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개벽』, 『별건곤』의 민요 수록 양상을 통해 본 차상찬의 문학관 및 민요의식

        이민규( Lee, Min-Gyu) 실천민속학회 2023 실천민속학연구 Vol.41 No.-

        본고는 『개벽』, 『별건곤』에 차상찬이 수록한 민요를 중심으로 차상찬의 민요의식을 분석하고자 한다. 차상찬은 강원도 춘성군에서 태어나 한성 이주 이후 춘천의 천도교도이자 개화운동가였던 민영순의 권유로 천도교도가 되면서 개벽사에서 활동할 수 있게 되었다. 그가 남긴 『개벽』, 『별건곤』에서의 민요작품들은 그의 민요의식을 알려주는 자료가 될 수 있다. 일단 그의 민요의식은 그의 문학관을 살펴보아야 알 수 있다. 차상찬은 한문학을 사대부의 전유물로 보면서 적대감을 드러내었지만, 한편으로는 감삿갓의 한문학만큼은 긍정하였다. 또한 사대부의 고장인 충청남도라고 할지라도 민중운동의 성격을 가진 사건에 대해서만큼은 옹호하였다. 이를 통해 알 수 있는 점은 차상찬이 민요를 민중, 그리고 여성의 노동과 한의 정서를 담은 것으로 보았다는 것이다. 차상찬은 민요란 민중의 노동과 생활 속에서 가창되고 향유되는 생활문학임과 동시에 노동이란 남성뿐만 아니라 여성과 함께 하는 것임을 강조했다. 이어서 차상찬이 선별한 민요는 각 민요가 채록된 지역의 문화상도 보여주었다. 차상찬은 자신의 고향인 강원도에서 채록한 민요들도 수록하면서, 고향을 향한 애향심을 드러내었다. 이러한 지역문화에 대한 관심은 『朝鮮文化의 基本調査』로도 이어졌다. 그리고 이 지역문화를 향한 관심은 곧 근대적인 국민의식을 규정하려는 시도로도 이어졌다. 마지막으로 차상찬은 민요를 근대 잡지에 실리는 ‘讀物’, 즉 읽을 거리로 다루었다. 그에게 민요란 국민성을 담지한 노래이자 근대 문학의 전범이었으며, 이는 실제 민요 전승양상과는 동떨어진 것이었다. 이러한 차상찬의 한계는 곧 그가 살던 시대적 한계임을 인지하며, 그의 민요의식을 분석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is paper intends to analyze Cha Sang-chan’s folk song consciousness, focusing on the folk songs written by Cha Sang-chan in ‘Gaebyeok’ and ‘Byeolgeongon’. Cha Sang-chan was born in Chunseong-gun, Gangwon-do, and after moving to Hanseong, he became a Chondogyodo at the recommendation of Min Young-soon, a enlightenment activist in Chuncheon. The folk songs he left behind in ‘Gaebyeok’ and ‘Byeologeongon’ can be a source of information about his folk song consciousness. First of all, his consciousness of folk songs can be known only by examining his view of literature. Cha Sang-chan showed hostility by viewing Chinese literature as the exclusive property of the high school, but on the other hand, he affirmed Kim Sat-gat’s Chinese literature. He also defended cases with the character of a people’s movement, even in Chungcheongnam-do, the hometown of the high school. What we can learn from this is that Cha Sang-chan viewed folk sons as containing the labor and emotions of the people and women. Cha Sang-chan emphasized that folk songs are life literature sung and enjoyed in the labor and life of the people, and at the same time that labor is working with women as well as men. Subsequently, the folk songs selected by Cha Sang-chan also showed the cultural image of the region in which each folk song was written. Cha Sang-chan also recorded folk songs from his hometown of Gangwon-do, revealing his fondness for his hometown. His interest in the local culture also led to 「朝鮮文化의 基本調査」. And interest in this local culture led to an attempt to define the modern consciousness of the people. Lastly, Cha, Sang-chan treated folk songs as ‘讀物 published in modern magazines, that is, things to read. For him, folk songs were songs that carried national character and were a war criminal of modern literature, and this was far from the actual folk song tradition. Recognizing that these limitations of Cha Sang-chan are the limitations of the time he lived in, it is necessary to analyze his folk song consciousness.

