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화에 구현된 시공성 읽기 양상과 교육내용 구안

        선주원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15 한국초등국어교육 Vol.57 No.-

        This paper examined Bakhtin’s concept and significance of chronotope, examined an aspect of chronotope represented in the fairy work that divided present chronotope, historical chronotope, fantastic chronotope. This have a basis that ould be examine the chronotope in two aspect of reality and fantasy represented in the fairy work. In the reality aspect, chronotope embodied the ‘now-here’ present chronotope and historical chronotope basesed the historical fact. And in the fantast aspect, chronotope embodied the fantastic chronotope based the fantastic time and space. One way, chronotopes was examined through the reader’s aesthetic reading interpreting chronotopes that did divide ‘reading the character’s chronotope experience’, ‘understanding multiple layer of chronotope that characters experience’, ‘interpreting characters’ chronotope experience relating with reader’s chronotope experience’. And, designs contents of fairy tale teaching focused in the interpreting chronotope of fairy tale work through the reader’s interpreting hierarchy. ① read the work understanding that the fairy tale have the time and space become the background. ② read the work understanding that living-fairy tale, historical-fairy tale, fantastic-fairy tale have the time and space in the different way. ③ read the work understanding that fairy tale have the time and space, multiple characters experiencing. ④ understand that time and space, multiple characters experiencing, mutual connecting, that could be differ character’s personality or action, and the theme through character’s experience about the time and space. ⑤ understand the necessity that relate time and space with his real experience, for the interpreting time and space represented in the fairy tale. ⑥ understand the relation that plan the self growth through the reflection about real world with that interpret self real experience about time and space relating character’s experience about time and space. 이 글에서는 바흐친이 논의한 시공성의 개념과 의의를 살펴보고, 동화 작품에구현된 시공성의 양상을 현재적 시공성, 역사적 시공성, 환상적 시공성 등으로 분류하였다. 이는 동화 작품에 구현된 시공성이 사실성과 환상성의 두 측면에서 논의될 수 있다는 근거에 기반한다. 사실성 측면에서는 ‘지금-여기’의 현재적 시공성과 과거의 역사적 사실을 바탕으로 하는 역사적 시공성으로, 그리고 환상성 측면에서는 환상적 시간과 공간을 바탕으로 하는 환상적 시공성으로 구현된다. 한편 동화 작품에 구현된 시공성들은 그것을 해석하는 독자의 심미적 읽기에따라 ‘작중인물이 경험한 시공성’, ‘작중인물들이 경험하는 시공성의 다층성’, ‘작중인물들이 경험한 시공성과 독자가 경험한 시공성의 상호거래’ 등으로 나누어 논의되었다. 그리고 독자의 해석적 위계화에 따라 동화 작품의 시공성 해석에 초점을둔 동화교육의 내용들은 다음과 같이 구안되었다. ① 동화에는 배경이 되는 시간과 공간이 나타나 있음을 이해하며 작품을 읽는다. ② 생활동화, 역사동화, 환상동화에는 시간과 공간이 각기 다르게 나타나 있음을 이해하며 작품을 읽는다. ③ 동화에는 다양한 인물들이 경험하는 시간과 공간이 나타나 있음을 이해하며작품을 읽는다. ④ 다양한 인물들이 경험하는 시간과 공간은 상호연관 되어 있으며, 시간과공간에 대한 작중인물들의 경험에 따라 인물의 성격이나 행동, 그리고 작품의 주제가 달라질 수 있음을 이해한다. ⑤ 동화 작품에 나타난 시간과 공간을 해석하기 위해서는 시간과 공간에 자신의 실제 경험을 관련지을 필요가 있음을 이해한다. ⑥ 시간과 공간에 대한 자신의 실제 경험을 작중인물들이 경험한 시간과 공간과 관련지어 해석하는 것은 실제의 세계에 대한 성찰을 통해 자아의 성장을 도모하는 것과 관련됨을 이해한다.

