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최척전>에 나타난 이합(離合)의 다중구조 양상과 그 의미

        김청아 ( Cheong Ah Kim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2 인문학연구 Vol.39 No.1

        <최척전(崔陟傳)>은 명종 말년에 태어나 선조·광해군·인조 대에 정치 활동을 했던 조위한(趙緯韓;1567~1649)이 1621년에 창작한 작품이다. 조위한은 현곡(玄谷), 또는 소옹(素翁)이란 호로 불렸으며 당쟁과 잦은 전란으로 인해 치열한 삶을 살았다. 이러한 질곡의 삶은 작품에 고스란히 응집되어 표현되었다. 조위한은 임진왜란을 직접 경험하였다. 그는 전란 중에 어머니와 아내, 어린 딸을 잃었다. 심지어 신혼 생활 중이던 동생의 처까지 순절하는 것을 보았다. 이산의 체험뿐 아니라 의병이 되어 왜적을 물리치는 일에도 참여하고, 또 명나라 군사들과도 교우하며 전장에서 몸으로 고통과 맞섰다. 약탈로 인한 빈곤과 기아, 포로와 이산, 여성 문제 등은 비단 현곡만이 아닌 조선의 모든 백성에게 상처로 남았다. 현실의 상처는 <최척전>에 그대로 표현되었다. 최척과 가족은 전쟁의 화를 피하기 위해 장소를 불문하고 피난생활을 하며 만남과 이별을 반복한다. 이들은 조선과 중국, 해상 등을 오가며 가족, 조선인, 타국인에 이르기까지 많은 사람들을 만난다. 이러한 만남의 양상은 사건의 도화선이 되기도 하고, 위기를 해결하는 실마리가 되기도 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조위한이 전란 경험을 바탕으로 창작한 <최척전>에 나타나는 이합(離合)에 주목하여 논의하였다. 먼저 2장에서는 조위한의 생애를 통해 그의 삶에 나타나는 사별(死別)과 별리(別離)의 정서를 살폈다. 3장에서는 작품의 다중구조를 통해 중첩된 이합(離合)의 양상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작가의식을 읽어보았다. 4장에서는 <최척전>에 나타나는 이합의 문학사적 의미를 확인하였다. 작품의 이해를 높이고 그 안에 담겨 있는 작자의 의식을 읽어 내기 위해 본 논문에서 시도한 이합의 의미를 살피는 작업은 적절한 시도였다고 생각한다. 또한 조위한의 <최척전>은 임진왜란을 배경으로 주인공인 최척과 옥영의 만남과 이별, 전쟁으로 인한 가족의 이산, 민중의 고단한 삶의 여정 등을 복합적으로 그려낸 작품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Multiple-structured pattern and the meaning of meeting and separation described in Choicheok-jeon Kim, Cheong-Ah Choicheok-jeon is written by Wui-han, Jo(1567~1649) in 1621 who was born in latter years of Myeonjong`s ruling and had engaged in politic activities through Seonjo, Gwangheagun, and Injo`s ruling. His pen name was Hyeon-gok or So-ong. He had lived fiercely going through party strife and wars whose harsh experience is reflected in his book condensedly. Wui-han, Jo experienced Imjin War in which he lost his mother, wife and young daughter. Even, he had to watch his sister-in-law dying for her chastity. In addition to losing his family, he joined the volunteered civilian army and fought against Japanese enemies in battle fields together with allied troops of dynasty Meng. Poverty, famine, POW, separated families, and women`s issues from being looted at war are left as pain in all Chosun people`s mind. The pain in real life is reflected in Choicheok-jeon. Choicheok and his family were separated and back together repeatedly fleeing from the war. They encountered their family members, Chosun people, and people from the other countries while wandering everywhere from Chosun to China. Those kinds of meeting sometimes became triggers of special events or clues of resolution for them. Therefore, this thesis is mainly focusing on meeting and separation described in Choicheok-jeon written by Wui-han, Jo based on his experience of the war. First of all, In chapter 2, the sentiment of separation by death and parting in his life are spotlighted. Also, the pattern of overlapped meeting and separation is analyzed through the multiple structures in chapter 3. Furthermore, it enablesus to read the writer`s idea. Finally, the literary-historical meaning of meeting and separation described in Choicheok-jeon is verified in chapter 4. The attempt to study the meaning of meeting and separation in order to understand writer`s idea is believed to be an appropriate trial. It is concluded that Choicheok-jeon describes the meeting and separation between Choicheok and Okyoung, family separation at the war and people`s tough lives from multiple points of view during Imjin War.