      • KCI등재

        차상찬의 『해동염사』 고찰

        엄태웅 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2022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59 No.-

        In this article, the characteristics of Cha Sang-chan's second work, 『Haedong Yeomsa(History of love between men and women in Korea)』, were examined. 『Haedong Yeomsa』 is a book that pays attention to 'women'. Like his first work, 『Tongsok Choseon Sacheonnyun Bisa(Popular Joseon Secret History of the 4th Millennium)』, he wanted to highlight the beings who were hidden from political affairs in our history but were considered valuable. Cha Sang-chan did not expose the word 'women' in the title of the book, but used the expression '艶史'. It can be understood that he wanted to place a high value on women's will to faithfully fulfill their role even in such an unequal structure, assuming various mechanisms of oppression 'conditioned' on women. The types of female characters appearing in 『Haedong Yeomsa』 can be largely classified into three types. They are women who faithfully perform what men and society demand, women who show abilities beyond what men and society demand, and women who display outstanding abilities despite being in the social minority. Cha Sang-chan contributed to expanding the horizon of awareness of women by finding, collecting, and introducing the historical traces of buried women. In this book, women who go beyond the role of women, women who have experienced inequality as women and inequality experienced as social minorities have appeared in overlapping situations, confirming the new possibilities of women. Ultimately, however, Cha Sang-chan paid attention to 'people' who are neither male nor female. He wanted to tell the story that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o discover the true value of people beyond the various prejudices that divide people into superior and inferior. He approached ‘women’ who were alienated beings based on his interest and love for human beings. 이 글에서는 차상찬의 두 번째 저작인 『해동염사』의 특징을 고찰하였다. 『해동염사』는 ‘여성’에 주목한 책이다. 그의 첫 번째 저작인 『통속조선사천년비사』와 마찬가지로 우리 역사에서 정사에 가려졌으나 가치 있다고 생각된 존재들을 부각하고 싶었던 것이다. 차상찬은 ‘여성’이라는 단어를 책의 제목에 노출하지 않고 ‘艶史’라는 표현을 썼다. 이는 그가 여성에게 ‘조건지어지는’ 다양한 억압기제를 전제로 하고, 그와 같은 불평등한 구조 속에서도 자신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려 했던 여성의 의지에 높은 가치를 두고 싶었던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해동염사』에 등장하는 여성 인물의 유형은 크게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남성․사회가 요구하는 바를 충실히 수행하는 여성, 남성․사회가 요구하는 것 이상의 능력을 보여주는 여성, 사회적 소수자이면서도 뛰어난 능력을 발휘하는 여성이 그것이다. 차상찬은 묻혀 있던 여성들의 역사적 흔적을 찾아 수집하여 소개함으로써, 여성에 대한 인식의 지평을 확장하는 데 기여하였다. 이 책에는 종래 여성의 역할을 넘어서는 여성, 여성으로서 겪은 불평등과 사회적 소수자로서 겪은 불평등이 중첩된 상황 속에서도 자신의 의지를 관철시키는 여성이 등장하여, 여성의 새로운 가능성을 확인시켜 주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궁극적으로 차상찬은 남성도 여성도 아닌 ‘사람’에 주목하였다. 인간을 우열로 구분하는 다양한 편견을 넘어 사람의 진정한 가치를 발견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는 이야기를 하고자 했다. 그는 인간에 대한 관심과 사랑을 기본 바탕으로 소외된 존재인 ‘여성’들에게 다가간 것이다.