      • KCI등재

        최상규 〈그날의 산행〉의 크로노토프

        최순종(Choi Sun-jong) 한국비평문학회 2021 批評文學 Vol.- No.79

        문학 예술적 시공성인 ‘크로노토프’는 생성중인 열린 개념이다. 이유는 문학 용어로 제창한 바흐친 자신의 중의적 표현, 미결정적 문체, 그리고 번역의 문제 때문이다. 크로노토프를 바흐친의 기획과 의도의 범위 내에서 소설 비평적 도구로서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단편적 시공성 분석보다는 바흐친의 전체 소설 이론의 맥락에서 접근해야 한다. 그리고 텍스트 전체를 관장하는 결정적 토대로서 작동하는 작품을 선택해야 적절한 분석의 의미를 획득할 수 있다. 최상규의 <그날의 산행>은 여러 이유들로 잘 알려지지 않은 중편소설이지만, 크로노토프의 기획과 분석에 최적화된 텍스트이다. 이 작품을 관통하는 크로노토프는 2가지인데, ‘절정 수렴의 크로노토프’와 ‘이질 시간의 크로노토프’이다. 젊은 남녀의 하루 산행을 다루는 <그날의 산행>은 이 두 크로노토프에 의해 추동된다. 형태적/형식적으로는 산 정상까지의 여정을 관장하는 ‘절정 수렴의 크로노토프’, 그리고 산 정상에서의 펼치는 축제와 죽음의 장인 ‘이질 시간의 크로노토프’로 양분된다. 하지만 실질적/상징적으로는 두 크로노토프 모두 ‘죽음’이라는 한 최후 목표를 향하고 있다. ‘절정 수렴의 크로노토프’는 산행 여정의 시공간 이동에 따른 소설 내적 요소 혹은 지표들-폭염, 식수, 지면의 상태, 산행의 고통, 인물들의 감정과 의식, 의지 등-의 증감을 미세하고 민감하게 반영해 이야기를 이끌어간다. 시간과 공간의 동시적 상호 작용의 3차원을 미묘한 차이를 표출하며 인물의 행동이 통과한다. 극도의 고생과 의구 끝에 목적지에 도착한 후부터 인물들은 ‘이질 시간의 크로노토프’ 속으로 흡인된다. 종합적-신체적, 지형적, 물질적, 의지적-으로 산 정상에 갇힌 그들은 미증유의 사랑을 절대 순수의 시공 속에서 나누고 해방의 축제를 즐긴다. 2차례의 오수를 거치며 시간대는 물리적/보편적 흐름을 벗어나 45억 년 만에 처음으로 시간 역행의 궤도에 오른다. 중천에서 지속해 작렬하는 태양 아래 남녀는 시간 역행을 인지하고 죽음을 행한다. 이러한 순수하고 절대적인 사랑, 축제, 죽음(의지)는 걸맞는 크로노토프의 토대 없이는 재현될 수 없는 행위들이기에 이질 시간의 크로노토프는 필연적이다. 고위적 죽음은 신을 향한 전복과 해방, 죽음과 공포의 극복을 내포한 카니발적 발현이다. <그날의 산행>의 크로노토프는 작품의 본원적이고 입체적인 얼개로서 밀도와 구체성이 더해지면 특유의 소설적 풍성함이 발현된다. 역으로 크로노토프는 소설기획과 창작의 시작점이다. 크로노토프가 <그날의 산행> 정도의 결정적 역할과 입지를 담지한 작품이 크로노토프 분석의 대상이 될 수 있다. The chronotope is artistic time-space inseverable relation in literary. But, this conception that is applicated by M. M. Bakhtin had not been established yet. To make use this chronotope as a method of narrative analysis, we have to make a study it through literary context of Bakhtin and find a appropriate text. Choi Sang-gyu’s A climbing of the day is appropriate for chronotope application that contain narrative plan and narrative analysis. There are two chronotope in A climbing of the day. ‘Climax-convergence chronotope’ and ‘heterogeneity-time chronotope’ are literary control instrumention system in A climbing of the day. A climbing of the day is story that young man and young women go up a special mountain in a day. The first chronotope manages climbing course to ‘climax’ which is intercourse in mountain top, the second chronotope manages several actions in mountain top. Climax-convergence chronotope leads to total story aspects by moving time-space with subtile change of internal elements and indicators of narrative’s; heatwave, water, state of surface for climbing, suffer of climbing, emotion and consciousness, will of characters. After ultimate hardships and doubt about climbing accompanying climbing, they flow into the second chronotope, heterogeneity-time chronotope. This chronotope provides to them pure-absolute time-space suitable pure love, carnival action and death against God. Heterogeneity-time chronotope is completed with time reverse-sun running against normal track. They is isolated on a scale; physical, material, geographical, intentional. After all, they are determined to accepte natural death. The heterogeneity-time chronotope enable this pure death and carnival paradox. The chronotope of A climbing of the day is a three dimentional outline and design of literary text. It is fulfill with density and concreteness of story. Adversely, chronotope is start-point of narrative planning and creation. A climbing of the day is the most suitable text for chronotope analysis.

