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20년 대정친목회의 조선일보 창간과 운영

        장신(Jang Shin) 역사비평사 2010 역사비평 Vol.- No.92

        Chosun Ilbo, Korea’s oldest newspaper, was established March 1, 1920. Chosun Ilbo’s founder was Daejongchinmokhoe(대정친목회), the largest pro-Japanese organization of those days. They managed Chosun Ilbo approximately one year. Chosun Ilbo was placed under two suspensions of publication and confiscated 23 times. In Korea the confiscation and suspension of newspapers were recognized as Japanese oppression in those days. Further, they are connected to resistance to Japanese imperialism. That is to say, this gave rise to the paradox that the largest pro-Japanese organization published the most resistant newspaper to Japanese imperialism. The inapprehensible attention of Chosun Ilbo was originated from its financial problems immediately after its foundation. A small amount of investment was collected contrary to its expectation when it first started. It was difficult to win a contract of advertisement and to collect subscriptions. Although Chosun Ilbo claimed to be neutral in the situation that the passion for independence increased after the 1919 3·1(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it had the inherent limitation that it was published by the pro-Japanese organization. Chosun Ilbo was not ingeniously edited, compared to its rival Donga Ilbo. Above all things, Chosun Ilbo did not know the situation that subscribers thirsted for the passion for independence and for a new trend. Donga Ilbo acceded to its subscribers’ demands sidestepping skillfully the standard of censorship by the police. Chosun Ilbo attempted to resolve the financial crisis and to appeal its subscribers; so, they participated in ‘anti-Japanese’ activities too late. However, Chosun Ilbo lacked in its ability to suggest an agenda or to take the advantageous position for gaining subscribers; it was busy trying to follow Donga Ilbo. So, Chosun Ilbo’s put considerably radical articles compared to Donga Ilbo and was greatly checked by the Japanese Government of General of Chosun. The Japanese Government of General of Chosun tried to pull Chosun Ilbo’s punches on the ground that it was founded by Daejongchinmokhoe. Although Chosun Ilbo’s attempt was a business strategy, the level of its anti-Japanese articles was considerably high. The government general summoned the board of directors of Chosun Ilbo and forced it to give up its rights of management. So, Daejeongsilupchinmokhoe(대정실업친목회), which was in charge of managing Chosun Ilbo in Daejongchinmokhoe, transferred its rights to Moon-Whan Yoo, one of its members. The rights of publication of Chosun Ilbo was transferred to Byeong-Joon Song, a pro-Japanese collaborator, April 1921. Chosun Ilbo, filled with ‘anti-Japanese’ articles which did not fit to its identity, was renovated September 1924; and therefore, it acquired the reality of its resistance to Japan.

