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동연구 네트워크 분석을 위한 중심성 지수에 대한 비교 연구

        이재윤 한국정보관리학회 2014 정보관리학회지 Vol.31 No.3

        This study explores the characteristics of centrality measures for analyzing researchers’ impact and structural positions in research collaboration networks. We investigate four binary network centrality measures (degree centrality, closeness centrality, betweenness centrality, and PageRank), and seven existing weighted network centrality measures (triangle betweenness centrality, mean association, weighted PageRank, collaboration h-index, collaboration hs-index, complex degree centrality, and c-index) for research collaboration networks. And we propose SSR, which is a new weighted centrality measure for collaboration networks. Using research collaboration data from three different research domains including architectur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and marketing, the above twelve centrality measures are calculated and compared each other. Results indicate that the weighted network centrality measures are needed to consider collaboration strength as well as collaboration range in research collaboration networks. We also recommend that when considering both collaboration strength and range, it is appropriate to apply triangle betweenness centrality and SSR to investigate global centrality and local centrality in collaboration networks. 이 연구의 목적은 공동연구 네트워크에서 연구자의 영향력과 입지를 분석하는데 사용되는 중심성 지수들의 특징에 대해서 고찰하는 것이다. 전통적인 이진 네트워크 중심성 지수로는 연결정도중심성, 매개중심성, 근접중심성, 페이지랭크를 다루었고, 공동연구 네트워크에서의 중심성을 측정하기 위해서 개발되었거나 사용된 가중 네트워크 중심성 지수로는 삼각매개중심성, 평균연관성, 가중페이지랭크, 공동연구 h-지수와 공동연구 hs-지수, 복합연결정도중심성, c-지수에 대해서 살펴보았으며, 새로운 지수로 제곱근합 지수 SSR을 제안하였다. 이들 12종의 중심성 지수를 건축학, 문헌정보학, 마케팅 분야의 세 가지 공동연구 네트워크에 적용해본 결과 각 지수들의 특성과 지수 간 관계를 파악할 수 있었다. 분석 결과 공동연구 네트워크에서 공동연구 범위와 공동연구 강도를 모두 고려하기 위해서는 가중 네트워크 중심성 지수를 사용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공동연구 범위와 강도를 모두 고려하는 전역중심성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삼각매개중심성 지수를 사용하고, 지역중심성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SSR 지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제안하였다.

      • KCI등재

        문화예술지원체계 네트워크 거버넌스에 대한 탐색적 연구

        박치성 ( Chisung Park ),정창호 ( Changho Chung ),백두산 ( Doosan Paik ) 한국정책학회 2017 韓國政策學會報 Vol.26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창작지원과 향유확대라는 문화예술지원정책의 목표달성을 위해 현재의 문화예술지원체계를 진단하고 향후 협력체계를 강화할 수 있는 정책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문체부 산하 20개 주요기관에서 추진하는 주요사업을 기준으로 이론적으로 연계 및 보완이 될 경우 시너지 효과가 날 수 있는 사업들 간의 관계를 측정한 `가능 협력네트워크`를 제시하고, 현재의 지원체계를 나타낼 수 있는 두 가지 네트워크, 즉 실제로 수행되는 `사업실행 협력네트워크`와 MOU 등을 통해 기관 간 협력 필요성 인식을 보여주는 `전략적 맞춤 협력네트워크`와 비교하여 통합적 문화예술 지원체계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가능 협력네트워크와 전략적 맞춤 협력네트워크 간 유사점이 상대적으로 높고, 사업실행 협력네트워크는 상대적으로 다른 특징을 보여줌으로써 이론적 수준에서 협력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 관점과 기관에서 사업협력이 필요하다고 느끼는 인식이 유사하게 나타났다. 둘째, 네트워크 구조적 특징으로 콘텐츠진흥원과 한국문화예술위원회 등이 네트워크의 주요 행위자로서 협력관계의 조정역할이나 공동작업을 위한 기획 수립 및 지원의 역할이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가능 협력네트워크에서 하위협력체계를 도출하여 현재 실제 협력관계 네트워크를 비교한 결과, 사례에 따라 협력관계가 상이하거나 유사한 경우를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문화예술지원정책 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는 기관 간 수평적 협력관계를 강화하는 노력이 필요하고, 유관기관들이 사업 간 협력을 제고할 수 있는 정부의 조정 역할이 중요하다. Since the government`s support for culture and arts has appeared as a policy failure resulting in `Blacklist` case, it is necessary to reevaluate the current culture and arts support system. So we propose three types of art and culture support network system, which are 1) `possible collaboration network` that is an ideal type for achieving cultural and arts policy goals, which is composed of 20 major public institutions under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 `actual culture and arts support networks` through `Business real-name system` and 3) strategic fit network which is composed of `MOU` relations between the institutions. We compared structural patterns in three networks, and explored culture and arts policy designs. The analysis results can be summarized into three main findings. First, There has been a large gap between `possible collaboration network` and the actual networks, whereas possible collaboration network resembles strategic fit network. Although each institution recognizes the need for collaboration(i.e. strategic fit network), institutions show different patterns of collaboration in actual network. Second, there are 9 core institutions that can enhance the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of culture and arts policies in `possible collaboration network`. Especially, the roles of the Arts Council Korea and the Korea Creative Content Agency are important. Finally, it has been found that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has significant involvement in the actual network. In order to achieve the goals of culture and arts policy,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horizontal cooperation and the role of government as coordinator should be emphasized.

