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예비보육교사의 적성이 보육실습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박은주 한국보육학회 2016 한국보육학회지 Vol.1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prospective child care teachers’aptitude on child care and teaching practice stress along the general factor of prospective child care teacher difference aptitude and child care and teacher practice stress, investigating between aptitude of prospective child care teachers and child care and teacher practice stress. For the purpose, this study targeted a total 380 child care teacher education institution, college, university students living in Gwang-ju. It was composed of a total of 358 questionnaires and the data analyzing method was the statistics program SPSS 18.0. First aptitude was different: along the age, institute and child care and teaching practice stress. Second, aptitude of prospective child care teachers and child care and teaching practice stress was negative correlation. Third, the result of effect of prospective child care teachers’aptitude on child care and teaching practice stress, prospective child care teachers is the more creativity and self development, the higher sociability of infants, the lower safety control ability of infants, the higher vocation of work, the obtainer of positive mood found to low child care and teaching practice stress. Finally, training institution of child care teacher and universities need to reduce child care and teaching practice stress.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보육교사의 일반적 변인에 따른 적성 및 보육실습 스트레스의 차이를 알아보고, 예비보육교사의 적성과 보육실습 스트레스의 관계를 알아보며, 예비보육교사의 적성이 보육실습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데 있다. 광주광역시 소재하고 있는 보육교사 교육원, 전문대, 대학교에 재학 중인 예비보육교사 38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SPSS 18.0을 이용하여 358부를 통계 처리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연령과 재학 중인 기관에 따라 적성은 차이를 보였고, 보육실습 스트레스도 차이를 보였다. 둘째, 예비보육교사의 적성과 보육실습 스트레스는 부적으로 보통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적성 하위요인 중 영 ․ 유아에 대한 친화력이 보육실습 스트레스와 부적으로 가장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예비보육교사의 적성이 보육실습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예비보육교사가 창의성과 자기개발을 할수록, 영 ․ 유아에 대한 친화력이 높을수록, 영 ․ 유아에 대한 안전관리 능력이 낮을수록, 업무에 대한 소명감이 높을수록, 긍정적 정서를 가질수록 보육실습 스트레스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보육교사를 양성하는 기관이나 관련 대학에서는 예비보육교사의 적성, 보육실습 스트레스와 관련된 이론적 지식뿐만 아니라, 현장에서 실제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현실적이고 구체화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궁극적으로 보육실습 스트레스를 줄일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예비보육교사의 적성이 보육실습 스트레스 대처방안에 미치는 영향

        박은주 ( Park Eun Ju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7 인문사회 21 Vol.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보육교사의 적성과 보육실습 스트레스 대처방안의 관계를 알아보며, 예비보육교사의 적성이 보육실습 스트레스 대처방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데 있다. 광주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보육교사 교육원, 전문대, 대학교에 재학 중인 예비보육교사 38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SPSS 21.0을 이용하여 358부를 통계 처리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예비보육교사의 적성과 보육실습 스트레스 대처방안은 정적으로 보통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예비보육교사의 적성의 하위요인 중 창의성과 자기개발이 보육실습 스트레스 대처방안과 정적으로 가장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예비보육교사의 적성은 보육실습 스트레스 대처방안의 하위요인 중 문제해결중심과 높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예비보육교사의 적성이 보육실습 스트레스 대처방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예비보육교사가 대인관계 능력이 높고, 창의성과 자기개발을 하고, 업무에 대한 소명감이 적을수록 보육실습 스트레스 대처방안을 잘 모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보육교사를 양성하는 기관이나 관련 대학에서는 예비보육교사의 적성, 보육실습 스트레스 대처방안과 관련된 이론적 지식뿐만 아니라, 현장에서 실제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현실적이고 구체화된 보육실습 스트레스 대처방안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예비보육교사가 보육실습 스트레스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aptitude of prospective child care teachers and coping strategies of child care practitioners and to understand the effect of prospective teacher aptitudes on coping strategies of child care practitioners. For the purpose, this study targeted a total 380 child care teacher education institution, college, university students living in Gwang-ju. The data needed for this study was obtained by the questionnaires with 358 questions. The data analyzing method were statistics program SPSS 21.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ptitude of prospective child care teachers and the countermeasures of stress in child care practice showed a normally positive correlation. In addition, creativity and self-development among the sub-factors of aptitude of prospective child care teachers showed the most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measures to cope with the stress of child care, and aptitude of prospective child care teachers showed a high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problem solving center among the sub-factors of the child care practice stress coping strategies.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s of prospective child care teacher`s aptitude on coping strategies of child care practitioners` stress, it is found that prospective child care teacher has higher interpersonal abilities, more creativity and self-development, and less job-related feeling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realistic and practical program for coping with the stress of child care practicum, which can be practically applied in the field, as well as the theoretical knowledge related to the appropriateness of prospective child care teacher. Ultimately, it is necessary to ensure that prospective child care teachers are able to cope with child care and teaching practice stress.

