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원효의 진리론 논증

        배경아 ( Gyeong A Bae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6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25

        원효는 대승불교가 불설(buddhavacana)인지 아닌지를 가르는 진리기준을 논리적 타당성에 두었다. 이와 같은 입장은 자신이 속한 부파의 전승교학만이 불설이라고 하는 견해를 비판함과 동시에 진리를 인식하고 받아들이는 불교의 근원적인 태도를 보여준다. 전승되어온 성전이 아니라도 ‘논리에 부합하는 것’이라면 대승불교경전도 불설이며 진리일 것이기 때문이다. 대승불교가 불설이라는 것을 입증하려고 시도한 것은 아상가, 자야쎄나, 현장, 원효가 모두 마찬가지였다. 하지만 원효는 그 논증이 성공적이려면 우선은 상대편인 대론자도 인정할 수 있는 논법이어야 할 것이고 다음으로는 불설의 근거에 부합한다면 대승불교가 아니라고 할지라도 불설 일 수 있다. 는 입장에 흔들림이 없어야 한다는 것을 분명히 한다. 이와 같은 태도야 말로 대승불교의 정신과 직결되기 때문이다. 또한 이와 같은 원효의 대승불설논증은 초기유가행파의 대승불설논증과 맥락이 닿아 있다. 이와 관련된 문헌적인 근거로 우선 원효의『대혜도경종요 大慧度經宗要』를 들 수 있다. 원효는 여기에서 붓다의 말이 진실한 것,진리라는 것은 증성도리(證成道理)의 추리(比量)에 의해 증명된다고 말한다. 해심밀경에 등장하고 유가사지론에서 다루어지는 증성도리는 바른인식수단을 의미한다. 유가사지론에서는 불설이란 근본경전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며 성문경, 율전, 아비달마와 대승의 경전과 논서들 모두 성언에 상응한다면, 즉 증성도리에 부합한다면 그것은 불설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아상가에서부터 자야쎄나, 현장, 원효에 이르기까지 『증일아함경』을 유례로 든 것 또한 같은 맥락이라고 할 수 있다. 유가사지론에 의하면 『증일아함경』은 하나하나의 불교주제들을 전승된 성전이 아니라 상응, 혹은 도리의 관점에서 불설이라고 설명하고 있기 때문이다. For a long time in the east asia, Mahayana Buddhism was thought to be concerned with the established truths. Because it is teaching included in Buddhavacana. Especially, Won-Hyo made an syllogism proving Mahayana``s orthodoxy as follows. Pratijna:The teachings of all the Mahayana scriptures are reasonable. Hetu: Because they are teachings not included in ``non-Buddhavacana admitted by both parties``. Drstanta: Like Anguttaraagama etc. The paksa, ‘Theteachings of all the Mahayana scriptures are reasonable’ is to be distinguished from the cases of the paksa, ‘All the Mahayana scriptures are included in Buddhavacana’ which established by Jayasena, Xuan-Zang. Because of ‘included in Buddhavacana’ changed ‘reasonable’. ‘reasonable’ means to correspond with logic (yukti or nyaya, 正理) in Sanskrit. ‘Yukti’ is interpreted in three regards. Firstly, according to Samghabhadra, ‘reasonable’ means ‘dharmata’(法性) that the criterion by which abhidharma is included in Buddhavacana. Yukti (logic), thus, is a method to achieve the purpose, ‘dharmata’ (法性) Secondly, Bhavaviveka (ca. 490-570) maintained that yukti(logic), or anumana is the criterion by which Mahayana Buddhism is included in Buddhavacana. In the pramana tradition, yukti, or anumana is a source or ‘means’ of right knowledge. Namely, it is understood in respect of pramana or means of right knowledge. Thirdly, in the Yogacaratradition, it means the proof of truth established by ‘means’ of right knowledge, pratyaksa (direct perception), anumana, agama, or upapattisadhanayukti. Won-Hyo’s ‘yukti’ also can be interpreted as to be related Yogacaratradition``s upapattisadhanayukti which is ``means`` of right knowledge. Because of Won-Hyo referenced that Buddhavacana is proved by upapattisadhanayukti in『大慧度經宗要』