      • KCI등재

        차상찬의 민요 수집과 유형 연구-開闢과 別乾坤을 중심으로-

        유명희 한국민요학회 2018 한국민요학 Vol.54 No.-

        Cha Sang Chan, a journalist, historian, writer and folklorist who is considered to be a forefather of a modern magazine. Despite his surprising achievements, there have been few studies about him and folklore and folksongs he loved. Cha Sang Chan’s 「Collection of Joseon Folksong」is categorized by provinces; Gyeongsangbuk-do, Gyeongsangnam-do, Jeolla-do, Gangwon-do, Pyeongahnbuk-do, Hamkyeong-do, and Chungcheong-do.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folksong, 「Collection of Joseon Folksong」is made up of narrative folksongs. It does not contain many different functional folksongs. Among theses narrative folksong, is a <Saseung Norae> which is listed in 「Collection of Joseon Folksong」, 「Gebyeok」 and 「Beolgeungon」 This song, a kind of spinning song which is handed down in Gyeongsangbuk-do shows the tiredness of overnight working and unfair lawsuit. The reason Cha Sang Chan selected these kinds of narrative songs is that the songs contain ancestor’s heritage and traditions, which in turn, demonstrates his historical consciousness and national spirit. All the narrators of the songs in 「Gebyeok」 suffer from a hardship of life; A woman who worked spinning overnight but came home empty-handed; cow which has a nose ring and plows the field; a younger sister who committed a suicide to clear up a misunderstanding of a brother; a daughter-in-law who has a hard married life and always cries; a legal wife who is eager to kill a concubine; a person who are sucked his blood to mites that suck up other’s blood. Cha Sang Chan compared these people to those who are dominated by the Japanese. Otherwise, it is difficult to explain why he selected these songs though there are a lot of functional folksongs. It suggests that Cha Sang Chan deliberately chose and listed specific songs that illustrate severe reality of Chuncheon at that time. In a word, Cha Sang Chan, a representative writer from Chuncheon, definitely made a lot of efforts to present the people's harsh life and keep the historical awareness. 차상찬은 언론인이면서 역사학자, 문학가, 민속학자 등으로 평가받고 있는 인물로 근대 잡지의 아버지와 같은 인물이다. 그럼에도 그에 대한 연구는 미진한 편인데 특히 민속 분야와 민요 분야의 연구는 거의 없다. 차상찬의 『조선민요집』의 목록을 대강 정리하면 도별로는 경상북도, 경상남도, 전라도, 강원도, 평안도, 평안북도, 함경도, 충청도 등이다. 민요의 분류 측면에서 볼 때 『조선민요집』으로 묶인 민요들은 다양한 기능의 민요가 실리지 못했으며 특히 서사민요의 비중이 높다. 이 서사민요 중 『조선민요집』, 『개벽』, 『별건곤』에 모두 실린 <사승노래>가 있다. 이 노래는 경북 안동 지역의 삼삼는 소리로 삼삼는 일의 밤샘 노동에 따른 고단함과 억울한 송사이야기 등이 얽혀 있는 서사민요이다. 차상찬이 이 서사민요를 택하여 다시 실은 데는 우리 민족의 유구한 전통을 오늘날까지 이어오고 있음을 강조한 것으로 여기에서 우리는 차상찬의 역사의식과 민족주의적인 면모를 볼 수 있다. 『개벽』에 실린 민요들의 작중 화자는 모두 힘들고 어렵다. 삼삼는 일이 힘겹기만 한데 장에 팔러 왔다 낭패만 보는 처자, 쟁기를 매고 코뚜레를 뚫고 밭을 가는 힘겨운 소, 오빠의 오해를 풀고자 자살하는 누이동생, 시집살이가 너무 어려워 눈물 콧물 다 쏟는 며느리, 첩을 죽이고 싶은 본처, 남의 피를 빨아먹고 사는 진득이에게 피를 빨리는 사람 등 다양한 군상들이 고통받고 있다. 차상찬은 이들을 모두 일제강점기 하에 고통받는 조선 민중으로 해석한 것으로 보인다. 그렇지 않고서야 굳이 현실의 다양한 농요들이 펼쳐 있는 민요의 세계에서 이런 노래들만 선별한 것을 설명하기 어렵다. 이 사실은 춘천과 관계된 노래들을 당시 현실과 맞물려 설명한 것을 본다면 차상찬이 현실을 몰랐다기 보다는 당시의 엄혹한 현실을 보여주기 위한 민요를 선별하여 『개벽』과 『별건곤』에 실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이처럼 춘천이 낳은 인물, 차상찬은 민요를 수집하고 선별하는 데에도 우리 민족이 처한 현실의 냉혹함과 처절함을 보여주고자 노력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는 그의 역사 의식과 민족주의적인 면모를 드러내는 것이다.