      • KCI등재후보

        ‘혁신’의 동요와 굴절

        이혜인(Lee, Hye-In) 역사학연구소 2017 역사연구 Vol.- No.32

        이 글은 1924년 조선일보 ‘혁신’의 방향과 내용을 검토하고, 그 연장선에서 1925년 조선일보 사원해직사건의 성격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혁신’의 흐름과 해직사건이 하나의 흐름 위에서 파악되지 못한다면, 해직사건은 총독부 압박에 따른 굴복이라는 돌출적 사건으로 인식될 소지가 높다. 또한 단일하고 균질하다고 판단하기 어려운 특정 세력이나 분파의 주도권 다툼이라는 시각이 부각될 수 있다는 문제도 있다. 이러한 시각에서 이 글은 먼저 1924년 9월 이후 조선일보의 ‘혁신’을 이끌었던 인물들을 세 그룹으로 파악하였다. 먼저 신석우를 중심으로 한 경영진 그룹과 이상협을 중심으로 한 신문 실무 경력자 그룹, 그리고 사회주의 계열의 기자 및 사원들이다. 이 인적 구성은 그 자체로도 ‘혁신’의 한 단계였다. 이들이 세 축이되어 ‘조선 민중 언론’으로 조선일보를 재규정하고 신문의 면모를 일신할 수 있었다. 민중적 논조를 앞세운 질적 측면의 ‘혁신’을 이루려 한 것이었으며 여기에 사회주의 계열의 역할이 중요했다. 그러나 이 조선일보의 ‘혁신’은 상이한 성격을 지닌 그룹들 간의 잠재적 갈등 상태 및 총독부의 감시와 압박이라는 조건을 필연적으로 불러왔다. 결국 이러한 상황은 1925년 9월 8일자 사설로 인해 정간사태에 처해지고 집필자가 치안유지법으로 기소되면서 ‘혁신’체제 자체의 동요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는 그 해 10월의 사원해직사건 과정에서 문제로 폭발되고 말았다. 이 시기 동안 ‘혁신’을 주도한 그룹들 중 이상협을 비롯한 신문 실무자 그룹은 탈락되었고 사회주의 계열은 축소되었다. 또한 사원 대량해고에 따른 여파로 ‘조선 민중의 언론’이라는 정체성에는 흠결이 가고 말았다. 조선일보 경영진과 화요파 공산그룹은 이면의 합의를 도출하면서 조선일보에 각기 영향력을 유지하였다. 그러나 이미 1924년 말의 조선일보와는 인적 구성 면에서도, 신문의 논조 및 평판 면에서도 현저히 달라질 수밖에 없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간과 해직사건을 거치는 과정을 특정 한 그룹이 조선일보사 주도권을 독점하려 하거나, ‘혁신’의 가치를 포기하려 했다고는 볼 수 없다. 1924년 조선일보가 지향한 ‘혁신’체제는 1년여 간의 동요와 위기를 거쳐 인적 구성측면에서도 질적 가치라는 측면에서도 1925년 말 시점에는 굴절된 채로 유지되고 있었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direction and contents of the ‘innovation’ drive experienced by the Chosun Ilbo in 1924, and at clarifying the nature of the Chosun Ilbo"s mass layoff of its employees in 1925. If the overall flow of "innovation" drive and the layoff event cannot be grasped on a single stream, the event is likely to be perceived simply as an irregularity of succumbing to the pressure of the governor general of the colonial Japanese government. There is also a fear that the viewpoint downplaying the incident simply as a struggle for dominance by certain powers or factions that are difficult to judge as uniform and homogeneous group may be highlighted.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article first identified three groups who led the "innovation" drive of the Chosun Ilbo since September 1924. First of all, there are a group of executives led by Shin Seok Woo, a group of newspaper practitioners led by Lee Sang Hyeop, and finally, reporters and employees of socialist affiliation. This personal composition was itself a step in the "innovation". They became the three axes and redefined the Chosun Ilbo as the "Chosun People"s Press", revamping the aspect of the newspaper from its core. The aim was to achieve "innovation" in terms of qualitative aspects that had a strong public tone, where the socialist faction played an important role. However, the "innovation" of the Chosun Ilbo has inevitably promoted the conditions conducive for potential conflict between groups with different characteristics while inviting the monitoring and pressure of the governor. In the end, this situation was brought to the jurisdiction due to the editorial dated September 8, 1925. The ensuing forced suspension of the newspaper publication and prosecution of the editorial writer unsettled the very foundation of the ‘innovation’ drive. The simmering struggle boiling under the lid soon exploded in the process of removing employees in October of the same year. During this period, among the groups that led "innovation" drive, the group of newspaper practitioners including Lee Sang Hyeop was dropped and the socialist group was reduced in number significantly. In addition, the identity of the paper as "Chosun People’s Press" was damaged in the aftermath of the mass layoff. The Chosun Ilbo executives and the ‘Hoayopa Communist Group’ maintained their influence on the Chosun Ilbo while eliciting the consensus behind the scene. However, compared with the Chosun Ilbo at the end of 1924, it had to be significantly different in terms of manpower composition and newspaper reputation. Nevertheless, it cannot be said that a certain group tried to monopolize the Chosun Ilbo initiative or to abandon the value of "innovation" in the process of going through the forced suspension and mass layoff. The Chosun Ilbo"s innovation system in 1924 remained intact though somewhat refracted at the end of 1925 both in terms of qualitative value and manpower constitution after one year of agitation and crisis.

