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기후변화의 부정적 영향에 따른 손실과 피해 대응방안

        이승준 ( Seungjun Lee ),최상희,임채욱,정재동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7 기후환경정책연구 Vol.2017 No.-

        본 연구는 기후변화의 부정적 영향에 따른 손실과 피해의 국내외 현황과 관련 정책 동향을 분석하여, 이에 대한 국내의 중장기적 대응방안을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목적 달성을 위해 기후변화 위험관리를 포함한 손실과 피해에 관한 주요 이론을 분석했고, 자연재해에 따른 국내외 피해 현황의 추이와 특징을 분석했으며, 기후변화적응 혹은 재난관리와 관련한 국내외 정책동향과 사례를 비교·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함으로써, 국내의 포괄적 기후위험관리 체계를 포함한 정책적 대응방안을 마련했다. 우리나라의 과거 자연재난에 따른 피해 현황을 분석한 결과 사망이나 실종자 수는 다소 줄어든 반면 부상까지 포함하는 인명피해나 재산피해는 여전히 무시할 수 없는 수준을 보였다. 앞으로 기후변화에 따른 재난의 불확실성과 시공간적 규모 및 다양성이 커질 것으로 예상되어 재난관리에서 더욱 체계적이고 참여적인 과정을 마련해야 한다는 결론을 도출했다. 본 연구에서는 적응관리와 포괄적 위험관리의 핵심요소를 포함하는 포괄적 기후위험관리 체계를 제시했다. 포괄적 기후위험관리 체계는 기후변화에 따른 손실과 피해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과정의 틀로 이해할 수 있는데, 이해관계자의 참여를 바탕으로 하는 정책 의사결정과 계획, 이행, 모니터링, 평가, 수정 등 기후변화의 부정적 영향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 과정의 요소들을 포함하고, 불확실성을 줄이기 위한 순환적이고 반복적이며 학습을 동반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포괄적 기후위험관리 체계는 그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가 충분히 형성될 경우 제도적으로 기후변화 혹은 재난 관련 법률에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포괄적 기후위험관리를 위해서는 다양한 부문에서 정책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의 부정적 영향에 따른 손실과 피해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 동향을 비롯하여 정책과정에서 핵심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검토하여 이들을 크게 제도, 거버넌스, 재정, 교육, 기술 분야로 구분했다. 각 주제와 관련된 정책과제들은 포괄적 기후위험관리 과정을 위해 필수적으로 뒷받침되어야 함은 물론이고, 더 나아가 정부에서 정책을 마련하는 과정에서 기후변화에 따른 재난을 고려할 때 참고할 필요가 있다. 제도적으로는 기후변화적응과 재난위험경감 분야의 실질적인 협력이 요구되며, 기후변화에 따른 복합재난에 대응하기 위한 제도적 유연성이 필요하고, 정책적 개선을 위해 사후연구를 강화해야 한다. 거버넌스와 관련해서는 공공을 비롯한 민간 각 주체의 명확한 역할 정의와 지자체의 역량 배양, 통합적 접근, 협력적 거버넌스강화, 취약계층에 대한 정책 강화 등이 주요 과제로 도출되었다. 재정 부문과 관련해서는 공보험 강화, 재보험을 통한 위험 이전, 재해기금의 적절한 활용 등이 중요한 과제이며, 화폐가치로 직접 표현되지는 않지만 사회경제계의 근간을 이루는 비경제적 자산의 손실과 피해에 대해 충분히 논의할 필요가 있다. 재난에 대한 사회적 취약성이 결국 손실과 피해의 규모를 결정한다는 점에서 재난교육을 전문가, 준전문가, 일반인 수준에 맞게 체계적으로 마련함으로써 사회적 회복탄력성을 높이는 정책이 요구된다. 재난기술 분야는 그동안 국내에서 많은 발전을 이루었으나, 기후변화에 따른 재난이 연쇄적이고 복합적으로 발생한다는 점에서 부처 간 혹은 국가적으로 통합적이고 상호 연동이 가능한 시스템을 마련하는 것이 시급한 과제로 드러났다. 해수면 상승이나 기온 상승과 같이 서서히 일어나는 현상은 장기간에 걸쳐 관리가 필요하다는 점에서 기후변화의 부정적 영향에 따른 손실과 피해 대응에는 지속적인 정책 과정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일깨워 준다. 기후변화의 부정적 영향에 따른 손실과 피해 문제는 그동안 주로 국제사회에서 기후변화의 영향에 취약한 개발도상국의 이슈로 취급되어 왔으나, 최근 우리나라에서 극한홍수나 폭염 등 기후변화의 영향이 작용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사건들이 예상치 못한 지역에서 발생함에 따라 이제 우리나라도 기후변화에 따른 피해를 재난의 관점에서 바라보고 대응방안을 마련할 시점에 이르렀다. 기후변화는 기존 자연재난의 발생 주기나 강도, 시공간적 파급효과에 변동성을 가져올 수 있다는 점에서 국가 재난관리 체계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본 연구에서 도출한 포괄적 기후위험관리 체계와 정책과제를 충분히 고려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domestic policy framework for minimizing the loss and damage associated with the adverse impacts of climate change by analyzing theoretical background, loss and damage statistics, and disaster management policies of other countries as well as Korea. The study analyzes the historical trends of loss and damage associated with the natural disasters, and reviews institutional arrangements, governance, finance, education, and technology related to climate change adaptation and disaster risk reductio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climate disaster and domestic circumstances, the study suggests a comprehensive climate risk management framework and policy directions for minimizing the loss and damage. According