      • KCI등재

        『어린이』 소재 차상찬 역사동화 연구 - 자료와 서술방식을 중심으로

        류정월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20 리터러시 연구 Vol.11 No.1

        Although Cha Sang-chan (1887-1946) has a Chinese-language foundation, he is considered a pioneer of modern journalism and publishing, but research on him is insufficient. By examining Cha Sang-chan’s historical fairy tales published in the Eolin-I magazine, this discussion aims to find out how he described historical fairy tales to modern (children) readers, who studied traditional Chinese literature. First, this study listed all articles that Cha posted in the magazine and the historical fairy tale, and confirmed that his historical fairy tale was written around the Choseon Dynasty and the famous generals but accommodated various historical figures. Cha Sang-chan’s historical fairy tale consists of a creative opening and ending and a traditional middle part. The main textbook suggests that in Cha Sang-chan’s historical fairy tale, the unconscious framework that dictates where the subject and creativity should be involved is the Chon[ 傳 ] mode. Cha Sang-chan’s historical fairy tale was designed to keep the child’s attention, while delivering difficult and complex traditional mythos in the middle and, at the same time, keeping in mind the children readers’ interests and curiosity in the opening and ending. Finally, the study analyzed the implicit and timeless message that such a style of opening and ending sends to children readers. 청오(靑吾) 차상찬(車相瓚, 1887-1946)은 근대 언론·출판의 선구자로 평가받는 인 물이지만 그에 대한 연구는 미비하다. 본 논의는 『어린이』에 게재한 차상찬의 역사동 화 자료를 목록화 하고 그 특징을 살펴봄으로써 한문학을 토대로 공부한 그가 ‘어린 이’라는 근대 독자를 상대로 역사를 서술한 방식을 알아보고자 한다. 먼저 본고는 차상찬이 『어린이』에 게재한 글의 전체와 역사동화의 목록화 작업을 시도하였다. 그의 역사동화는 조선시대-명장을 주 대상으로 기술하면서도 다양한 역 사적 인물들을 수용하고 있다. 차상찬 역사동화는 창조적인 서두와 결말, 전통적인 중간 부분으로 이루어져있다. 본고는 차상찬 역사동화에서 주관과 창조성을 개입시 켜야 하는 지점을 지시하는 무의식적 틀이 전통적인 전(傳) 양식이었다고 본다. 차상 찬의 역사동화는 서두와 결말에서 아동독자를 분명하게 인식하고 그들의 관심사와 호기심을 염두에 두었기에, 중간에서 어렵고도 복잡한 전통적 미토스를 거의 그대로 전달하면서도 아동의 주의를 유지할 수 있도록 고안되었다. 마지막으로 본고는 그러 한 서두와 결말의 방식이 어린이들에게 전달하는 메시지에 대해 고구한다.

      • KCI등재

        차상찬의 아동용 역사인물서사 연구

        오세란 한국아동문학학회 2023 한국아동문학연구 Vol.- No.47

        This paper studies the characteristics of stories of a great man in history for children written by Cha Sang-chan (1887-1946), which was published in "Children" and "Youth," and traces the process of creating branches of stories of a great man in history for children. Chapter 2 investigates the reasons for the discrepancy in the nomenclature of Cha Sang-chan's based on previous research. The effort to identify these causes of discrepancy could serve as a strategy to examine the identity of stories of a great man in history for children, ultimately highlighting the interplay between facts and fiction as a key point of discussion. Chapter 3 takes a closer look at Cha Sang-chan's stories of a great man in history for children and analyzes the distinction between people-oriented titles and branch divisions of keywords. As a result, it is deemed appropriate to classify them as "historical character narratives" which is a branch of contemporary society's informational books. Additionally, it is noted that some of his works exhibit characteristics of fictional historical tales. Chapter 4 searches for how Cha Sang-chan's stories of a great man in history for children captured the attention of young readers. His works directly address child readers in the text, utilizing conversational language to easily transmit stories. He focuses on specific historical figures and describes their early lives, employing two narrative strategies commonly found in modern children's informational books and biographies. Furthermore, his works emphasize historical facts while introducing elements of curious stories such as fantasy to enhance the storytelling experience. These characteristics influenced the identity of sub-genres within stories of a great man in history for children, such as children's informational books and historical fairy tales. Moreover, due to the distinct development of children's literature from general literature in the modern times, the relationship between "modernity" and "children's literature" needs to be considered deeply.