      • KCI등재

        언론사의 정체성 구축과 선택적 집단기억 만들기: 동아일보 ‘신문박물관 PRESSEUM’과 조선일보 ‘뉴지엄’을 중심으로

        윤성인,정찬미 한국언론정보학회 2023 한국언론정보학보 Vol.122 No.-

        한국의 종합일간지 동아일보와 조선일보는 각각 ‘신문박물관 PRESSEUM’과 ‘뉴지엄(Newseum)’을운영 중이다. 본 연구는 신문박물관 운영주체인 언론사가 역사적 보도 전시를 통해 관람객에게 형성하려는 집단기억이 무엇인지 탐색하는 목적을 가진다. 저널리즘은 해석 공동체로 작동하고, 저널리스트는 과거에 대한 집단의 해석을 형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동아일보와 조선일보는 언론사로서 정당성과 권위를 확보하기 위해 해석 공동체 안에서 과거 보도된 사건을 선택적으로 구성해 집단기억을 형성한다. 이에 본 연구는 채트먼의 서사분석으로 동아일보 ‘신문박물관 PRESSEUM’과 조선일보 ‘조선일보역사기념관’을 통해 언론사가 형성하려는 집단기억과 그 의미가 무엇인지 파악하고, 전시 공간을 활용해 어떻게 집단기억을 만들고 있는지 살폈다. ‘신문박물관 PRESSEUM’은 문화적 매개물로서 신문의역할을 드러내며 진보적 역사관을 바탕으로 저널리즘의 권위를 내재화한다. ‘동아의 역사’ 전시에서는민족의 위기 국면마다 주요 언론 역할을 수행한 점을 근거로 제시하며 ‘민족지’ 집단기억을 부각한다. 하지만 항일의 시각으로 무기정간과 폐간을 해석하며, 일제의 언론기관 역할을 수행한 사실을 잊게 한다. 또한 기자의 언론자유수호 운동을 언론사 실천과 동일시하며, 사주 중심의 조직 가치와 이념적 상업주의가 드러나지 않는다. ‘조선일보역사기념관’은 역사적 사건 보도를 선별해 민족과 언론자유 가치를강조하며 ‘민족 정론지’ 집단기억을 강화한다. 하지만 일제강점기 조선일보 창간과 활동을 둘러싼 맥락을 생략하며, 친일·반민족 보도와 군부독재 지지에 관한 역사적 사실을 배제한다. 이처럼 두 언론사는신문박물관을 통해 ‘민족지’와 ‘민족 정론지’라는 집단기억을 만들며, 한국사회 안에서의 언론 정체성을 정당화한다. 본 연구는 신문박물관을 기억 정치의 공간으로 상정하여, 해석 공동체로서 한국 언론사의 정당성을 만들어가는 과정을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Dong-A Ilbo and Chosun Ilbo, daily newspapers in South Korea, are operating the ‘Newspaper Museum (PRESSEUM)’ and ‘Newseum,’ respective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hat collective memory the media organizations, as operators of these newspaper museums, seek to establish among their visitors through the exhibition of historical reports. Journalism operates as an interpretive community, with journalists playing a key role in shaping a collective interpretation of the past. Dong-A Ilbo and Chosun Ilbo, as media organizations, construct selective collective memory of past reported events within this interpretive community to secure their legitimacy and authority. Using Chatman’s narrative analysis,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collective memory and their meanings that the media companies aim to establish through Dong-A Ilbo’s ‘Newspaper Museum’ and Chosun Ilbo’s ‘Chosun Ilbo History Memorial Hall’ by examining how these collective memories are created using the exhibition space. The ‘Newspaper Museum’ reveals the role of newspapers as cultural intermediaries, internalizing the authority of journalism on the foundation of a progressive historical perspective. In ‘The History of Dong-A,’ the emphasis is placed on the indefinite suspension and forced closure of Dong-A Ilbo due to the Erasure of Japanese National Flag, thereby obscuring its role as a press organ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Furthermore, the journalists’ movement for the protection of press freedom is equated with the actions of the media organization itself, while strategically omitting the patron-centric organizational values and ideological commercialism, thus accentuating the collective memory of the publication as a ‘national paper.’ The ‘Chosun Ilbo History Memorial Hall’ strengthens the collective memory of being a ‘national political paper’ through the selective exhibition of historical events, based on exclusivity embedded in the value of ‘nationhood’ from its inception to the present. However, the names of the first president and publisher of Chosun Ilbo are not disclosed, and the context of its closure and revival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is not specifically detailed. Additionally, historical facts such as pro-Japanese and anti-nationalist reporting and support for military dictatorship are omitted. In this manner, both media organizations, through their newspaper museums, create collective memory labeled as ‘national paper’ and ‘national political paper,’ thereby legitimizing their media identity within Korean society. This study holds significance in considering the newspaper museum as a space for politics of memory, examining the process through which Korean media, as an interpretive community, constructs its legitimacy.

      • KCI등재

        1930년대 이후 한글신문의 구조적 변화와 기자들의 동향 -『동아일보』와 『조선일보』를 중심으로-

        성주현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09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58