      • KCI등재

        크로노토프 이론과 상호공존: 『네 개의 문이 있는 도시』를 중심으로

        강영돈 ( Young Don Kang ) 한국현대영어영문학회 2013 현대영어영문학 Vol.57 No.4

        In literature, temporal and spatial determinations are inseparable from one another. In "Forms of Time and of the Chronotope in the Novel" Bakhtin asserts that chronotopes are the organizing centers for the fundamental narrative events of the novel. And the chronotope makes narrative events concrete, makes them take on flesh, causes blood to flow in their veins(250). There are many chronotopes which are mutually inclusive and co-exist in the novel. These chronotopes` interactions are related to Bakhtin`s dialogism which focuses on relationship with individuals. In The Four-Gated City, there are three chronotopes including London, Coldridge House, and Faris Island. First, London of the Cold War just after the end of World War II is temporal and spatial background. Second, Coldridge House is the center of Martha`s awakening and the development of The Four-Gated City. The chronotope of the Coldridge House is both a point of new departures and a place for events to find their denouement. And the other chronotope in The Four-Gated City is Faris Island, where Martha realizes her ideal city out of a holocaust. London, Coldrigde House, Faris Island, and related chronotopes in The Four-Gated City are interwoven with one another and the main places of action in Martha` life. Based on the idea mentioned above, this paper examines the interrelationship of various chronotopes and focuses on Martha`s responsibility and understanding of others at the Coldridge House and Faris Island in the process of development of The Four-Gated City through Bakhtin`s chronotope theory. (Dongyang University)

      • KCI등재

        거리극 ≪미라클-2010≫의 시·공간 통합적 특징에 관한 연구 - 바흐친의 ‘크로노토프(chronotope)’ 개념을 중심으로

        김종석 ( Kim Jongseok ) 한국연극교육학회 2020 연극교육연구 Vol.37 No.-

        This study focused on Bakhtin's concept of chronotope on how integrated features of the time and space are being implemented in the street festival performance Miracle-2010. Through this, not only did Bakhtin's concept of chronotope simply analyze the time and space of the performing text, but also found that the time and space of the social context in which the performance exists were an important foundation of performance events and actions. The characteristics of the Miracle-2010 performance can be seen as the first, creating an integrated performance space of daily life and fictional life, expanding the performance space, and the second, breaking down the boundaries between the audience and the actors throughout the performance, and the third, expanding the mutual participation of the audience and actors. The study argued that these features develop into social practices in which identity formation and ideology of community members are formed. This allowed us to explain how the actual fictional chronotope was created and used in conjunction with the actual chronotope. In particular, it identifies the timeliness of physical space and makes us aware of the possibility of creating a more extended fictional chronotope. In fact, Bakhtin's concept of chronotope is not limited in the analysis of the performing text. As we saw in the analysis of the actual performance above, the use of the performance can be expanded from the beginning of action through personal experience to the expansion of the carnival concept made by actual social consensus. Through discussions on the composition and utilization of the chronotope appearing in various street performances, future research will identify how the historical and spatial nature of everyday world is specifically reflected and projected into street performance, and in-depth analysis of the integrated features of the time and space. This is because Bakhtin's concept of chronotope can provide a new framework for understanding and analyzing the process of creating street art performances. In addition, street performances that guarantee contemporaries in public space may explain how they communicate with the audience through artistic experiences and realize new practices.

      • KCI등재

        기억의 재현 과정에서 도출된 크로노토프의 매개성: 1980년 광주 시공간을 다룬 영화를 중심으로

        정흠문(Chung, Heum-mun) 한국동북아학회 2020 한국동북아논총 Vol.25 No.3

        본 논문은 역사적 사건인 5·18 민주화 운동의 기억을 영화화할 때 사용된 매개 방식으로서 시공간 설정과 재현의 관계를 바흐친의 크로노토프 개념을 통해 분석하였다. 역사 영화에서 크로노토프의 설정은 과거 기억의 시공간과 영화적 크로노토프의 관계이다. 크로노토프는 구체적인 재현의 중심이자 동시에 영화 전체에 실체를 부여하는 힘으로 나타난다. 영화에서 발견되는 크로노토프는 시공간을 함축한 다의적인 의미로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해석의 방법으로서 ‘명시적 크로노토프’, ‘함축적 크로노토프’, ‘심리적 크로노토프’로 구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크로노토프는 역사적 사건의 기억을 보완하고, 새로운 기억을 이식(implant)할 수 있다. This paper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space-time setting and representation as an intermediary method used in filming the memories of the 5·18 events through Bakhtiine"s concept of chronotope. Chronotope"s setting in historical movies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ime and space of past memories and the cinematic chronotope. Chronotope acts as an important means of objectifying time in space, and appears as a center of concrete representation and a force that gives reality to the whole film. The chronotope found in the film could be extended to a multi-purpose meaning that implies time and space. As a method of this interpretation, it can be divided into "explicit chronotope", "implicit chronotope", and "psychological chronotope". This chronotope can complement of the historical event and implant new memories.

