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 소프트파워 대외정책의 공세적 변화와 원인 : 중국의 남중국해 정책을 중심으로

        이영학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2012 중소연구 Vol.36 No.1

        This paper studies how Chinese soft power foreign policy has been changed to the aggressive hard power policy by closely examining Chinese policy change on the South China Sea, and analyzes its background and underlying causes. China had increased its soft power within Southeast Asia through the soft power foreign policy on the South China Sea that attractively utilized its diplomatic and economic resources and refraining from the use of military forces from the late 1990s through the late 2000s. However, in the late 2000s, China adopted the aggressive hard power policy actively utilizing its military as well as economic resources. Consequently, China Threat theory became active again within the region and the Chinese soft power, along with its lessened influence, has been decreasing. Under the circumstances that China witnesses the relative rise of its global status and the strategic value of resources in the South China Sea are re-evaluated, such change of Chinese foreign policy can be considered the result of the vicious circle. In this case, the interaction of the internal factors such as Chinese confidence acquired by the increase of national capabilities, growing sentiment of domestic nationalism,bureaucratic politics among authorities participating in chinese foreign policy decision-making process, and the lack of leadership necessary for reasonable policy coordination, and the external factors such as the United States’ return to Southeast Asia and aggressive attitudes of the countries involved in the conflict in Southeast Asia comes into play. In addition, if such change means that China gives up soft power as its foreign policy strategy to become a global power, it is highly likely that China would strive for the regional hegemony. In that case, there will be a strong likelihood that we are put in a difficult diplomatic situation where we are forced to choose between China and United States. Thus, the careful examination of China's foreign policy behavior is important. 본 논문은 남중국해에 대한 중국의 정책 변화를 사례로, 중국의 소프트파워 대외정책이 공세적인 하드파워 정책으로 변화한 형태를 고찰하고, 그 배경 및 원인을 분석한다. 1990년대 후반부터 2000년대 후반까지 중국은 남중국해에 대하여 외교력․경제력의 매력적 운용 및 군사력의 사용 자제 등 소프트파워 대외정책을 통해서 동남아 지역내 소프트파워를 제고하였다. 그러나 2000년대 후반 이후 중국은 군사력․물리력 및 경제력을 강압적으로 운용하는 등 공세적인 하드파워 정책을 취함으로써 역내 중국위협론이 재유행하고, 영향력이 약화되는 등 소프트파워가 하락하고 있다. 이러한 중국의 정책 변화는 중국 국력의 상대적 부상과 남중국해 경계획정 요구 및 자원 가치의 재부각 등의 배경하에서, 중국의 국력 상승에 따른 자신감과 국내 민족주의 정서 고취, 중국 외교정책결정 참여 세력간 관료정치 및 최고리더십의 합리적 조정 부재 등 대내적 요인과 미국의 동남아에 대한 회귀와 이에 따른 동남아 분쟁 당사국들의 공세적인 태도 등 대외적 요인이 서로 영향을 미치며 악순환한 결과로서 나타났다. 또한 이러한 변화가 중국이 강대국화 대외전략으로서의 소프트파워를 폐기한 것임을 의미한다면, 중국은 향후 역내 패권을 추구할 가능성이 크고, 이 경우 우리에게는 중국과 미국 사이에서 선택을 해야만 하는 외교적 난제가 주어질 가능성이 큰 만큼, 중국의 대외행태를 면밀히 관찰할 필요가 있다.

      • SSCISCOPUSKCI등재

        Evolving Bureaucratic Politics in Chinese Foreign Policy-Making

        ( Qingmin Zhang ) 한국국방연구원 2015 The Korean Journal of Defense Analysis Vol.27 No.4

        Growing economically more powerful and confident, China is exerting unprecedented influence on global affairs. But the diverse voices and sometimes inconsistencies in its foreign policy behavior have confused many China watchers. Such phenomena demonstrate some new trends in Chinese foreign policy. In order to unveil such trends, this paper intends to look at Chinese foreign policy practices by employing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bureaucratic politics. Its conclusion is that the foreign policy-making process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PRC) has progressed from the ideology based in-party factionalism of “line battles” to interest-based government politics of organizational competition. The early stage has distinctive Chinese characteristics, which are different from Western bureaucratic politics. But as Chinese society becomes more diversified, the bureaucratic politics in China begins to share more similarities with those in the Western democracies. Such trends render the application of Foreign Policy Analysis (FPA) to the research of Chinese foreign policymaking both necessary and beneficial to the construction of theories of foreign policy analysis, as well as research on China’s foreign policy itself.