        일제는 한국을 강점한 후 언론을 식민통치를 위한 선전수단으로 삼기 위해 총독부 기관지로 『매일신보』만 남겨두고 모든 언론을 폐간시켰다. 그러나 3ㆍ1운동 이후 유화정책의 일환으로 제한된 표현의 자유를 부분적으로 허용하였다. 그렇지만 여기에는 민족감정을 파악하는데 활용하고자 하는 의도도 없지 않았다. 그 결과로 『조선일보』와 『동아일보』가 창간되었고, 이후 1940년 8월 동시에 폐간될 때까지 나름대로 언론기관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였다. 3ㆍ1운동 이후 일제의 언론정책의 흐름은 대체적으로 대륙침략정책과 맥을 같이 하고 있다. 일차적으로 3ㆍ1운동 이후 신문발행을 허가한 이후 1936년 이전까지는 치안유지법의 테두리 안에서, 그리고 1937년 중일전쟁 이후에는 언론통제를 강화하면서 국가총동원법과 군기보호법 등을 통해 동원체제에 편입시켰다. 이 과정에서 『조선일보』와 『동아일보』는 지배체제 협력의 테두리에 편입되었고, 결국 친일의 대열에 참여할 수밖에 없게 되었다. 일제는 1931년 6월 18일 만주를 침략하면서 언론정책도 1920년대보다 강화되고 전시언론 통제체제로 구축되었다. 이에 따라 중일전쟁이 일어나자 신문을 포함한 언론은 비상시국 즉 전시체제에 필요한 홍보 내지 선전도구로 동원되었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에서 민족지를 대변해왔던 『조선일보』와 『동아일보』는 식민정책을 비판하기보다는 이를 홍보 선전하는 수단으로 전락하였던 것이다. 심지어는 총독부 기관지 『매일신보』와 논조에서 차이가 없을 정도였던 것이다. 이와 같은 『조선일보』와 『동아일보』의 논조에도 불구하고 일제는 ‘언론통제안’을 계획하고 이를 실제 적용함에 따라 양 신문은 폐간되었던 것이다. 그동안 양 신문의 폐간에 대해 ‘자진’ 또는 ‘강제’이라는 이분법으로 이를 적용하고자 하였으나 분명한 것은 양신문의 폐간은 일제의 언론통제안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그 영향을 받았다는 점이다. 그리고 『조선일보』와 『동아일보』의 폐간 이후 임원을 포함한 주요 언론인의 경우 지배체제에 적지 않게 협력하였다. 그밖에 양 신문의 폐간 이후 적지 않은 기자들이 총독부 기관지 『매일신보』로 전직하였다. 다만 이들의 전직이 나름대로 생활고라는 사정이 없지 않겠지만 아쉬운 부분이 남기고 있다. Japan ceased to publish all newspapers except only 『Maeil Shinbo』 as a journal of the Japanese government to use the newspaper as the method of making a pitch for a colonial rule after colonizing Korea. However, after 3.1 independence movement, Japan partially allowed freedom of speech limited as part of appeasement policy. There was no intention to use it for identifying feelings of the nation. As the result, 『DongA Ilbo』 and 『Chosun Ilbo』 were launched and they executed its role as mass media until they were discontinued in August 1940. After 3ㆍ1 independence movement, the press policy of Japan was generally similar to the expansive continental policy. After 3ㆍ1 independence movement, Japan permitted the publication of newspaper and then controlled the press under the Maintenance of the Public Order Act until 1936. Also, after the Sino-Japanese War in 1937, Japan strengthened the press control and put it into the mobilization system through the national mobilization law and the military discipline protection law. In this process, 『DongA Ilbo』 and 『Chosun Ilbo』 were moved into the cooperation of control system, and could not help getting involved in Japanophilism. When Japan invaded Manchuria on June 18, 1931, the press policy was strengthened more than 1920s and it was implemented as the press control system of wartime. Accordingly, when Sino-Japanese War occurred, the press including the newspaper was used as the method of giving publicity required for the system of wartime. In such situations, 『DongA Ilbo』 and 『Chosun Ilbo』 which spoke for the nation did not criticize the Japanese colonial policy, but promoted and propagated it. Also, the contents of 『DongA Ilbo』 and 『Chosun Ilbo』 were equal to the tone of 『Maeil Shinbo』. In spite of such the tone of 『DongA Ilbo』 and 『Chosun Ilbo』, Japan planned ‘the press control policy’ and actually applied it. So, both newspapers ceased publication. All the while, experts tried to apply a dichotomy between ‘volunteering’ and ‘forced’ for the discontinuance of both newspaper, but the clear thing is that the discontinuance of both newspaper were closely related to the press control policy of Japan. After ceasing the publication of 『DongA Ilbo』 and 『Chosun Ilbo』, major journalists including executives of newspaper largely cooperated in the control system. In addition, many journalists were transferred to 『Maeil Shinbo』 as a journal of the Japanese government. Their change of employment deemed to be related to the rigor of life, but it was shameful.

      • KCI등재

        《조선일보》와 《소년조선일보》 속 현덕의 작품을 통해서 본 식민지 헤테로토피아

        한승우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21 리터러시 연구 Vol.12 No.2

        While the Chosun Ilbo was a medium reflecting the colonial order as it was an adult world, the Boy Chosun Ilbo, which has the identity of a newspaper only for children, was a special space where people could enjoy a little freedom by being separated from the dominant order of the colony. In children’s newspapers, it was recognized as a modern sprout with a decent name of “child”, freed from the confines of being an inferior child produced in a colony. As such, “The Boys Chosun Ilbo” had the same function as “heterotopia”, a utopia that became a reality as well as a space of departure and escape. During the same period, Hyun-deok published novels and fairy tales in the Chosun Ilbo and The Boy Chosun Ilbo, repeatedly proposing a child protagonist named ‘Noma’. It should be noted that if the novel in The Chosun Ilbo depicts a Noma living in a ‘world of adults’ full of cold reality and absurdity, the fairy tale of the Boy Chosun Ilbo is a ‘children’s world’ with peace and coexistence. It means that he is drawing the inner normal. In the solid reality of the colonial rule, Noma is confronted and frustrated, but Noma, who is staying in heterotopia, grows safely and healthy. The space that reflected the wishes of colonial intellectuals who wished to grow in the right direction in a special space subtly hidden in reality was the Boy Chosun Ilbo, and it seems that the works of Hyeon-deok were the most visible. 《조선일보》가 어른들의 세상이면서 식민지 질서를 그대로 반영하는 매체였다면, ‘어린이만을 위한 신문’이라는 정체성을 지닌 《소년조선일보》는 식민지의 지배 질서로부터 분리되어 조그마한 자유를 누릴 수 있는 특별한 공간이었다.어린이 신문에서만큼은 피식민지에서 생산된 열등한 아동이라는 굴레에서 벗어나,‘어린이’라는 어엿한 이름의 근대적 맹아로 인정받을 수 있었다.이처럼,《소년조선일보》는 일탈과 탈출의 공간이면서 현실화된 유토피아인 ‘헤테로토피아’와 같은 기능을 지니고 있었다. 현덕은 비슷한 시기에 《조선일보》와 《소년조선일보》에 소설과 동화를 발표하면서, ‘노마’라는 이름을 가진 어린이 주인공을 반복해서 내세웠다.주목해야 할 점은 《조선일보》 속 소설이 냉철한 현실과 부조리함이 팽배한 ‘어른들의 세계’를 살아가는 노마를 그리고 있다면,《소년조선일보》의 동화에서는 평화와 공존이 있는 ‘어린이들의 세상’ 속 노마를 그리고 있다는 것이다.식민지 지배 체제가 견고한 현실 속에서 노마는부딪히고 좌절하지만,헤테로토피아에 머물고 있는 노마는 안전하고 건강하게 성장한다. 현실 안에 교묘하게 숨겨 둔 특별한 공간 안에서 바른 방향으로 성장하기를 바라는식민지 지식인들의 바람이 반영된 공간이 《소년조선일보》였으며,이를 가장 극명하게 보여준 것이 현덕의 작품들이었다고 본다.