      • KCI등재

        「최척전」 속의 동아지중해와 대항해시대

        김용철 ( Kim Yong-cheol ),신승호 ( Shin Seung-ho ) 국제어문학회 2016 국제어문 Vol.0 No.69

        본 논문은 문학지리학과 소설배경론의 입장에서 「최척전」의 후반부에 보이는 동아지중해와 대항해시대의 모습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최척전」의 후반부의 내용인 최척 일가가 조·중·일 삼국으로 이산한 다음부터 일어나는 사건을 날짜별, 장소별로 될 수 있으면 자세하게 고증하기로 한다. 그 과정에서 최척과 옥영이 떠돌아다닌 이역의 바다와 땅이 실은 동아지중해와 대항해시대의 바다와 땅이며 그것이 역사적으로 굉장히 중요한 일이라는 것이 드러날 것이다. 「최척전」의 후반부는 옥영이 일본으로 포로로 잡혀가고, 최척은 명군 장수를 따라 중국 소흥으로 망명하면서 시작된다. 이어서 두 사람은 국제무역선을 타고 베트남의 호이안에 갔다가 상봉한다. 이때 두 사람은 동아지중해의 남해와 황해, 남지나해를 거쳐 초기 대항해시대가 열렸던 동남아시아 바다에서 해후한 것이다. 작품의 마지막에서 최척은 동아지중해인 황해를 종단하고 옥영은 횡단하여 고향 남원으로 돌아온다. 이렇게 해서 두 사람의 대항해시대와 동아지중해 체험은 끝을 맺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최척전」의 후반부만 거론했지만 사실 「최척전」 전체가 대항해시대의 산물이다. 서양에서 전해온 개인용 화기, 즉 서양 문물로 무장한 일본군이 일으킨 전쟁이 임진왜란이며 이 전쟁으로 인해 최척 일가가 당한 고난을 형상화한 것이 바로 「최척전」이기 때문이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specifically scenes of the Sea of East Asian-Mediterranean and the age of the Great Voyages appearing in the later part of Choicheok-jeo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literary geography and the time-space background of fiction. For such purpose, events happening after splitting Choicheok into the three countries of Choseon (Korea), China, and Japan are historically investigated on each date and in each place in as much detail as possible. During this course, the foreign sea and land where Choicheok and Okyeong wonder are to be revealed as the actual sea and land of the Sea of East Asian-Mediterranean and the age of the Great Voyages. This event is found to be a very historically critical incident. The later part of Choicheok-jeon starts when Okyeong is captured and sent to Japan and Choicheok defects to Hangzhou, China following a general of the Ming Dynasty. These two characters visit Hoi An, Vietnam by trading ships and then meet each other. This means that these two characters finally meet each other in the Southeast Asian Sea where the initial age of Great Voyages opened through the East and West part of the Sea of East Asian-Mediterranean and the South China Sea. At the end of this fiction writing, Choicheok vertically travels and Okyeong horizontally travels the Yellow Sea and the Sea of East Asian-Mediterranean to return to their home, Namwon. Experiences of the characters on the Sea of East Asian-Mediterranean and the age of the Great Voyages is finished by their home coming. Although this study only covers the later part of Choicheok-jeon, actually the entire Choicheok-jeon is a product of the age of Great Voyages. The reason for this is the war waged by the Japanese army (the Japanese were armed with personal weapons from the West) is Imjinoiran (Japanese Invasion in Choseon Dynasty). Choicheok-jeon is the story showing images of the suffering of the Choicheok family caused by this war.

