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돈점 논쟁의 쟁점과 과제

        박태원(Park, Tae-won) 불교학연구회 2012 불교학연구 Vol.32 No.-

        지눌의 돈오점수를 비판하고 돈오돈수를 천명한 성철의 돈점론 이후 전개된 돈점 논쟁에서, 그 핵심 논점은 결국 상호 연관된 두 가지 질문으로 요약된다. ‘지눌이 설하는 해오(解悟)로서의 돈오를 지해(知解)로 간주할 수 있는가?’하는 것이 그 하나이고, ‘지눌의 돈오를 화엄사상, 특히 성기사상에 의거한 원돈신해(圖頓信解)로써 파악하는 것은 충분한가?’가 다른 하나이다. 해오를 지해라고 간주하여 돈오점수를 비판하는 성철은, 그 논거를 ‘지눌의 돈오는 해오이고 그 해오는 화엄의 원돈신해 관법을 그 내용으로 삼고 있다’는 데에서 확보하고 있다. 그리고 해오와 지해의 차이를 주장을 사람들도, ‘지눌의 돈오는 화엄 원돈신해를 그 내용으로 삼고 있으며, 그의 돈오/해오는 화엄의 성기론적 이해를 담기 위한 것 혹은 그 결과’라는 관점을 널리 공유하고 있다. 따라서 지눌의 돈오/해오를 화엄의 원돈신해와 등치시킨다는 점에서는, 성철은 물론 대다수 지눌 연구자들의 견해가 일치한다. 결국 ‘해오(解悟)/지해(知解)/해애(解碍)’를 동일시하는 성철의 견해에 대한 판단과 평가는, ‘화엄적 해오가 지해인가 아닌가?’에 어떻게 답하느냐에 따라 결정되게 된다. 해오와 지해의 차이를 주장하는 견해들은 ‘화엄적 원돈신해가 단순한 지해와는 다르다.’고 할 것이고, 성철의 관점에서는 ‘아무리 차이를 부여해 보았자 본질적으로 지해 범주를 못 벗어난다.’고 공박할 것이다. 돈오점수에 대한 성철의 비판으로 전개된 돈점 논쟁에는 그 핵심 논점을 둘러싸고 혼란이 존재한다. ‘지눌의 돈오는 화엄적 해오이다’라는 명제를 공유하고 있는 기존의 돈점 논쟁에는 아직 해소되지 못한 논리적 혼란과 기술(記述)의 모호함이 내재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눌의 돈오점수를 수긍하여 옹호하려는 관점들에서 그러한 문제점이 부각된다. 해오와 지해의 차이를 설정하면서도 그 차이의 내용을 의미 없는 수사적 어법으로써 대체하는 모호함이 있고, 돈오/해오와 지해의 차이를 주장하면서도 돈오/해오의 내용을, 지해의 해애(解碍)를 지닌 화엄의 원돈신해로써 채우고 있는 논리적 모순을 안고 있는 것이다. 이 혼란을 수습하기 위해서는 돈점 논쟁을 다루는 틀과 방식을 바꾼 새로운 독법이 요청된다. 돈점 논쟁의 핵심 논점을 둘러싼 모호함과 모순을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독법이 마련되어야 한다. 그 새로운 독법의 구성은 기존의 논의 구조를 지탱하는 핵심 명제들을 재검토하는 데에서 출발해야 한다. 특히 ‘지눌의 돈오는 화엄의 원돈신해적 해오’라는 명제를 재검토해야 한다. 만약 이 전제에 갇히지 않을 수 있다면 논의의 틀 자체를 바꿀 수 있고, 그 결과 지눌의 선사상, 그의 돈오점수와 성철의 돈오돈수, 돈점 논쟁의 의미, 간화선의 의미, 불교 수행론 등, 연관된 모든 주제들을 재음미할 수 있는 길도 열리게 된다. The point of dispute on the Suddenness-Gradualness dispute(頓漸論爭) is to be condensed in two questions; One is “Is it reasonable to regard the Chi-nul’s(知訥) sudden enlightenment(頓悟)/the intellectual enlightenment(解悟) as intellectual understanding(知解)?”, and the other is “Is it sufficient to see Chi-nul’s(知訥) sudden enlightenment(頓悟) as Wha-um’s WonDonSinHae(圓頓信解)?” The Suddenness-Gradualness dispute(頓漸論爭) having the proposition that ‘Chi-nul’s(知訥) sudden enlightenment(頓悟) is the intellectual enlightenment(解悟)’in common has some logical inconsistency and descriptive ambiguity. Especially the supporters’view of Chi-nul’s(知訥) sudden enlightenment and gradual practice(頓悟漸修) show the logical inconsistency and descriptive ambiguity in that they argue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tellectual enlightenment(解悟) and the intellectual understanding(知解), and assert that the intellectual enlightenment(解悟) is Wha-um’s WonDonSinHae(圓頓信解) which has the hindrance of intellect simultaneously, And their descriptions of the difference between intellectual enlightenment(解悟) and intellectual understanding(知解) are vague and meaningless. In order to solve the confusion and to read the Suddenness-Gradualness dispute(頓漸論爭) newly, a different way of reading is to be constructed. To form the new way of reading, the proposition that ‘Chi-nul’s(知訥) sudden enlightenment(頓悟) is the Wha-um’s intellectual enlightenment(解悟)’must first be reconsidered.