      • KCI등재

        차상찬의 이동과 연대의 시간 : 『개벽』의 ‘조선 문화의 기본 조사’를 중심으로

        정현숙(Jung, Hyun Sook) 구보학회 2020 구보학보 Vol.0 No.24

        이 글은 차상찬이 『개벽』에 발표한 ‘조선 문화의 기본 조사’를 대상으로 답사보고서에 나타난 이동의 궤적과 함의를 살펴보았다. 세부 논점은 크게 두 가지이다. 하나는 차상찬이 답사한 경로와 이동의 경험을 살펴보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이동의 시간과 공간 속에서 소환되고 생성되는 담론의 의미를 분석하는 것이다. 차상찬은 주로 통계 숫자를 통한 객관적 사실에 근거하여 식민지 조선의 실상을 밝히고 일제의 식민지 정책을 비판하였다. 그리고 일제에 저항한 역사적 사건과 인물들을 소환함으로써 민족적 자존감을 회복하고 민족운동의 역사적 연계성과 연대적 담론을 공유하고자 하였다. 개벽사는 ‘기본 조사’를 통해 유통망과 인적 네트워크를 공고히 하고, 이를 바탕으로 개벽사가 민족문화운동의 구심체로 부상하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차상찬은 이러한 개벽사의 지향을 의식하고, 청년회가 청년운동, 문화운동, 노동운동의 중심 세력으로 성장하기를 기대하면서 청년회의 활동과 조직을 소상히 보고하고 있다. 차상찬은 ‘기본조사’를 마친 후, 『별건곤』, 『혜성』, 『제일선』, 『개벽』 신간호의 편집 겸 발행을 맡으면서, 『개벽』의 위상을 만회하려는 노력을 지속하였고, ‘기본 조사’에서 담지하고 있던 조선 문화에 대한 지향을 확장하는 글을 지속적으로 발표하였다. Cha Sang-Chan is a representative who led the Cheondogyo National Culture Movement.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trajectory of movement in the ‘The Basic Investigation of Joseon Culture’ published by Cha Sang-chan in the ‘Gaebyeok’. There are two main detailed points of issue. One is to look at his exploration of the route and the experience of the movement, and the other is to analyze the meaning of the discourse summoned and generated in the time and space of the movement. Cha Sang-chan toured Gyeongsangnam-do, Gyeongsangbuk-do, Gangwon-do, Chungcheongnam-do, Gyeonggi-do, Gyeongseong, Pyeongannam-do, Hamgyeongnam-do, Chungcheongbuk-do, Hwanghae-do, Jeollanam-do, Jeollabuk-do, and Jeollanam-do from February 2, 1923, to November 22, 1925, and published a survey report on ‘Gaebyeok’ No. 34 to 64. The articles reveal the reality of colonial Joseon and criticize the Japanese invasion through various statistical data, literature, and on-site surveys. Also, his long journey was a time to solidify the human network of ‘Gaebyeoksa’. Based on this, ‘Gaebyeoksa’ actively sought to promote the national cultural movement. After this work, Cha Sang-chan played a key role in publishing the magazine, serving as the chief editor and publisher, while working as a major writer of ‘Gaebyeoksa’.

      • KCI등재

        잡지인 차상찬 연구 : 차상찬이 만든 잡지를 중심으로

        김정숙 한국출판학회 2019 한국출판학연구 Vol.45 No.4

        We usually state 《Gae Byouk(開闢)》as one of great magazines. Magazine company Gae Byouk published 11 magazines including《Gae Byouk》in which there were lot of distinguished services of Sang-Chan Cha who is unknown. Besides, a petty studies of great publishers, or magazine journalists in the field of publishing studies. Therefore, I raise the spirit and meritorious services of magazine journalist Sang-Chan Cha up through this study. Cha’s meritorious services through magazines publishing are such as; (1) He made the public sphere through current events magazines. (2) He tried to exalt Korean Identity through hundreds of articles about Korean history, customs, folkways and geographic informations, nevertheless it was the colonial period. (3) He made the literature sphere for many Korean novelists, poets, and new faces. Later, it was really important role in Korean literature history. (4) Gae Byouk was the first magazine company published 11 individual magazines for devided readers, such as intelligentsias, children, students, women, farmers, and so on. (5) Making the magazine for woman and making the sphere for woman reporter, or woman editor, it was really progressive feminism at that time. (6) He was a substantial magazine journalist against newspaper supervision according to the theory of journalism supervision. (7) His fields of action reached to making the journalists association and the magazines association was for a resist-Japanese movement through magazine journalism As the above, Sang-Chan Cha was a true magazine journalist using pen with which resist Japan colonialism.

