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찬한과 이옥의 부 문학 비교 연구 : 대화 전략을 중심으로

        구봉곤(Koo, Bong-Gon)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21 동방학지 Vol.196 No.-

        본 연구는 조선중기와 조선후기의 부 작품 가운데 대화가 나타나는 작품들을 분석하고 그것을 통해 대화 전략이 어떠한 변화를 보이는지 밝히는 것이다. 조찬한과 이옥의 작품에서 두 화자가 한 번씩만 발화를 하는 것들이 있다. 조찬한의 작품에서는 화자A와 화자B가 서로 상반된 의견을 내놓고 화자B의 의견이 옳다는 입장을 보여주고 있다. 그런데 이옥의 작품에서 화자A와 화자B는 같은 입장을 갖고 있다. 이옥의 작품은 대화의 유형이 조찬한의 작품에서 나타난 것보다 다양하지 않았다. 이옥의 경우, 표면적으로 화자의 정서를 표출하는 작품이 한 편만 존재하는 것으로 보아 서정성보다는 서사성을 중시한 것을 알 수 있다. 이옥은 현실 비판을 목적으로 하는 작품의 비율이 상당히 높다. 조선중기보다 조선후기에 현실에 대한 비판을 담으로는 경향이 더 강해졌을 가능성이 크다. 이옥은 모든 작품에 사람이 화자로 등장하고 있고, 조찬한은 두 편의 작품에서 사람이 아닌 두 동물이 화자로 등장한다. 조찬한은 다양한 동물을 화자로 내세우고, 이옥은 동물은 거북만을 내세며 거미나 벼룩과 같은 곤충을 화자로 한다는 점이 달랐다. 이옥의 여성화자는 당대의 보편적인 평민의 여성을 화자로 등장시켜 당대에 만연했던 삼정의 문란을 직설적으로 비판하고 있다.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examines works of bu from the mid- and late-Joseon period that featured conversations, and identifies changes in conversational tactics. The researcher examined works of bu written by Cho Chan-han(1572-1631) and Lee Ok(1760-1812) where each of two speakers speaks only once. In Cho Chan-han’s bu, Speaker A and Speaker B voices two opposing opinions, and the author suggests that Speaker B’s opinion is right. In comparison, in Lee Ok’s bu, Speaker A and Speaker B voices the same opinion. In works of Lee Ok, the type of conversation is less varied than in works of Cho Chan-han. In case of Lee Ok, only one work of bu expresses a speaker’s feelings, suggesting that the writer put more emphasis on narrativity than on lyricism. A large number of Lee Ok’s bu aims to criticize the reality, and this tendency might have grown stronger in the late Joseon period than earlier. In all works of Lee Ok, human beings appear as a speaker, while in two works of Cho Chan-han, two animals appear as a speaker. Cho Chan-han featured various animals as speakers in his bu, while Lee Ok only featured a turtle among the animals, or featured insects including spider and flea as a speaker. In Lee ok’s work, female speakers are portrayed as a typical commoner who frankly criticizes disorder of the three taxation systems that was a widespread problem at the time.

