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Improvement of China’s Climate Change law and policy under Paris Agreement

        Tan Haili,Kim, Han-Taek(김한택)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2019 江原法學 Vol.58 No.-

        전 세계 기후 거버넌스는 거의 30년 동안 지속되었으며, 국제 사회는 UNFCCC(유엔기후변화협약)와 “교토 의정서”라는 두 가지 주요 문서를 점차 구속력 있는 법제로 설정했다. 2020년 이후 세계 기후 변화 거버넌스에 대한 지침이라 할 수 있는 파리 협정은 2016년 11월 4일 발효되었으며, 이는 중국에 대한 새로운 도전과 기회가 될 것이다. 이 논문는 중국 기후 거버넌스의 짧은 역사에 대한 개요를 시작으로, 주로 “교토”모델을 “파리”모델로 변경한 파리 협정의 최신 주요 성과를 설명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새로운 규정에 기초하여 개발도상국인 중국은 유엔에 중국의 "독립적 기여”를 제출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파리협정에 따라 의무를 이행하기 위해 중국도 관련 정책과 법률을 제정했다. 그러나 중국의 기후 거버넌스에 대한 정책과 법제는 여전히 완벽하지 않으며 파리 협정에 따른 의무를 이행하기 위한 보조 메커니즘과 보증 메커니즘에 많은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일부 정책과 법적 제안이 제시된다. 예를 들어, 기본법으로서 기후 변화에 관한 법률이 있어야하며, 특정 문제에 대해 관련 정책과 법규를 개선하여야 하고, 기후 변화 등을 다루기 위해 합리적이고 완벽한 정책과 법률 시스템을 형성해야하는 것이다. 국제 기후 거버넌스는 현재 시급성을 지니며, 기후 변화는 매우 심각한 상황에 이렀다. 각국에 대한 광범위한 심층적인 협력과 적극적인 참여를 필요로 하고 있다. 따라서 최대 개발도상국인 중국은 기후 거버넌스에 대한 노력을 아끼지 않고 있으며, 국제 기후 거버넌스에 기여하는 관련 정책과 법률을 적극적으로 개선하고 있다. Global climate governance has gone through nearly 30 years, and the international community has gradually set up a legally binding system, which are mainly two landmark documents, the 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UNFCCC) and the “Kyoto Protocol”. On November 4th, 2016, the groundbreaking Paris Agreement came into force which will serve as a guide to global climate change governance after 2020, and also a new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to China. The article begins with a systematic overview of the short history of Chinese climate governance, and then states the latest important achievements of the Paris Agreement, which mainly are changing the “Kyoto” model to “Paris” model. Moreover, based on these new regulations, China as a developing country, has played a key role to submitted China’s “independent contribution” to UN. In order to fulfill its obligations under the Paris Agreement, China also has formulated relevant policies and laws. However, the policies and legal system for climate governance in China is still not perfect and many shortcomings in the supporting mechanisms and guarantee mechanisms to fulfill its obligations under the Paris Agreement. Accordingly, some policies and legal suggestions are put forward. For instance, there must be a Law on Climate Change as a basic law, and then relevant policies and legislations should be improved for specific problems, and forming a more reasonable and perfect Policy and legal system to address climate change etc. International climate governance is urgent now, and climate change has reached a very serious situation. It requires extensive and in-depth collaboration and active participation to each countries. Therefore, China as the largest developing country has spared no efforts on climate governance, and actively improve the relevant policies and laws contributing to international climate governance.