to the trends of loss and damage driven by natural disasters in Korea, the financial loss and the number of affected persons including the injured have been considerable while the number of deaths and missing persons has decreased. Since this study speculates that the patterns of climate-related disasters would be uncertain and the spatiotemporal scale of the disasters would increase, more systematic and participatory process would be required in disaster management. The study suggests a comprehensive climate risk management framework, which includes the major components of the adaptive management and the comprehensive risk management. The comprehensive climate risk management is a framework for a policy process to minimize the loss and damage associated with the adverse impacts of climate change. The framework includes not only the climate disaster management components, such as stakeholder-involved decision-making, planning, implementation, monitoring, evaluation, and revision, but repetitive and learning processes for minimizing the uncertainty. Once the social consensus on the framework is built, it could be institutionalized. Reviewing policies related to climate disaster reduction, the study draws policy directions in five areas of institutional arrangements, governance, finance, education, and technology. Policy directions suggested in each area should be considered for the effective climate risk management process. For institutional arrangements, collaboration between climate change adaptation and disaster risk reduction areas is required, and institutional arrangements are recommended to be flexible to deal with multiple and complex disasters. Post-disaster study should be enhanced to improve the weaknesses in the management policy. For governance, the role of each stakeholder should be clearly defined. Future work should focus on the capacity building of the local governments, comprehensive approach, collaborative governance, and policy enhancement for vulnerable people. For finance, the enhancement of public insurance, risk transfer through reinsurance, and proper use of disaster fund are recommended. Noneconomic loss and damage, which cannot be expressed by monetary value but plays a critical role for the socioeconomic resilience, should be widely discussed by stakeholders. For education, social resilience would be enhanced by advanced disaster education systems for the professional, semi-professional, and public levels. Although disaster technology has shown considerable development in Korea, the government policy should focus on the integration and interoperability of disaster management systems among sectors because the occurrence of climate-related disasters would be consecutive and multiple. Long-term policies for dealing with the slow-onset events, such as sea-level rise and temperature increase, should be prepared. Although the issue of loss and damage associated with the adverse impacts of climate change has been discussed at the international societies, the government needs to prepare domestic policies on climate-related loss and damage considering the recent disasters caused by the unusual weather events in Korea. The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system should consider the comprehensive climate risk management framework and policy directions suggested in this study, in that the impacts of climate change would be increasingly uncertain with the unpredictability of the recurrence period and the intensity of natural disasters and their spatiotemporal impacts.