      • KCI등재

        바흐찐과 헤이덕의 크로노토프에 관한 비교연구

        윤숙희,정진원 대한건축학회 2007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23 No.7

        This study is aimed to figure out how to interpret literary concept of time-space, Chronotope into architecture by parallel research on Hejduk's works. A book on his works was published by the editor, Michael Hays, titled as Hejduk's Chronotope. It becomes an opportunity to see and share the concept of Chronotope in architecture. Here focused mainly on Stan Allen's interpretation which is similar to Bakhtin's, several issues were investigated: Otherness-Potential, Intertextuality-Uncertainty, Faciality-Polyphony. With this investigation, chronotope, a time-space matrix for emergent Genre Figure would replace the role of diagram which operates formal language in contemporary architecture. If so, chronotope as a vibrating boundary, a living field, is called on to confront diagram and replace it. As an interdisciplinary medium, genre implies constellation that externalizs and aggregates past and future at the moment of present time, with individuals preserving its own time-space, in contrast to diagram transforming successively in one's operation.

      • KCI등재

        이행기 정의와 크로노토프

        이재승 ( Lee Jaeseung ) 민주주의법학연구회 2017 민주법학 Vol.0 No.64

        과거청산은 과거의 국가폭력에 대한 집단적 양심의 만회이자 공동체가 써내려가는 대하소설이다. 필자는 과거청산 운동과 규범의 내면화과정을 바흐친의 크로노토프로 해명한다. 한 사회가 과거사에 대해 책임을 지게 되는 집단적 의식의 흐름을 크로노토프로 규정하고, 이를 통해서 절대적인 법적 시간과 상대적인 정치적 도덕적시간을 구분한다. 법은 양적이고 절대적인 시간을 따르지만 공동체는 질적이고 상대적인 시간을 살기 때문이다. 중대한 인권침해 앞에서 절대적 시간을 따르는 법은 상대적 시간에 기초한 정치적·역사적·도덕적 책임의 파고에 의해 전복된다. 사회대중이 특정한 과거사에 동시대성을 부여하면 과거사는 현재적 사건으로 전환되고 시정해야 할 부정의로 정치화된다. 과거사가 그러한 동시대성을 얻지 못하는 경우에는 말 그대로 역사적 탐구주제로 정리된다. 1945년 이후 국제인도법 및 국제인권법의 확산과 심화과정이 `뉘른베르크 크로노토프`라면, 90년대 이후 한국사회에서의 과거청산은 `5.18 크로노토프`이다. 과거청산의 크로노토프 안에서는 휴머니티의 법이 기준이 되며, 심각한 인권침해사건들이 이 기준에 의해 인지되고 정립되며 고유한 크로노토프를 작동시킨다. 과거청산의 크로노토프들은 대화적이지만 서로에게 영향을 미치며 경쟁하고 호응한다. 한 사회 안에는 청산과 해방의 크로노토프가 존재한다면, 이에 맞서 억압과 은폐의 크로노토프도 함께 작동한다. 그러나 과거청산의 거대한 크로노토프는 특수성과 보편성의 교차를 통해 작은 과거사들의 응축된 시간을 드러내면서 정의의 동력을 형성한다. 새로이 등장한 정의는 기존의 법들을 중단시키며 법의 한계를 극복하거나 우회한다. The author aims to clarify purging the past process in terms of Bakhtinian Chronotope. Chronotope as the stream of collective consciousness could give the framework of explaining and strengthening state responsibilities for historical injustices. The author defines the vertical-horizontal or synchronic-diachronic spread of transitional justice after the Nuremberg trials as `Nuremberg`s Chronotope` and similar phenomena of Korea as `5.18 Kwangju`s Chronotope`. Under the global regime for the human rights protection, each community build up its own sensus communis juris, The sensus gives meaning to the serious human rights violations experienced in specific chronotopes and awakes adjacent chronotopes. This sharing of horizons occurs densely between communities, and also between individuals both in the same community, and belongs to different communities. International humanitarian law may be accepted, avoided or delayed as a reflection of the individuals` or communities` own maturity. As soon as historical injustices become aware as an issue of contemporaneity under the chronotope of humanity, the relative time of political and moral responsibilities suspends law`s absolute time.