      • KCI등재

        보육교사의 적성과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김학선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2014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Vol.18 No.3

        이 연구는 인천광역시에 소재한 어린이집에서 근무하는 보육교사 2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하여 210명의 보육교사의 적성과 직무만족도를 알아보고 적성과 직무만족도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자료는 SPSS WIN 20.0을 이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 일원변량분석, Pearson 상관관계 분석, 단계적 투입방식의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첫째, 보육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적성의 차이는 근무기관 유형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경력과 학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직무만족도와의 관계에서는 근무기관 유형에 따른 직무만족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적성과 직무만족도에 대한 상관관계 분석결과 정적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보육교사의 적성과 직무만족도에 대하여 단계적 투입방식으로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직무만족에 대한 보육교사 적성 하위요인에 대한 중요도에서 영유아에 대한 친화력, 대인관계능력, 업무에 대한 소명감 순으로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을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보육교사의 적성은 직무만족과 관계가 있으며, 특히 보육교사의 경우 직업 선택 시 적성을 고려해야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of child care teacher's aptitude and job satisfaction through 210 people child care teachers working the child care center in Incheon. All the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WIN 20.0.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calculating the mean and the standard deviation, one-way analysis of variance, Person's productive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by-step input metho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difference between the teacher's aptitude consequences background variables is significant by type of work organizations. but the difference between the teacher's aptitude consequences background variables not is significant by academic ability and work experience. the difference between the teacher's job satisfaction consequences background variables is significant by type of work organizations. Second, correlation analysis result for child care teacher's aptitude and job satisfaction showed a positive relationship. Last, correlation analysis result for child care teacher's aptitude and job satisfaction showed a positive relationship, and step-by-step input metho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 importance aptitude sub factor of child care teacher's for job satisfaction sociability for infants and toddlers, ability of interpersonal relation, call for work the order of greater affected.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that the aptitude for child care teacher related to the job satisfaction. In the case of child care teachers consider to aptitude when choosing a career.

      • KCI등재

        보육교사적성이 보육실습 스트레스 대처에 미치는 영향

        박세정(Park, Se-Jeong),배문조(Bae, Moon-Jo) 한국산학기술학회 2015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6 No.8

        본 연구는 최근 보육교사에 대한 자질 및 적성이 재논의 되고 보육실습생의 실습관련도 재평가의 필요성이 제기됨에 따라 보육실습생의 보육교사적성이 보육실습스트레스 및 스트레스대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보육실습생 268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한 결과, 첫째, 보육실습스트레스와 스트레스대처는 학년에 따른 차이만 보였다. 둘째, 보육교사적성의 하위변인 중 영유아에 대한 친화력이 낮을수록 어린이집원장 및 지도교사와의 관계에서 스트레스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사적성 하위요인 가운데 창의성과 자기개발, 적극성, 긍정성이 높을수록 보육실습스트레스에 잘 대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ptitude of child care teacher of child care trainees on the stress of child care practice and management of stress as quality and aptitude of child care teachers are being discussed and necessity of revaluation on teaching practice of child care trainees are being brought up recently. First, as a result of collecting data from 268 child care trainees, stress of child care and teaching practice and stress management showed difference between grades. Secondly, among lower factors of aptitude of child care teachers, it was identified that stress is higher in a relationship between child care center director and guidance teachers when sociability with infants is lower. Thirdly, it was identified that teachers can cope with stress of child care and teaching practice when they have higher creativity, self-development, activeness, and positiveness among lower factors of aptitude of child care teachers.