      • KCI등재

        국내 물 산업체의 기후변화 대응현황과 재무적 리스크 분석

        김미나 한국기후변화학회 2020 한국기후변화학회지 Vol.11 No.5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rivate sector’s climate change risk, focusing on the financial sector and its risk management, specifically the case of the water industry in Korea. The water industry tends to be particularly vulnerable to climate change and requires adaptation strategies to address potential risks. This study quantified the potential financial risk to the water industry from four extreme weather events: heat waves, cold waves, heavy rain and heavy snow. These event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 scenarios, RCP 4.5 and RCP 8.5, using a business decision supporting tool, the Climate Change Risk Assessment System (CRAS), which was developed by Korea Environment Institute. The results of analysis revealed that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are more vulnerable in responding to climate change risk than large enterprises, that SME manufacturers in particular are the most vulnerable in responding to climate change risk. Of heat waves, cold waves, heavy rain and heavy snow, the greatest climate change-related financial risk was from heat waves. Lost sales due to climate change risk ranged from 152.9 to 210.7 billion won per year on average, according to the RCP 4.5 scenario. Furthermore, when the RCP 8.5 scenario was considered, the scale of financial risk increased to between 250.9 and 345.8 billion won per year. This study provides quantitative information that helps to increase awareness on the financial risks of the water industry from climate change and to explore measures for business adaptation.

      • KCI등재

        기후변화 리스크가 금융산업에 미치는 영향

        최용근 한국지급결제학회 2022 지급결제학회지 Vol.14 No.2

        Risks to existing businesses may arise due to international or governmental policies or regulations, but at the same time, various opportunities arise to respond to climate change, and it is required to take advantage of opportunities while coping with risks. Therefore, opportunities and risks of the global challenge of climate change are reviewed in consideration of trends such as international financial regulations, and countermeasures that banks and governments can take in the future are presented. Banks take on the social responsibility of contributing to the realization of a sustainable and resident society, and in addition to supporting business partners' transition to carbon neutrality and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they also advance climate change risk analysis and risk management of financial assets held by each bank. It is important to do Banks have played a role in supporting the continued growth of business partners in terms of funds by providing so-called timeline benefits by providing credit. In order for banks to contribute to the realization of a sustainable society through climate change response as a responsible source of funds, it is important for banks to support their business partners’ carbon neutral transition and climate change adaptation measures. Specifically, it could consider funding projects related to climate change countermeasures, such as renewable energy, green buildings and waste disposal, as well as innovative environmental technologies. Banks should disclose useful information related to climate change, inform stakeholders and strengthen dialogue. In addition, from the perspective of users of open information, it is important not only to utilize the climate-related disclosures of partner companies to identify potential issues, risks, and opportunities for the company, but also to promote disclosure as necessary. Disclosure of information on climate change based on TCFD proposals is an opportunity for the bank to publicize its response to climate change externally as a contribution to the realization of a sustainable society. It is thought that it will contribute to value increase, so active measures are expected. This improvement in valuation should inspire investors when considering issuing green bonds and the like in the future. The government should continue to develop public-private partnerships so that financial institutions can adopt policies that take into account the actual conditions of financial institutions’ activities and global harmonization policies in order to demonstrate their function to support companies’ responses to climate change. It is expected that international discussions on climate change will intensify and that scientific knowledge and climate change risk management practices in financial institutions will increase. In this situation, in order to promote corporate transition to carbon neutrality and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not only support from financial institutions but also government policies are needed.