      • KCI등재

        『꽃피는 고래』에 나타난 크로노토프 연구

        정은주(Jung Eun Ju)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7

        본고는『꽃피는 고래』를 통하여 주인공 니은이가 ‘상실’의 문제를 겪고 자아 정체성을 탐색해 나가는 여정을 소설적 형식과 그 구성 범주인 크로노토프를 통해 밝히려고 하였다. 이를 위해 본고는 바흐친의 크로노토프의 개념을 원용하여 작품에 표현된 여러 크로노토프가 주인공의 성장 과정과 자아 탐색, 자아 정체성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살펴보고, 이에 따라 작중인물들이 어떻게 삶의 양상을 펼쳐 나가는지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러한 논의는 첫째, 상실과 울음의 크로노토프, 둘째, 성장과 치유의 크로노토프를 중심으로 작품을 살펴보고, 두 크로노토프간의 상호 작용을 토대로 문학교육적 함의에 대하여 모색하였다. 더불어, 이 작품이 형상화하고 있는 크로노토프들을 통해서 사물화된 사회·문화와의 연관성도 논의하였다. 따라서, 이 작품은 처용포의 장포수 할아버지, 왕고래집 할머니, 영호언니의 목소리가 니은이에게 전달될 뿐만 아니라 그들이 살아가는 삶의 방식을 크로노토프를 통해 보여주고 있다. 특히, 니은이의 상실과 울음의 크로노토프는 자기인식을 할 수 있는 대화적인 공간에 놓이면서 내적인 성장과 치유의 과정을 경험하게 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본고는 학습독자가 여러 크로노토프와 내적인 대화를 통해서 다성성(多聲性)과 순수기억의 힘으로 긍정적인 가치와 정서를 가질 수 있을 것이라는 데 의미를 둔다. This study examines that the main character Ni-eun tried to uncover the journey through the novel form and composition category, chronotope, through the problem of loss and exploring self-identity in the blooming whale. This study uses the concept of Bakhtin’s chronotope and examines that the chronotope expressed in the work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main character’s growth process, self-exploration, and self-identity formation. This study first, focused on the chronotope of loss and crying, and second, the chronotope of growth and healing, and explored the implications of literary education based on the interaction between the two chronotopes.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terialized society and culture was discussed through the chronotopes that this work embodies. It was discussed that this perception acts as another chronotope in an interactive relationship. Through this study is intended to mean that the learner can have positive values and emotions through the power of multiplicity and pure memory through internal dialogue with various chronotopes.

      • KCI등재

        염상섭 『효풍』의 크로노토프 연구 - '응접실', '길', '문턱'의 크로노토프를 중심으로

        조미숙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20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66

        This article aims to analyze local chronotope(M. Bakhtin's) in Hyo-pung by Yeom Sang-seop. Yeom Sang-seop wrote titles related to space-time such as ‘Bofore hurrah’ and ‘tomb’. Yeom Sang-seop, who returned to Korea after ascending to exile, is analyzing the reality of his country through chronotope. The background of Kyungyogak, pub, and dance hall is “The chronotope of the parlor”. Here, discussions about the United States, discussions of “Bbalgangi” that have been rampant since then, and the issue of liquidation of pro-Japanese factions are the subject of discussion. “The chronotope of encounter” appears in the street between Myeong-dong and Hye-ran's home. Here, a picture of a society stained with social images, followed and watched, and violence and disbelief is depicted. “The chronotope of threshold” is a part of the ideological meeting of many at the time. The resignation is between options like left-wing newspapers / right-wing newspapers, and Hyeran / Hwasun. Through this local chronotope, it can be seen that the dominant chronotope of this work is an unsolved field, “the gloomy Seoul in 1940s.” 이 글은 염상섭 『효풍』의 ‘로컬 크로노토프’를 분석하는 연구이다. 염상섭은 ‘만세전’이나 ‘묘지’ 등 시공간과 관련된 제목을 썼었다. 망명길에 올랐다가 귀국한 염상섭은 크로노토프를 통하여 조국의 현실을 분석하고 있다. 경요각, 술집, 댄스홀 등을 배경으로 한, 응접실 크로노토프에서는 미국 관련 담론, 당시부터 만연한 빨갱이 논의, 친일파 청산의 문제를 다뤘다. 명동이나 혜란 직장과 집 사이를 중심으로 한 길에서의 만남 크로노토프에서는 혼란한 사회상, 미행과 감시, 폭력과 불신 등으로 얼룩진 사회가 그려진다. 또한 좌익 신문사/우익 신문사 사이, 혜란/화순 사이에 있는 병직을 통해 문턱의 크로노토프를 잘 표현한다. 이러한 로컬 크로노토프를 통해 이 작품의 도미넌트 크로노토프가 무해결의 장, ‘암울한 1940년대 서울’임을 알 수 있다.