      • KCI등재

        『조선일보』에 나타난 1920년대 식민지 조선의 역사지식장 -데이터베이스 분석을 중심으로-

        김헌주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22 동방학지 Vol.198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ad the flow of historical knowledge filed in the 1920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database of historical articles in 『Chosun Ilbo』 in the 1920s (1920~1929). Specifically, a quantitative review was carried out on historical articles in the 1920s in the 『Chosun Ilbo』 and discourse articles and straight articles were analyzed. Articles in detailed fields such as person/author/reference/reference author/organization were also categorized and reviewed. In addition, by analyzing the articles by time series and by author, the characteristics of historical recognition in the 『Chosun Ilbo』 in the 1920s were detected. As a result of analysis of the historical knowledge field of colonial Chosun through the 『Chosun Ilbo』 in this way, it was found that they were most interested in the history of Chosun Dynasty, which was the former dynasty of colonial Chosun and was directly connected with Koreans in the 20th century. The same was also proven by the fact that there were more figures and references related to Chosun Dynasty stated in the journal than those of other eras. The figures who led the historical knowledge field in the 1920s, centering on the Chosun Ilbo, were Moon Il-pyeong, Lee Seon-geun, Ahn Jae-hong, and Choi Nam-sun. During this period, the historical knowledge field was developed by various figures competing with each other. Keywords: 『Chosun Ilbo』, database, historical knowledge field, Chosun Dynasty, Moon Il-pyeong, Lee Seon-geun, Ahn Jae-hong, Choi Nam-sun 본 연구는 1920년대(1920~1929) 『조선일보』의 역사 관련 기사 데이터베이스 분석을 통해 1920년대 역사지식장의 흐름을 읽어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1920년대 『조선일보』 역사 관련 기사에 대한 정량적 검토를 실시하였으며, 담론 기사와 스트레이트 기사에 대한 분석도 실시하였다. 그리고 인물·저자·레퍼런스·레퍼런스 저자·기관 등 세부 분야의 기사 등도 유형화하여 검토하였다. 마지막으로 기사에 대한 시계열별·저자별 분석을 진행을 통해 1920년대 『조선일보』의 역사인식의 특징을 검출하였다. 이런 방식으로 『조선일보』를 통해 식민지 조선의 역사지식장을 분석한 결과, 시대별로는 식민지 조선의 전대왕조이자 20세기 한국인들과 직접적으로 연결된 전사(前史)였던 조선시대 역사에 관한 관심이 비교적 높았다. 그것은 조선시대 관련한 인물들과 레퍼런스가 많이 등장하는 것으로도 증명된다. 아울러 『조선일보』를 중심으로 1920년대 역사지식장을 주도하던 인물들은 문일평, 이선근, 안재홍, 최남선 등이었다. 이 시기 역사지식장은 다양한 인물들이 경합하는 방식으로 전개되고 있었던 것이다.