      • KCI등재

        기후변화적응과 재난재해 법제의 통합을 위한 소고 ―국제적 논의를 중심으로―

        박시원 ( Siwon Park ) 한국환경법학회 2016 環境法 硏究 Vol.38 No.1

        기후변화의 국제논의는 온실가스 감축과 적응을 균형있게 다루는 방향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비해 우리나라 현행법에서는 적응부분에 대한 논의가 감축에 비해 현저히 부족하다. 우리나라 법제에서 기후변화 적응법제를 강화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 방안이 있다. 첫째, 현행「저탄소 녹생성장 기본법」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전면적인 개정을 통하여 보완하는 방안과 둘째, 동 법을 대체할 새로운 통합적이고 균형있는 기후변화대응 및 적응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는 방법이다. 선택은 현행법의 틀을 적극적으로 바꿀 개정을 위한 동력이 존재하느냐에 결정될 것이다. 만약 현행 녹색성장기본법을 개정할 만한 정치적 동력이 약하다고 한다면, 다른 하나의 방법으로 현행 재해재난 관리법을 정비하는 것도 방법일 수 있다. 재해재난은 적응의 일부분야일 뿐이지만, 생태계와 인간 공동체의 복원력을 강화한다는 점에서 유사한 목적을 공유한다. 재해재난 법제에서 기후변화 적응을 대비하기 위한 미세조정을 한다면 우리나라의 적응역량을 키울 수 있는 실질적인 방법이 될 수 있다. 다양한 재난 관련 개별 법률상의 정의규정을 명확히하고, 다양한 재난법에서 적응노력을 명시하고, 적응과 재난재해 간의 관계를 명확히 규정하는 것도 이러한 미세조정이 될 수 있다. 또한 새롭게 수립할 국가안전관리기본계획에서 기후변화로 인한 위험관리 대응책을 새롭게 강화한다면 이 방향도 재난분야에서의 적응노력 강화를 위한 방법이 될 수 있다. There are various ways to improve climate change adaptation related laws. First is to amend the current "Framework Act on Low Carbon Green Growth", which heavily focuses on mitigation only. Second is to enact a new law which will replace the current law to balance mitigation and adaptation. The decision would depend how much political will is there to enact a new law replaceing the current system. If there is not enough political will to enact a new law under the current political situation, there is an alternative way to improve the adaptation agenda through improving the current disaster management laws. Disaster management is part of adaptation, disaster management shares the same goal with adaptation which is to enhance resilience of ecosystem and human community. To amend disaster management legal system to address climate change adaptation, it is a creative way to improve adaptation capacity. It would include to clarity definitions of disaster in various laws, to address adaptation capacity building in various disaster management laws, and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adaptation and disaster management. In addition, improving risk management for disasters due to climate change impact in the National Basic Plan for Safety Management would be another good way to engage and link climate change adaptation and risk management.

      • KCI등재

        산업계의 기후변화 적응 전략 수립 방향

        이준범,조한나 한국기후변화학회 2022 한국기후변화학회지 Vol.13 No.4

        Losses and damages caused by climate change are occurring in various forms and are gradually increasing. These damages are directly or indirectly affecting the industry sector, which is in need of strategies or plans to adapt to climate change. In this study, existing measures were identified to establish strategies and plan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the industry, and guidelines related to management, environment, and climate change were analyzed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dustry and international trends. Based on this, the steps and contents necessary for an industry adaptation strategy are presented. In the first stage of the preliminary plan, the company analyzes the business status and organization of the company and reviews internal policies such as the role of management and board of directors on climate change and the scope of information disclosure. The second stage is to identify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identify risks and opportunities caused by climate change, and identify the direct and indirect impacts on companies. The third stage is to establish a climate change adaptation strategy upon which to set goals and establish plans. In the fourth stage, an implementation plan is established and implemented, and a monitoring and reporting system for implementation is established.

      • 국가 리스크 관리를 위한 기후변화 적응역량 구축,평가 : 기후환경 리스크 전망과 국가전략(2)

        박창석,송영일,강영은,안윤정,변병설,문태훈,김동환,박지영,김수영,이동성,정수영,조동인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5 사업보고서 Vol.2015 No.-