      • KCI등재

        테라와다 불교에서 붓다와짜나의 성문화 과정

        김한상(Kim, Han-Sang)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5 佛敎學報 Vol.0 No.70

        본 논문은 테라와다의 전통에서 붓다와짜나(buddha-vacana)의 성문화 과정을 마하빠데사(mah?padesa)와 관련하여 고찰한다. 빨리 성전에 대한 큰 위상과 권위, 그리고 그것은 붓다의 말씀이라는 주장에도 불구하고, 빨리 성전 속에는 특정한 비구들의 가르침으로 간주되거나 붓다의 입멸 뒤에 일어난 사건과 관련되거나 붓다의 입멸 뒤에 편집된 것으로 간주되는 텍스트들이 들어있다. 그래서 초기부터 빨리 성전이 과연 붓다와짜나인지에 대한 의문들이 끊임없이 제기되어 왔다. 마찬가지 이유에서 오늘날의 학계도 적어도 빨리 삼장의 일부는 붓다와짜나가 아니라 결집자들이나 주석가들의 작품이라고 주장한다. 하지만 처음부터 어떠한 텍스트의 성전적 위상에 대한 주장은 반드시 붓다의 친설(親說)만을 나타낸다는 주장이 아니라는 묵계가 있어 왔다. 다시 말하면, 붓다와짜나는 아주 이른 시기부터 새로운 텍스트들의 성전으로의 진입을 허용할 만큼 탄력적인 개념이었다. 붓다는 생전에 종교적 가르침들을 붓다와짜나로 인정하고 이를 바르게 해석하는 기준인 마하빠데사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평가 방식에 따르면, 비구는 (1) 붓다로부터, (2) 장로들의 모임으로부터, (3) 학식 있는 비구들의 소모임으로부터, (4) 한 명의 학식 있는 비구들로부터 어떠한 가르침을 듣고 그것을 붓다와짜나라고 주장할 수 있다. 하지만 그의 주장은 경(經, sutta)과 율(律, vinaya)과 비교하여 합치하지 않으면 거부되고 합치한다면 인정되어야 한다. 이러한 가이드라인과 평가 기준에 따라 붓다와짜나는 ‘수바시따(subh?sita)’로 폭넓게 정의되며 후대의 텍스트들도 성전으로 인정받게 된다. 그러므로 테라와다는 이들을 붓다와짜나라고 주장할 충분한 근거를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The present paper examines the canonization of Buddhavacana in the Therav?da tradition with reference to Mah?padesa. Despite the great status and authority attributed to the P?li canon and the claim that it is Buddhavacana, there are texts within the canon that are either attributed to specific monks, or related to an event post-dating the time of the Buddha, or that can be shown to have been composed after that time. Therefore, from a very early date, doubts have been expressed as to whether the P?li canon was really taught by the Buddha. For the same reason, contemporary scholarship also argues that at least some of the P?li canon is not part of the Buddhavacana but the work of later commentators and councilors. However, from the outset, there has been a tacit understanding that to claim canonicity for a text is not the same as claiming that it represents only what has actually been uttered by the Buddha in person. That is to say, the notion of Buddhavacana has been flexible enough to allow new texts to be added to the P?li canon from a very early date. The Buddha himself formulated the four great authorities (cattaro mah?pades?) that could authenticate religious teaching as Buddhavacana and interpretit correctly. According to this system of evaluation, a monk might claim that a specific teaching is Buddhavacana because it has been heard from one of four possible authorities: (1) from the Buddha; (2) from a community of senior monks; (3) from a smaller group of learned monks;or (4) from a single learned monk. However, the specific teaching should be also compared with the rest of Sutta and Vinaya; if these do not agree, it should be rejected; if they do agree, it should be accepted. It was in this way that Buddhavacana became broadly defined as “word that is well spoken (subh?sita),” and that the later texts came to be recognized as canonical. Therefore, Therav?dins have every right to present the P?li canon as Buddhavacana.

