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벤처캐피탈 투자기업의 성과에 관한 연구: 코스닥 IPO 기업을 중심으로

        이광용,신현한,김소연 한국벤처창업학회 2019 벤처창업연구 Vol.14 No.2

        본 논문은 2000년부터 2014년까지 한국 코스닥시장에 IPO한 기업을 대상으로 벤처캐피탈의 지원여부 및 투자한 벤처캐피탈의 유형에 따라 피투자기업의 성과에 차이가 존재하는지에 대해 연구하였다. 표본을 벤처캐피탈의 지원을 받은 기업(VC)과 받지 않은 기업(NVC)으로 구분하고, 벤처캐피탈의 지원을 받은 기업의 경우에는 기업벤처캐피탈의 지원을 받은 기업(CVC)과 독립벤처캐피탈의 지원을 받은 기업(IVC)으로 세분화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기간은 IPO 이전 2년과 이후 3년으로 설정하였다. 분석결과, 벤처캐피탈의 지원을 받은 기업의 성과는 지원을 받지 않은 기업과 상장 전, 후로 거의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벤처캐피탈의 유형을 나누어 비교한 결과, 상장 이후, 기업벤처캐피탈 투자기업의 ROA가 독립벤처캐피탈 투자기업 또는 벤처캐피탈의 지원을 받지 않은 기업의 ROA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향후 기업벤처캐피탈을 활용한 국내 벤처생태계 활성화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venture capital investment and corporate venture capital investment on the performance of IPOs listed on KOSDAQ between 2000 and 2014. We classified venture firms with venture capital­backed companies and non­venture capital­backed companies, having the former of which further divided into corporate venture capital-backed companies and independent venture capital-backed companies. The time window of the analysis was set to between 2 years before and 3 years after IPO. Main results of this study reveal that there is little difference between venture capital-backed companies and non-venture capital-backed companies in terms of profitability before and after going public. However, we found out that after IPO venture capital-backed companies display higher ROA than independent venture capital-backed companies or non­venture capital­backed companies, suggesting that corporate venture capital-backed companies might be more advantageous in growing a venture capital ecosystem in Korea.

      • KCI등재

        중국 국유기업의 자본형태와 지역경제성장

        이종찬(Jong-Chan Lee),원이중(Yi-Joong Won),제상영(Sang-Young Jei) 한국산업경제학회 2018 산업경제연구 Vol.31 No.3

        본 연구는 국유기업의 각출자본금을 국가자본금, 집체자본금, 법인자본금, 민간자본금, 홍콩·마카오·대만자본금, 해외자본금으로 분류하여 각 지역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고정효과를 이용하여 분석한다. 또한 4대 권역으로 구분하여 지역별 영향력을 추정한다. 전체 패널분석에서 국가자본과 집체자본은 지역경제성장에 음(-)의 영향을 미치고, 법인자본, 개인자본, 홍콩·마카오·대만자본은 지역경제성장에 양(+)의 영향을 미친다. 4대 권역구분을 이용하여 지역별 영향력을 추정한 결과, 동부 연안, 중부, 서부에서 국가자본이 지역경제성장에 음(-)의 영향을 미친다. 또한 유일하게 동북부권역에서 개인자본, 홍콩·마카오·대만자본이 음(-)의 영향을 미친다. 개인자본의 경우는 지역적으로 정책변동이 심하며, 개인의 투자가 투기성향을 보이는 것으로 판단되고, 홍콩·마카오·대만자본비중의 감소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동부 연안에서만 국유기업의 이익률이 지역경제에 양(+)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동부 연안은 타 권역에 비해 국유기업 의존도가 낮은 지역이면서, 경제성장과정에서 국유기업의 역할이 효율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자본 효율성의 개선이 시급하며, 퇴출되어야할 국유기업이 중앙정부의 지원하에 중국의 경제성장률 둔화에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국유기업 개혁에 따른 충격을 완화할수 있는 중앙정부의 대처방안에 성공의 여부가 결정될 것이라 판단된다.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s of state - owned enterprises on the economic growth of each region by using fixed effects by classifying the capital of state - owned enterprises as national capital, aggregate capital, corporate capital, private capital, Hong Kong, Macao, Taiwanese capital and foreigner capital. In the overall panel analysis, national capital and aggregate capital have a negative impact on regional economic growth, and corporate capital, private capital, Hong Kong, Macao and Taiwan capital have positive effects on regional economic growth. In the situation where the share of state capital is more than 50% among capital, it is urgent to open capital through privatization and efficiency improvement is needed. Second, it is proved that the state-owned enterprises deserved to be exited have an influence on China"s economic growth slowdown. As a result of estimating regional influence by using the four major regions, national capital has a negative impact on regional economic growth in the East Coast, Central and Western regions. In addition, private capital, Hong Kong, Macao, and Taiwan capital are the only negative impacts in the northeastern region. In the case of private capital, it is considered that policy changes are severe locally, individual investment is speculative, and the decrease in the share of Hong Kong, Macao and Taiwan capital seems to have affected. Only in the eastern coast, the profitability of state-owned enterprises affects the local economy positively. The eastern coast is less dependent on state-owned enterprises than other regions, and the role of state-owned enterprises in economic growth is efficient Respectively.