        지구 온난화의 영향으로 기후변화가 가속화되고 있으며 인간 및 자연 시스템의 취약성이 증가하고 있다. 기후변화 영향에 적응하기 위하여 국제적 대응전략 마련을 위해 리스크평가는 필수적이라고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상대적으로 영향 정도 및 시급성이 높은 관심지역을 도출하여 기후변화에 대한 공간계획적 적응 방안 및 정책 모의를 통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우선, 기후변화 영향을 고려한 공간계획적 분석에서는 폭염, 폭우, 해수면 상승을 중심으로 국토환경 리스크 진단을 위한 국토 전역의 지표를 개발하였다. 분석 지표는 크게 기후위해, 취약성, 노출로 구분해 도출했으며, 선행연구 검토 및 전문가 자문을 통해 선정하였다. 그 후 선정된 지표값을 각각 표준화하고 각 기후 동인별 현재, 중기미래 2030년, 장기미래2050년의 관심지역을 도출하였다. 관심지역(Hot spot)은 기후위해, 취약환경, 노출환경값을 종합하여, 기후위해와 취약환경이 각각 높은 지역을 등급화하여서 관심지역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공간 유형별 분석에서는 국토 전역의 관심지역 분석을 기반으로 영향 정도가 높은 도시및 농촌의 사례지역을 선정하여 지역 유형별 관심지역 및 영향변수를 도출하는 과정을 수행하였다. 선정된 사례지역 분석에서는 국토 분석에 활용된 지표보다 도시와 농촌의 특성을 대표할 수 있는 계획변수 기반으로 선정하였다. 추가적으로 국토환경 관심지역분석 결과와 도시 및 농촌계획변수와의 영향 관계를 파악하여 주요 변수 도출 및 이의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시스템 다이내믹스 기초 설계를 통하여 기후변화의 파급효과에 대한 정책적제언을 제시하였다. 기초 설계를 위해 인과지도를 분석하고 피드백 루프를 확인하여 기후변화의 영향을 파악하고 도시와 농촌의 적응 정책 모델과 정책을 모의하였다. 모델의 변수값은 국토공간 분석 시 활용한 변수를 반영하여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관한 변수, 재난복구비용에 대한 변수 그리고 식량 부족에 대한 변수를 활용했다. 또한 기후변화적응예산시나리오 네 가지(정산예산, 조기예산증액, 예산증액지연, 도시집중예산)을 적용하여 기후변화에 따른 영향을 예측하고 기후변화에 대한 재정관리의 전략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 검토를 통하여 국토 전역 및 국토 유형별 관심지역 지표를 개발하였으며, 노출환경을 인간계와 자연계로 구분함으로써 노출환경의 유형에 따라 달라지는 위험 정도를 파악하였다. 또한 시기별 위험지역 변화 정도와 함께 관심지역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수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특징적인 부분은 기후변화 리스크 관리를 위하여 물리적 영향을 고려한 공간계획적 측면의 전략 방안과 사회·경제적 영향을 고려한 적응 정책적 측면의 시사점을 종합적으로 다루었다는 것이다. 따라서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지역별 적응 전략 및 정책 방향에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되며, 리스크 기반의 국가 전략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Climate change has accelerated due to global warming and the vulnerability of social and ecological systems continues to grow. Amidst the situation, risk assessment has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formulating adaptation plans. Therefore, in this study, hot spot areas that are the most vulnerable to climate change were analyzed. First of all, literature review and expert interviews were carried out to produce the indexes for hotspot analysis by using the GIS at the country level. This study focused on heat wave, heavy rain, and sea level rise among the many types of climate risk. The indexes were categorized into climate hazard, vulnerability and exposure. After selecting the indexes, standardized values and hotspot areas were deducted in present, mid-term future (2030s), and long-term future (2050) by multiplying the hazard and vulnerability value and then overlaying the exposure value. Hotspot areas were defined as high hazard, vulnerability and exposure. Case sites in each urban and rural area were selected in accordance with the results from hotspot analysis at the country level by applying the same methodologies used in the hot spot analysis at the national level. Hotspot analysis indexes which are more specific than the ones applied at the country level were produced by literature reviews and expert interviews as well. Also,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independent variables and hotspot values. Lastly, system dynamics analysis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climate change impact and suggest policy direction. Through the system dynamics analysis, causality and feedback loop were produced to identify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Climate change scenario, recovery cost and scarcity of food were considered in determining the variables of the model. Four different climate change adaptation budget scenarios were tested as normal budget, early adaptation, late adaptation, and urban focused budget system then applied to the model. In this study, we focused on identifying the hot spots by developing and using indexes that consider impacts of heat wave, heavy rain, and sea level rise at national and regional level. In addition, we investigated hot spot shifts in the future and impact of variables. Finally, this study suggested the adaptation plans in accordance with land-use and climate hazard. By taking these steps, policy implications and specific strategy directions were suggested, which can be used in preparing national risk management strategy.