      • KCI등재

        일제하 한글신문의 만주지역 항일무장투쟁에 관한 보도 경향일제하 한글신문의 만주지역 항일무장투쟁에 관한 보도 경향

        황민호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09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5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is tendency of Anti-Japan Armed Struggle of Manchuria in domestic press after 1920’s. So to compare tendencies of Korean Newspapers, I have done a comparative analysis in articles which was reported on the same case in the same day of 『Dong-a Ilbo』, 『Chosun Ilbo』and the Chongdokbu organ, 『Maeilsinbo』. I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for the tendencies of Korean Newspapers on activity of Anti-Japan Armed Struggle in the early 1920’s, 『Chosun Ilbo』 has more passive than 『Dong-a Ilbo』, 『Maeilsinbo』. On the other hand, We can´t completely rule out the possibility that 『Chosun Ilbo』which relatively have been amicable attitude on Japanophilism seemed to rather take up a positive attitude. Sencond, as far as activity of Independence Fighter in Manchuria after 1920’s is concerned, mainly, I compare report on Byen Lackyun affair with Seo WonJoon and Yang SeBong affair. 『Dong-a Ilbo』, 『Chosun Ilbo』seemed to report with anti-Japan struggle actively more than 『Maeilsinbo』. As for 『Chosun Ilbo』, it has been changed the report tendency toward more actively from 1934. Otherwise, in many case, they echoed the article of Chongdokbu so that the newspaper article was duplicated a lot. Third, by the later 1930, mainly they has reported the Anti-Japan Armed Struggle of the communist camp. For the reports of 『Chosun Ilbo』 are similar with 『Maeilsinbo』, the thence of Anti-Japan seemed greatly decreased. As for activity of Lee HongKwang or an opinion which Kim IlSung was fallen in battle, the reports with activity of Anti-Japan more less than in the past. 본 연구는 1920년대 이후 국내 언론에 나타난 만주지역의 항일무장투쟁에 대한 보도경향에 대해 분석한 것이다. 연구 방법은 주로 같은 사건에 대해 같은 날짜에 보도한 『동아일보』와 『조선일보』 및 총독부의 기관지였던 『매일신보』의 내용을 비교 분석해 봄으로서 그 보도 경향의 일면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 특징을 정리해 보면 첫째, 1920년대 초의 조선일보의 만주지역 독립군의 항일무장투쟁 활동에 대한 보도 경향은 동아일보나 메일신보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극적인 면이 있는데 이는데 이는 당시 조선일보 내부의 적극적인 노력이었을 가능성이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다른 측면에서 보면 동아일보에 비해 상대적으로 친일적이라는 이미지를 갖고 있었을 것으로 보이는 조선일보가 항일적 사건에 대한 보도에 있어서 오히려 적극적인 태도를 나타냈을 가능성도 있다고 하겠다. 둘째, 1930년대 이후 재만 독립군의 활동과 관련해서는 주로 변락규 사건과 서원준 사건 및 양세봉의 죽음과 관련된 보도의 내용을 비교해 보았는데 동아일보와 조선일보는 매일신보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극적인 항일투쟁적인 기사를 게재하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다만 조선일보의 경우 1934년 이후 일면 다른 보도경향을 나타내는 경우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한편 항일무장투쟁과 관련된 상당수의 내용이 총독부 당국의 발표를 그대로 전달하는 경우도 많아서 각 신문들의 기사 내용이 중복되기도 했던 것으로 파악된다. 또한 1930년대 후반에 들어서는 공산진영의 항일무장투쟁과 관련된 보도가 다수를 차지하고 있었는데 이들에 대한 보도에 있어서는 『조선일보』의 보도 건수가 『동아일보』와 비교해 보았을 때 지나치게 소략하게 나타나고 있다. 또한 이홍광의 활동이나 김일성의 전사설과 관련해서는 그 보도 내용이 『매일신보』와 유사한 측면이 있는 등 전체적으로 과거에 보여주었던 항일적인 측면은 크게 약화되었던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 KCI등재

        식민지 시기 『조선일보』의 신춘문예 연구

        손동호(Son, Dong-Ho) 우리문학회 2020 우리文學硏究 Vol.0 No.67

        『조선일보』는 창간 초기 경영상의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독자투고와 현상문예를 꾸준히 시도함으로써 신춘문예 시행을 위한 기반을 다져나갔다. 그 결과 『조선일보』는 1928년부터 1940년 폐간에 이르기까지 한 해도 거르지 않고 신춘문예를 시행할 수 있었다. 조선일보사는 신춘문예를 시행하며 다른 매체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새로운 시도를 하기도 하였으며, 끊임 없이 제도를 보완하고 발전시켜 나아갔다. 『조선일보』 신춘문예가 거둔 가장 큰 성과는 김유정의 〈소낙비〉, 김정한의 〈사하촌〉, 박영준의 〈모범경작생〉, 현덕의 〈남생이〉 등 우리 문학사에서 주목할 만한 작가와 작품을 배출한 것이다. 이러한 성과를 거둘 수 있었던 것은 『조선일보』가 채택한 세 가지 전략 덕분이었다. 첫째, 경쟁 매체에 비해 상금을 인상하여 경쟁력을 확보하고자 노력하였다. 신춘문예 후발주자인 『조선일보』는 큰 액수의 상금을 지급하고 추가적으로 인상함으로써 독자들의 투고열을 자극하고 신춘문예 응모를 유도하였다. 둘째, 신춘문예 당선자에게 별도의 발표지면을 제공하여 창작활동을 지원하였다. 자사의 지면뿐만 아니라 자매지인 『조광』까지 활용하여 신인들에게 발표지면을 제공했기 때문에 본격적인 창작에 뜻을 둔 신인들을 유인할 수 었었다. 셋째, 고선 방침을 강화하여 우수한 작가와 작품을 선발하였다. 이전까지의 일등 나열주의에서 벗어나 높은 수준의 당선 기준을 요구했기 때문에 우리 문학사에서 주목할 만한 작가와 작품을 발굴할 수 있었다. 본 논문은 『조선일보』가 시행한 신춘문예의 전개 과정을 통시적으로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제도의 기원을 탐색하는 작업만큼 제도의 변화 양상을 추적하는 작업 또한 중요하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무엇보다 『조선일보』가 다른 매체와 경쟁하며 지속적으로 제도 개선을 진행해 왔음을 증명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또한 본 논문은 『조선일보』 신춘문예의 성과를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이러한 성과를 거둘 수 있었던 원인을 최초로 분석해 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Chosun Ilbo, a leading Korean daily newspaper, laid the foundation for the Spring Literary Contest by continuously inviting reader contributions and literary contests despite management difficulties during the nascent stages of its establishment. The Chosun Ilbo unfailingly conducted the Spring Literary Contest from 1928 to 1940 and as a media outlet, it made unprecedented efforts to ensure that. the system was constantly improved and developed. The achievements of the Chosun Ilbo’s Spring Literary Contest include remarkable Korean literary works such as Kim Yu-jeong’s “Sudden Shower,” Kim Jeong-han’s “Saha Village,” Park Yeong-jun’s “Model Cultivator,” and Hyeon Deok’s “Namsaengyi,” among others. These achievements can be attributed to three strategies that the Chosun Ilbo adopted. First, it increased the contest’s prize money to secure its competitiveness. Being a latecomer to the Spring Literary Contest, the Chosun Ilbo paid and raised a large amount of prize money to encourage its readers to enter the contest. Second, it provided presentation pages to the winners of the contest to support their creative activities. The company used not only its own pages, but also those of its sister magazine, “Chokwang,” to provide presentation pages for rookie writers, As a result, it was possible for them to attract rookie writers who were in pursuit of authentic creation. Third, the manuscript selection policy was strengthened to select excellent writers and works. Since a high standard was demanded for selection, which differed from the previous ranking-oriented policy, notable writers were able to break through by applying to the contest. This study diachronically examined the development of the Chosun Ilbo’s Spring Literary Contest. Through this examination, it was confirmed that tracking the changes in the system is as important as exploring the origin of the system. Above all,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demonstrates that the Chosun Ilbo continuously improved its system while competing with other media. In addit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it is the first to specifically analyze the performance of the Chosun Ilbo’s Spring Literary Contest and explore the causal factors for its various accomplishments.