      • KCI등재

        자유주제 : 현주(玄洲) 조찬한(趙纘韓)의 「신루상량문(蜃樓上樑文)」 연구 -「신루기(蜃樓記)」와의 대비(對比)를 통하여-

        朴貞珉 ( Jeong Min Park ) 동방한문학회 2013 東方漢文學 Vol.0 No.57

        玄洲 趙纘韓(1572~1631)은 당시 ‘後五子’의 일인으로 지목될 만큼 文才가 출중했으며, 특히 騈文에 있어서는 공공연히 그 탁월한 능력을 인정받은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명망과 인지도에 비해 그의 문학은 그다지 주목을 받지 못했으며, 그의 산문에 대해서는 傳과 記에 국한된 논의가 전개되었을 뿐이다. 이에 본고는 기존에 연구가 미진했던 조찬한의 산문-특히 騈文體 산문-영역에 관심을 두고, 「蜃樓上樑文」의 분석을 통해 조찬한 산문의 특징적 면모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2장에서는 내용을 개관하고 3장에서는 수사적 특징을 살펴보았으며, 이를 바탕으로 4장에서는 조찬한 산문의 특징을 추출하였다. 그리고 「신루상량문」의 특징을 살피는 과정에서 「蜃樓記」와의 대비적 고찰이 이루어졌다. 「신루상량문」의 내용은 처소에 대한 일반적 의론과 신령한 건축물 건립의 필요성에 대한 序詞, 신루 건립에 대한 모의와 준비 과정 및 신루 건립 이후의 정경을 묘사한 本詞, 東西南北上下 六面 공간에 대한 송축인 六位訟, 上梁後의 평화와 안정을 기원하는 結詞로 구성되어 상량문의 일반적인 내용 구조를 그대로 따르고 있다. 간결한 이야기 형식으로 쓰여진 「신루기」와는 다른 방식이지만 與民偕樂의 공간인 신루의 가치를 강조하고 있다는 점에서는 동일하다. 「신루상량문」의 수사기법은 의미, 자수, 음절에 이르기까지 균제와 조화를 중시한 변문체의 특성을 그대로 살리고 있다. 그러면서도 자칫 지루해질 수 있는 내용 전개에서 다양한 수사적 장치를 마련하여 다채롭고 풍부한 내용 전개를 이루어냈다. 변문체 특유의 유탕미와 어휘미를 부각시킨 「신루상량문」의 수사 기법은, 우언과 패러디의 기법으로 뚜렷한 메시지를 전달하여 고문체의 간결미가 돋보이는 「신루기」의 그것과는 사뭇다른 양상이다. 이상의 내용을 바탕으로 살펴본 조찬한 산문의 특징은 첫째 取材의 측면에서 문예지향의 작문 특성이 다분함, 둘째 각 문체의 특성을 적절히 운용하여 내용 전달력을 높임, 셋째 장자 의 표현 특색이 농후함을 들 수 있다. Hyun Ju Cho, chan-han(1572~1631) was an excellent person of literary ability as being pointed to be a member of ``Huoja(後五子)``, in particular, was openly recognized as an excellent ability in Byounmun(騈文) at that time. However, his literature has not received much attention compared to his reputation and awareness, and discussion limited delivery and record regarding his prose has been done. This paper is to focus on Cho, Chan-han`s prose-expecially Byoun-style prose-area lack of the existing research and to investigate characteristic aspects of Cho, Chan-han`s prose through the analysis of 「Sinroo Sangryangmun」. Chapter 2 addresses a general view of the contents, Chapter 3 examines rhetorical features, based on this, Chapter 4 draws out Cho, Chan-han`s prose characteristics. In the process of looking at characteristics of 「Sinroo Sangryangmun」, a contrast study on it and 「Sinroogi」. 「Sinroo Sangryangmun」`s contents follow general contents structure of Sangryangmun(上樑文), consisting of a general argument for habitation and a prologue of the need for divine architecture, practices and preparation process for Sinroo construction, original saying depicting its scene after Sinroo(蜃樓) construction and Yukwisong(六位訟) blessing for the six sides such as North, South, East and West, Top and Bottom, and closing remarks saying praying for peace and stability. Though its way is different from that of「Sinroogi」 written in a concise narrative form, it`s the same as emphasizing the value of Sinroo where is Yeominhaerock(與民偕樂)`s space.「Sinroo Sangryangmun」 `s rhetorical techniques are to highlight the characteristics of Byounmun style focusing on the balance and harmony of meaning, number of characters, syllables. Yet, its techniques are to have a variety of rhetorical devices in developing the contents which may be liable bored and to do colorful and rich contents development.「Sinroo Sangryangmun」`s rhetorical techniques which are to emphasize Byounmun style`s Yutang beauty and vocabulary beauty have the opposite pattern of those of 「Sinroogi」which are to focus on Gomun (古文) style`s beauty of brevity by delivering a clear message with Wooeon (寓言) and parody techniques. With respect of Cho, Chan-han`s prose characteristics seen based on the above contents, first there are a lot of literature-oriented writing features in terms of coverage. Second, the ability of delivering contents is improved by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tyle of writing properly. Third, there are a lot of _Zhuangzi(莊子)_`s expressive characteristics.