      • KCI등재후보

        포스트 교토체제 대응을 위한 중국의 기후정책과 미중관계

        원동욱 대한중국학회 2012 중국학 Vol.43 No.-

        본 논문은 ‘교토의정서’의 실행계획이 완료되는 2012년 이후, 선진국과 개도국 모두를 아우르는 포스트 교토체제의 도래에 대응하는 중국의 기후정책과 새로운 글로벌 기후거버넌스체제로서 제기되고 있는 G2 구도를 둘러싼 미중 양국간의 논의를 다루고 있다. 이를 위해 우선 포스트 교토체제의 실질과 향방에 대한 논의를 기초로, 이에 대응하여 핵심적 행위자로 등장하고 있는 중국이 국내외 차원에서 어떠한 정책적 방안들을 모색하고 있으며, 이를 토대로 국제사회의 온실가스 감축의무 압력에 어떻게 대응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포스트 교토체제와 관련한 핵심 당사자로서 미중 양국의 협력과 갈등구도에 대해서 고찰하고, 나아가 새로운 글로벌 기후거버넌스 체제로서 G2의 가능성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중국은 자발적 감축목표의 설정은 물론이고 저탄소경제로의 전환을 위한 노력을 진행하면서도, 다른 한편 2020년 이전까지는 ‘공동의 그러나 차별화된 책임’원칙의 고수를 통해 국제기후담판에서 미국 등 선진국의 압력에 대응하는 정책적 기조를 보이고 있다. 또한 중국은 미국이 의도하는 G2 개념의 기후거버넌스로의 확산, 즉 기후변화에 대한 글로벌 거버넌스체제로서 G2 개념에 대한 소극적, 부정적 태도 및 입장을 드러내면서도, 다른 한편으로 기후문제와 관련한 미국과의 양자간 협력의 기회를 적극 활용함으로써 신재생에너지 개발 및 온실가스 감축 관련 기술 습득 등 내부적 역량구축 및 실리확보에 주력하고 있다. This paper focuses on the debate between China and the United States regarding China’s new climate change policy following the expiration of the Kyoto Climate Change Protocol in 2012 and the new global climate governance framework in the Post-Kyoto era. By first presenting possible discourses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hat will ensue in the post-Kyoto era, this paper further discusses the policies being introduced in China as well as its response to the international community’s pressure to cut carbon emissions. This paper further analyzes the conflict and cooperation between China and the United States on climate change issues, and weighs the possibilities for a successful global architecture to arise with the evolution of a G2 era. According to this analysis, China is aiming for a significant reduction in carbon emissions and is slowly switching to a low-carbon economy. At the same time, however, Beijing denounces the international community’s pressure for it to adopt mandatory emissions reduction and calls for “common but differentiated responsibility” to reduce carbon emissions by 2020. Although China disapproves the idea of a G2 governance system as pushed by the United States, it seeks to utilize climate change issues as an instrument to ensure talks with the United States and acquire technologies regarding renewable energy production and carbon reduction.

      • KCI등재

        Improvement of China’s Climate Change law and policy under Paris Agreement

        담해력,김한택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2019 江原法學 Vol.58 No.-

        Global climate governance has gone through nearly 30 years, and the international community has gradually set up a legally binding system, which are mainly two landmark documents, the 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UNFCCC) and the “Kyoto Protocol”. On November 4th, 2016, the groundbreaking Paris Agreement came into force which will serve as a guide to global climate change governance after 2020, and also a new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to China. The article begins with a systematic overview of the short history of Chinese climate governance, and then states the latest important achievements of the Paris Agreement, which mainly are changing the “Kyoto” model to “Paris” model. Moreover, based on these new regulations, China as a developing country, has played a key role to submitted China’s “independent contribution” to UN. In order to fulfill its obligations under the Paris Agreement, China also has formulated relevant policies and laws. However, the policies and legal system for climate governance in China is still not perfect and many shortcomings in the supporting mechanisms and guarantee mechanisms to fulfill its obligations under the Paris Agreement. Accordingly, some policies and legal suggestions are put forward. For instance, there must be a Law on Climate Change as a basic law, and then relevant policies and legislations should be improved for specific problems, and forming a more reasonable and perfect Policy and legal system to address climate change etc. International climate governance is urgent now, and climate change has reached a very serious situation. It requires extensive and in-depth collaboration and active participation to each countries. Therefore, China as the largest developing country has spared no efforts on climate governance, and actively improve the relevant policies and laws contributing to international climate governance.