      • KCI등재

        車相瓚의 『通俗朝鮮四千年祕史』 편찬의식 고찰

        엄태웅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21 고전과 해석 Vol.35 No.-

        이 논문에서는 차상찬의 첫 단행본인 『통속조선사천년비사』를 살펴보았다. 이 책은 역사서이면서도 ‘통속’이라는 단어를 제목에 넣었는데, 여기서 통속이라는 말 은 보다 많은 이들에게 두루 통한다는 의미로 해석하는 것이 적당하며 이는 ‘대중 교양’이라는 언급과도 일맥상통한다고 보았다. 이 책이 보다 흥미로운 점은 역사 기 술과 서사 기술이 거리낌 없이 조화를 이루고 있다는 사실이다. 책 속에서 그 조화 의 양상이 어떠한지 구체적 사례를 통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러한 역사서 집필은 그가 갖고 있는 역사 인식과 관련이 있다고 보았다. 차상찬은 소외된 곳에 주목하 던 인물이다. 소외되어 있던 우리 민족, 그리고 소외되어 있던 민중 계급을 고찰하 였다. 글의 장르도 역사나 문학 장르에서 소외된 양식이다. 차상찬은 소외된 것들에 적극적으로 의미 부여를 하였던 인물인 것이다. 최근 차상찬의 고향인 춘천에서 강 원문화교육연구소를 중심으로 그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앞으로 차상찬이 졸업한 고려대학교에서도 그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기를 기대한다. This thesis examines Cha Sang-chan's first book, 'The History of the Four Millenniums of Popular Joseon'. Although this book is a historical book, the word 'popular' is included in the title, but it is appropriate to interpret it as meaning that it is universally applicable to more people than it is understood through the introduction or book reviews, and it is also consistent with the mention of 'popular culture'. What makes this book even more interesting is the fact that historical and narrative skills are harmonious without hesitation. In the book, we looked at the aspect of harmony through concrete examples. And he saw that the writing of such a history book was related to his understanding of history. Cha Sang-chan was a person who paid attention to the marginalized. The marginalized Korean people and the marginalized people's class were considered. The genre of writing is also a style alienated from the genre of history or literature. Cha Sang-chan is a person who actively gave meaning to the alienated things. Recently, in Chuncheon, the hometown of Cha Sang-chan, research on it has been actively carried out centering on the Gangwon Cultural Education Research Center. It is expected that interest in him will increase at Korea University, where Cha Sang-chan graduated from in the future.

      • KCI등재

        차상찬의 ‘어린이 역사 이야기’ 연구

        최배은(Choi, Bae-eun)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2020 아동청소년문학연구 Vol.- No.27