      • KCI등재

        임제 선법과 지눌 선법의 현상학적-시간론적 해명

        정은해(Eun-Hae Cheong) 한국현상학회 2012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53 No.-

        이 글은 임제 선법과 지눌 선법의 현상학적-시간론적 이해가능성을 해명하려 한다. 임제와 지눌은 혜능 이래의 여러 선사들의 가르침을 수용하여 자신들의 선법을 형성하였다. 중국의 선종 제6조 혜능의 주된 가르침은 견성(見性)의 강조와 간심간정(看心看淨)의 비판에 놓여 있다. 혜능을 계승함에 있어서, 한편으로 마조-백장-황벽-임제의 계열은 혜능의 간심간정비판론(좌선비판론)을 상대적으로 더 중요하게 수용하면서 활조(活祖), 곧 생활 속의 조사를 강조하였고, 특히 임제는 마음을 ‘지금’의 시간에 머물게 할 것을 강조하였다. 마조는 평상심(平常心), 황벽은 별연이과(瞥然而過), 임제는 수처작주(隨處作主)를 선정에서의 마음 상태로 설명했는데, 이런 설명은 그들이 자신들의 마음을 이미 보았기에, 곧 견성을 하였기에 이를 반성적으로 기억하면서 할 수 있는 발언이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해서 제기될 수 있는 물음은 임제계열을 성립시킨 혜능의 견성론과 간심간정비판론의 현상학적 이해근거는 무엇이고, 임제가 말한 ‘지금’의 시간의 이해근거는 무엇인가 하는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 한국의 보조지눌은 혜능의 견성론을 상대적으로 더 중요하게 수용하였다. 아울러 규봉종밀의 영지(靈知) 개념을 이어받아 선정에서의 마음상태를 무지이지(無知而知)라고 설명하였고, 대혜종고의 간화선(看話禪)을 수용하여 견성을 위한 간화 수행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이와 관련해서도 ‘무지이지’의 현상학적 이해근거와 간화의 기능이 물어질 수 있다. 필자는 후설의 내적 시간의식의 현상학에 의거해 이러한 물음들에 대한 대답을 모색하였다. 이에 따르면, 첫째로 혜능이 비판한 간심간정은 분별심에 의한 자기 마음의 분별이고, 이것은 후설의 반성 개념에 의거해 대상을 동일화하는 대상화작용으로 설명될 수 있다. 둘째로 비판에서 벗어날 수 있는 본래적 의미의 간심간정이나 견성은 후설의 자기의식 개념에 의거해 고도로 고양된 자기의식으로 설명될 수 있다. 셋째로 임제가 말한 ‘지금’의 시간은 후설이 말하는 예지 없는 근원인상으로부터 시간화되는 현재장(現在場) 개념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넷째로 ‘무지이지’는 고도로 고양된 자기의식(self-consciousness)에 의해 사로잡혀 있는 대상의식(consciousness)으로 설명될 수 있고, 이 경우에 간화의 기능은 대상의식에 망념이 침투할 수 없게끔 대상의식을 지켜보도록 자기의식을 고도로 고양시키는 것으로 볼 수 있다. This essay attempts to elucidate the phenomenological grounds of some ideas of Zen of Lin-chi(臨濟) and Chi-nul (知訥). Both of them established their own idea of Zen in that they succeeded the teachings of many Zen masters, including the sixth master of Chinese Zen Buddhism, Hui-neng(慧能). Hui-neng’s major teachings are summarized as the recommendation of ‘Seeing into One’s Self-nature’ and the criticism of ‘Seeing into One’s Mind and Its Purity.’ On the one hand, the line of Ma-tsu(馬祖), Po-chang(百丈), Huang-po(黃蘗), and Lin-chi(臨濟) in succeeding Hui-neng’s teachings accepted the criticism of ‘Seeing into One’s Mind and Its Purity’ emphatically and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being a master who lives everyday life, and Lin-chi manifestly emphasized the necessity of abiding in the ‘here and now.’ The mind state in Zen was explained to be an ‘Ordinary Mind’ by Ma-tsu, ‘Seeing and Letting Things Pass’ by Huang-po, and ‘Being the Master of Oneself Everywhere’ by Lin-chi. Their explanations about the mind state in Zen surely presuppose that they had seen into their Self-nature and reflected on it in order to explain it. Here, the following question in relation to the line from Ma-tsu to Lin-chi can be raised: What are the phenomenological grounds for understanding Hui-neng’s teaching of ‘Seeing into One’s Self-nature’ and his criticism of ‘Seeing into One’s Mind and Its Purity’, and the time ‘now’ spoken of by Lin-chi. On the other hand, the Korean Zen master Chi-nul(知訥) accepted Hui-neng’s teaching of ‘Seeing into One’s Self-nature’ emphatically, and he explained the mind state in Zen, on the basis of Zong-mi(宗密)’s idea of ‘Knowing,’ as ‘Non-Knowing and Knowing as Well’, and recommended, on the basis of Ta-hui (大慧)’s idea of ‘Zen with Seeing into Words,’ the practice of ‘Seeing into Words.’ Here, also, the following questions can be raised: What is the phenomenological ground for understanding ‘Non-Knowing and Knowing as Well’, and what is the function of ‘Seeing into Words’ for the practice of Zen. I attempted to answer these questions on the basis of Husserl’s phenomenology of internal time consciousness. According to my inquiry, the following answers are possible. First, ‘Seeing into One’s Mind and Its Purity’ in a negative sense is to be explained as the discrimination of one’s own mind by a discriminating and reflecting mind. Second, ‘Seeing into One’s Self-nature’ or the authentic meaning of ‘Seeing into One’s Mind and Its Purity’ can be explained in terms of Husserl’s self-consciousness and as a highly elevated self-consciousness which allows no delusion into consciousness. Thirdly, the time of ‘now’ emphasized by Lin-chi is to be explained in terms of the very field of the present, which is formed by the temporality that begins with an ‘original impression without anticipation.’ Fourthly, ‘Non-Knowing and Knowing as Well’ is to be explained as a highly elevated self-consciousness developing without an identifying reflection, while the function of ‘Seeing into Words’ in Zen is to be explained as that of letting one’s self-consciousness reach such a highly elevated state that no delusion can invade one’s consciousness.