      • KCI등재

        A Study on the Chinese Green Policy and Its Purpose of Economy and Social Development

        Xuming Qian,Kyung-Whan Shin 중앙대학교 한국전자무역연구소 2011 전자무역연구 Vol.9 No.4

        중국의 경제규모는 꾸준히 증가하여 현재 중국은 미국과 함께 G2 국가로 인정받고 있다. 이처럼 중국이 국제사회에서 가지는 위상이 높아짐에 따라 기후변화대응을 위한 국제적인 노력에서 중국의 역할에 대한 논의가 점차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중국은 세계에서 가장 많은 인구를 가지고 있으며 경제발전으로 인한 소비는 지속적으로 높아질 예상이다. 따라서 중국에서 저탄소 경제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중국은 이미 재생에너지 분야 중 태양열, 풍력, 수력발전 등에서 국제적인 규모와 기술적 경쟁력을 가지고 있다. 중국은 발전국가 형태의 경제발전을 추진하고 있기 때문에 중국정부의 녹색성장정책에 대해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중국의 정책적인 녹색산업발전과 이에 따른 녹색시장의 성장은 중국과 인접한 한국기업에게도 매우 큰 기회를 부여할 것이다. 녹색성장정책의 단계별 발전 과정을 분석하고 녹색시장의 변화를 분석하는 것은 향후 한국기업의 중국진출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China already has grown to become one of the largest economic power in the world. With an China’s international status as G2, China’s responsibility for responding to climate change, one of the biggest issues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s also critical. China has world’s largest population, it is huge challenge to settle low-carbon economy in China. China’s green energy, such as solar power, wind power, water power, already has sufficient competitive advantage in size and technology. China takes ‘developmental state model’ for its long term economic strategy.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government’s policy concerning green economy in order to predict the future of China’s economy. China’s effort to develop their green industry provides great chance for Korean enterprises to take advantage of Chinese newly expanded green markets. It is important to monitor market trend of China and changes of China’s policies on green development.

      • KCI등재

        중국의 기후변화 외교: 미·중 협력을 중심으로

        오경택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2014 중소연구 Vol.38 No.1

        The bilateral climate cooperation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Chinahas been developed in the areas such as energy efficiency, renewable energy, smart grid, vehicles emissions control, and clean air. Thiscooperation has been under taken at the annual U.S.-China Strategic andEconomic Dialogue meetings and nongovernmental exchanges. Despite theofficial opposition against the binding reduction of the greenhouse gases in the international climate negotiations, China has pursued domestic actions for reducing greenhouse gas emissions, expanding renewable energy, and improving energy efficiency. So, the bilateral cooperation with the United States is associated with this domestic policy. Three main concerns drivethe domestic climate policy: energy security, economic benefit, and environmental concerns. Because China’s recent position change at the Durban COP in 2011 also seems to be based on this domestic policy, we can assume that it could have consistency at the international negotiations. 미국과 중국 양자 간의 기후변화 협력은 에너지 효율성 개선, 신재생에너지 사용확대, 전력망의 현대화, 차량 탄소배출 저감, 청정에너지 기술의 공동 연구개발,대기정화 등의 분야에 대한 협력을 내용으로 한다. 이와 같은 협력은 양국 간 매년개최되는 최고위회담과 비정부 부문의 협력으로 지속되고 있다. 중국이 글로벌 기후협상에서 구속력을 지닌 온실가스 감축약속에 반대하거나 미온적인 데에도 불구하고 미국과의 양자 협력을 추진하고 있는 이유는 중국의 국내적 기후변화 에너지 정책에서 그 연계성을 찾을 수 있다. 중국은 에너지안보의 강화, 경제적 이득의고려, 기후변화 및 대기오염에 대한 우려에서 이미 국내적으로는 적어도 2000대중반 이후 온실가스 감축, 에너지 효율성 개선, 신재생에너지 확대 등의 정책을적극적으로 추진해 왔다. 이와 같은 추세는 향후에도 강화될 것이며 미국과의 양자협력도 이러한 맥락에서 진행되는 것이다. 2011년 중국이 더반 당사국총회에서보여준 새로운 입장도 그와 같은 국내 정책의 연계선 상에서 표현된 것이므로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유지될 것으로 전망한다.

      • KCI등재

        중국의 기후변화 외교: 미,중 협력을 중심으로

        오경택(Kyung Taek Oh)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2014 중소연구 Vol.38 No.1

        The bilateral climate cooperation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Chinahas been developed in the areas such as energy efficiency, renewable energy, smart grid, vehicles emissions control, and clean air. Thiscooperation has been undertaken at the annual U.S.-China Strategic andEconomic Dialogue meetings and nongovernmental exchanges. Despite theofficial opposition against the binding reduction of the greenhouse gases in the international climate negotiations, China has pursued domestic actions for reducing greenhouse gas emissions, expanding renewable energy, and improving energy efficiency. So, the bilateral cooperation with the United States is associated with this domestic policy. Three main concerns drivethe domestic climate policy: energy security, economic benefit, and environmental concerns. Because China’s recent position change at the Durban COP in 2011 also seems to be based on this domestic policy, we can assume that it could have consistency at the international negotiations.