      • KCI등재

        The Bank-lending Channel of Monetary Policy Transmission in China: A Comparison between Chinese and Foreign Banks

        LINAN,이연호 한국경제연구학회 2015 Korea and the World Economy Vol.16 No.2

        This paper comparatively examines the bank-lending channel of monetary policy transmission in China between Chinese and foreign banks. We consider 22 foreign banks and 67 domestic banks that account for about 82-88% of total bank assets in China. We focus on the period 2007-2013 during which foreign banks in China had dramatically increased, following the liberalization of the entry of foreign banks at the end of 2006. In our models, we allow for heterogeneity in banks’ characteristics such as size, capitalization, liquidity, credit risk and efficiency. Using a fixed effect model, we find that bank ownership plays a critical role in determining bank’s response to monetary policy. In specific, foreign banks are found to be less sensitive to China’s monetary policy than Chinese banks, but they are sensitive to the real interest rate of U.S. This finding points to the existence of internal capital markets in case of foreign banks. Foreign banks can use internal capital market to buffer the impact of monetary policy on loans. As a result, they could reduce their loans by less than Chinese banks in response to tight monetary policy. When the Chinese monetary authority conducts monetary policies, therefore, it should keep in mind that larger changes in monetary policy instruments are required to obtain the same desired change in aggregate demand in the presence of the buffering effects of foreign banks. We also find that the effects of price instruments and quantitative instruments of monetary policy on Chinese banks’ lending behavior are different. For example, Chinese banks’ lending is more sensitive to policy lending rate than to required reserve ratio.

      • KCI등재

        The Bank-lending Channel of Monetary Policy Transmission in China

        Nan Li,Yeonho Lee 한국경제연구학회 2015 Korea and the World Economy Vol.16 No.2

        This paper comparatively examines the bank-lending channel of monetary policy transmission in China between Chinese and foreign banks. We consider 22 foreign banks and 67 domestic banks that account for about 82-88% of total bank assets in China. We focus on the period 2007-2013 during which foreign banks in China had dramatically increased, following the liberalization of the entry of foreign banks at the end of 2006. In our models, we allow for heterogeneity in banks’ characteristics such as size, capitalization, liquidity, credit risk and efficiency. Using a fixed effect model, we find that bank ownership plays a critical role in determining bank’s response to monetary policy. In specific, foreign banks are found to be less sensitive to China’s monetary policy than Chinese banks, but they are sensitive to the real interest rate of U.S. This finding points to the existence of internal capital markets in case of foreign banks. Foreign banks can use internal capital market to buffer the impact of monetary policy on loans. As a result, they could reduce their loans by less than Chinese banks in response to tight monetary policy. When the Chinese monetary authority conducts monetary policies, therefore, it should keep in mind that larger changes in monetary policy instruments are required to obtain the same desired change in aggregate demand in the presence of the buffering effects of foreign banks. We also find that the effects of price instruments and quantitative instruments of monetary policy on Chinese banks’ lending behavior are different. For example, Chinese banks’ lending is more sensitive to policy lending rate than to required reserve ratio.

      • KCI등재

        중국 공산당의 대한(對韓) 인식과 대한정책(對韓政策)