      • KCI등재

        구성방식 분석을 통해 본 조찬한 賦 작품의 대화전략 연구

        구봉곤(Koo, Bong-Gon) 우리문학회 2018 우리文學硏究 Vol.0 No.59

        이 연구는 조찬한의 부 작품의 구성방식을 분석하여 그의 부 문학에서 대화전략이 갖는 특징과 역할이 무엇인지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대화전략이 사용된 열 편의 작품을 대상으로 하였다. 작품의 구성을 도입부와 대화부, 정리부로 나누어 살펴보았고 이를 통해 대화전략이 갖는 특징을 찾을 수 있었다. 그리고 각각의 부분이 부 작품에서 어떠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지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도입부는 대화의 화자와 소재, 장소 등 기본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부분으로 전달하는 정보의 양에 따라 길이가 달랐다. 대화부는 발화 부분으로 작품의 주제가 드러나는 부분이다. 이러한 대화부는 시작부, 중심부, 종결부의 구성을 갖는 경우, 시작부와 중심부로 구성된 경우, 시작부와 중심부, 종결부의 구성을 갖지 않는 경우로 분류할 수 있었다. 정리부는 대화가 끝난 후 작품의 주제를 정리하는 부분으로 대화의 종결 이후 화자의 행동을 통해 주제를 밝히고 있었다. This study analyzes the composition of Bu literature by Cho, Chan-han for the purpose of verifying the characteristics and roles of conversational strategy found in this literature. Ten literature pieces in which conversational strategy was used were chosen as subjects of this study. The paper examines the composition of the pieces by dividing each into three parts—introduction, conversation, and summary—in which the characteristics of conversational strategy can be found. The paper also discusses the roles of each part in Bu literature. The introduction provides basic information, including the narrator of the conversation, subject matter, and place. The length of the introduction differs depending on the amount of information delivered. The conversation contains speech through which the theme of the piece is revealed. Conversation parts include cases composed with a beginning, center, and closing; a beginning and center; or without a beginning, center, or closing. In the summary, the theme of the piece is summarized after the conversation ends. Here, the action of the narrator that occurs following the completion of the conversation reveals the theme.

      • KCI등재

        현주 조찬한의 부 작품 연구

        구봉곤(Koo, Bong-gon) 한국고전번역원 2016 民族文化 Vol.48 No.-

        본 연구는 조찬한의 부 작품 분석을 통해 그의 부 문학에서 대화 전략이 갖는 특징과 역할이 무엇인지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조찬한의 부 작품을 살펴보면 대화전략이 다양하게 나타난다. 대화전략이 발견되는 조찬한의 부 작품은 「발검기무부」, 「봉황상천인부」, 「사석호부」, 「필간부」, 「수서부」, 「예미귀부」, 「작소부」, 「수세부」, 「적벽부」, 「반적벽부」로 모두 10편이다. 본 연구에서는 화자의 종류와 발화 양상, 대화의 소재를 중심으로 작품을 분류하고 대화전략의 특징을 찾아볼 수 있었다. 조찬한의 부 작품에서 대화는 화자와 청자의 상호작용으로 진행된다. 사람과 사람의 대화는 대화의 소재와 깊은 연관이 있다. 동물 화자의 등장은 사람과 사람의 대화보다는 더 흥미롭고, 주제를 비유적으로 드러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연속적으로 일어나는 발화를 통해 화자는 어떤 사실에 대한 정보를 요구하거나 전달하면서 자신의 주장을 표면화시킨다. 또한 조찬한의 부 작품에는 역사적 사건, 동물들의 일상 등의 소재가 다양하게 나타난다. 이러한 소재를 통해 당대의 정치․사회적 비판을 돌려 말할 수 있었다. This paper examines the features and roles of dialogue strategies in his Bu(賦) works through the Bu Works of Hyŏn-chu Cho Chan-han. In this paper, it classified his works focused on the types of speakers, the tendency of utterance, and subjects of dialogs, and analyzed the features of dialogue strategies. In his Bu works, the conversation is ongoing interaction between the speaker and listener. The conversation between people is tightly connected with material of conversation. The simultaneous appearance of animal speakers is usually more interesting and metaphorical for the subject than the dialog between humans. Speakers externalize his own opinion demanding certain information on continuous utterances. In his Bu works, It also shows various materials such as historical events and daily life of animals. So, He could talk around about contemporary criticism of political and social issues through these materials.