        근대 어린이 역사 이야기 연구는 아동문학적 측면에서뿐 아니라 근대적 문체의 형성과정을 살피고 오늘날 활용되는 어린이 역사문화 콘텐츠의 제재 및 서술 원리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기 위해서도 필요하다. 차상찬은 근대 어린이 역사 이야기의 대표적 작가이면서, 같은 인물 이야기를 내포독자와 시기를 달리하여 발표하고 그때마다 문장을 수정했다. 이 연구는 차상찬의 어린이 역사 이야기를 대상으로 그 갈래의 특징과 담화 방식을 연구하여 근대 어린이 역사 이야기의 특징을 규명하는 데 일조하고자 한다. 차상찬의 어린이 역사 이야기는 허구적 창작물과 달리 역사적 지식과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목적에서 쓰였으나, 그가 주로 근거한 역사는 사관이 아닌 사람들이 기록한 외사나 민중들의 입에서 전해져 내려온 것을 기록한 야사였다. 또 근대 계몽기 역사전기문학에서 다루어졌던 외세의 침략을 막아낸 구국 영웅들을 제재로 삼고 있으나 인물의 일대기보다 어릴 때 용맹한 행적을 중심으로 서술한다. 차상찬의 어린이 역사 이야기는 성인 대상의 잡지에 국한문체로 쓴 글과 달리, 국문 중심으로 한자를 병기하였다. 대부분 한문 번역투를 보이며 기록문의 흔적을 나타내는데 독자를 ‘여러분’으로 부르고 경어체 종결어미 ‘-ㅂ니다’를 사용하여 친근한 입말의 효과를 살리고 있다. 그리고 인물의 일화 중심으로 사건을 요약적, 설명적으로 전달한다. 이러한 담화방식은 1930년대 후반에 가면 훨씬 ‘전’의 양식을 벗어나 근대적 문체로 바뀐다. 이 연구는 근대 어린이 역사 이야기 연구 방법을 체계화하고 주요 작가인 차상찬의 경향을 파악하여 다른 작가와의 비교 및 전체적인 연구의 발판을 마련한 의의가 있다. It is necessary to study on ‘modern historical stories for children’ not only in terms of children`s literature but also in order to examine the process of forming a modern writing style and to critically consider the principles of materials and descriptions of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nts for children in use today. Cha Sang-chan, a representative writer of modern historical stories for children, published the same story of the same person at different times for the implied readers and revised the sentences each time. This study aims to help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historical stories for children’ by considering the traits of the genre and discourse method of historical stories for children written by Cha Sang-chan. Unlike fictional creations, Cha Sang-chan’s historical stories for children were written for the purpose of conveying historical knowledge and information, but his story was based on an unofficial history, which was passed down by the common people through an oral tradition. In addition, the story is about the heroes who defended his country against foreign aggression, as was dealt with in historical and biographical literature during the modern enlightenment period. But it focuses on the heroic deeds of a young man rather than the life story of a character. The historical stories for children by Cha Sang-chan were different from those written in a magazine for adults. He used Chinese characters only to focus on Korean, while writing it in a mixed style of Korean and Chinese characters in a magazine for adults. Most of them show signs of Chinese translations and record writings, in which he calls the readers “all of you” and uses “-ㅂ니다”, a polite sentence-closing ending, to enhance the effect of friendly speech. And he conveys events in the form of summary and explanation based on the anecdote of the character. In the late 1930s, this style of discourse was transformed into a modern style, far beyond a biographical styl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organized the research method of modern historical stories for children and grasped the tendency of Cha Sang-chan, the main writer, through comparison with other writers, setting the stage for overall research.

      • KCI등재

        천도교인 차상찬의 역사인식 ―『별건곤』 기사 분석을 중심으로―

        조형열 ( Cho Hyong-yerl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23 民族文化硏究 Vol.98 No.-

        이 글은 차상찬의 역사서술과 역사인식을 천도교인이라는 정체성을 중심으로 검토한 것이다. 차상찬이 쓴 역사 기사는 주로 조선후기를 대상으로, 지배권력에 저항했던 개혁적 인물들의 활동에 초점이 맞춰졌다. 이는 천도교 계열 지식인이 이징옥, 이괄, 임경업, 홍경래 등을 중요하게 거론하고, 동학의 창도를 중요한 분기점으로 보면서 ‘동학란’을 민중운동이자 개혁운동으로 높게 평가한 것과 일맥상통한다. 차상찬의 역사인식은 첫째, 천도교의 교리와 정치·문화운동론으로서 후천개벽을 중요한 목표로 내면에 깔고 있었으며, 둘째, 인간의 실천으로 역사가 진화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는 새로운 세계를 열기 위한 실천적 역사인식으로서 의미가 있었다. 그러나 현재적 교훈을 강조하는 태도와 선천 시기 역사 변화와 역량의 축적 등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는 천도교 역사관의 영향으로 역사성이 동요하는 한계를 드러냈다. This article reviews Cha Sang-chan’s historical narrative and historical awareness with focus on his identity as a Cheondoist. Historical articles written by Cha Sang-chan mainly focused on the activities of reformist figures who resisted the ruling power in the late Joseon period. This is in line with the fact that Chondogyo-affiliated intellectuals mentioned Lee Jing-ok, Lee Gwal, Lim Gyeong-eop, and Hong Gyeong-rae as important, and highly evaluated ‘Donghak’ as a people’s movement and reform movement while viewing the creation of Donghak as an important turning point. The important underlying goal of Cha Sang-chan’s historical awareness was, first, the Great Opening of the Latter Heaven, which is the doctrine of Cheondogyo and the theory of political and cultural movements, and second, it emphasized the fact that history evolves through human practice. The above was meaningful as a practical historical awareness to open a new world, but historical narrative is limited in terms of value, and it revealed the limitations of the falter of historicity, which hardly considers historical changes and accumulation of capabilities in the Early Heaven period, a past that needs to be liquida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