      • KCI등재후보

        인천 지역혁신주체의 협력네트워크에 관한 탐색적 연구

        김동관,유광민,한성호 (재) 인천연구원 2017 도시연구 Vol.- No.12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effective management of collaborative networks and relationships among regional innovation actors. Using a networking analysis, this study presents characteristics and modes of collaboration networks of regional innovation actors, and describes characteristics of networks by innovation function. The results show what institutions are at the center of regional innovation networks, and how institutions are networked in Incheon. In addition, the results also show that the density of network between regional innovation actors weakens as the intensity of collaboration increases. The common type of collaboration is joint project, not contract. And networking, supporting research and development, and supporting start-ups are proceeded actively in innov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organizations that have a central role in networks are so different by function. Thus policy to promote regional innovation network should strengthen programs with focusing on institutions that have more connections in regional innovation networks. 본 연구는 지역혁신주체 간의 협력네트워크 및 협력 관계의 효과적인관리가 필요하다는 인식하에 수행되었다. 지역혁신주체 협력네트워크의전반적 특성과 협력유형, 혁신기능별 네트워크 특성을 사회연결망 분석을통해 파악하였다. 인천시 공공 지역혁신주체들간 혁신활동의 협력관계를사회연결망분석방법을 통해 분석한 결과 전체적인 기능이 어느 기관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고, 세부 기능별로 어떤 기관과의 연결이 다수 이루어지고 있는가를 파악할 수 있었다. 협력을 추진하는 강도가 강해질수록네트워크가 약해지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공동사업 추진보다는 공동계약에 의한 협력네트워크가 미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혁신기능별 네트워크 현황을 살펴보면 네트워킹, 연구개발지원, 사업화(창업) 지원 순으로 지역혁신주체 간 연결되어 있는 네트워크의 협력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었다. 본 논문에 따르면 기능별로 중심이 되는 기관이상이하므로 지역 내 협력 네트워크를 활성화하기 위한 정책이 효과를 발휘하기 위해서는 혁신기능별로 연결의 중심이 되는 기관의 역할을 보다강화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작은도서관 협력 네트워크의 효과에 관한 연구

        이정호(Jeong-Ho Lee) 충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4 사회과학연구 Vol.25 No.2

        This study aims to analyze a network effectiveness of small libraries. Data for the analysis were collected by conducting the survey with the small libraries in Bucheon region. In order to analyze the network effectiveness, this study used social network analysis methods and multiple regression. This study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 There was no significant network effectiveness of degree centrality in full network. Closeness centrality had significant negatively effect on productivity while positively fulfillment in information collaboration network and program sharing network. Betweenness centrality negatively effect on adaptability in information collaboration network while positively effect on productivity in program sharing network. In ego-centric network, degree centrality significantly effect on productivity in co-business network. And closeness centrality effect on fulfillment in information collaboration network and program sharing network. Betweenness centrality significantly effect on fulfillment in co-business network.