      • KCI등재

        스타트업이 벤처캐피탈을 선택할 때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소

        김진수,배태준,이상명 한국벤처창업학회 2021 벤처창업연구 Vol.16 No.2

        Existing research on the investment relationship between venture capital and start-up companies has mainly focused on choosing a startup from the perspective of venture capital, an investor. However, as competition among venture capital has increased recently, excellent start-ups with proven technology are choosing venture capital in reversely. This study investigated key elements that affect the selection of the venture capital by a startup. To this end, we looked at which venture capital company was selected as the final investor for startups that have received investment proposals from multiple venture capitals at the same time. Six early start-ups(pre-series A/Series A) and five mid-term (Series B/C) start-ups were interviewed to focus on the influence of the three elements regarding venture capital – 1) venture capital reputation, 2) relationship between cofounders and investors, and 3) value adding service provided by venture capital - on choice. As a result of the research, the investment portfolio among the reputations of venture capital was a very important element in selecting venture capital. However, it has been shown that the age and asset under management of venture capital are not important. Relationships have emerged as a very important element. Finally, as for venture capital's value-adding services, start-ups in this study did not consider it important. In particular, consulting and monitoring by venture capital has been found to be a burdening attribute for startups. This study suggests implications that can increase the probability of successful investment by venture capital in the investment market where investment competition is fierce, and enhance mutual understanding between venture capital and startups. 벤처캐피탈과 신생 기업의 투자 관계를 다룬 기존 연구는 주로 투자자인 벤처캐피탈의 입장에서 스타트업을 선택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하지만 최근 벤처캐피탈 사이의 경쟁이 높아짐에 따라 기술력이 검증된 우수한 스타트업의 경우 역으로 벤처캐피탈을 선택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는 스타트업이 벤처캐피탈을 선택할 경우, 벤처캐피탈과 관련된 어떤 요소가 선택에 영향을 미쳤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복수의 벤처캐피탈로부터 동시에 투자제의를 받은 경험이 있는 국내 스타트업을 대상으로 어떤 벤처캐피탈 회사를 최종 투자자로 택했는지 살펴보았다. 창업 초기단계(Pre-series A/Series A) 창업가 6명, 중기단계(Series B/C) 창업가 5명을 인터뷰하여 벤처캐피탈의 세 가지 요소: 1) 벤처캐피탈 명성(reputation), 2) 창업자와 투자자와의 관계(Relationship), 3) 벤처캐피탈이 제공하는 가치 증대 활동(Value adding service)이 선택에 미치는 영향력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벤처캐피탈의 명성 중 투자포트폴리오는 매우 중요한 벤처캐피탈의 선정 기준이 되였다. 하지만, 벤처캐피탈의 운용기간과 펀드 운용액은 중요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관계는 매우 중요한 요소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벤처캐피탈의 가치 증대 활동에 대해서는 본 연구의 스타트업 창업자들은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았다. 특히, 벤처캐피탈의 컨설팅과 모니터링은 오히려 스타트업에게 부담을 주는 요소로 작용했다. 본 연구는 투자 경쟁이 치열한 투자시장에서 벤처캐피탈의 투자 성공 확률을 높여주고, 벤처캐피탈과 스타트업 간의 상호 이해를 증진시켜 줄 수 있는 시사점을 제시한다.