      • KCI등재

        SDGs와 ESG 시대의 위기관리 경영: 리스크관리의 진화와 전망을 중심으로

        김영국 사단법인 한국법이론실무학회 2024 법률실무연구 Vol.12 No.2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중동지역 지정학적 갈등 확산, EU의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시행 본격화 등 글로벌화된 비즈니스 환경에서 발생하는 모든 해외 사건들은 기업들이 지체없이 대응해야 하는 ESG 리스크 사건들이다. 기후변화로 인한 공급망위기, 자연재해, 코로나 사태, 원전사고, 산업재해 등과 같은 대규모 재난 사건이 발생하면 중소기업의 피해로 인하여 중요한 부품을 생산하지 못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반도체·자동차 회사·가전 등의 제조 분야에서의 생산이 중단하게 된다. 이런 상황에서는 한국은 물론 세계는 예상 이상으로 큰 경제적 타격을 입게 된다. 이러한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기업을 둘러싼 다양한 리스크를 전체적으로 조망하고, 모든 경영 리스크에 대해서 그 효율적인 포트폴리오를 구축해, 리스크를 최소한으로 억제하고자 하는 생각을 기업단위 뿐만 아니라, 국가적 규모로 실시하는 전체 리스크관리가 필요하다. 그렇다면, SDGs/ESG 시대의 메가트렌드에 발맞춰 새로운 리스크를 간과하지 않고 적극 대응하고, 불확실성이 높은 시대를 살아남기 위해서는 기업의 리스크관리는 앞으로 어떻게 진화해야 할까? 세 가지 주요 관점이 있다고 생각한다. 첫 번째는 적극적인 비즈니스개발을 위해 ‘적절한 위험 감수’를 위한 사업 포트폴리오 관리이다. 최근 기업지배구조에 대한 논의에서 가장 빈번하게 언급되는 것 중 하나는 ‘적절한 위험 감수’를 통한 기업가치 제고의 필요성이다. 즉, 리스크와 수익을 최적화함으로써 리스크를 줄이거나 회피하는 것뿐만 아니라 과감히 리스크를 감수하고 적절한 수익을 목표로 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비즈니스 포트폴리오 관리’를 위한 시스템과 메커니즘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두 번째 요점은 메가트렌드를 포착하는 ‘새로운 위험’을 식별하고 관리하는 것이다. ‘새로운 위험’은 과거에는 예측할 수 없었던 위험이며, 특히 최근 몇 년 동안 기업이 대처하기 위해 고군분투한 위험이다. 최근 몇 년 동안 SDGs/ESG 관련 리스크가 ‘신흥 리스크’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을 어떻게 파악하고 관리하느냐가 기업이 직면한 시급한 과제가 되었다. 세 번째 포인트는 ‘중요한 운영의 탄력성을 강화’하여 큰 위기가 발생하더라도 사업을 지속하고 사회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새로운 위험’을 사전에 공개하지 않고 식별하는 것은 일정한 한계가 있기 때문에 회사가 혹시라도 위험이 발생할 경우 비즈니스를 계속할 수 있을 만큼 탄력성을 갖추는 것이 최후의 보루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업들이 추진 중인 ‘ESG 리스크관리’의 전반적인 모습을 간략히 검토했다. 이 주제는 향후 몇 년 동안 상당한 진전을 이룰 것이며 기업의 실무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지구촌 전체에서 화두로 등장한 환경/사회/지배구조(Environment/Social/Governance)는 기업을 둘러싼 ESG 요인이 기업가치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이해하는 맥락에서 이해된다. 예를 들어, 지구 온난화 방지를 위한 탈탄소화 요구(E), 공급망 내 인권보호 요구(S), 사외이사의 선임 및 보수 지배구조 강화 요구(G) 등 외부 사건은 개별 기업의 미래 기업가치에 어떤 영향을 미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기업은 어떤 조치를 취하고 있는가? 그것이 논쟁이다. 여기서 기회(+)는 핵심사업을 통해 ESG 이슈를 해결함으로써 비즈니스 성과를 높일 수 있는 것... All overseas events that occur in the globalized business environment, such as the Myanmar military coup last year, human rights issues in the Xinjiang Uyghur Autonomous Region, and the recent Russian invasion of Ukraine, are ESG risk events that Korean companies must respond to without delay. When unpredictable natural disasters such as major earthquakes, nuclear power plant accidents, flood damage, etc. occur,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es suffer a lot of damage and are unable to produce important parts. Eventually, production of semiconductors, automobile companies, home appliances, etc. will come to a halt due to disruption of the supply chain. In this situation, Korea as well as the world will suffer a greater economic blow than expected. In