      • KCI등재

        2020 구글 스칼라 매트릭스에 색인된 국내 주요 학술지에 대한 계량서지학적 분석

        김동훈,김규리,주영준 한국정보관리학회 2021 정보관리학회지 Vol.38 No.1

        본 연구에서는 다학제적 연구가 활발해진 국내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2020 구글 스칼라 매트릭스에 색인된 국내 주요 학술지 데이터를 활용하여 전 학문분야를 포괄하는 네트워크 분석(대학협력 네트워크, 키워드 동시출현 네트워크, 학술지 인용 네트워크, 학문분야 인용 네트워크)을 실시하였다. 대학협력 네트워크 분석결과, 서울대학교, 계명대학교, 성균관대학교 등 협력연구를 활발히 진행하는 대학을 파악할 수 있었고, 키워드 동시출현 네트워크 분석결과, 이직의도, 직무만족 등 직무 관련 키워드가 높은 빈도로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학술지 인용 네트워크에서는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한국사회학,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등 인용이 많이 되고 있는 핵심 학술지들을 확인하였으며, 학문분야 인용 네트워크에서는 교육학, 경영학, 사회복지학이 다른 학문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학문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국내 계량서지분석연구에서 시도하지 않았던 구글 스칼라 매트릭스 데이터를 처음 활용하였으며, 키워드, 학술지, 학문분야로 범위를 확장시켜가며 단계적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는 점에서 학술적 의의를 가지며, 연구결과는 국내 대학 간 공동연구의 전략 수립 및 다학제적 융합 연구 기획에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실질적인 함의를 시사한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research landscape of South Korea using the data of 2020 Google Scholar Metrics. To achieve the goal, we constructed and analyzed four types of networks including the university collaboration network, the keyword co-occurrence network, the journal citation network, and the discipline citation network. Through the analysis of the university collaboration network, we found major universities such as Seoul National University, Keimyung University, and Sungkyunkwan University that have led collaborative research. Job related keywords such as job change intention and job satisfaction have been frequently studied with other keyword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journal citation network, we found multiple journals such a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Korean Journal of Sociology, and Korean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that have been widely cited by the other journals and influenced them. Finally, Education, Business administration, and Social welfare were identified as the top influential disciplines that have influenced other disciplines through the knowledge diffusion. The study is the first of its kind to use the data of Google Scholar Metrics and conduct a stepwise network analysis (e.g., keyword, journal, and discipline) to broadly understand the research landscape of South Korea. Our results can be used by government agencies and universities to develop effective strategies of promoting university collaboration and interdisciplinary research.

      • KCI등재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한 국내 바이오테크(BT)연구의 협력특성과 특허성과의 관계에 대한 실증연구

        김병근,조현정 한국지식재산학회 2016 産業財産權 Vol.- No.51

        바이오테크(BT) 분야는 경제성장을 견인할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주목받고 있고, 최근 5년간 국가연구개발 투자에서 BT분야 연구에 대한 투자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데, 이에 반해 연구생산성은 아직 높지 않다. 지식집약적이고, 개발기간이 길며, 연구개발 비용이 많이 드는 BT연구는 다른 어떤 기술 분야보다 연구기관 간의 협력네트워크가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가연구개발사업의 BT분야 협력연구에서 협력네트워크의 구조적 특성을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분석하고, 이러한 구조적 특성이 특허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3년 동안 국가연구개발사업으로 수행된 BT 과제들 중에서 1개 이상의 연구기관과 협력을 통해 수행된 과제 총 1897건을 추출하여 실증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기관들의 협력 네트워크 특성 중 3대 중심성 지표를 분석하기 위해 Netminer 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하였고, 협력네트워크의 중심성이 특허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음이항회귀모형을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BT분야의 협력연구기관들의 연결정도중심성은 특허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BT분야의 협력연구기관들의 매개중심성은 특허성과에 부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셋째, BT분야의 협력연구기관들의 근접중심성과 특허성과와의 관계는 그 영향력의 크기가 연결정도중심성보다는 작았지만, 정(+)의 관계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This study tried to analyze empirically the effect of the R&D collaboration network in biotechnology research on patent performance in Korea using network analysis. The empirical study was based on the dataset from 1,897 BT research in the National R&D program in Korea for three consecutive years. The R&D collaboration performance model presented as the collaboration network structure and patent performance was analyzed through a network analysis and a negative binomial model. The R&D collaboration network structure was composed of three centralities that included degree, betweenness and closeness. The outcome variables was measured by the number of patent produced from the R&D collaboration. Empirical results shows that the degree centrality among three centrality measures for the structure of R&D collaboration influence the performance of patent positively. In addition, the closeness centrality also appear to have an effect on the output of patent. However, the effect of the betweenness centrality on the performance of patent appear to b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 KCI등재