      • KCI등재

        지평융합-불설(buddha vacana)은 해석의 지평에서 현존한다

        이규완 ( Yi Kyoo-wan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8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35

        이 논문은 선행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기간에 간과된 부분이나 보다 진전된 연구를 요구하는 부분에 대한 탐색의 일환으로 작성되었다. 먼저 논문에서는 서구학계와 일본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선행연구의 내용과 의의에 대해 개괄하면서 두 가지 상이한 해석학적 접근이 수렴하는 과정을 검토하였다. 불교의 전통이 살아있는 한국과 일본 등에서의 문제의식은 서구학계의 관심과 차이가 날 수 밖에 없으며, 그로 인해 연구방법과 내용에 차이를 노정하였다. 그러나 서로 상이한 접근은 불설(佛說)에 대한 보다 다면적이고 심층적인 이해를 가능하게 하는 해석지평에서 합류하게 된다. 불설의 판정기준으로 라모트(Lamotte)와 후학들의 ‘4대교법’에 대한 연구가 있다. 비교적 초기의 ‘4대교법’과 함께, 대승적인 관점이 두드러진 ‘4의(依)’에 대해서도 충분한 일차적 연구가 이루어져 있다. 이 논문에서는 ‘4대교법’의 정형구와 수사적 기법의 변주를 통해 불설에 대한 해석이 어떻게 변화되어 갔는지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후 ‘4의’의 관점을 예고하는 ‘4대교법’의 결론은 ‘이치(理致, yukti)에 따른 해석’으로 귀결된다. 이는 대승일반을 비롯하여 원효의 해석학적 관점과도 일치한다. 논문은 이 ‘이치에 다른 해석’이 함축하는 해석학적 함의를 ‘지평융합’이라는 개념을 통해 확장하고자 한다. 가다머의 표현을 빌어, 영향사 속에 있으며, 전통에서의 해석적 역사를 체화하고 있는 경전은 해석자의 지평에서 지평융합을 촉발한다. 이 사건을 통해 전승은 새로운 의미를 지닐 뿐만 아니라, 새로운 경전이 창출될 수도 있다. The debates on buddhavacana in the Korean Buddhist schools have been a very exceptional case in that the open debates on the press attracted public attention to the scholastic subject crucial to the Buddhist studies, consequently increasing the public understanding of the subject as well as betraying the scholastic accomplishment of the Korean Buddhist studies. The paper stands on the shoulder of the participants of the debates and examines, if any, details unnoticed or subjects required for further advancement afterwards. First of all, this paper reviews the contents and meaning of the studies in Japan and the West in the 20th century, comparing the two distinct approaches. The East Asian perspective should have been different from the West since Buddhism is a live tradition in the East whereas it has been a subject of intellectual concern or a subject investigated by the eyes of Judeo-Christian tradition. The differences on the interests and methods of the two traditions, in fact, mutually supported each other to converge into a new hermeneutical horizon to make deeper and more diverse understanding of the buddhavacana. The most typical and outstanding research on this topic is the work of Lamotte on the 4 mahapadesa, the critical standards for buddhavacana. With accompanying publications on mahapadesa and the 4 pratisarana, I presume, fundamental researches have been carried out well enough. So, in this paper, I rather focus on the variations made by the application of rhetorical devices to the formula of the 4 mahapadesa. From the observation, I reveal how the discussion on the buddhavacana had reached the final standard, the hermeneutics by reason, yukti, which continued in the blood of Wonhyo as well as other Mahayana Buddhist canonical interpretors. This paper eventually explores a possibility to extend the hermeneutics by reason to the concept of ‘the fusion of horizon.’ According to Gadamer, every canonical literature is formed and lived through ‘the effectual history’ and the canon in turn comes to be fusing into the horizon of the readers of the canonical literatures or the creators of the new scriptures. Through the events of ‘the fusion of horizon,’ the buddhavacana can not just be newly interpreted but also be created in the voice of contemporary audience.