        이주형 ( Ju Hyoung Lee ) 대한정치학회 2009 大韓政治學會報 Vol.16 No.3

        한국과 중국은 지난 92년 수교 이후 경제, 정치, 사회 등 각 분야에서 지속적인 발전을 계속해 오고 있다. 하지만 한중 양국은 정치, 경제, 사회 등 각 영역에서 협력과 갈등의 소지를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한국입장에서는 중국의 집권당인 중국공산당의 동북아지역과 한국에 대한 인식 연구의 필요성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즉, 미국의 패권주의가 국제질서의 불안정 요인으로 보고 국제질서의 다극화를 주장하는 중국의 대외인식을 통해 중국의 對韓정책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중국은 당-국가체제를 견지하고 있기 때문에 공산당이 정책결정에 결정권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 중국공산당의 대한정책은 곧 중국정부의 정책이라고 보고 현재 중국의 유일한 집권당인 중국 공산당의 외교정책과 동아시아 지역에 대한 정책을 중심으로 한반도지역에 대한 중국의 전략을 설명하고자 한다. 아울러 중국의 대한 정책을 체계적으로 분석함으로서, 향후 후진타오 시기 중국의 외교정책을 보다 명확히 파악하고 한국의 대외관계 수립 및 정책결정에 일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Since the foundation of diplomatic relations in 1992, Korea and China have sustained remarkable development in many areas including economic, political, and social areas. Nevertheless, these areas are not free from conflicts, albeit great potential for cooperation. From Korean perspective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better understand China`s perception of Korea and Chinese ruling party, Communist party`s perception of Northeast Asia. China`s Korean policy needs to be read from the Chinese outlook of external perception whereby multipolar world is legitimized as long as American hegemonism is perceived to be the major destabling factor to the current international order. As long as China maintains a party-state political system, policy decisions are in the hands of the Communist party. Hence, this article assumes Chinese Communist policy to Korea is the Chinese government`s policy, and attempts to explain China`s Korean strategy based on the studies of Chinese Communist party`s foreign policy and its Northeast Asian policy lines. Moreover, through a systematic analysis of China`s Korean policy, it aims to contribute to the foundation of Korean foreign policy and decision-making process by better understanding Hu Jintao government`s foreign policy.