      • KCI등재

        동아시아적 시각에서 다시 읽는 <최척전>,<김영철전>

        김경미 ( Kyung Mi Kim ) 한국고전문학회 2013 古典文學硏究 Vol.43 No.-

        이 글은 동아시아적 시각에서 <최척전>과 <김영철전>을 재해석한 것이다. 이를 위해 우선 동아시아의 개념, 동아시아적 거점과 시각의 내용을 정리하였다. 지금 인문학에서 이야기하고 있는 동아시아는 지리적 개념이 아니라 하나의 인식단위 혹은 방법론이다. 이 글에서도 동아시아를 인식단위, 방법론으로 보고, 그렇게 볼 수 있는 근거로 이중언어, 유교, 유교가부장제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동아시아를 하나의 인식단위, 방법론으로 놓게 될 때 동아시아를 서구에 대립하는 또 하나의 중심으로 만드는 것을 우려하여 주변적 시각을 받아들일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다음으로 한국 고소설 가운데 동아시아로 공간과 인물을 확장한 <최척전>과 <김영철전>을 동아시아적 시각에서 재해석 하였다. 포로가 되거나 전란 중에 가족과 헤어진 국가 경계를 넘어 교류하는 인물들의 경험을 담고 있는 이 두 작품은 타자의 연대나 보편적 인간애가 펼쳐진 것으로 해석되어왔다. 그러나 두 작품이 보여준 인적 교류는 제한적이며, 따라서 타자의 연대나 보편적 인간애로만 보기 어렵다. 오히려 이 두 작품은 국가 경계를 넘어선 주변인들의 교류를 통해 국가 정체성을 강하게 주장하지 않을 때 새로운 관계가 열릴 가능성이 있는 것을 보여준다. In this essay, I try to reinterpret Choicheok-jeon, Kimyoungcheol-jeon from the East Asian view. Here I see East Asia not as a geographical concept, but a unit of recognition or a methodology, as is discussed in humanities of Korea. In order to support this view, I consider diglossia, Confucianism, and Confucian patriarchy as the basic conception of the East Asian View. Another important consideration of this essay is the possibility of the danger of centrism we can fall into if we regard the East Asian view as one unit of recognition or a methodology. So the importance of the view of the marginal is stressed here. Choicheok-jeon and Kimyoungcheol-jeon are good to be analysed from the East Asian view in that their characters and their environments are enlarged to the East Asia. Their characters were shown to separate from their family and cross the national border because of wars. These works have been interpreted to show the solidarity with others and the universal love for human beings. But from my point of view, the personal exchanges between characters are limited, and it is hard to read the solidarity with others and the universal feeling for human beings from this work. On the contrary, these novels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show new relationship can be possible when the marginal characters exchange across the border without insisting their own national identity.

      • KCI등재

        <최척전>의 교육 내용에 관한 일고찰 -문학과 역사의 통합 교육 측면에서-

        이상일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22 국어교육연구 Vol.49 No.-

        본 연구에서는 문학과 역사의 통합 교육 측면에서 <최척전>의 역사교육적‧문학교육적 가치에 주목하고, 작품의 역사성과 문학성에 기반한 교육 내용의 방향성을 탐색하였다. 본 연구에서 문학과 역사의 ‘통합’은 문학과 역사가 각자의 교과 정체성을 잃지 않으면서 서로의 교육 목적과 인재상을 효과적으로 실현하기 위해 연계하는 것을 의미한다. 문학과 역사의 통합교육 측면에서 <최척전>은 작품에 반영된 전쟁의 참혹함, 인물의 비극과 가족의 이산, 역사의식 등을 공감적‧비판적으로 수용하는 활동을 통해 역사적 사실을 객관적 지식으로만 인지하는 데 그치지 않고 당대 현실을 공감적으로 추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준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 역사교육의 측면에서 <최척전>은 실제 역사기록이나 교과서 서술 내용만으로는 알 수 없는 전쟁의 비극성을 정서적으로 체험하고 성찰해 봄으로써 역사의식과 평화 감수성의 함양을 기대할 수 있다. 문학교육의 측면에서는 초월적인 힘의 개입으로 인한 서사 전개의 우연성과 비현실성에 대해 고전소설의 구성상 특징으로만 일반화하는 데서 나아가, 당대 조선인들의 사고방식과 세계관적 특성을 사실적으로 반영한 것으로 작품에 대한 해석의 지평을 넓힐 수 있다.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ducational contents of ChoiCheok-jeon based on its historicality and the nature of literature by analyzing the historical and literary educational value of ChoiCheok-jeon from the perspective of integrated literature and history education. In this study, integrating literature and history means linking the two subjects to effectively realize each one’s educational value, without losing either distinct identity. ChoiCheok-jeon is valuable to integrated literature and history education because the historical facts reflected in the work are recognized as objective knowledge, and ChoiCheok-jeon provides an opportunity for learners to empathically experience the reality of the time. In terms of history education, ChoiCheok-jeon can be expected to cultivate an understanding of history through the emotional experience of and reflection on the tragedy of war that historical records and textbook descriptions do not convey. In terms of literature education, the horizons of interpretation can be broadened through realistic reflection on the mindset and worldview of the Joseon people of the time regarding the coincidence and unrealistic nature of narrative progression.