      • KCI등재

        벤처캐피탈의 스타트업 투자전략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벤처캐피탈의 업력 및 재무적 특성을 중심으로

        신도성,김성욱,유창호 경성대학교 산업개발연구소 2018 산업혁신연구 Vol.34 No.3

        본 연구는 벤처캐피탈의 재무적 특성인 업력, 자산, 자본금, 영업수익, 영업이익 등을 측정하 여 이러한 특성이 벤처캐피탈의 투자전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중소기 업창업투자회사 전자공시(DIVA, Disclosure Information of Venture Capital Analysis)항목 중 2016년 정기공시를 기반으로 수집, 측정하여 통계적 실증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연구 결과를 요 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기기업 투자액을 종속변수로 한 다중회귀분석 결과 독립변수들 중 업력과 자산은 부(-)의 값으로 자본금과 영업수익, 영업이익은 정(+)의 값으로 나타났으며, 통계 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로는 자본금과 영업이익으로 나타났다. 이는 벤처캐피탈 의 자본금과 영업이익이 많을수록 초기기업 투자액이 높을 것으로 예상할 수 있으며, 이러한 확 률의 크기는 자본금과 영업이익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초기기업 투자건수를 종속변수 로 한 다중회귀분석 결과 독립변수 중 업력과 자산은 부(-)의 값으로 자본금과 영업수익, 영업 이익은 정(+)의 값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로는 자본 금 항목만이 있다. 이는 벤처캐피탈의 자본금이 많을수록 초기기업에 대한 투자건수가 높을 것 으로 예상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다중회귀분석을 통합적으로 살펴보면 벤처캐피탈의 자본금이 초기기업 투자액과 투자건수에 유의한 영향을 공통적으로 미치고 업력, 자산, 영업수익은 유의 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measure observable characteristics of a venture capital, such as age, asset, capital, operating revenue, and operating income to verify how they influence the investment strategy of start-ups. Data was collected and measured based on the 2016 report of the Disclosure Information of Venture Capital Analysis(DIVA) and statistical positive analysis was conducted. The result of the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initial investment amount as a dependent variable revealed that age and asset, out of the independent variables, have negative(-) values while capital, operating revenue, and operating income have positive(+) values. Capital and operating income, among variable, proved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s. This finding indicates as a venture capital company has more capital and operating income, it is more likely to have bigger initial investment, with capital having more effect than operating income. Seco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the number of initial investment as a dependent variable revealed that age and asset, out of the independent variables, have negative(-) values while capital, operating revenue, and operating income have positive(+) values. However, only capital showed having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This indicates a venture capital is more likely to have more cases of initial investment as it has more capital. Overall, the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capital of a venture capital company influences significantly the amount and cases of initial investment while age, asset, or operating revenues do not.

      • KCI등재후보

        Capital flows to low-income sub-Saharan Africa: an exploratory review

        Braiton Nombulelo,Odhiambo, Nicholas M. 경희대학교 글로벌 통상·금융연구원 2023 International Trade, Politics and Development Vol.7 No.1

        The purpose of the paper is to examine macroeconomic and institutional factors that influence capital flows to low-income sub-Saharan African (SSAn) countries. It analyzes capital flows in a disaggregated manner: foreign divert investment, portfolio equity and portfolio debt. There is a gap in the empirical literature in examining the factors that are important for various types of capital flows to low-income SSAn countries. Low-income SSAn countries attract very low levels of foreign investment compared to other developing economies in the SSAn region and other developing economies and this paper attempts to make a contribution in this area.This paper examines data on capital flows and that of various push and pull factors. Trends and dynamics of capital inflows and their macroeconomic and institutional drivers are analyzed for low-income sub-Saharan African countries. Such an analysis has not been fully explored for low-income SSAn countries.Capital inflows to low-income sub-Saharan Africa (SSA) have increased sevenfold since the 1990s, dominated by foreign direct investment (FDI). They overtook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and aid in the 2010s. Mozambique and Ethiopia attract the largest size of FDI compared to other low-income SSAn economies, with natural resources as key factors in the former. The largest share of FDI to low-income SSAn countries comes from other SSAn countries, mostly South Africa and Mauritius. Among macroeconomic push factors, capital inflows are more closely related to commodity prices, while the volatility index and global liquidity are also important. Among macroeconomic pull factors, trade openness and economic growth appear more closely related to capital inflows. The surge in capital inflows in the 2000s also followed the implementation of several regional trade and investment agreements in the region. The improvement in internal conflict in the 1990s and mid-2000s seems to have helped support the increase in capital inflows during that period. This institutional quality variable appears to more closely track capital inflows compared to other institutional quality indicators. There were also improvements in the investment profile, law and order, and government stability in the 1990s to early 2000s when capital inflows picked up.This study focuses on low-income SSAn countries, which are less studied in the empirical literature and that face immense developmental needs that require foreign and domestic capital.Findings of this paper can shed light to policy makers on the factors that are most important to help the region attract capital inflows and areas where further improvement is needed in the macroeconomic and institutional environment.There is a gap in the empirical literature in examining the factors that are important for attracting capital flows to low-income SSAn countries. To our knowledge, this study may be the first to explore dynamics of capital flows against institional quality for low-income SSAn countries at a disaggregated level.