      • 일제하 민족언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 문화정치 시기의 『조선일보』ㆍ『동아일보』

        안종묵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커뮤니케이션연구소 2006 東西言路 Vol.20 No.-

        본 연구에서는 3ㆍ1운동 이후에 이른바 문화정치의 일환으로 창간된 『조 선일보』와 『동아일보』가 당시 시대적 상황에서 우리 민족에게 절박한 민족 문제를 과연 어떻게 다루고 있는가에 관심을 갖고 연구를 시작하였다. 문화 정치 시기 『조선일보』와 『동아일보』에 대한 재평가를 기존의 ‘민족지’라는 관념의 틀을 넘어서, 역사성과 당시 사회적 상황을 통하여 재조명하였다. 일제는 민족지의 발행을 허가한 것은 한국 민중들에게 환심을 사고 또한 무단정치 시기 한국 민중들에게 대단한 영향력을 가진 지하신문들을 제도권 안으로 끌어들여 한국 민중의 사상을 통제 파악하고 여론를 조작하려는 의도 로 볼 수 있다. 일제의 식민지 통치하에서 한국 민중의 최대 목표는 민족의 해방과 독립이었으나, 『조선일보』와 『동아일보』의 논조는 일제의 문화정치라는 한국민의 회유정책에 따라서 한국 민중을 비투쟁적이고 타협적인 민족 운동의 방향으로 이끌어 나갔다. 우리 민족지의 발행이 일제의 문화정치의 일환으로 허가되었으므로 『조선일보』와 『동아일보』, 두 민족지가 진정으 로 한국 민중의 독립을 위하여 항일논조를 전개하는데 있어서 한계가 있었던 것이다. 『조선일보』와 『동아일보』는 일제의 문화정치에 이용되었던 측면 이 있었는데, 그것은 당시 민족언론이 한국 민중을 위해 존재했었다기 보다는 식민지 정책을 효율적으로 홍보하려는 일제의 고등 술책에 이용되었던 측면이 있었음을 말한다. 이러한 점은 『조선일보』와 『동아일보』가 일제하 민족 언론의 명백을 이었음에도 불구하고 그 활동에 있어서 비판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부분이다. We need to examine the critical approach about on national newspapers in the time of Japanese Imperialism, in particular, Chosun IlboㆍDong-A Ilbo on the epoch of Munhwa Policy. It is helpful to do this to gain an understanding of the press comments of Chosun IlboㆍDong-A Ilbo regarding to national problems. We try to examine about a paradigm of 'national newspapers' through the social circumstances in the time of Japanese Imperialism. Japanese Imperialism permitted to 3 Korean newspapers as national newspapers in order to ingratiate herself with Korean people and to control national spirits through underground newspapers. Almost of Korean people want to obtain national independent at that time, however, Chosun IlboㆍDong-A Ilbo as national newspapers support Japanese Munhwa policy. Because Chosun IlboㆍDong-A Ilbo were permitted by Japanese imperialism as a part of Munhwa policy, they had the limitation of its press comments regarding to national independent. In fact, Japanese Imperialism took advantage of Chosun IlboㆍDong-A Ilbo for Munhwa policy. In addition, the newspapers had something like that in PR for Japanese Imperialism. So, we can examine that the newspapers exploited Korean people under the guise of national newspapers.