      • KCI등재

        중국 권위주의적 환경주의 모델 비판: 중국의 기후변화와 환경 거버넌스의 한계

        이재영 중국학연구회 2018 중국학연구 Vol.- No.85

        이 논문의 목적은 중국의 권위주의적 환경주의 모델에서 정책투입의 실제 성과를 지속 가능할 수 없게 만드는 요인을 설명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중국 정부가 기후변화에 대해 신속하고 종합적인 반응을 시행하는데도 불구하고 2018년 상반기 이산화탄소 배출량 증가율은 오히려 상승하는 기대하지 않았던 결과가 나오는 이유를 해명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권위주의적 환경주의 모델의 정책 투입에서 실제 결과로 가는 과정에서 어떤 일반화된 문제가 발생했을 때 기대했던 성과로 귀결되지 못하도록 만드는지를 규명하는데 초점을 맞출 것이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은 중국 권위주의적 환경주의 모델이 중앙-지방 관계, 지방-지방 관계와 국가-사회관계에서 인식론적 문제와 권력 구조 불평등에 직면할 때 실제 기대했던 결과를 얻지 못한다고 주장할 것이다. 이러한 문제의 대표적인 사례는 인식론적 문제의 경우 지방 정부의 통계 산정 오류 및 조작, 중앙과 지방 부처들 사이의 정책 조율 실패 및 정책 간 정합성 불일치 문제를 포함하고, 국가-사회 관계에서 기업과 사회 참여의 한계, 중앙-지방 관계에서 캠페인식 정책 집행, 그리고 지방-지방 관계에서 지역별 격차 심화와 탄소 누출 등의 다양한 사례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ain the factors that make the actual outcomes of climate change policy inputs unsustainable in China's authoritarian environmentalism model. Specifically, it explains why the unexpected results of the rapidly increased carbon dioxide emissions happened in the first half of 2018, despite the rapid and comprehensive response to climate change by the Chinese government. Therefore, this paper examines whether the inputs of a fast and comprehensive policy response cannot result in actual outcomes when some generalized problems arise in the authoritarian environmentalism model. In conclusion, this paper argues that the Chinese authoritarian environmentalism model does not achieve the expected results when confronted with epistemological problems and power structure inequality in the central-local, inter-jurisdictional and state-society relations. The main examples of these limitations include problems of local governments' information manipulation, policy coordination failure between central and local bureaucracies, inconsistency between various policy goals in terms of epistemological problems, and limitations of corporate and social participation in state-society relations, campaign-style policy enforcement in central-local relations, increased regional gap and carbon leakage in terms of inter-jurisdictional relations.

      • KCI등재

        파리협정 이후 중국 기후변화 거버넌스의 발전요인:중국 지방 관료의 정치․재정적 인센티브 강화를 중심으로

        이재영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2018 중소연구 Vol.42 No.2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led to the early achievement of the official goal of the Chinese government by cutting carbon emissions per unit of GDP by 46% in 2017 compared to the level in 2005. The original goal was to reduce by 40~45% until 2020. In addition to the effects of the low economic growth rate and the economic development model transition in China before and after the Paris Agreement, China’s climate change governance, in which various actors participated in dealing with climate change-related disasters or calamity under the central government's leadership, played crucial role on the local government’s response to climate change. The various local climate change experiments have been promoted through the strengthened climate change performance evaluation for local officials and the expansion of government budget allocation for climate change related projects. In other words, the political and financial incentives for the Chinese local bureaucracies have been enhanced, so that the relative reduction goal of the carbon emissions can be achieved earlier than expected. In conclusion, the development of Chinese climate change governance through the performance evaluation and fiscal allocation tools has promoted the Chinese government’s various climate change actions and support activities since the Paris Agreement. 이 논문의 목적은 2009년 중국 정부가 국제사회에 약속했던 2020년까지 2005년 수준보다 단위 GDP 당 탄소배출량을 40~45% 줄이겠다는 목표를 2017년 46% 감축으로 조기에 달성할 수 있었던 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그 원인은 파리협정 전후로 중국의 낮은 경제성장률과 경제발전 모델 전환 효과와 더불어 중앙정부를 중심으로 다양한 행위자들이 기후변화 대응에 참여하는 중국의 기후변화 거버넌스가 발전함으로써 지방정부의 실험과 혁신이 목표 달성에 크게 공헌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거버넌스에서 핵심이 되는 요소가 바로 지방정부의 기후변화 대응 실험이다. 이 실험을 가능하게 만들었던 요인은 지방 간부들에 대한 기후변화 성과 평가가 강화되고, 기후변화 관련 사업의 정부 예산 배정이 확대되었기 때문이다. 즉 중국 지방 관료에 대한 정치적․재정적 인센티브가 강화되었기 때문에 탄소 강도의 상대적인 목표를 2017년 조기에 달성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중국 기후변화 거버넌스의 이러한 발전으로 파리협정 이래 중국의 다양한 기후변화 행동과 지원 활동도 강화되었다.