      • KCI등재

        중국 외교정책 결정과정 - 대 한반도 정책 결정과정에 대한 이해를 위한 초보적 분석

        김흥규(金興圭) 신아시아연구소(구 신아세아질서연구회) 2008 신아세아 Vol.15 No.3

          이 글은 중국의 대외정책 결정과정의 구조 과정, 행위자의 틀 속에서 대한반도 정책결정이 어떻게 형성되고 있는 지를 분석하려는 시도이다. 1978년 시작된 개혁과 개방 정책은 중국 외교정책 결정과정에도 중대한 변화를 가져왔다. 정책의 우선순위가 경제발전에 중점을 두면서 외교는 경제 발전을 촉진하기 위하여 재조정의 과정을 거쳤다 개혁ㆍ개방 시기 중국 외교정책의 결정과정은 점차 국제체제에 편입되면서 보다 다양하고, 복합적이고 전문화된 시안들의 수요가 크게 증대됨에 따라 이에 대처하기 위한 제도적인 노력을 반영하고 있다.<BR>  정책 결정과정에 있어 ‘민주’의 원칙과 ‘집단지도체제’의 원칙이 강화(민주집중제 실시)되었다. 정책 결정을 위해 개인의 전횡이나 다수결의 원칙보다는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조정과 타협을 통해 합의에 도달하는 전통이 강화되고 있으며 이 특성은 향후에도 유지될 전망이다. 그 결과 중앙영도소조, 각종 공작회의 등 정책을 조정ㆍ협의할 수 있는 조직이 활성화되고 그 중요도가 제고되었다.<BR>  정책 결정의 참여자나 관료조직은 보다 전문화되고 있고, 참여자의 수도 대폭 확대되었으며, 정책사안의 전문화로 싱크탱크의 역할이 더욱 중요하게 되었다. 싱크 탱크들은 점차 당정의 정책에 대한 홍보 기능을 넘어서 지식의 제공자이자 정책제언자로서 기능이 강화되기 시작하여 직간접적으로 정책 결정과정에 영향력 행사하고 있다. 특히 정책결정권자에 접근성이 높아짐에 따라 그 영향력의 정도도 크게 확대되는 데 1990년대 상해국제문제연구소, 2000년대 ‘중국개혁개방논단’을 예로 들 수 있다. 대학기관과 연구자의 영향력도 점차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BR>  제도적으로 외교정책결정의 최정점에는 정치국과 정치국 상무위원회가 존재한다. 그러나 개혁 초기에 중앙 서기처, 1990년대 중반이후로는 중앙외사영도소조가 권력의 최상층에서 행정과 정책 조정의 역할을 담당하면서 실제적으로는 가장 중요한 정책 결정기구로 부각되었다. 중국 지도부는 외교정책결정과 관련하여 당, 군, 정부의 각 관련 부처나 싱크탱크 및 비공식적민 자문 등의 형태로 정책결정을 위한 정보와 제언을 청취하는 통로를 확보하고 있으며, 이 과정은 점차 제도화되고 전문화되고 있다. 일반 외교 사안은 정부(국무원)의 역할이 당보다 더 중요해지고 있다. 특히, 외교부는 외사영도소조 및 정치국 상무위원회에서 결정된 외교정책을 집행하는 역할과 동시에 외교업무 주관부처로서 정책건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한반도 외교정책 결정에 있어 외교부의 위상이 당대외연락부를 추월한 것은 부처의 전문성을 중시한 결과이기도하고, 북한과의 관계를 정상국가간의 관계로 보는 관점이 힘을 얻고 있는 것을 반영하는 것이기도 하다.<BR>  한반도 관련 정책제언 통로는 공식적으로 당, 정부, 군에 각각 존재하며 각 주요 기관들은 대부분 하부에 자체의 싱크탱크를 보유하고 있어 자료의 수집 및 정책제언 기능을 지니고 있다. 공식적인 채널이외에도 비공식적인 채널들이 존재하기는 하지만 여전히 외교부를 중심으로 한 공식적인 채널이 중요하며, 학교 연구기관보다는 당정군의 주요 연구기관의 정책적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더 크다고 평가된다. 그러나 북핵과 관련한 사안은 외교사안이자 국가안보와 관련된 사안으로서 일반 외교사안과는 달리 군부와 군부 싱크탱크, 군비통제 및 군축관련 전문가들이 정책 투입기능이 아울러 중요하다고 평가된다.<BR>  중국 외교 분야에서의 정책결정은 비교적 국가이익에 대한 합의에 도달하기 쉬운 분야로 빠른 결정이 내려질 수 있는 분야였지만, 최근 들어 대한반도 정책과 같이 주변국간의 이해관계가 복잡해지고 전문적인 지식을 요하는 사안은 정책결정에 참여하는 참여자의 수가 확대되고 정책결정의 과정도 복잡해지는 경향이 존재하고 있다. 중국 외교 및 한반도 관련 정책결정은 여전히 중국 최고 지도부의 의중이 중요하기는 하지만, 점차 제도화의 수준, 참여자의 수, 의제의 확대라는 측면에서 세계적인 추세에 맞춰 변혁이 이뤄지고 있다. 단 그 변혁의 속도와 범위가 서방측의 수준에 미치지 못하고 지체되고 있기 때문에 중국적인 정책 결정과정으로 비춰지고 있다. 이러한 특징으로 말미암아 중국의 대한반도 정책 결정과정은 제도화와 전문화 및 투명성이 점차 강화되는 추세에 있으면서도, 당분간은 여전히 소수자에 의한 정책결정, 내부 이해집단간 정책조절과 협의기능 중시, 상대적 투명성 부족이라는 중국적 특색의 정책 결정과정을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This article aims to analyze how the Chinese foreign policy toward the Korean peninsula is made by looking at China"s foreign policy-making structure, processes, and actors. Decision making in Chinese foreign policy was considered one of the easiest matters to come to an agreement where national interest could be quickly met. Recently, however, complex issues that require expertise in the field such as the policy toward the Korean peninsula brought a tendency for increasing the number of actors thus complicating the decision making process itself. Therefore, a reform movement within China to further institutionalize the decision making process and expand the scope of agendas to meet the international standards is taking place. Chinese decision-making regarding the Korean peninsula is tending toward institutionalization, specialization, and strengthened transparency, as well.<BR>  But the low speed and limited range of reform compared to the western case makes the Chinese decision making process one of a kind. The power of Chinese leadership still remains an important factor for its foreign policy-making in general. Due to this characteristic, Chinese foreign policy toward the Korean peninsula will depend upon the power of a few decision makers for now and keep its features of emphasizing the coordination of bureaucratic interests and relative lack of transparency.