order to respond to these risks, you must consider the various risks surrounding the company as a whole and build an efficient portfolio for all management risks. It is necessary to implement overall risk management not only at the corporate level, but also at the national scale, with the idea of ​​minimizing risks. So, how should corporate risk management evolve in the future in order to keep pace with the megatrends of the SDGs/ESG era, respond to new risks without overlooking them, and survive in an era of high uncertainty? There are three main perspectives. The first is business portfolio management to ‘take appropriate risks’ for active business development. One of the most frequently mentioned things in recent discussions on corporate governance is the need to increase corporate value through ‘appropriate risk taking.’ 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to not only reduce or avoid risks by optimizing risks and profits, but also to boldly take risks and aim for appropriate profits.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systems and mechanisms for ‘business portfolio management.’ The second point is to identify and manage ‘new risks’ that capture megatrends. ‘New risks’ are risks that could not have been predicted in the past, and are risks that companies have struggled to cope with, especially in recent years. In recent years, SDGs/ESG-related risks have accounted for most of the ‘emerging risks’. How to identify and manage these situations has become an urgent task facing companies. The third point is to ‘strengthen the resilience of critical operations’ so that business can continue and contribute to society even if a major crisis occurs. Since there are certain limitations in identifying ‘new risks’ without disclosing them in advance, the last resort is to ensure that the company is resilient enough to continue business in case something happens. In this study, we briefly reviewed the overall ‘ESG risk management’ being promoted by companies. This topic will see significant progress over the next few years and will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corporate practice. Environment/Social/Governance is understood in the context of understanding how ESG factors surrounding a company affect corporate value. For example, external events such as the demand for decarbonization to prevent global warming (E), the demand for human rights protection in the supply chain (S), and the demand for strengthening the governance structure for the appointment and remuneration of outside directors (G) have a negative impact on the future corporate value of individual companies. Does it have an impact, and what steps are companies taking to address it? That's the argument. Here, opportunity (+) means that business performance can be improved by resolving ESG issues through core business. Additionally, risk (-) means that ESG requirements cannot be complied with, thereby hindering the sustainability of the business.