      • KCI등재

        전쟁 소재 역사소설에서의 만남과 이산의 주체와 타자: 「최척전」·「김영철전」·「강로전」을 중심으로

        이민희(Minheui Lee) 국문학회 2008 국문학연구 Vol.17 No.-

        This study aims at defining peculiarity of a war historical-classic novel eg. ChoiCheok-Jeon(崔陟傳)】KimYoungCheol-Jeon(金英哲傳)】GangRo-Jeon(姜虜傳). Most of all, war historical novel is one of genres not only to show clearly the matter that the subject(主體) is influenced by others(他者) like a war(eg.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or an irresistable force, but also to clear most definitely a distance between the subject and others. It is notable that others take an active hand to form the subject in these works. Here the subject means heroes or writer or contemporary ideal, a sense of values of those days etc. The other side, others means other things surrounding the subject. Hero and his family in above three war historical works experience to get scattered each other by war, and manage to meet again contingently. In this case, their dispersion and meeting again happen accidently on account of influence of numerous others(irresistable force, fortune, god s helping etc.) From the point of Choseon, it is easy for Japan or even China(which built by barbarian nation) to be recognized by others. But, above three works tell us that true identity means attitude or thinking which is able to accept the difference of others . Therefore, basic perspective for dispersion and meeting again of hero as the subject in war historical novels is about how broad-minded mutual relation between the subject and others works. That is, one of topic of three war historical novels is related to love for humanity of a East Asian countries without any discrimination of nation. Three war historical novels are worthy of setting high value from a point of view that not nation but an ordinary person is created as the subject, and writer actually catches the process(=reality) of getting personal identity by others. Historical truth from a war historical novel is ultimately connected that becoming the subject due to others and self-rationality are able to descript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dispersion and meeting again with open narrative structure.

      • KCI등재

        임진왜란 시기 지리산권 남원 지역과 「최척전」

        김용철,신승호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16 남명학연구 Vol.50 No.-

        Characters appearing in a fiction exist in a specific circumstance presented by a specific time and space. This often is the background of fiction. This study aims to find historical truths on the fiction’s background, that is the dates and the corresponding places, where the characters exist during Imjinwaeran or the Japanese Invasion War during Choson Dynasty displayed in the intro part of "Choicheok-jeon" by finding actual proofs. If the time and location forming the specific circumstance in which the characters exist is premised, the characters and events existing in such circumstance are anticipated to be revealed for the actual historical conditions. Such approach is connected to the context of literary geography if considered in the aspect of research method and related to the time-space background of the fiction as well if considered further. According to reading "Choicheok-jeon" in such perspective, the period when Choi Cheok goes to Master Jeonsangsa in the intro part of the fiction is around May, 1592, the time when Ok Yeong returns Master Jeonsangsa’s house is around February, 1593, and the time of these two lovers met is around the end of January, 1593. The background of Ok Yeong’s forced marriage is formed by the advance of Japanese army that has invaded to the south area of Namwon after the second combat in Jinjuseong and retreated from the area. In the period of Jeongyujaeran, the secondary invasion of Japanese army, Choi Cheok’s family escaped to Temple Yeongoksa in Piagol, Guryeo, becomes scattered within several days into the three countries in the South East Asia. Based on such consideration, the time and space in which the characters exist in "Choicheok-jeon" can be reconstructed for more accurate date and place. And such reconstruction is anticipated to open a new road to reach the interpretation in a more developed form regarding forms of the characters and their senses of subject. 소설 속에 등장하는 인물은 특정한 시공간이 지시하는 특정한 상황 속에 존재한다. 흔히 소설의 3요소 중 하나인 배경이라고 하는 것이 그것이다. 이 논문은 <최척전>의 전반부에 해당하는 임진왜란 기간 동안 작품 속의 인물들이 존재한 작중 배경, 즉 몇 년, 몇 월, 며칠에 어떤 장소에 있었는가를 작품 속 증거를 찾아내어 고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인물이 존재하는 시간과 장소 곧 특정한 상황이 전제되면 그때 그 곳에 있었던 인물과 사건은 그때 그 곳의 상황과 관련하여 좀 더 구체적인 모습으로 드러나리라고 기대한다. 연구방법으로 따지면 문학지리학의 맥을 잇고 있고 소설배경론에도 속한다. 이러한 시각으로 <최척전>을 보면 <최척전>의 첫들머리에서 최척이 정상사에게 공부를 하러 가는 시기는 1592년 5월경이고, 옥영이 남원 정상사 집에 오는 시간은 1592년 8월경이다. 두 사람이 만나는 시점은 1593년 1월 말경이다. 최척이 변사정 의병부대에 종군하는 시점은 1593년 2월경이고, 두 사람이 다시 만나는 시점은 1593년 10월 말이다. 옥영의 억지혼사의 뒷배경에는 제2차 진주성 전투 후 남원 남쪽까지 쳐들어왔다 물러간 일본군의 약탈이 있었다. 정유재란 시기에 구례 피아골 연곡사로 피난을 간 최척 일가는 불과 하루 이틀 사이로 엇갈리면서 동아시아 세 나라로 흩어지고 있다. 이렇게 따져놓고 보면 <최척전>에 등장하는 시간과 공간, 즉 인물들이 존재하고 있던 정확한 날짜와 장소를 거의 재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작품 속 인물들의 형상이나 주제의식 등에 대한 좀 더 진전된 형태의 해석으로 나아갈 수 있는 길이 열릴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 KCI등재