      • KCI등재

        Green Foreigners in China : Transnational Climate Cooperation and Domestic Constraints

        신상범(Sangbum SHIN)(辛相範) 신아시아연구소(구 신아세아질서연구회) 2014 신아세아 Vol.21 No.3

        현재 지구기후변화정치는 1997년에 설립된 교토체제가 사실상 붕괴되면서 일대 전환기를 맞이하고 있다. 주권 국가들의 공약을 바탕으로 하는 기존 레짐 중심의 지구환경협력의 효과성은 크게 저하된 반면 다양한 층위에서 다양한 행위자들의 완화(mitigation) 및 적응(adaptation) 정책들이 시도되고 있다. 학자들은 이러한 과도기적 현상을 regime complex 혹은 polycentric governance 라고 칭하기도 한다. 이 논문은 이러한 지구기후변화정치의 역동성과 다층위성을 보다 면밀히 파악하기 위해 북경이라는 한 도시를 선택하여 그 도시 내에서 외국의 행위자들과 국내 행위자들이 어떤 분야에서 어떤 방식으로 기후변화정책을 위해 협력하고 있는지를 경험적으로 보여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논문은 북경에서 거주하고 있으면서 중국의 기후변화정책에 관여하고 있는 외부(외국) 행위자들을 (1) 대사관 및 정부 기관 (2) 환경비정부조직과 같은 옹호 단체 (3) 연구 기관이나 싱크탱크 (4) 기업 관련 단체 (5) 국제기구의 북경사무소 등의 다섯 범주로 분류하고 이에 덧붙여 이들간의 연결 역할을 하는 장터 조직(platform organization)까지 포함하여 이 여섯 범주의 행위자들의 활동을 소개한다. 이 논문은 이들의 활동이 단순히 보여주기 식이 아니라 실질적인 효과를 내고 있으며 특히 연구 프로젝트 및 시범사업, 재정 지원, 환경 의식 재고 등의 면에서 기여가 있음을 밝힌다. 그러나 이와 동시에 이들과 중국 정부와의 협력이 보다 효과적이기 위해서는 중국 정부 특히 국가발전개혁위원회가 이들의 재정적 지원들을 보다 체계적이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배분하여야 하고, 지방정부들이 이들의 프로젝트나 시범사업을 실질적으로 주도할 수 있을 정도의 자율성을 가져야 하며, 보다 효과적인 민관협력(public-private partnership)을 위해 중국 정부가 국내환경단체들에게 보다 큰 자율성을 부여해야 할 것 등을 제안한다. How can we understand the multifaceted nature of transnational climate cooperation? What sort of climate cooperation is occurring among which actors and in what dimension? This article presents a case of transnational climate cooperation between domestic and international actors in Beijing, China. It identifies major foreign government organizations, advocacy groups, think tank and research institutes, service providers and business organizations,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s working in Beijing to affect China’s climate change policies, analyzes their functions, and identifies domestic factors that affect their activities. If finds that climate cooperation between foreigners and the Chinese government has been substantial and the activities of green foreigners play a significant role in China’s climate policies. However, constraints such as the government's control of foreign projects, highly centralized environmental governance, and lack of civil society should be addressed for more effective coope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