에 띈다. 대만사 연구 분야에서는 중국학 연구자들에 의한 연구가 계속 강세를 보이기는 하지만, 중국학 이외 분야의 연구자들 역시 강한 관심을 가지고 대만사 연구에 적극 참여한 점이 두드러진다. 다만 대만(사) 연구의 경우 다양한 학문분야에서의 연구가 개별적으로 진행되고 있어서 협업이나 공동연구가 좀 더 활성화될 필요가 있어 보인다. 중국 근대사 및 대만사 연구 분야의 향후 전망과 관련해서는, 세 가지 점을 제시했다. 우선 연구 논문으로서 자격 미달에 해당하는 논문이 일부 발견되었는데, 이는 관련 학회의 엄격하고 공정한 검증 체계가 좀 더 철저하게 작동함으로써 해결되어야 한다는 점을 명확히 했다. 둘째, 그럼에도 불구하고 훨씬 많은 수의 논문들은 일차 자료와 연구 문헌을 충분히 장악한 위에 탄탄한 논증과 독창성 있는 주장을 갖추어서 해당 분야의 장래가 긍정적임을 제시했다. 셋째, 근대 중국이나 근현대 대만에 대한 개별 연구가 좀 더 의미가 있으려면, 최근 대두하고 있는 세계사 또는 지구사(global history) 연구와 개별 시대사·지역사를 서로 연결시키는 작업에 대한 고민이 좀 더 필요하다는 점을 지적했다.

      • KCI등재

        영문 한국사 개설서의 고대사 서술 동향 - 2000년대 출간된 개설서와 비교역사학적 접근의 문제를 중심으로-

        이종록(Lee, Jong-rok) 고려사학회 2023 한국사학보 Vol.- No.91

        본 논문은 2000년대 이후 출간된 영미권 한국사 개설서의 현황을 검토하고, 이 중 한국고대사의 서술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Michael Seth의 A Concise History of Korea를 최근 영미권 한국사 개설서의 예시이자 국내 학계와의 한국고대사 서술 방식과의 차이를 보여주는 사례로 활용하였다. 해당 개설서의 저자는 한국고대사에 관한 장절에서 중국 문명과의 교류를 강조하는 동시에, 세계사 속에서 고대 한국 정치집단의 위치를 논의하는 특징을 보인다. 그러나 저자의 서술은 경우에 따라서는 한국고대사에 대한 국내 학계와의 시각 차이가 극명하게 나타나기도 하는데, 이는 저자만이 아니라 서구 학계에서 자주 취신하는 비교역사학(comparative history)적 접근의 결과로 여겨진다. 곧 본고에서는 국내 학계에서 영미권 개설서에 대해 비판하는 요소인 한사군 중심 서술이나 중국사에 종속된 서술은 이러한 방법론과 밀접하게 연관이 있는 것으로 해석하였다. This paper reviews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history textbooks written in English published since the 2000s, and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that appear in the narrations of Korean ancient history. For this, it used Michael Seth’s A Concise History of Korea as an example of the recent textbooks to Korean history in the English-American countries to indicate the different narrative method from the Korean academia’s. The author’s method has a characteristic that emphasizes the cultural exchange with Chinese civilizations and the position of ancient Korean polities in the world history in chapters on ancient Korean history. Sometimes, the author’s opinions signifies clear differences in viewpoints on ancient Korean history from the Korean academia. These differences were the result of the comparative historical approach, which had been constantly adopted by the historians in English-speaking countries. This paper concluded that the narratives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history textbooks written in English such as focusing on the Chinese Han Commanderies or Sino-centric historical viewpoint, that the Korean academia often criticize, were closely related to this methodology.