      • KCI등재

        조찬한의 「칠각(七覺)」에 대하여

        이남면 동양고전학회 2020 東洋古典硏究 Vol.0 No.81

        본고는 조선 중기의 문인인 조찬한의 「칠각」을 고찰한 것이다. 「칠각」 은 한(漢)나라 때 매승(枚乘)의 「칠발(七發)」 이후 정형화한 ‘칠체(七體)’에 연원을 둔 작품이자 조찬한의 문학적 역량이 크게 발휘된 작품이다. ‘칠체’ 는 두 주인공의 문답, 8단락, 7가지의 소재, 앞의 여섯 가지는 틀리고 마지 막 한 가지가 옳다는 내용 전개 등을 공통된 특징으로 한다. 「칠각」 역시 이러한 특징을 바탕으로 하면서 ‘백실선생(白室先生)’이 세상을 등진 ‘현동 자(玄侗子)’를 구제하기 위해 ‘유협(游俠)’, ‘장상(將相)’, ‘문장가’, ‘노장(老莊) 의 도(道)’, ‘우화장생(羽化長生)의 도’, ‘석가(釋家)의 도’, ‘유가(儒家)의 도’의 7가지로 꾀어내어 일깨우는 과정을 그렸다. 이를 통해 유가의 도를 강조하 는 한편, 명예를 추구하고 이단(異端)에 경도된 이들을 풍간하였다. 「칠각」이 매승의 「칠발」, 조식(曹植)의 「칠계(七啓)」, 장협(張協)의 「칠명 (七命)」을 수용한 흔적은 여러 곳에서 발견된다. 일부 어휘와 구절을 인용 하고 작중 인물의 동작을 유사하게 표현하였으며 서두의 장면 묘사와 결 미의 정리 방식 등을 모방하였다. 그러나 「칠각」은 이들 작품의 단순한 모방작이 결코 아니다. 우선 분량이 세 작품에 비해 월등히 방대하다. 끝 단락을 다문다답으로 구성함으로써 주제를 더욱 강조한 점도 일문일답 방식인 세 작품과 차별된다. ‘협객’, ‘재상’과 같이 일부 공통된 소재가 있 으나 그 대상을 향한 시각이 다르며, 내용 및 주제도 은자(隱者)의 입사(入 仕)를 주요 내용으로 한 대다수 칠체와 달리, 「칠각」은 조정으로의 출사가 아닌 ‘유가의 도’라는 사상으로 인도한다는 차이가 있다. 작중 설득당하는 자의 거절 반응 또한 세 작품에 비해 그 양상이 다채롭다. 「칠각」은 주목 받지 못한 분야의 창작이자 후대 창작을 선도하였다는 점에서 한국 한문학 창작의 영역을 넓히는 데에 기여하였으며, 『현주집 (玄洲集)』에 ‘사(辭)’, ‘부(賦)’와 구분되는 체제에 편차됨으로써 조선 후기 문단에 ‘칠(七)’을 독립된 글의 체제로 알린 작품이다. This paper presents an investigation into Chilgak by Jo Chan-han, a literary figure in middle Joseon. Accepting the creative method of "Chilche(七體)" standardized since Chilbal by Maeseung during Han, Chilgak highlights Jo's literary competence to a remarkable degree. "Chilche" works share several common features including Q&As between two main characters, eight paragraphs, seven materials, and content development of confirming that the last one is right after the wrong six preceeding it. Jo's Chilgak is also based on these features and describes a process of "Master Baeksil" helping "Hyeondongja" that has turned his back on the world by enticing him with seven elements including "pompous, righteous, and vigorous youth," "general and prime minister," "good writer," "truth of Lao-tzu and Chuang-tzu," "truth of eternal life like a Taoist hermit with miraculous power," "Buddhist truth," and "Confucian truth." While putting an emphasis on the values of Confucian truth, the work exhorts by innuendo those who are devoted to heresy in pursuit of honor. There are many points demonstrating that Chilgak accepted Maeseung's Chilbal, Jo Shik's Chilgye, and Jang Hyeop's Chilmyeong: it cited some words and phrases from these works, provided similar expressions to the movements of characters in these works, and copied these works in the scene description in the beginning and the arrangement method in the end. Chilgak is, however, no simple copy of these works. First of all, it has overwhelmingly more pages than the three works. It also provides multiple questions and answers in the last paragraph and accordingly places greater emphasis on "Confucian truth," thus ifferentiating itself from the three works in the one question, one answer format. In terms of materials, it shares some common materials with the three works such as "chivalrous fighter" and "prime minister," but adopts a completely different viewpoint of the objects. In terms of topics, Chilgak leads readers to the bright ideas of "Confucian truth" instead of going into government service at the royal court unlike a majority of Chilche works whose topic is a hermit making it in the world since Chilgyeok by Bu-ui. In Chilgak, the character that is being persuaded makes more colorful reactions and more intense refutation than his counterparts in the three works. Chilgak was edited chronically as a style distinct from "Sa" and "Bu" in Hyeonjujip, thus presenting "Chil" as an independent style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In addition, it was created in the genre that received no attention from literary figures, thus broadening the domain of creative Chinese literature in Korea.