      • KCI등재

        Relationship between Climate Change Risk and Cost of Capital

        Jeong hwan Park,Jung hee Noh People&Global Business Association 2018 Global Business and Finance Review Vol.23 No.2

        In recent years, a global consensus has emerged on the importance of climate change risks. Climate change risk is also known to affect investment decision-making processes, such as those related to the issuance of Green Bonds and the use of ESG investment principles. Given this context, we examine whether there is a relationship between the cost of capital and climate change risk, by focusing on companies under the Target Management Scheme in Korea. Companies with high levels of greenhouse gas emissions or energy use are more likely to be exposed to the uncertainty related to future climate change risks. We measure the climate change risks faced by companies using information on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and energy consumption of companies that were announced in the Korean GHG Information Center from 2011 to 2015. We use the weighted average cost of capital provided by NICE Credit Information Co. Ltd., as a proxy for cost of capital. We find that companies with higher risk of climate change have higher cost of capital. In addition, we show that there is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climate change risks and cost of capital in high climate change risk industries.

      • KCI등재

        A Discourse on the Paradigm Shift of National Risk Management in Risk Society

        Choi, Choongik(최충익) 한국지적정보학회 2015 한국지적정보학회지 Vol.17 No.2

        본 논문은 국가위기관리시스템의 패러다임 전환에 관한 논의를 위험사회와 기후변화 대응의 측면에서 다루고 있다. 본 논문은 두 개의 리서치 아이디어를 가지고 출발한다. 첫째, 왜 현대 사회는 눈부신 기술 발전에도 불구하고 이전보다 더 다양한 위험 요소를 떠안아야 하는 것일까? 왜 기술발전이 위험사회에서의 위험을 제거하지 못하는 것일까? 둘째, 무엇이 국가와 도시로 하여금 자연재해에 더 취약하게 하는 것일까? 도시화를 동반한 경제성장은 자연재해 피해의 저감에 꼭 필요한 것일까? 본 논문은 상기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울리히 벡과 앤서니 기든스가 정의했던 위험사회의 맥락으로 기후변화 대응의 관점에서 국가위기관리시스템의 담론을 발전시키고 있다. This article aims to explore paradigm shift in national risk management in the context of risk society and climate change. The key ideas of this study start with two main research ideas. First, why does the modern society take a wide variety of risk factors in spite of technological advancement? Why cannot the technological progress prevent various hazards in risk society? Second, what makes cities or countries more vulnerable to disaster damages, particularly in developing countries? Is the economic growth with urbanization essential to the reduction of disaster damages? In this research, a great deal of attention is paid to develop the discourses on climate change adaptation and disaster management in terms of risk society, which Ulrich Beck and Anthony Giddens defined.

      • KCI등재

        창경궁의 홍수해 위험 관리 시스템의 개발

        이효상(Hyo Sang Lee),정성혁(Sung Heuk Jung),이호진(Ho Jin Lee)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3 Crisisonomy Vol.9 No.5

        최근 발생하는 이상기후의 영향으로 홍수 및 지진 등과 같은 자연재해의 위험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자연재해로부터 인류 문화의 유산인 건축문화재를 보호하기 위한 위험관리 시스템의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창경궁을 대상으로 위험도 평가 강우 시나리오(재현빈도별 강우 시나리오(100, 200 년 및 500년) 및 극치발생 강우시나리오(1942년,1964년,2001년 및 2010년))를 구축하고, 이를 창경궁을 포함한 도심지 홍수 모형인 SWMM(Storm Water Management Model)모형에 적용하여 홍수 위험도를 평가하였다. 이러한 홍수 위험도를 GIS 지형도 기반의 침수 위험도로 제시하여, 개별 건축문화재의 홍수위험도를 평가한다. 이러한 위험도 평가 결과를 현장 관리자가 활용할 수 있는 재해위험관리 시스템으로 구축한다. 홍수 위험도 평가는 도심지 홍수 모의(SWMM)결과 창경궁 유출구 지점의 관거 통수능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창경궁에 100년, 200년, 500년 빈도의 홍수시나리오를 적용하여 분석한다. 창경궁의 홍수 위험도 평가 결과 창경궁의 일부 지역이 침수 되나, 주요 건축 문화재의 침수 위험성은 낮게 평가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창경궁의 홍수 위험도 평가 결과 및 홍수 위험관리 시스템은 홍수에 대한 체계적인 위험관리 방안과 대책을 제시하였으며, 이의 활용가능성은 높다. 향후 다양한 재해 요인을 검토하여 종합적인 건축문화재 관리시스템을 구축하고자한다. The risk of natural disaster has been increasing due to the effects of climate change and abnormal regional climate, such as flood and earthquake. The need of a risk management system is raised to protect architectural heritages from those risks. In this study, flood risk of Changkyeong palace, Korea, is assessed using SWMM(Strom Water Management Model) with rainfall scenarios(probabilistic rainfall: 100, 200 and 500 return period and observed extreme rainfall of 1942, 1964, 2001 and 2010). The flood risk for architectural heritage is presented as the degree of inundation risk. these results are used to build up a flood risk management for architectural heritage of Changkyung palace. Although the lower part of Changkyung palace are inundated, the major area which the heritages are located, are in low risk of flooding. The flood risk management system, which is based on scenarios analysis in this study, suggests a systematical approach to deal with the risk of the flooding. It will be used as a fundamental management tool for architectural heritag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