        과학기술 분야 학연 협동연구 네트워크의 특성

        김영대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 2013 行政論叢 Vol.5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collaborative research networks between universities and government-supported research institutes (GSRI). First,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ive structural and content characteristics of collaborative research networks between universities and GSRIs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National Innovation System, Open Innovation, and a social network perspective on social capital theory. Second, this study divides collaborative university/GSRI research networks into three categories: whole network, the network of each research council (Korea Research Council for Industrial Science & Technology: ISTK, Korea Research Council of Fundamental Science & Technology: KRCF), and each 6T network.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network are categorized into structure and content. There are several results of the analysis. First, in general, each collaborative research network features a high concentration ratio whereas the openness and activation level is low. Second, the basic research ratio and the research ratio related to public welfare of each network are very low in general. In conclusion, the government should make an effort to activate collaborative research between universities and GSRIs effectively through policies and institutions in terms of structure and content. 이 연구는 최근 관심이 증가하고 있음에도 기반 연구가 부족하고 특히 이론적・방법론적 논의가 미흡했던 과학기술 분야 정부출연(연)과 대학 간 협동연구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먼저 국가혁신체제, 개방형 혁신, 사회적 자본으로서의 네트워크 등과 같은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학연 협동연구의 효과적 구조와 내용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토대로 학연 협동연구 관계를 사회네트워크로 개념화하고 연구회별, 기술 분야별 네트워크로 구분한 후 객관적 데이터에 기초하여 각 네트워크의 구조적 특성과 내용적 특성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연구회 및 기술 분야별로 다소 차이는 있으나 대체로 우리나라 학연 협동연구 네트워크는 개방성과 활성도는 낮고 집중성은 높은 구조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내용적 측면에서는 기초연구와 공공복지 관련 연구의 비중이 아직까지 상당히 낮은 수준임을 확인했다. 따라서 학연 협동연구의 효과적인 활성화를 위해서는 이러한 구조적・내용적 특성을 고려한 정책적・제도적 노력이 경주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미술관 협력망 구축을 위한 소장품 네트워크 분석