      • KCI등재

        『장자(莊子)』의 우언(寓言)을 제재로 한 조선시대 현실 풍유(諷諭) 운문문학과 현대적 시사 -조선 중기ㆍ후기 작품을 중심으로-

        이국진 ( Lee Gook-jin ) 동방한문학회 2016 東方漢文學 Vol.0 No.68

        From the Three Kingdoms Period, many then-Korean many writers satisfied their ideological and epistemic thirst, which was not quenched only by Confucianism, through Chuang-Tzu and learned and used the colorful literary imagination and the rhetorical expressions contained in his allegories. This phenomenon became more active and various as the Joseon Dynasty era stepped in. In the process, some writers created Korean poetic literature that exhort reality by insinuation using the allegories of Chuang-Tzu as theme. Of them, the literary works of Lee Hang, Jang Yoo, and Cho Chan-han take a form of full-length writing and express the allegories in various literary ways. In addition, they actively reflected their inner consciousness that stemmed from their troubles with reality in the works. This kind of Korean allegorical poetic literature on reality has a different literary impact from fable poetry that strongly criticizes reality. These works do not directly criticize or tell right from wrong on the irrationalities, conflicts, and contradictions of the real world. Instead, they expose human desires and social structure full of them in order to remind us of the fundamental causes of such germination. This provides us room to contemplate what the true nature and value of life are. Chuang-Tzu``s allegories on reality can arouse public consensus and enlightening easily and interestingly even in the present. And the Korean allegorical poetic literature using his allegories on reality as theme are mutually complementary to Chuang-Tzu``s allegories. This enriches the literary value of allegory more, enables new imagination and a variety of interpretations, and shows the specific meaning of it in reality, reflecting individual``s life and consciousness in it. Therefore, Korean allegorical poetic literature on reality using 『Chuang-Tzu』``s allegories lets those who live in the modern times contemplate whether they follow institutionalized value system or others`` desires blindly or they are trapped in a fixed self-awareness and prejudice. In this sense, the ultimate goal of Korean allegorical poetic literature is to provide a life free of obsession and fixed notion, happy life stemming form self-motivation, not by external conditions, and co-existence and peace based on open mind and generos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