      • KCI등재

        기업가정신/벤처/창업/정책 : 벤처캐피탈에 대한 정부 출자지원의 유효성 분석

        성하혁 ( Ha Hyuk Sung ),오승환 ( Seung Hwan Oh ),오인하 ( In Ha Oh ),이정동 ( Jeong Dong Lee ) 한국중소기업학회 2014 中小企業硏究 Vol.36 No.3

        벤처캐피탈은 벤처기업의 창업 및 성장, 일자리 창출, 경제의 혁신 활동 촉진, 기술진보를 유도하는 원동력이다. 벤처캐피탈 투자 자본시장은 재원에 따라 정부와 민간으로 나눠볼 수 있으며, 각 재원들의 출원 목적은 상이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정부자금을 포함한 벤처캐피탈 조합재원과 민간자금으로만 구성된 조합재원의 투자성과를 비교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벤처캐피탈의 투자를 받은 기업의 성장성, 수익성, 혁신활동, 생산성을 중심으로 이질적 자본의 투자현황을 정리하고 피 투자기업의 성과를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한 방법론으로는 성과 평가 시 발생할 수 있는 선택편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PSM(Propensity Score Matching) 기법을 활용하였다. 총 7,096개에 달하는 벤처캐피탈 투자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정부와 민간 벤처 캐피탈은 투자 대상 선택적 측면에서 큰 차이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정부가 출자한 벤처캐피탈로부터투자를 받은 기업들의 성과와 민간 벤처캐피탈 투자를 받은 기업들의 성과 사이에는 그 차별성이 없는 것으로 분석된다. 따라서 정부의 벤처캐피탈은 본래의 기능인 시장실패를 보완하거나 성장과 혁신 잠재력이 있는 기업에 투자를 하기보다는 민간에서 운영하고 있는 투자조합에 자금을 출자하는 수준에 머무르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최근국내 벤처캐피탈 시장에서 정부가 추구해야할 목표는 이전처럼 민간자본의 자본 유입과 투자시장 활성화보다는 성장성, 혁신성, 생산성 등 국가경제의 선순환을 위한 투자이며, 벤처캐피탈에 대한 정부투자는 민간투자와는 명확히 구별된 정책적 목표를 가지고 나아가야 할 것이다. Venture Capital is a key driving force for start-ups, growth, job creation and innovation activities of venture companies. The role of government in venture capital market as financial intermediaries investing in start-up and innovative companies going through an equity gap is different from that of private venture capital such as individual, corporate and institutional venture capital. This difference could have important implications in their investee’s performance to be successfully financed and nurtured for start-ups, growth, profitability, innovativeness and productivity. Despite the very significant involvement of government money in the venture capital market in Korea, the role played by government and its effects have not been definitely addressed so far in the previous literature. So, this paper attempts to both analyze and evaluate the effect of government financing to the venture capital fund on the firm’s performance. Moreover, we compare the difference of performance between government venture capital and private venture capital in Republic of Korea. Methodologically, propensity score matching (PSM) method is used for reducing the selection bias. The results indicate that venture firms which were funded by government have no different characteristics comparing with the firms which were funded by private sector. This result means that government has no discriminative selection mechanism for choosing the venture firms, although government investment to the venture capital has the different purposes comparing with private venture capital. In the respect of firm``s performance,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government venture capital and private venture capital. This indicates that the government needs to focus rather on fundamental goal of government venture capital.