      • KCI우수등재

        원효 저 『판비량론』의 대승불설 논증 - 勝軍의 대승불설 논증에 대한 玄奘의 비판과 元曉의 改作

        김성철(Kim Sung-chul) 불교학연구회 2003 불교학연구 Vol.6 No.-

          There have been many efforts of proving Mah?y?na"s orthodoxy throughout the history of Mah?y?na Buddhism. In Mah?y?nasa?- grahav?tti(攝大乘論釋) of Asvabh?va(無性), we can find some syllogistic expressions proving Mah?y?na"s orthodoxy. But those expressions fall in the fallacy of anaik?ntika. So Jayasena(勝軍) who was the teacher of Hs?an-Tsang designed new syllogism proving Mah?y?na"s orthodoxy. That is as follows.<BR>  pratij??: All the Mah?y?na scriptures are included in Buddhavacana.<BR>  hetu: Because they are not included in "non-Buddhavacana admi -tted by both parties".<BR>  d????nta: Like A?guttara-?gama etc.<BR>  But his pupil Hs?an-Tsang pointed out the fallacy of anaik?ntika in this syllogism by presenting the counter-example of Abhidharma -j??naprasth?na-??stra(發智論) and designed new syllogism as follows.<BR>  pratij??: All the Mah?y?na scriptures are included in Buddhavacana.<BR>  hetu: Because they are not included in "non-Buddhavacana admitted by this party".<BR>  d????nta: Like A?guttara-?gama etc.<BR>  In Pan-Bi-Ryang-ron Won-Hyo criticized this syllogism. Won-Hyo also pointed out the fallacy of anaik?ntika in this syllogism. To show this fallacy Won-Hyo took R?pa(色) and Gh?na(香) etc. as the counter-examples.<BR>  Finally Won-Hyo made himself an syllogism proving Mah?y?na"s orthodoxy as follows.<BR>  pratij??: The teachings of all the Mah?y?na scriptures are reasonable.<BR>  hetu: Because they are teachings not included in "non-Buddhavacana admitted by both parties".<BR>  d????nta: Like A?guttara-?gama etc.<BR>  Here Won-Hyo means that the orthodoxy of Mah?y?na should be decided not by proving whether they are preached by Gautama Buddha himself or not, but by proving whether they are reasonable or not. So we can guess that Buddha conceived by Won-Hyo was not the Nirm??ak?ya but the Dharmak?ya.

      • KCI등재

        Middle Path and Modernity of Korean Buddhism

        황순일 한국불교학회 2015 韓國佛敎學 Vol.75 No.-

        Can the Mahāyāna teachings be the teaching of the historical Buddha? It has been one of the key questions among Korean Buddhists after the encounter with the outcome of the Western philological studies on the Buddhist texts. Nowadays, there hardly is anyone who claims both the Saddharmapuṇḍarīka-sūtra and the Avataṃsaka-sūtra were produced during the time of the historical Buddha. Traditionally however these texts, core texts within the East Asian Mahāyāna Buddhist tradition, had been regarded as the word of the Buddha (buddhavacana). Master Seongcheol (1912~1993),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modern Korean Seon (Korean equivalent of the Japanese Zen) masters, was the one who realized the seriousness of this problems. As the 6th Supreme patriarch of The Jogye Order of Korean Buddhism, he spread Buddhism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through his simple and acute teachings and disciplined life. In 1967 he became the head of the monastic teaching Centre in Haein temple which is famous for preserving the 84,000 woodblocks of the Tripitaka Koreana. During the summer retreat, he gave dharma talks to the assembled monks and nuns together with laity for two to three hours every morning. His sermons went on for almost a hundred days, until the end of the summer retreat. These dharma talks were recorded and later in 1992 published as a book entitled ‘Sermon of One Hundred Days’. In this book, he clarified that the theory of the middle path could be the core of Buddhism, and he tried to explain all Buddhist philosophy and doctrinal history in light of the middle path. In 2010 this book was translated into English and published by Equinox under the monograph series from Oxford Centre for Buddhist Studies. This paper will deal with master Seongcheol’s life and his idea of the middle path in terms of the problems concerning the nature of the Mahāyāna teachings and of the buddhavacana.