      • KCI등재

        연군논문 : 보조지눌(普照知訥)의 공적영지(空寂靈知)와 왕양명(王陽明)의 양지(良知)의 비교연구

        김방룡 ( Bang Ryong Kim ) 한국동서철학회 2014 동서철학연구 Vol.71 No.-

        본고는 普照의 空寂靈知와 王陽明의 良知를 비교 연구한 논문이다. 이는 기존의 普照 禪사상에 대한 연구영역을 확대하여 동아시아 사상사와 유불교섭사 속에서 보조의 선사상을 재조망하고자 하는 시도라 할 수 있다. 양명학의 형성에 선사상이 지대한 영향을 미쳐왔다는 점은 선행 연구를 통하여 이미 밝혀졌다. 그렇다면 보조 지눌의 선사상과 왕양명의 심학 사이에도 분명한 상호관련성이 존재하기 마련이다. 그것의 핵심은 이 둘이 인간의 가장 본질적 요소로 중시하는 ‘마음’ 즉 보조의 ‘공적영지’와 왕양명의 ‘양지’에 있어서 나타나는 ‘지(知)’의 공통점이라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이 두 개념의 비교를 통하여 상호 관련성과 동이점 그리고 이것이 지니는 현대적 의의 등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조가 제시하고 있는 마음으로서 ‘공적영지’의 개념과 왕양명의 ‘양지’의 개념 사이에 사상적 영향관계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둘째, 보조선과 양명학의 사상체계에 있어서 ‘공적영지’와 ‘양지’의 위상과 역할에 대해 비교하였다. 셋째, ‘공적영지’와 ‘양지’의 내용과 그 동이점을 밝혔다. 끝으로 현대 마음철학 형성에 있어 ‘공적영지’와 ‘양지’의 역할 및 그 현대적 의의를 밝혔다. This paper is a comparative study on Bojo Chi-nul`s Gongjeok Yeongji(空寂靈知) and Wang Yang-ming`s Liang-zhi(良知). I tried to review Bojo Chi-nul`s Seon thought within the history of the thought of East Asia and the history of negotiation between Confucianism and Buddhism, enlarging the research field of the established Bojo`s Seon thought. It is already known by advanced researches that Seon thought had influenced on the formation of Yang-ming`s doctrines greatly. Then there must be certain that there is clear mutual relationship between Chi-nul`s Seon thought and Wang Yang-ming`s Sim doctrines. The core of the common ground is Zhi(知), the mind as the essentials of human beings, which is shown on Bojo Chi-nul`s Gongjeok Yeongji(空寂靈知) and Wang Yang-ming`s Liang-zhi(良知). This paper considered the mutual relativity, the sameness and differences and the modern meaning of the two thoughts by the comparison. The following is a summary of this paper. First, I looked into the influence relation of the thoughts between Bojo Chi-nul`s Gongjeok Yeongji(空寂靈知) and Wang Yang-ming`s Liang-zhi(良知). Secondly, I compared the status and roles between Gongjeok Yeongji(空寂靈知) and Liang-zhi(良知) within each thought system. Thirdly, I showed the sameness and differences between Gongjeok Yeongji(空寂靈知) and Liang-zhi(良知). Lastly, I illuminated the roles and the modern meaning of Gongjeok Yeongji(空寂靈知) and Liang-zhi(良知) in the formation of modern mind philosophy.