      • 한국근대소설의 ‘길’ 모티프와 크로노토프(chronotope)

        홍순애(Hong, SunAe) 동덕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7 人文科學硏究 Vol.24 No.-

        본 논문에서는 ‘길’의 모티프와 크로노토프chronotope를 중심으로 김승옥의 「서울 1964년 겨울」과 황석영의 「삼포가는 길」을 분석하였다. 문학적인 모티프들이 인간 존재의 기본적 삶의 유형을 증명하고 있다는 점에서 소설에서 ‘길’의 모티프 는 인간과 공간을 결합시키는 관계인 동시에 장소적 표상체계로 기능한다. 또한 문학 속에 예술적으로 표현된 시간과 공간의 본질적 연관성이라 정의되는 크로노토프는 텍스트간의 장르적 변별점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김승옥의 「서 울 1964년 겨울」은 유랑하는 소시민의 장소 상실과 광장공포증agoraphobia으로 재현된다. 장소 없음에 대한 강박은 소설의 서두에서부터 자본의 역학, 즉 ‘돈’에의해 연결될 수밖에 없는 필연성으로 제시된다. 이에 인물들 간의 관계는 ‘돈’을 소비는 동시에 ‘시간’을 소비하는 소모적 관계로만 머물게 된다. 소설은 길의 모티프와 크로노토프를 통해 소통이 전제되어 있지 않은 비인간적 도시를 은유하는 동시에, 죽음이 방치 될 수밖에 없는 비정한 현실을 보여주는 하나의 알레고리를 형성한다. 황석영의 「삼포가는 길」은 귀향, 고향의 유토피아적 공간 지향과 장소애topophilia를 재현한다. 이 소설에서 귀향의 여정은 ‘길’을 통해 제시되고, 고향은 소설에서 인물들이 궁극적으로 도달하고자하는 장소로 설정된다. 또한 소설에 서 인물들은 동일한 경험과 감정의 전이로 인한 동화의 관계를 형성한다. 인간의 이미지는 본질적으로 항상 크로노토프와 관계하며, 문학 속에 재현된 크로노토프는 이 두 소설에서 ‘길’의 모티프를 통해 도시와 농촌, 인관관계의 이질성과 동질 성을 확인하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고 하겠다. This study analyzes the novel Seoul 1964 winter by Kim Seungok and The Road to Sampo by Hwang Sok yong, focusing on the ‘Road’ motif and Chronotope. The motif of ‘Road’ in novels functions both as a system of relationship that combines humans and space and a system of spatial representation, in that literary motifs prove the basic types of life of human existence. Chronotope, which is defined as an essential relation of time and space expressed in literature with an artistic manner, is important in that it presents the differences of the world view of texts and distinctive points of genres. Kim Seungok s Seoul 1964 winter is reproduced with agoraphobia of wandering petit bourgeois. The obsession with placelessness is presented from the beginning of the novel as the inevitability that must be connected by the dynamics of capital, money. Thu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s remains only as a consuming relationship that consumes ‘money’ and consumes ‘time’. The novel is interpreted as an allegory that depicts the unreasonable reality in which death is neglected, at the same time as there is a metaphor of dehumanization that is not presumed to be communicated which is shown through the motif of the road and the Chronotope. Hwang Sok yong s The Road to Sampo reproduces the utopian spatial orientation and topophilia of homecoming and hometown. In this novel, the journey of homecoming is presented through the ‘Road’ and the hometown is set as the place where the characters ultimately want to reach. The characters form a relationship of assimilation resulting from the transfer of the same experiences and emotions. The human image is essentially always related to and the Chronotope reproduced in literature shows the human life based on the homogeneity principle of heterogeneity of city and rural community, and interpersonal relations, through the motif of ‘road’ in the case of these two nove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