      • KCI우수등재

        한국 근현대사 연구의 새로운 모색들 - 가능성과 문제

        배항섭 역사학회 2018 역사학보 Vol.0 No.239

        This article reviewed the achievement of studies on modern Korean history from 2016 to 2017. First it looked on the major characteristics or trends of the researches done for the two years by categories, and then pointed out what each category of researches signifies and matters. To begin with, the achievement grew in quantity and the scope of studies became broader. However, many say that this quantitative growth and diversification do not necessarily connect to the qualitative growth of researches. Also, the achievement of researches based on new perspectives or methodologies is increasing. Such studies contribute to expanding and advancing the visual range of studies on Korean history. But new theories and methodologies are mostly developed in the West. Therefore, considering on what the background or purpose the theory or methodology has developed and what kind of historic shapes it constitutes consequently is needed. Approach in the aspect of comparative history is necessary in order to develop the quality of studies on Korean history, since it can be a trigger to a new method of analysis or perspective that could not be thought of otherwise. Still there exist important preconditions for the comparative history to have a positive meaning; one is the symmetry between the subjects to compare, the other is overcoming the teleological historical view and theory of historical development. 이글은 2016-2017년에 이루어진 한국 근현대사 연구의 성과를 review한 것이다. 먼저 2년 동안 생산된 연구들의 주요한 특징이나 경향을 몇 개의 항목으로 나누어 살펴보았으며, 각 항목별 연구들이 가진 의미와 문제들을 지적하였다. 우선 전체적으로 연구 성과들이 양적으로 성장하였고, 연구 분야 면에서도 한층 다양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의 양적 팽창과 연구 분야의 다양화가 반드시 연구의 질적 성장으로 연결되는 것은 아니라는 평가가 많다. 또 새로운 시각이나 방법론에 입각한 연구 성과들도 이전에 비해 많아지고 있다. 이러한 연구들은 한국사 연구의 시야를 확장하고 진전시켜 나가는 데 적지 않은 기여를 하고 있다. 그러나 새로운 이론이나 방법론은 서구에서 만들어진 것이 대부분이다. 따라서 그것을 수용할 때도 그 이론이나 방법론이 어떤 배경이나 목적에서 만들어진 것인지, 그것이 결과적으로 어떤 역사상을 구성하는 것인지 등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한국사 연구의 질적 수준은 높이기 위해서는 비교사적 접근이 필요하다. 무엇보다 비교사적 접근은 일국사적 관점에서는 미처 생각하지 못했던 새로운 분석방법이나 시야를 열어가는 계기가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다만 비교사가 긍정적인 의미를 지니기 위해서는 중요한 전제가 있다. 그것은 비교 대상 간의 대칭성과 발전론적 목적론적 역사인식의 극복이다.

      • KCI우수등재

        느리게, 그러나 활기 있게 ― 이탈리아사 연구의 최근 동향, 2021~2022 ―

        장문석 역사학회 2023 역사학보 Vol.- No.259

        이 글의 목적은 지난 2년간 국내 이탈리아 연구의 최근 성과들을 소개하고 그 향후 발전을 전망해보는 것이다. 그동안 국내 이탈리아 사학계는 꾸준한 성장을 거듭하여 비록 소규모이지만 나름의 안정된 학문 공동체를 형성했다. 그런 바탕 위에서 지난 두 해 동안 국내 이탈리아사 연구는 지난 간기와 마찬가지로 양적·질적 수준을 유지했다. 다만, 시대별로 볼 때, 르네상스 시대와 근대 초기와 관련된 연구 업적이 많은 반면, 20세기에 대한 연구 업적이 줄고 19세기 리소르지멘토와 자유주의 시대에 대한 업적은 아예 없다는 점이 아쉽다. 또한 부문별로도 지성사와 문화사의 강세에 비해 정치사와 사회사, 경제사의 약세가 두드러진다. 그런 점에서 이탈리아사 연구에서 균형을 추구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해 보인다. 나아가 이탈리아사 연구의 발전을 위해 연구 주제와 문제의식의 확장이 필요하고, 그 방법으로서 비교의 시각을 적용하는 것이 중요하리라고 제안한다. 앞으로도 국내 이탈리아사 연구는 지금까지처럼 느리지만 활기 있는 발걸음으로 나아갈 것이라고 전망한다. The purpose of this review is to introduce the achievements of Italian history studies in Korea over the past two years and to prospect their future development. In the meantime, Italian history studies have grown steadily, forming a relatively stable academic community, albeit on a small scale. Based on this, studies over the past two years have maintained the sam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level as the previous period. However, they leave much to be desired, in that, while there are many achievements regarding the Renaissance and early modern age, the achievements on the 20th century decrease, and there are no achievements on the Risorgimento and liberal Italy in a given period. Also, the weakness of political, social and economic history stands out, when compared to the strength of intellectual and cultural history. In this respect, it seems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else to pursue the balance in Italian history studies. Furthermore, this review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research themes, the problematic and research horizons, and it is important to apply a comparative perspective as a method for such an expansion. In the long run, it is expected that Italian history studies in Korea will move forward slowly, but with motion as befo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