      • KCI등재

        까타왓투(Kathāvatthu)와 붓다와짜나(Buddhavacana)

        황순일(Heang Soon-Il) 보조사상연구원 2013 보조사상 Vol.40 No.-

        남방 테라와다(Theravāda) 불교는 부처님의 말씀 즉 붓다와짜나(Buddhavacana)란 개념을 통해 자신들의 빨리 삼장(tipiṭaka)에 절대적인 위치를 부여하고 있다. 하지만 아비담마(abhidhamma) 문헌들이 빨리 삼장에 편입되는 과정과 특히 저자가 목갈리뿟따띳사(Moggaliputtatissa)로 알려져 있는 까타왓투(Kathāvatthu)에 경전적 권위를 부여하기 위해 스리랑카 아누라다푸라의 마하비하라(Mahāvihāra) 교단은 붓다와짜나(Buddhavacana)의 개념을 변화시키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붓다고사가 스리랑카를 방문했던 기원후 5세기 경에 있어났으며 사실상 그 이전까지 빨리 아비담마는 제자리를 찾지 못하고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상까샤(Sāṅkāśya) 기적을 통해서 아비담마를 붓다와짜나로 만들어가는 과정을 살펴보면서 오늘날 남방 테라와다(Theravāda) 교단이 성장할 수 있는 토대를 만들었던 스리랑카 아루라다푸라 마하위하라 보수적인 태도를 비판적으로 살펴본다. Southern Theravāda Buddhist tradition tried to establish the absolute canonicity of their Pali tipiṭaka through the concept of Buddhavacana (the word of the Buddha). In fact they not only included the traditional suttas and vinayas in this category but they also added abhidhammas generally regarded as non-canonical. When we follow the process applied by the Mahāvihārins of Anurādhapura, we can see a kind of retrospective tendency saying 'yesterday's apocryphal text becomes todays canonical text'. At the time of Buddhaghosa, they indeed changed the concept of Buddhavacana in order the Kathāvatthu, known to be recited by Moggaliputtatissa at the 3rd Buddhist council, to be included in the canonical Pali tipiṭaka. In this paper I am going to deal critically with the Mahāvihārins' conservative attitude towards their canon through the analysis of Sāṅkāśya miracle as well as the role of Buddhaghosa in composing Pali commentarial materials.

      • KCI등재

        『법구경』의 성립과 전승과정의 복잡성

        김성옥 금강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2021 불교학 리뷰 Vol.30 No.-

        『법구경』은 가장 대표적인 불교 경전 가운데 하나이다. 붓다의 가르침을 선별하 여 따로 모았기 때문에 불교의 핵심 내용을 담고 있는 점은 분명하지만, 세부 사 항에 들어가면 생각보다 단순하지 않다는 것을 알게 된다. 무엇보다도 우리는 인 도와 중앙아시아에서 발견된 다양한 사본들 가운데 『법구경』의 원형(original)을 확 정할 수 없다는 사실에 직면하게 된다. 이 경전은 오랜 불교의 역사 속에서 성립 되고, 광범위한 지역에 다양한 언어로 유포되었다. 거기에 부파 분열이라는 불교 내부의 역사까지 복잡하게 얽혀 있다. 빨리어 『담마빠다』, 산스크리트어 『다르마빠다』, 간다리 『다르마빠다』, 파트나 『다르마빠다』, 그리고 『우다나바르가』에 이르기까지 『법구경』 인도어 버전의 형태 들은 매우 복잡한 양상을 보인다. 한역 『법구경』과 동일 계통의 문헌으로 간주되 는 『법구비유경』・『출요경』・『법집요송경』의 경우도 복잡하기는 마찬가지이다. 『법 구경』의 서문을 통해 알 수 있는 이 경전의 한역 과정에서 최초의 5백 게송과 새 로 얻은 13품 250여 송의 출처 등을 밝히는 일은 쉽지 않아 보인다. 더구나 ‘가장 초기의’, ‘가장 원형을 간직한’ 형태를 확정하는 일은 거의 불가능에 가까운 듯하다. 현재 남아 있는 『법구경』의 형태는 경전의 성립과 전승 과정에서 때로는 같은 종류의 다른 게송이 추가되고, 때로는 생략되는 일련의 과정을 거쳤을 것이다. 그 과정에는 ‘불설(佛說, Buddhavacana)’에 대한 불교도의 유연한 태도가 주요한 요인 으로 작용했을 것으로 보인다. 『담마빠다』, 『다르마빠다』, 『우다나바르가』의 주요 버전과 단편들은 게송이나 품의 배열에서 명백한 차이를 지니고 있음에도 불구하 고, 동일 계통의 텍스트로 간주되어 왔다. 이 점에 대해서는 원형의 형태를 확정 할 수 없는 인도와 불교 텍스트의 고유한 특징도 충분히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The Faju jing (法句經) is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Buddhist scriptures. Since the Buddha’s teachings have been selected and assimilated, it is clear that this scripture contains the core essence of Buddhism. However, when we go into the details, we realize that it is not as simple as was thought. Above all, we are confronted with the fact that among the various manuscripts found in India and Central Asia, the original Faju jing cannot be ascertained. This sūtra was established during the long history of Buddhism and was disseminated in various languages across the wide area. In addition, the internal history of Buddhism, defined by division into sub-schools, made it more complicated. From the Pāli Dhammapada, Sanskrit Dharmapada, Gāndārī Dharmapada, Patna Dharmapada to the Udānavarga, the various forms of the Indian version of the Faju jing are very complex. In the case of Faju piyu jing (法句譬喩經), Chuyao jing (出曜經), and Faju yaosong jing (法集要頌經), which are considered to be of the same lineage as the Faju jing in Chinese translations, there are also complications. It does not seem to be easy to reveal the source of the first 500 verses and the newly acquired 13 chapters (with 250 verses) in the Chinese translation of this sūtra, which can be found in the preface of the Faju jing. Moreover, it seems almost impossible to determine ‘the earliest’ and ‘the most original’ form. The existing form of the Faju jing must have gone through a series of processes in which other verses, of the same kind, were sometimes added and sometimes omitted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nd transmitting the sūtra. During the process, it seems that the flexible attitude of Buddhists toward ‘Buddhavacana’ acts as a major factor. The major versions and fragments of Dhammapada, Dharmapada, and Udānavarga have been considered to be of the same lineage, despite the obvious differences in the arrangement of verses and chapters. In this regard,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Indian and Buddhist texts, which do not allow for the original form to be determined, should be fully considered.