      • KCI등재

        중국대외정책 전개의 새로운 조력자 -시민사회단체-

        이장원 ( Jang Won Lee ) 한중사회과학학회 2015 한중사회과학연구 Vol.13 No.1

        This paper explores the possibilities whether Chinese civil society could expand its influence on or at least be involved in China’s foreign policy decision-making process. The role and influence of Chinese civil society is still sporadic and limited in policy-making process, especially in the process of foreign policy-making and implementation. The civil society organizations that can be involved in foreign policy has been used as the actor that promote and usually complement government’s policies. In other cases, these organizations have played their roles as the medium to communicate and cooperate with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nd also as a means of China’s public diplomacy in order to respond to any criticism or hostility to government as well as to increase China’s external negotiation leverage. There are also evidences that various factors are involved in the policy-making process, such as activities of civil society under the Party-state System. Therefore, if Chinese civil society could influence the policy- making process, it is hard to exclude the possibility that Chinese civil society’s influences on foreign policy-making procedures and policy itself. Therefore, the existence and role of civil society could be considered as social variables that could gradually diversify the process of foreign policy-making and implementation in a politically closed country like China.

      • KCI등재

        근대 상해 월계축로 문제에 대한 중국 지방 당국의 대응-내지 문제를 중심으로-

        김승래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2023 사총 Vol.108 No.-

        This research’s goal is to make explanation about the reason of relative difference of the number of extra-settlement road built upon two areas, between north and west of the foreign settlement of Shanghai. The separation of Chinese and Foreigners was main policy when the British settlements were established after the Treaty of Nanking, including Shanghai. Though, after refugees from the Taiping rebellion pouring into the settlement, dividing policy of Chinese and foreigners in Shanghai could not be maintained anymore. This made Qing accept the situation and allow Chinese people to live in the settlement. However, Qing officials did not just renounce the concept of separation of Chinese and foreigners, but rather changed their concept. The original concept was to limit foreign people inside the border of foreign settlement. Rather than simply abandon this policy, the border of Shanghai prefecture(Shanghai xian)became new limit to foreigners. This change made some influential gap in this area, because local Chinese administrators allowed foreigners to live or make their own business at there, if there were no big problem. This was also possible because the investment of foreigners made economical profit in those area. In result, relatively more extra-settlement road was ‘allowed to built’ here, even though there were also many negotiations between Qing local officials and foreign representatives. In contrast, the situation totally changed after the Revolution of 1911, New officials from the new government had no such dividing policy. Furthermore, they tried to support local Chinese cities developing around the foreign settlement of Shanghai. These supported local Chinese city governments expanded their influences over the area which foreigners had already expanded over the settlement border. From there, building local government’s authority had main priority between two sides, which resulting wide disapproval of building of extra-settlement road all around the foreign settlement. 본 연구는 상해 공공조계로부터 북부에 위치한 갑북 근린 지역, 그리고 서부에 위치한 법화 지역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월계축로의 수에서 나타나는 지역별 차이에 대하여 설명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남경조약의 결과 상해를 포함한 개항장에 영국 조계가 설립되었을 때부터 청은 외국인의 통제를 위하여 화양분거 방침을 취해왔다. 그러나, 태평천국군에 의한 전란의 영향으로 상해에서 대규모의 난민이 조계 안으로 유입되었기 때문에, 상해에서 화양분거 방침의 유지는 불가능해졌다. 이에 따라 청은 중국인이 조계 내에서 외국인과 함께 거주하는 실질적인 화양잡거의 상태를 사실상 인정할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청의 관료들은 화양분거 방침을 그대로 포기하기보다는 이를 변형시켜서라도 유지하는 쪽을 택했다. 화양분거의 기본적인 개념은 외국인의 거주와 무역 등 활동을 조계 경계선 내부로 제한하는 것이었다. 조계 경계선 내에서 화양분거가 실패하자, 이 방침은 단지 경계선의 기준만을 조계 경계선에서 상해현의 경계선으로 변경하여 유지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상해현 내에서 일종의 힘의 공백을 만들었는데, 왜냐하면 청 지방 당국이 지역 내 큰 문제로 발전하지 않는 한 외국인의 상해현 내 진출을 어느 정도 묵인하였기 때문이다. 이는 외국인의 투자로 지역 내 지주나 향신층의 경제적 이익이 어느 정도 만족되었기 때문이기도 하였다. 갑북 지역과 같이 국가가 직접 개입하여 보존해야 할 이권도 없었기에, 결과적으로 상해현 내 법화 지역에서는 훨씬 용이하게 월계축로가 이루어질 수 있었다. 반면 1911년 신해혁명 이후에는 상황이 급격하게 변화하였다. 신정부의 새로운 관료들은 더 이상 화양분거와 같은 정책을 유지할 필요가 없었다. 또한 이들은 조계 인근의 중국 지방 행정 기구의 발전을 지원하고자 하였다. 특히 상해에서 갑북의 행정 기구는 외국인들이 조계 경계선을 넘어 영향력을 확대해왔던 월계로 지구로 영향 범위를 넓혀왔으며, 결과적으로 조계 측과의 필연적인 관할권 분쟁으로 이어졌다. 이는 민족주의적 의식의 확산과 함께 민간 영역에도 영향을 미쳐, 점차 조계 인근에서 새로운 월계축로 실시가 매우 어려워졌다.