        이진화,김설희 한국예술경영학회 2016 예술경영연구 Vol.0 No.40

        This study aims to activate the collaborative network between museums it firstly clarifies the definition of collaborative network in museum and analyze object loan, that is one of the forms of museum collaboration, to find out significant feature of the network. The recent data for 3 years, that is top 17 attractions of national and public museums, indicates total 157 organizations of which 147 domestic and 10 international have experienced object loan as museum collaboration and 2,810 objects are exchanged in total. As a result of network analysis using ‘Netminer’ as methodology of this study, it defined each index of Degree, Density, Inclusiveness and Centrality in the network and found out structural feature of collaborative network in museum. Community index is used to figure out clustered group in the museum network. Overall network density is 0.008 and it demonstrates museum network is rarely activated and museums are likely to work independently. Meanwhile Betweeness Centrality index for national and public museums in each region is high as well as Outdegree Centrality. It means that network is centralized to the national and public museums that is, in the other words, the leading organization for the object loan. The result of Community analysis, except 6 isolated organizations there are 8 organizations in toal and ts community mainly consists of regional unit - all region, Jeon-Buk, Seoul, Gwang-Ju, Busan, Kyeong-Nam, Kyeong-Ki and Chung-Buk. Moreover, the organization that take high points of Betweeness Centrality tends to position in the central part of network. To sum up it is needed to strengthen the weak tie in regional community such as Kyeong-Ki and Chung-Buk&Incheon that is isolated group as well as Je-ju and Kang-Won which is divided. Then careful consideration is needed that way of connecting to other regional networks. 본 연구는 미술관 협력 네트워크 활성화를 위한 실증적 연구로서 미술관의 상호 협력활동을 정의하고, 그 중 ‘소장품 대여활동’을 통하여 미술관 네트워크의 특성을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지역별 관람객 수가 가장 많은 17관의 국공립 미술관을선정하고 3년간(‘12-‘14) 데이터를 수집한 결과, 소장품 대여 협력사업을 진행한 미술관 및 관련기관은 총 157관 이었으며(중복제외), 작품 수는 2,810점으로 나타났다. 네트워크 분석(Netminer)을 통해 협력 네트워크의 구조적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또한 네트워크 내에서 결집(응집)집단을 파악하기 위하여 커뮤니티 지표를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미술관 네트워크가 활발하지 않으며, 독자적 활동에 치중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심성 분석을 통해 매개중심성이 높은 기관은 각 시도의 국공립미술관임을 알 수 있으며, 외향 중심성의 집중화가 큰 것을 통해 지역 국공립미술관을중심으로 전국 미술관 및 유관기관에 소장품 대여사업을 진행하고 있는 것을 알 수있다. 커뮤니티 분석 결과, 고립된 기관인 6개 기관을 제외하면 총 8개 집단으로 구분되는데, 주로 지역단위(전국, 전북, 서울, 광주, 부산·경남, 경기, 충북)로 구성되어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해당 커뮤니티 내에서 중심기관으로 활동하고 있는 기관을 살펴보면, 매개중심성이 높은 기관이 포진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향후 연구를통해 나타난 지역별 커뮤니티를 바탕으로 두 개 그룹으로 나누어진 경기, 고립된 충북과 인천, 그룹을 형성하지 못한 제주와 강원의 커뮤니티가 지역 네트워크를 강화하여 그룹을 형성하고, 타 지역 중심기관과의 네트워크 연계 방안이 제고되어야 한다.