      • KCI등재

        성언량의 비량귀속 담론 발전 양상 연구 - 『땃뜨와상그라하』(Tattvasaṃgraha) 1488-1524를 통한 고찰

        함형석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3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14

        This paper examines one section of the Tattvasaṃgraha where Śāntarakṣita reaffirms Dignāga’s thesis that linguistic means of gaining information (śābda-pramāṇa) is to be considered as a sub-category of inference (anumāna). In the Śābdavicāra section, by drawing upon Śabara, Kumārila and Dignāga’s relevant texts, Śāntarakṣita tries to prove the infallibility of the Dignāga’s original position. However, in so doing, Śāntarakṣita resorts to a couple of tactics to manipulate those texts to accomplish his goal: Śāntarakṣita 1. replaces key terms in the opponent’s text as he cites it (Śabara), 2. changes the apparent meaning of the text by reinterpreting a loose term and ignoring (or not quoting) the specific portion of the author’s own commentary (Dignāga), and 3. does not answer legitimate counterargument immediately until he fixes/reinterprets the Dignāga’s text to meet the opponent’s standards (Kumārila). In this process of textual manipulation, Śāntarakṣita succeeds in presenting the Dharmakīrti’s position (that the meaning of words is confined to the intention of the speaker) as the long-held traditional stance of the Buddhist epistemological school on the matter. The paper concludes with an appreciation of the fact that, by subsuming “śābda” under “anumāna” and by confining the meaning of a linguistic expression to the intention of speaker (vivakṣā), the Buddhists came to prove the validity of the Buddha’s words not by inspecting the validity of words themselves but by showing the special qualities of the Buddha that indicates the truthfulness of speaker. 본 논문에서는 샨따락쉬따(Śāntarakṣita)의 주저 가운데 하나인 『땃뜨와상그라하』(Tattvasaṃgraha)의 「성언량 탐색」(Śābdavicāra)절의 내용을 통해 후대의 인도불교도들이 성언량을 독립된 지식의 원천으로 간주하지 않고 비량의 일종이라고 여기는 진나(Dignāga)의 입장을 어떻게 계승하고 발전시켜나가는지에 대해 고찰한다. 우선 샤바라(Śabara)와 꾸마릴라(Kumārila) 등의 미맘사학파의 진나 비판을 반박하고 진나의 초기 입장을 변호하는 과정 속에서 샨따락쉬따가 관련 텍스트들을 이용하는 방법을 분석하여 성언량의 비량 귀속이라는 담론의 역사적 맥락을 살펴보려고 하였다. 그리고 그러한 논쟁 속에서 도출된 불교도의 입장이 어떻게 붓다의 언설을 입증하는 방식을 제한하는지에 대해 논의함으로써 성언량을 독립된 지식획득의 수단으로 여기지 않는 불교도들에게 해당 담론이 갖는 의의를 평가해보고자 하였다.