        유만주(兪晩柱)의 소설 읽기와 쓰기

        최지녀(崔智女) ( Choi Ji-nyeo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9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7 No.4

        兪晩柱 (1755~1788)의 일기 『欽英』에는 그가 읽은 소설의 다양한 목록과 소설에 대한 그의 생각들이 소상히 드러나 있다. 유만 주는 『흠영』을 쓰기 전인1774년 이전부터 소설에 대해 적극적인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흠영』에 보이는 중국 소설, 우리 소설, 野談에 대한 독서 기록 및 이에 대한 비평은 소설의 독자이자 애호가로서의 유만주의 모습을 보여준다. 또한 소설의 筆寫 및 叢書 편찬 기획, 이상향으로서의 허구적 세계를 구축한 산문, 야담의 기록 등에서는 유만주의 소설 작자로서의 지향을 발견할 수 있다. 소설의 필사와 개작의 양상은 「최척전」의 기록에서 잘 살펴볼 수 있으며, 소설적 필치가 가미된 야담과 그 刪削 과정은 유만주의 야담 작가로서의 면모를 보여준다. 『흠영』에 나타난 일련의 기록을 통해 유만주의 소설 읽기와 쓰기가 상호 관계 속에서 병렬적으로 전개되는 양상을 볼 수 있으며, 이는 유만주의 문학에 대한 이해가 독자와 작자의 양면에서 함께 이루어져야 함을 말해준다. Yu Man-ju(1755-1788)'s diary Heumyeong contains a wide list of novels he has read and his thoughts on them. Yu Man-ju had had an great interest in novels before 1774, the year he started to keep a diary. The reading records of various novels and its criticism of them in Heumyeong shows his character as a lover and reader of the novel. Also one can find his direction as a writer in the transcription of the novels, plan of novel collections, prose on fictional Utopia, and writing of the Yadam. The transcription and rewriting of the novel can be seen in the Choicheok-jeon. The self-consciousness that appears in the process of writing Yadam and its rewriting shows the aspect of the Yadam writer of the Yu Man-ju. Through the records presented in Heumyeong, we can see the parallel development of the novel reading and writing, which tells us that understanding of his literature must be done in both the reader and the writer's terms.

      • KCI등재

        전근대 동아시아와 전란, 그리고 변경인

        정환국 ( Hwan Kuk Jung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0 민족문학사연구 Vol.44 No.-

        In this article, the lives of people of the Korean peninsula is viewed through pre-modern East Asian structure and the wars, in the aspect of people on the frontier. Target and the major periods for discussion is the novel related with the East Asian wars in the 17th century. For the base of this, the formation of East Asian order related with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characters of the later wars in the Korean peninsula were identified in the first place. The center and the periphery, so called China and the barbarians, was the hub of the East Asian order. In the process of the formation of order based on the sinocentrism, the Korean peninsula had been positioned on rather ambiguous frontier. The Korean peninsula was very near to China and very Chinese in terms of its culture, but it was on the frontier which was clearly distinguished from China. Therefore, the wars in the Korean peninsula was very expensive repayment for being on the ambiguous frontier in the process of the invasion of `the barbarians from four corners`, such as North Eastern area and Japan on to China. East Asian wars in the 17th century, is understand as a process of collision and rupture of the system of sinocentrism. The novels, such as `Jusaeng-jeon`, `Choicheok-jeon` and ` Kimyeongchol-jeon` based on the subjects like this, sharply captured lives of people who lived in Joseon within dynamics of East Asia. Here, as opposed to a national confrontation, through personal experience, the possibility of human solidarity in the East Asia could be suggested. Nevertheless, the individual wandering China and frontier had to experience the Korean peninsula as a frontier from all directions and realize the reality of the people on the frontier. The most representative example is Kimyeongchol in the `Kimyoungchuljeon`. The current reality is not completely free from these historical precedents. So Now, `I` still could be another Kimyeongchol in histo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