      • 예비보육교사의 진로선택 관련 변인에 대한 연구

        김정민 ( Kim Jung Min ) 대구가톨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8 사회과학논총 Vol.17 No.-

        이 연구는 예비보육교사 진로선택 관련 요인을 살펴보고자, 전국 소재 4년제 대학의 아동 및 보육관련 학과에 재학 중이며 보육실습 과목을 이수한 3, 4학년 352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프로그램에서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Pearson 적률 상관계수, 중다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처리되었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예비보육교사의 진로선택은 전공만족도, 보육실습 만족, 적성과 서로 정적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공만족도와 보육실습 만족도 및 적성 간에도 유의한 정적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예비보육교사의 진로선택 관련 변인 중 전공만족도와 보육실습만족도는 진로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적성의 영향력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예비보육교사들의 보육교사 진로선택에 있어서 전공 및 보육실습에 대한 만족이 중요한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학부과정을 통해 보육교사 자격증 취득이 가능한 아동 및 보육관련 학과에서 학생들의 진로 및 취업을 지도하는데 있어서 유용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goals of the present study were to examine related variables of pre-service teachers’ career choice. The subjects consisted of 352 pre-service teachers majoring in child or child care studi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Pre-service teachers’ major satisfaction, child care practice satisfaction, and aptitude as child care teacher were related to their career choice. Their child care practice satisfaction and aptitude as child care teacher were related to major satisfaction. Their child care practice satisfaction was related to aptitude as child care teacher. Also pre-service teachers’ major satisfaction and child care practice satisfaction predicted their career choice. Pre-service teachers’ aptitude as child care teacher was not significant factor in their career choice. Discussion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addressed.

      • KCI등재

        예비보육교사의 아동학대 인식 관련 변인에 관한 연구

        공유경,이영화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2019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Vol.30 No.2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s among preliminary child care teachers’ perception of child abus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self-esteem, teaching professionalism recognition, and teaching aptitude. The subjects were 305 preliminary child care teachers in Busan and Kyeung-Nam.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a frequency, t-test, F-test,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from this were as follows. First, the preliminary child care teachers’ perception of child abuse was higher than the intermediate score.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reliminary child care teachers’ perception of child abuse with respect to the teacher’s grade and school type. In other words, teachers who were 3-4th grade, and in a university were found to have higher perception of child abuse. Finally the preliminary child care teachers’ perception of child abuse correlated with self-esteem, teaching professionalism recognition, and teaching aptitude. Of these, teaching aptitude had the greatest effects on the teachers’ perception of child abuse. Overall, this study provides information to help prevent child abuse in child care centers.

      • KCI등재

        예비보육교사의 보육교사적성이 교사전문성인식과 보육효능감 및 다문화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배문조(Moon-Jo Bae),박세정(Se-Jeong Park) 한국콘텐츠학회 201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3 No.9

        예비보육교사의 보육교사적성을 파악하고 보육교사적성이 교사전문성인식과 보육효능감 및 다문화교수 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본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보육교사적성 중 영유아에 대한 친화력에서 남녀 차이가 있음이 밝혀졌으나 다른 영역에서 차이가 없음을 보여 보육교사의 성보다는 보육교사직에 대한 소망과 자질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또한 보육교사적성 중 업무에 대한 소명감이 보육교사전문성 인식을 의미있게 설명하는 변인으로 밝혀졌고, 창의성과 자기계발, 영유아에 대한 친화력, 수용성과 민감성, 안전관리능력이 보육효능감을 의미있게 설명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창의성과 자기계발이 다문화교수효능감을 설명하는 주요변인으로 밝혀져 예비보육교사가 창의성을 가지고 자신을 계발할 수 있도록 지도하여 다문화교수역량을 높일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In child care teacher aptitude, it is identified that there is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in sociability for the infants, but it shows that there is no difference in other field and implies that compared with gender of child care teacher, desire and qualification are more important for child care teaching. In addition,, in child care teacher aptitude, it is identified that as variable, commitment for duty expressively explicates child care teacher’s professional perception, and the following things are shown as the variables to meaningfully explain the child care efficacy : creativity, self-improvement, sociability for infants, receptiveness, sensitiveness and safety management capacity significantly. Finally, it is turned out that creativity and self-improvement as main variable, expressively explains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It is suggested the necessity to instruct pre-service child care teachers to possess creativity and be able to develop themselves, and improve multicultural teacher competencies.