      • KCI등재

        『조선중앙일보』의 식민지 현실인식과 세계정세인식

        한종민 부경역사연구소 2017 지역과 역사 Vol.- No.41

        일제 말기 식민지 조선의 민간 언론은 식민지적 제약 아래서 제한적 형태로라도 사유를 드러낼 수 있는 공론장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전시체제의 선전도구로서 예속화되어 갔으며, 총력전 체제 단계에서는 정책적 결정으로 소멸되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일제 말기 언론에 대한 일반적 시각들은 『동아일보』와 『조선일보』로 대표되는 민간지 경영자들이 보여준 친일적 성격을 1930년대 언론 전체에 그대로 투영하는 경향이 강했다. 그 같은 일반적 인식 아래 그 외의 언론은 물론이고 각 매체의 지면상에 표현되었던 지식인들의 현실인식과 사상적 측면은 그간 제대로 조명되지 못했다. 최근 이러한 측면에 대한 조명이 이루어졌으나 부족한 감이 있으며, 이를 보완하는 측면에서 『조선중앙일보』를 살펴보는 것은 나름의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상적 측면에서 『조선중앙일보』의 구성원들과 그 사설을 살펴보고 당시 『조선중앙일보』를 표현공간으로 삼았던 사회주의 성향 지식인들이 가지고 있던 식민지 현실인식과 세계정세 분석의 여러 단면들을 조명해보고자 한다. 소규모의 통일전선적 조직형태로 출발했던 『조선중앙일보』는 경영진의 변화와 함께 다수의 사회주의자들이 입사하면서 계급적 성격이 강화되었다. 이때 사설과 논설은 그들의 입장을 드러내는 하나의 창구이자 대중각성의 수단으로 활용되었다. 특히 1935년 이후의 『조선중앙일보』는 그 구성원의 측면에서나 사설에 드러난 현실인식에서나 모두 『동아일보』나 『조선일보』의 그것에 비해 사회주의적 색채가 짙었다. 이때 사설에 드러나는 현실인식은 대체로 1930년대 초반의 사회주의자들이 가졌던 현실인식의 연장선에 있는 것이었는데, 현실적 제약에 의해 혁명론과 계급투쟁론까지 온전하게 표현할 수는 없었다. 대신 유물론적 관점에서 자본주의적 체제 극복의 당위성과 계급적인 인식의 필요성이 강조되었다. 이는 식민지 조선 내부의 문제로는 농촌문제의 반봉건성 문제, 자본주의적 사회제도 비판, 지식인계급론 비판 등의 형태로 표현되었고, 세계정세인식에 있어서는 자본주의의 일반적 위기론, 세계대전 필연론, 반파시즘론의 형태로 표현되었다. This study focuses on how the editorials of The Chosun Choong-Ang Ilbo, issued in the middle of 1930s, recognized the reality of colonized Korean society and the world situation. Focusing specifically on the editorials after 1935, the main emphasis of the thesis is on a certain aspect and ideological transition of socialist intellectuals who were rather active in the public space than radical or revolutionary communist. The Chosun Choong-Ang Ilbo, issued from 1933 to 1936, was one of the major printed media of colonized Korea alongside with the others such as The Dong-A Ilbo(Oriental Daily News) and The Chosun Ilbo(The Korea Daily News). The Chosun Choong-Ang Ilbo was known for its prominent socialist orientation in comparison to two other major media and such inclination had become even more explicit after 1935. The socialist intellectuals who took part in this journal criticized the contradiction of social reality from a materialistic outlook, if not as active in revolutionary movement. Their criticism includes resistance to Japanese imperialism. The Chosun Choong-Ang Ilbo accused the idea of semi-feudalism caused by distorted colonial capitalism as a fundamental cause of rural problems of colonized Korea on one hand; and the capitalism per se or system of privateigentum as a primary factor of contradiction in colonized Korean society in general on the other. It analyzed the overall world situ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Allgemeine Krise” of capitalism, in which the inherent contradiction of capitalistic system is persistently growing acute. Furthermore, it predicted yet another world war in a process of continuing crisis and condemned the fascist forces as a facilitator of soaring war risk, in which at the same time connotes a favorable intention toward the communist regime of Soviet and China. In conclusion, The Chosun Choong-Ang Ilbo’s awareness to the reality has a certain resemblance to that of socialist intellectuals of early 1930s, in terms of sense of resistance toward Japanese imperialism and logic of overcoming the system. Their movement, however, cannot be put in a revolutionary or class strife oriented ways due to a severe ideology suppression policy of Japanese imperialistic fascism. When engaged with the discourse regarding world situation, their resistant attitude toward Japanese imperialism had replaced with the criticism toward the capitalism and imperialism. Japanese imperialistic fascism was enhanced during 1930s, and in the process colonized Koreans showed divergent reaction. They had to select either to resist or to accommodate and its course and logic also varied. This study cast light upon the process of transformation of thought in colonized Korea, reinforcing at the sametime the deficiency of its studies as a who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