      • KCI등재

        돈점 논쟁의 독법 구성

        박태원 새한철학회 2012 哲學論叢 Vol.69 No.3

        지눌의 돈오점수를 비판하는 성철의 돈오돈수 주장 이래 전개된 돈점 논쟁의 핵심 논점은, 내용상 상호 연관되어 있는 두 가지 질문으로 요약할 수 있다. ‘지눌이 설하는 해오(解悟)로서의 돈오를 분별 알음알이인 지해(知解)로 간주할 수 있는가?’ 하는 것이 하나이고, ‘지눌의 돈오를 화엄사상, 특히 성기사상에 의거한 원돈신해로써 파악하는 것은 충분한 가?’가 다른 하나이다. ‘지눌의 돈오는 화엄적 해오이다’라는 명제를 공유하고 있는 기존의 돈점 논쟁에는 논리적 혼란과 기술(記述)의 모호함이 내재하고 있다. 특히 지눌의 돈오점수를 수긍하여 옹호하려는 관점들에서 그러한 문제점이 부각된다. 해오와 지해의 차이를 설정하면서도 그 차이의 내용을 의미 없는 수사적 어법으로써 대체하는 모호함이 있고, 돈오/해오와 지해의 차이를 주장하면서도 돈오/해오의 내용을, 지해의 해애(解碍)를 지닌 화엄의 원돈신해로 채우고 있는 논리적 모순을 안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기존의 돈점 논쟁에 내재한 혼란을 해소하고 돈점 논쟁을 새롭게 읽기 위한 독법의 구성이 요청된다. 필자는 그 새로운 독법의 구성조건으로서 ‘언어와 분별의 관계’ ‘분별의 통로’ ‘분별 극복의 방식’을 주목하였다. 선종 선문을 비롯한 모든 불교전통의 관심은 결국 ‘분별로부터의 해방’ 문제로 귀결되고 있다는 점, 돈점 논쟁의 주역인 선종 선문이 주창하는 돈오 견성의 관건도 결국에는 ‘분별’ 여부에 있고 성철의 지눌 비판 논거인 ‘지해(知解)/해애(解碍)’도 분별을 특징으로 하는 앎/이해라는 점, 그리고 분별과 지해는 결국 언어를 떠나 논할 수 없는 ‘언어의 문제’라는 점을 주목했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구체적으로는 ‘언어와 분별문법의 형성’ ‘분별의 두 가지 통로 - 이해/관점에 의한 분별과 마음에 의한 분별’ ‘분별 극복의 두 가지 방식과 언어 - 혜학적 방식과 정학적 방식’의 문제를 불교적 사유로 다루어 보았다. 이렇게 해서 구성된 독법으로 돈점 논쟁을 읽으면, 지눌의 돈오가 혜학과 정학의 두 가지 맥락에서 펼쳐진다는 것, 그의 돈오는 두 지평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구별하여 접근해야 한다는 관점을 수립할 수 있는 동시에, 돈점논쟁을 다루는 틀과 방식을 바꿀 수 있다. 아울러 지눌의 선사상, 그의 돈오점수와 성철의 돈오돈수, 돈점 논쟁의 의미, 간화선의 의미, 불교 수행론 등, 연관된 모든 주제들을 재검토/재음미할 수 있는 길도 열린다. The Suddenness-Gradualness dispute(頓漸論爭) having the proposition that ‘Chi-nul(知訥)’s sudden enlightenment(頓悟) is the intellectual enlightenment(解悟)’ in common has some logical inconsistency and descriptive ambiguity. Especially the supporters’ view of Chi-nul(知訥)’s sudden enlightenment and gradual practice(頓悟漸修) show the logical inconsistency and descriptive ambiguity in that they argue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tellectual enlightenment(解悟) and the intellectual understanding(知解), and assert that the intellectual enlightenment(解悟) is the Wha-um’s WonDonSinHae(圓頓信解) which has the hindrance of intellect simultaneously. And their descriptions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tellectual enlightenment(解悟) and the intellectual understanding(知解) are vague and meaningless. In order to solve the confusion and to read the Suddenness-Gradualness dispute(頓漸論爭) newly, a different way of reading is to be constructed. To form the new way of reading, I set forth ‘language and the formation of dividing grammar’ ‘the two way of dividing - dividing by understanding/view and dividing by mind’ ‘the two overcoming methods of dividing and language - the method of wisdom practice(慧學) and the method of concentration practice(定學)’ upon the Buddhist philosophy. This new way of reading the Suddenness-Gradualness dispute(頓漸論爭) is to open a new way which can re-investigate and re-appreciate Chi-nul(知訥)’s Seon(禪) philosophy, his sudden enlightenment and gradual practice(頓悟漸修) and Sung-chul(性徹)’s sudden enlightenment and sudden practice(頓悟頓修), the meaning of Suddenness-Gradualness dispute(頓漸論爭), the meaning of Gan-wha-seon(看話禪), and the practice theory of Buddh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