      • KCI우수등재

        보육교사 적성검사 도구 개발

        김혜경(Hye Kyung Kim),조복희(Bok Hee Cho) 한국아동학회 2012 아동학회지 Vol.33 No.5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develop an aptitude test for child care teachers (ATCCT) and to analyze it in terms of both validity and reliability. The main participants in this study consisted of 710 pre-service child care teachers. The results of factor analysis identified 7 factors and 56 items which were selected from 121 items in the original scale. The seven factors were as follows; interpersonal relationship management abilities, receptiveness and responsiveness to children, creativity and personal development, the ability to form close relationships with children, the ability to supervise child safety, the sense of duty, and positive emotions. The four factors were related to social relationship. Criterion-related validity was established by using correlations between the ATCCT and the TSES (Teacher Self-efficacy Scale). The internal consistency was found to be relatively high (Cronbach`s ?=.94) and test-retest reliability was also established (r=.53). In addition, there were differences among pre-service child care teacher groups according to both relative levels of education and courses taught.

      • KCI등재

        보육실습 전·후 예비보육교사의 보육교사 적성과 실습생역할인식 및 역할수행의 차이 : 사이버학습자와 학부생을 중심으로

        이현진(Yi Hyunjean),임은정(Lim Eunj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

        본 연구는 사이버학습자와 학부생을 중심으로 보육실습 전·후 보육교사 적성과 실습생 역할인식 및 수행의 차이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하여 D시와 K도에 소재한 원격평생교육원 사이버학습자 173명과 학부생 20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 t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보육실습 전·후 사이버학습자의 적성에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보육실습 전·후 사이버학습자의 실습생 역할인식 및 역할수행은 역할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보육실습 전·후 학부생의 적성은 차이가 없었다. 넷째, 보육실습 전·후 학부생의 실습생 역할인식 및 역할수행은 역할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보육교사를 양성하는 기관과 관련 대학에서 예비보육교사의 적성을 높이고 실습생 역할수행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현실적이고 구체화된 보육실습의 질 향상과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 것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aptitude of preand post-career teachers and the role recognition and role performance of trainees, focusing on cyber-students and undergraduates who currently provide certificates for nursery teachers. For the research, a survey of 173 students at the Remote Life Education Institute and 209 undergraduate students at the University of D.C. was conducted and analyzed using SPSS 12.0. Firs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aptitude of cyber learners before and after childcare practice. Second, there were differences in role recognition and role performance of trainees before and after childcare practice, and role recognition was higher than role performance. Third,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aptitude of the undergraduates before and after childcare. Fourth,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role recognition and role performance of undergraduates before and after childcare practice, and role recognition was higher than role performance. This study is meaningful to raise the aptitude of prospective care teachers in institutions that train nursery teachers and to present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and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practical and concrete child care practices that can be effectively performed by the trainee s role in the relevant universities.

      • KCI등재

        직무환경과 적성이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김혜경,곽경화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20 생태유아교육연구 Vol.19 No.4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work environments and aptitude on child–care teachers’ job satisfac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53 childcare teacher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Win 24.0 regarding frequency and reliability, and t-tests, ANOVA,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hildcare teachers’ work environments according to their methods of acquiring qualifications, as well as their aptitude according to their rank and qualifications. Second, job satisfac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ptitude and the work environment. Work environment and aptitude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Among the sub-factors of the work environment, the welfare environment, support for teachers, and relationship with the childcare center’s principal significantly influenced job satisfaction. An affinity for children and a positive emotions were sub-factors of aptitude having significant influence as well.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fluence of the work environment and the influence of the work environment and aptitude was the most apparent in the job(a sub-factor of job satisfaction), followed by social recognition, administrative systems, remuneration and promotion, working conditions, and human relations. The implications for improving childcare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future lines of study are also discussed. 본 연구는 직무환경과 적성이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보육교사 15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였고, SPSS 24.0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t검정, ANOVA, Pearson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격증 취득과정에 따라 직무환경에 차이가 나타났고 직급과 자격증 에 따라 적성에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직무만족도는 직무환경 그리고 적성과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또 직무환경과 적성은 직무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환경 하위요인 중 복지환경, 교사전문성지원, 시설장과의 관계 그리고 적성 하위요인 중 영·유아와의 친화력, 긍정적 정서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환경만의 영향력과 직무환경과 적성이 함께 주는 영향력의 차이가 직무만족도 하위요인인 직무자체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고, 사회적 인정, 행정체계, 보수 및 승진, 근무여건, 인간관계의 순이었다. 본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 향상을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