      • Access to Capital Markets and Adjustment of Capital Structures

        정병욱,김현수 한국경영학회 2018 한국경영학회 통합학술발표논문집 Vol.2018 No.8

        This paper provides the evidences of heterogeneity in capital structures based on accesses to capital sources while providing new empirical findings. Using a large data set of public and private firms in Korea, our paper analyzes how access to various types of capital markets affects target leverage ratios, the speed of adjustments to targets, and financing activeness. Consistent with prior research, we provide main findings that (i) public firms have lower target leverage ratios and adjusts faster to targets than do private firms, and (ii) firms with access to external bond markets have higher target leverage ratios and adjust faster to targets than do firms without such access, regardless of whether the firms are public or private or not. Moreover, we provide the significant findings that the accesses to public and external equity and bond markets lead firms to more active issuance or retirement of capital. On the contrary, the effects of internal capital markets (ICMs) are not straightforward across different combinations of accessibilities to capital markets. More strategic and business-group-wise of operations and financing activities seem to work. We find that the effects of ICMs are relatively prominent in the subgroup of group-affiliates constrained in accesses to both public and external equity and bond markets. These evidences imply that, since the private firms within a business group are in general under strong control by owner-management of the business group in Korea, their debt financing from both internal and external sources can easily be substituted by other forms of funding such as internal private equity and various subsidizations through intra-group transactions, which are other devices for constituting internal capital markets.

      • KCI등재
      • KCI등재

        벤처캐피탈의 유가증권 처분을 통한 이익조정에 관한 연구

        김현주,이호영 한국회계정책학회 2015 회계와 정책연구 Vol.20 No.3

        Venture capital companies hold approximately 29 percent of total assets in the form of securities, and earn about 25 percent of total operating revenue through gain on disposal of the securities. Securities are highly liquid assets, whose transaction costs are considerably low. Tax-free benefits on capital gains from the disposal of securities are also given to venture capital companies. These features make the Venture Capital's disposal of securities highly inexpensive and effective way of managing earnings. This paper examines whether venture capital companies use the disposal of securities with the above characteristics for the purpose of earnings management, and whether the monitoring system outside the company, such as institutional investors effectively controls manager's earnings management. The results indicate that venture capital companies are taking advantage of the securities which account for a significant portion of their assets as a means of earnings management. This paper also finds that earnings management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erosion ratio can be one of the major incentives of earnings management of venture capital companies in particular for those suffering from the capital erosion. However, this paper reveals that external control factors pertaining to venture capital companies do not function well in monitoring the quality of financial reporting. More specifically, we are unable to find evidence that ownership of institutional investors effectively controls for venture capital companies’ earning management. This paper suggests that financial statements users always keep in mind the possibility of earnings management in using venture capital companies’ financial statements. Regulators should also consider establishing policies to hinder opportunistic behaviors of venture capital management and to secure the effectiveness of external monitoring systems. 벤처캐피탈은 총 자산의 약 29%를 유가증권의 형태로 보유하고 있으며, 영업수익의 약 25%를 유가증권 처분이익을 통해 벌어들이고 있다. 유가증권은 그 자체로 유동성이 높으며, 거래 비용도 낮은 자산이다. 또, 벤처캐피탈이 보유하고 있는 벤처기업 관련 주식양도차익에 대해서는 비과세 혜택도 주어진다. 이러한 특징들로 인해 유가증권 처분을 통한 이익조정은 벤처캐피탈에게 있어 이용이 용이하면서도 수반되는 비용도 낮은, 상당히 효과적인 이익조정의 방법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벤처캐피탈사들이 이 같은 특징을 지닌 유가증권을 실제 자신들의 이익 조정에 이용하고 있는지, 그리고 회사의 지배구조와 같은 모니터링 체계는 이러한 경영자의 이익조정을 효과적으로 통제하고 있는지 등을 검정하고자 하였다. 검정 결과, 벤처캐피탈은 자산의 상당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유가증권을 실제 이익조정의 수단으로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벤처캐피탈은 이익조정 전 ROA 수준에 따라 유가증권처분을 통한 이익조정의 양과 방향을 결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자본잠식을 겪고 있는 벤처캐피탈사들의 경우엔 자본잠식율 제고목적으로도 이익조정에 나서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자본잠식율 제고가 또 하나의 중요한 이익조정의 동기가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벤처캐피탈의 외부 통제 요인이라 할 수 있는 기관투자자인 주주는 이러한 벤처캐피탈의 이익조정을 유의한 수준에서 효과적으로 통제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재무제표의 이용자들이 벤처캐피탈사의 재무제표를 이용할 때, 다양한 이익조정의 유인이 있음을 인지해야 함을 보여 준다. 또한 벤처캐피탈의 규제기관들도 현재의 시스템 하에서는 벤처캐피탈사의 외부 모니터링 기능들이 효과적으로 작동하지 못할 수 있음을 인지하고, 향후 이러한 취약한 외부 모니터링 구조를 보안할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하여 이를 정책입안 과정에 반영하여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벤처캐피탈의 이익조정에 관한 최초의 연구이다. 하지만, 실제 벤처캐피탈 투자의 대부분은 조합을 통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벤처캐피탈 산업에 있어 조합의 중요성은 회사 못지않게 대단히 크다. 따라서 연구 여건이 허락된다면 향후의 연구 주제는 조합의 역할에도 중점을 두어 진행되어야 할 것이며, 이를 통해 벤처캐피탈을 둘러싼 이해관계자들에게 더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앞으로의 벤처캐피탈에 대한 정보 공개의 범위가 조합에 대한 정보로까지 확대되길 기대해 본다.