      • KCI등재

        협력을 위한 선교 네트워크 소고

        정기묵(JUNG, KI MOOK) 한국선교신학회 2016 선교신학 Vol.41 No.-

        ‘네트워크’는 원래 사물이나 사람을 상호 연결한 모양을 나타낼때 사용하는 용어다. 네트워크란 말은 이미 인간 사회에 있었던 것이지만 정보화시대에 접어들면서 어느 순간 많이 사용되기 시작했다. 오늘의 시대에 더욱 네트워크가 강조되는 이유는 무엇일까? 먼저는 세계선교의 환경 변화와 불확실성 때문이다. 둘째로, 선교를 위한 자원과 기회를 극대화하기 위해서이다. 오늘의 선교는 한 교회나 교단, 선교기관의 독자적인 힘만으로는 이루어갈 수 없다. 셋째로, 사역 방식의 변화 필요성 때문이다. 미래의 조직은 모든 조직체에서 사역에 대한 영역이 세분화되고, 각 영역에 임명된 책임자가 모든 것을 계획하고 진행하게 될 것이다. 특히 인터넷으로 대변되는 물리적 네트워크의발달은 이와 같은 현상을 가속화시킨다. 넷째로, 사람들의 살아가는 형태가 점점 더 도시화, 네트워크화 되기 때문이다. 도시는 인간의 미래뿐만 아니라 세계선교를 위해 결정적으로 중요한 요소가 될 것이다. 그리고 도시의 다양한 사역을 위해서는 네트워크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하나님의 선교를 위한 일치의 필요성 때문이다. 선교를 주도하시는 분은 삼위일체 하나님이시며, 선교는 그 하나님의 구원계획을 이루어가는 것이다. 따라서 선교는 교회나 선교사의 목적을 앞세우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목표, 즉 하나님의 선교라는 공동의 목표를 위하여 서로 협력하고 소통해야 한다. 이런 선교 네트워크를 위해 필요한 요소들은 무엇일까? 첫째는 공통의 비전 설정이다. 선교사들은 개인 혹은 한 지역에서 사역에 익숙하다보니 거의 모든 초점이 개인이나 자신의 지역에 맞추어져 있다. 네트워크 사역이 성공적으로 안착하기 위해서는 서로 추구하는 비전을 공유하고 하나의 목표에 사역 방향을 조율하는 과정이 있어야 한다. 둘째로 지금까지의 선교 정책은 지역적이었다. 선교사는 어느 지역을 위해 파송되고 그 지역을 넘어설 수 없었다. 탈 지역적 네트워크 선교를 위해서는 행정 구조의 발상을 바꾸어야 한다. 글로벌 네트워크에서 활동할 수 있도록 선교사 운영 규정을 바꾸어야 한다. 셋째는 개인적인 노력에서 협력을 위한 네트워킹이다. 선교사 개인을 넘어서서 교단, 선교단체, 지역교회가 서로 공유하고 협력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Network comes from the term that describes a shape which connects objects and persons to each other. The concept of networking has long existed in the human society, but entering in the age of information, the term is mentioned much more often. Why is networking so much more emphasized in our age? First this is due to the changes and instabilities in the world mission environment. Secondly, networking is a way to maximize the effects of missions resources and opportunities. Today's mission cannot be achieved by the resources of the individual church, denomination, or mission organization only. Thirdly, there is a need for a shift in missionary method. Organizations in the future will be entirely structured according to specialization where appointed directors will plan and proceed with all tasks in their specialized domains. Especially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internet accelerates the process of networking. Fourth, human habitation is increasingly urbanizing with its concentrated networks. The cities will be crucial cites not only for the future of humanity but for world mission. Networking is necessary to do various types of ministries necessary in urban areas. Finally, networks are important mostly because of the need for unity for the mission of God. The Trinitarian God is the one who leads the mission, and the mission is to actualize God's plan of salvation. Therefore missions is not to push for a church's or a missionary's aims, but to collaborate and communicate together under the common purpose of God's mission. What are necessary the elements for such missionary network? First a common vision must be set. Missionaries are mostly focused on individuals and their local regions with which they are most familiar. For the successful establishment of networks in ministry, we must go through a process of first sharing individual visions hen fine tuning our ministry directions toward a common goal. Second, missions strategies so far have been regional. Missionaries were sent to specific regions, and they could not go beyond its bounds. For post-regional network missions, the administrative structure must be reframed. The operational regulations for missionaries must be changed to allow them to work within a global network. Thirdly, there must be a shift from individual efforts to networking for collaboration. An attitude of sharing and cooperation that goes beyond the individual missionary, denomination, mission organization, and the local church, is necessary.

      • KCI등재

        기독공동체의 네트워크모델에 관한 기초 연구

        김성엽(Sung Reup Kim)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09 기독교교육정보 Vol.23 No.-

        In recent times the most organizations have been networking on an active basis in order to meet their own goals. This study tries to make a network model which establishes a brotherhood relationship between church-science collaboration for the college mission as there is in sufficient research regarding this area. Through this study of a network between mission communities, I would like to find out effective network model and approach method for their interac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im of the study, the first thing I made good use of the resource-based theory around. Effectiveness of networks. Assuming effectiveness of networks, the foundation of church-science network need to be practical approach according to successive approximation method thoroughly as well as rapidly. Individual organization cannot be achieved in independently but it should be done on overall and synthetic dimension. It means that local churches, colleges, and mission organizations which have nations characters should be connected in network and mission strategy should be done in various ways within the network. It is important not only to build interaction approach with local churches, colleges, and mission organizations, but also to need various supports within cooperating system. The mission community make efficient use of various human resources and material resources with mutual common project through close cooperation with church-science collaboration. In order to carry out their collaboration, active persons of the main group need to have a right understanding of it. According to their capacity and insight with strategic efforts the sensible of mission community make possible not only to promote various interchange and cooperation but also to control various troubles. Future study should focus on a network strategy between local churches and colleges and try to examine various ways of cooperation between local churches and colleges for the campus mis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