      • KCI등재

        부파불교 불설 논쟁으로 본 불설의 의미

        황정일 ( Hwang Jung-il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8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35

        한국불교사에서 불설·비불설 논란이 불거진 것은 1990년대 이후 초기불교에 대한 연구가 본격화 되는 시점부터일 것이다. 이후 이 논란은 최근 권오민이 대·소승의 불설 기준은 전통이나 권위가 아닌 법성에 근거한다는 초종파적 불설론을 재기하면서 다시 촉발되었다. 하지만 권오민의 주장은 그의 의도와 상관없이 초기경전과 대승경전의 친설·비친설론으로 변질되어 한국불교의 종파적 입장 차이만 재확인하는 결과를 낳았다. 더욱이 부파불교에서의 불설론이 제대로 평가되지 못한 아쉬움을 남겼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우선 초기불교에서의 불설론 제기와 부파불교에서의 불설론 논쟁을 통한 불설론의 정의 및 의미를 살펴보고, 그것이 대승경전 불설론 주장에 미친 영향을 논구했다. 그 결과, 초기불교는 사대교법에 근거한 불설론을 주장했으며, 부파불교를 대표하는 설일체유부 학파의 불설론은 사대교법을 전승 및 확대한 의미에서의 정의였다. 즉 유부는 법성, 은몰, 밀의라는 방편을 통해, 아비달마가 법성에 위배되지 않고, 사라진 경에 있었으며, 은밀한 뜻으로 전해졌음을 주장했다. 또한 유부의 불설론은 무착, 세친 등의 대승불교 논사에게도 영향을 주었는데, 무착은 『대승장엄경론』에서, 세친은 『구사론』, 『석궤론』을 통해서 전승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청변은 기존의 불설론을 인정하지 않고, 정리와 추리에 근거한 불설론을 주장했다. 이는 무착이나 세친의 불설론이 설일체유부의 불설론에 근거한 것이며, 그러한 불설론으로는 대승불교만의 불설론을 주장할 수 없다고 판단했기 때문일 것이다. 불설론은 초기불교에서부터 시작해서 대승불교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논의되어 왔으며, 최근의 불설론 논쟁도 그 연장선상에 놓여 있다. 따라서 앞으로의 불설론이 보다 의미 있는 논의가 되기 위해서는 기존의 불설론을 넘어선 새로운 정의 및 방법이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The Korean history of Buddhism saw arguments surface over the Buddha’s word (Buddhavacana) or not theory as, after the 1990s, studies on early Buddhism began to be conducted in earnest. Afterwards, these arguments were triggered again as Gwon O-min recently presented the super-sectarian Buddhism theory which says that the standards for the Mahayana Buddhism and Hinayana Buddhism and Buddhism theory are not founded on tradition or authority but on dharmata. His insistence, however, regardless of his intention, gave way to the Buddha's real teachings or not theory of the early-time sutras and Mahayana sutras, thus leading to the reconfirmation of the sectarian position difference in Korean Buddhism. Further, this regretably led to the Buddha’s word theory not properly evaluated in the sectarian Buddhism. This study thus examined the arguments over the Buddha’s word theory presented in early Buddhism and over the Buddha’s word theory presented in sectarian Buddhism, and determined the effects of these arguments on the Buddha’s word theory of Mahayana sutras. Thus, it was found that the early Buddhism embraced the Buddha’s word theory based on Mahapadesa, while the Buddha’s word theory of the sarvasti-vada school which represents the sectarian Buddhism helped inherit and spread Mahapadesa. It was insisted that Sarvasti-vada existed in the disappearance sutras by the menas of dharmata, antardhana, and abhipraya without Abhidharma going against dharmata, and thus was handed down by the secret.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Buddha’s genuine word theory of Sarvasti-vada influenced Mahayana Buddhism masters such as Asanga and Vasubandhu, while Asanga was inherited in Mahayanasutralamkara; and Vasubandhu in Abhidharmakosasastra and in Vyakhyayukti. Meanwhile, Bhavaviveka did not accept the existing Buddhism theory, but embraced the Buddha’s genuine word theory based on yukti, nyaya and anumana. This presumably was because they judged that the Buddha’s genuine word theory of Asanga or Vasubandhu was founded on the Buddha’s genuine word theory of Sarvasti-vada, and that such Buddhism theory alone could not postulate Mahayana Buddhism's own Buddhism theory. the Buddha’s word theory has been discussed in various ways from early Buddhism to Mahayana Buddhism, including the recent arguments over the Buddha’s word theory. Thus, for the Buddha’s word theory to be discussed more meaningfully, new definitions and research methodologies beyond the existing Buddhism theories should be presented.