      • KCI등재

        벤처캐피탈 투자가 벤처기업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

        박지영,신현한 한국벤처창업학회 2020 벤처창업연구 Vol.15 No.1

        This study analyzes the innovation performance of venture firms according to existence of venture capital investment, and according to type and ownership of venture capital. Venture firms are IPO firms that are registered on KOSDAQ between the year 2000 and 2016. They are categorized as corporate venture capital-backed firms (CVC) and independent venture capital-backed firms (IVC). Using patent data from KIPO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we employ the number of patents and the citations per patent as the measurement of the innovation output. We find the positive association between the venture capital-backed firms and the number of patents before going public. Corporate venture capital-backed firms a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number of patents before and after IPO. However, we do not find strong evidence between the number of citations and the existence of venture capital investment or the type of venture capital. Lastly, we provide an inverse U-shaped relationship between the innovation performance and venture capital’s ownership. In other words, the innovation output, both the number of patents and the number of citations, gradually increases as the venture capitalist’s ownership increases, but also shows a decrease pattern, suggesting that the venture capitalist’s ownership does not only spur the innovation but also gives a negative effect on venture firm’s innovation output such as excessive intervention. Overall, we reveal that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the innovation performance is not the existence of venture capital investment or the type of venture capital, but the ownership of the venture capitalist. 본 연구는 코스닥시장에 상장한 기업을 대상으로 상장 전·후 벤처캐피탈 지원여부, 벤처캐피탈 유형 및 지분율에 따라 벤처기업(피투자기업)의 혁신역량에 차이가 존재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벤처캐피탈 유형은 기업벤처캐피탈(CVC)과 독립벤처캐피탈(IVC)로 세분화하고, 혁신을 측정하는 방법으로는 특허청이 보유한 벤처기업의 특허자료를 활용한다. 특허건수(출원, 등록)와 더불어 특허의 피인용횟수를 고려하여 벤처기업의 혁신성과를 엄밀히 측정한다. 분석 결과 벤처캐피탈 지원여부는 벤처기업 상장 이전에만 특허건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기업벤처캐피탈 지원을 받은 벤처기업이 독립벤처캐피탈 지원을 받은 경우보다 상장 전·후 특허수에서 정(+)의 관계를 보였다. 반면 피인용횟수에서는 벤처캐피탈 지원에 따른 성과를 찾을 수 없었다. 한편 벤처캐피탈의 지분율과 벤처기업의 혁신성과 간에는 역U자형 관계를 보였다. 즉, 벤처캐피탈 지분율에 높을수록 벤처기업의 혁신역량은 증가하지만, 일정 지분율이상에서는 오히려 벤처기업의 혁신에 저해가 되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이를 통해 벤처캐피탈의 지원여부 및 유형보다는 피투자기업에 대한 지분율이 벤처기업의 혁신성과에 더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