      • KCI등재

        韓國語中的外來語詞

        金英姬,韓容洙 한중인문학회 2008 한중인문학연구 Vol.24 No.-

        본 논문은 한국어의 외래어에 관해 고찰했다. 한국어도 중국어와 마찬가지로 영어 등 외국어의 영향을 많이 받고 있다. 그러나 한국어는 중국어와 달리, 발음으로 음역해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고, 또한 사용하는 수량이나, 범위, 빈도로 볼 때 중국어에서 사용하는 외래어보다 훨씬 많다. 중국어의 외래어 사용에는 음과 뜻을 같이 나타나게 하려고 ‘음, 형, 뜻’을 모두 나타내려고 노력하며, 또한 최근에 와서 외래어도 ‘영어화’가 아닌 ‘한화漢化’ 즉 ‘중국어식’으로 표기 사용토록 주장하는 학자들도 많다. 즉 외래어를 사용해도 그것을 중국어 형식으로 맞춰서 혹은 변모해서 사용하자는 것이다. 이는 언어에 대한 순수성을 보전 할 뿐만 아니라, 민족 언어에 대한 애착심, 나아가서 민족이나 나라에 대한 애정과도 연결 지을 수 있는 것으로 여긴다. 따라서 외래어의 사용유형과 외래어 번역에 있어서의 문제점, 나가서 현재 한국인들이 많이 사용하고 있는 점들을 예로 들어봤다. 외래어 사용유형으로 볼 때 한국어의 외래어는 이미 한국 사람들의 일상생활에 깊이 침투하고 있으며, 외래어가 없다면, 아마 일상생활의 많은 물건을 부를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한국어는 중국어와 달리 여러 외래어에 한국어를 혼용하는 특이한 현상이 있을 뿐만 아니라, 한국어와 외래어를 병행해서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이는 한국어가 현재 극변하고 있다는 것을 암시해 주고 있다. 이렇게 순 한국어와 외래어를 혼용해서 사용하는 현상은 궁극적으로 외래어사용으로 이어지기 마련이다. 계속 이렇게 나간다면 민족 언어의 자취가 점차 사라지지 않을까 우려된다. 이렇게 외래어의 사용은 직접적으로 한 사회의 문화를 가장 잘 나타내 주는 영화나 책 등으로 연결된다. 최근 한국영화가 세계적인 대상을 수상하면서, 한국영화는 한국이나 중국을 포함한 세계에 널리 알려졌다. 따라서 영화의 제목을 외국어나 영어자모로 명명하는 경우가 점차 많아진다. 또한 최근 유명 작가들의 책의 제목도 한 눈에 그 뜻을 알아보기 힘든 단어를 사용하여 이름을 부여하는 경우도 많다. 1992년 한국과 중국 두 나라가 수교하면서, 중국과의 왕래와 교류가 대폭 증가하고, 중국어도 영어 못지않게 한국어에 영향을 끼치게 되리라고 생각된다. 중국이 면적이 크고, 인구가 많기 때문에, 지명이나 인명을 한국어로 표기해도 엄청난 단어가 늘어날 것으로 본다. 그 밖에 중국 고유의 음식과 같은 명사를 한국어로 다 표기하자면, 알게 모르게 한국어도 중국어 영향을 받게 될 것이다. 물론 아직은 그렇게 큰 영향을 끼치지 않았지만, 표기에 있어서 아무 문제가 없다고는 볼 수 없다. 필자의 의견은 이런 문제들에 대하여 다른 부분이 있다면 통일된 언어사용을 위해 정부 관계부문에서 일정한 규정을 마련해야 한다고 생각된다. 즉 외래어를 어떤 규칙이나 규범을 따라 선별해서 사용해야지, 마구 사용하게 되면 혼란만 초래하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외래어의 표기에 있어서 음역만 택하지 말고, 의역도 같이 병행해서 사용하는 것이 좋겠다고 본다. 물론 이런 일은 어렵겠지만 다수의 사람들이 쉽게 사용할 언어의 기준을 마련한다면 생활이 더 편리해지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외래어를 사용함에 있어서, 한국어의 어휘를 풍부하게 하는 장점도 있으나, 너무 외래어를 무차별적으로 받아들여 쓰면, 언어의 순수성을 잃어버릴 뿐만 아니라, 한국어의 힘도 점차 없어지지 않을까 우려된다. 외래어를 음역해서 사용하거나, 의역해서 사용하거나, 아니면 음역과 의역을 같이 사용하든, 모두 어떤 규제나 규정을 따라 사용해야 하며, 이런 기본적인 틀을 국립국어원과 같은 기관에서 잘 마련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observed the usage of foreign words in Korean. Like Chinese and other languages, Korean is also affected by foreign language, especially English. But compared with Chinese, Korean is using much moor foreign words than Chinese. When Chinese import foreign words, they are used to change the “sound, form and meaning” almost completely into Chinese, but when Korean uses foreign words, they’d like to use it only by sound-translation. So the imported foreign words in Chinese usually have some features of Chinese. While in Korean, these imported words use the same pronunciation of the original sound, they are only expressed by the Korean characters. So when we listen to these words, they are still having the similar pronunciation of the original foreign sound. My opinion is that Korean should have some rules in using foreign words. Korean should not import the foreign words only by sound-translation; they should change them into somewhat