      • KCI등재

        『十門和諍論』에 나타난 ‘불성 유 · 무(佛性有無)’에 대한 논의 연구

        김태수(Kim, Tae Soo) 새한철학회 2018 哲學論叢 Vol.94 No.4

        본 논문은『十門和諍論』〈佛性有無和諍門〉에 나타난 불성 유 · 무(佛性有無)에 대한 논쟁 및 이에 대한 원효(617∼686) 해석의 특성을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존 연구에서는 유성 · 무성론의 논법보다 원효의 화쟁 내용이나 일심과의 관련에 초점을 두었다. 하지만『十門和諍論』의 불성 논의에는 원효의 회통 부분이 남아 있지 않다. 따라서 유성론과 무성론의 논쟁에 대한 원효 해석을 통해 화쟁 방식을 추론할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 원효가 불성 유 · 무(佛性有無) 논의를 정리하는 방식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보았다. 이러한 시각에서 본 논문에서는 불성 유 · 무에 대한 두 입장의 타당성과 이에 대한 원효 해석의 특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귀류법(prasaṅga) 등 전통적 논법을 사용하면서도 오류논법 등을 포섭하여 부정을 통한 긍정으로 이쟁(異諍)을 화(和)하는 방식을 분석할 것이다. 또한 법성(dharmatā)과 도리(yukti)의 차원에서 다양한 경증과 이증을 통해 해당 논의를 회통하는 방식을 검토할 것이다. 『十門和諍論』잔간에서는 유성론과 무성론의 양 입장을 서술한 후, 관련 오류를 지적하는 방식으로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단, 무성론 비판에서 경증 자체가 아니라 경증에 대한 잘못된 해석이나 논리적 오류만을 드러내는 점을 고려해 보면, 유성론 비판에서도 이와 유사한 형태를 취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釋華嚴敎分記圓通鈔』의 인용내용 등에 의거할 때, 산실부에서 이어졌을 화쟁은 대승적 견지에서 양론을 동등하게 포섭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다만 부정 이후, 긍정을 유도한다는 점에서『涅槃宗要』의 긍정적 종합과 달리, ‘선별적 부정 및 관점에 따른 긍정’ 방식이 활용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features of the arguments provided in Sipmun-hwaj gaenglon (Ten Approaches to Harmonizing the Disputes) on the discourses of ‘existence and non-existence of Buddha-nature’ and its interpretation of Wonhyo (617∼686). A Special attention will be given to his way of interpreting the argument between gotrasattva (sentient beings with Buddha-nature) and agotrasattva (sentient beings without Buddha-nature) while reconciling those. Not many studies have examined this argument from the perspectives of Buddhist logic. With this point in view, this study will examine the validity of each argument and the characteristics of Wonhyo’s interpretation of them. Through this, this research attempts to show that although the traditional logic of reductio ad absurdum (prasaṅga) is mainly used, the logic of fallacy is also taken into account to convince opponents to accept the opposing view. It is viewed as the method of deducing affirmation through negation. Further, it analyzes the way of constructing logical consistency while utilizing various proofs of scripture and logic based on Buddhavacana, which was understood as the true nature of things (dharmatā) and logical principle (yukti). Hereby, attention is also given to its feature of inclusiveness in synthesizing the opposing view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apologetic or religious hermeneutics of Mahāyāna skillful device, as well as in pointing out fallacies in the relevant discour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