Korean style words. These rules should be made by the organization like The National Academy of Korean Language. At the same time, these rules should be known by all of those who work in the field of language. Next, I categories these imported Korean words by some language features. Korean language has some unique features in making words. E.g., the character of “cattle” in Korean use some words like ‘cattle’, ‘milk’, ‘cattle+milk’, ‘cow’, when referring the animal ‘cattle’, Korean use ‘쇠, 소 means cattle’, when referring to the traditional Korean food, it used as ‘cattle tail boiling soup’, when referring to the milk, it used as “cattle milk”, when they referring to the cowboys, Korean say the sound of ‘cowboys’ but in Korean character. So Korean could use the words like ‘cattle, milk, cow’ to express the meaning concerning with ‘cattle’. While in Chinese, it is expressed only by the word of “牛 (cattle)”. It means in expressing the meaning of ‘cattle’, Korean has its original words of “쇠, 소”, and words from Chinese ‘牛 ‘, and from English like “cow, cattle’ etc. Because Korean familiar with the using of foreign words, the movies and some title of books are also like to use foreign words to name them. E.g., the names of movies like “The old boy”, “DMZ”, “The war” and some title of books like “The Executants”. Of course they use the sound of these words. So if the audiences or readers are not familiar with English, they could not know the exact meaning of the title. Another problem is the translation of the Chinese geographical names and the names of Chinese. Should they be expressed by the sound or translated word-by-word into Korean? Although it is problem of the Korean habits, it should be translated by some rules. Otherwise, it will be confused because there are too many places and too many names. Anyway, I prefer that when importing foreign words, they should not be used directly; they should be translated and changed to some words which are meeting with the Korean language features.

      • KCI등재

        중국 외교정책 생산기제와 싱크탱크 -조어도 문제를 중심으로

        양갑용 ( Gab Yong Yang )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연구소 2011 中國硏究 Vol.52 No.-

        This article is focused on china`s policy-making mechanism toward a diaoyudao(釣魚島)issue. Through this issue, I really want to know what is policy-making mechanism and how to form networks. The style of chinese policy decision gradually is changing. Besides the actors and mechanisms involved in chinese foreign policy-making are also increasing. The role of government official and think tank towards the china`s foreign policy more and more are also increasing. The role and functions of ministry of Foreign Affairs is changing. In relation to diaoyudao issue, the influence of the military is generally related to recognization of the nature of diaoyudao issue. Through depth interviews and documentary materials, I basically described basic policy-making mechanism and role on the diaoyudao issu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