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시대 三世佛像의 연구

        심주완 한국미술사학회 2008 美術史學硏究 Vol.259 No.259

        三世佛은 敎學上 과거․현재․미래의 시간적 개념으로 알려져 있지만, 조선시대에는 석가불․약사불․아미타불로 구성된 독특한 삼세불상이 대유행을 하게 된다. 또한 본존상에는 비로자나불이 등장하기도 하고, 좌우존상에는 아미타불․미륵불․다보불 등이 등장하기도 한다. 그리고 이 삼세불은 주요 사찰의 중심 佛殿에 봉안되고 있고, 또한 우리나라 전역에 퍼져 있어 조선시대 조각사에 있어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그래서 조선시대 삼세불에 대한 연구가 주목받고 있으며, 그 연구 성과가 가시화되고 있다. 그런데 조선시대 삼세불은 교학적 근거가 없고 다양한 형식과 복합적 개념이 포함되어 있어 연구자들마다 다양한 의견이 제시되고 있다. 석가불 중심의 삼불 형식은 三世佛, 三佛, 三界佛, 三方佛 등으로 명명하고 있으며, 비로자나불 중심의 삼불 형식은 ‘毘盧遮那三身佛’, ‘三身佛’, ‘三身三世佛’, ‘三佛’ 등으로 명명하고 있다. 그래서 명칭에 대한 문제점을 언급하고, 조상 기록을 밝혀 ‘三世佛’로 명명하는 것이 타당함을 증명하였다. 삼세불은 인도에서는 찾아볼 수 없고, 5세기 중국 북위시대에 등장하기 시작한다. 이 시기에 이미 시공간의 개념이 융합된 삼세불이 조성되고 있었다. 遼․金代 다시 유행하기 시작하여 원․명․청대 이르기까지 삼세불의 전통이 이어져 오고 있다. 특히 隋代 〈靈泉寺 大住石窟 삼세불좌상〉(589년)은 본존 노사나불, 좌존 미륵불, 우존 아미타불로 구성되어 남북조시대 삼세불의 개념을 이해할 수 있었으며(도4), 금대 〈常樂寺 삼세불좌상〉은 본존 석가, 좌존 미륵, 우존 가섭으로 구성되어 요․금대 삼세불의 일면을 이해할 수 있었다(도7). 우리나라도 고려시대에 삼세불이 본격적으로 등장하기 시작하여 조선 초까지 고려의 전통이 이어지고 조선 후기에는 전국적으로 유행을 하게 된다. 특히 고려시대 〈금강산 삼불암 마애삼존불상〉은 존명이 밝혀져 삼세불의 개념을 밝히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도5). 조선시대 삼세불을 크게 석가삼세불 형식과 비로자나삼세불 형식으로 구분하였는데, 비로자나삼세불 형식은 조선 전기적인 경향이 강하고 석가삼세불 형식은 조선 후기적 경향이 강하다. 특히 좌존상은 미륵불에서 약사불로 대치되어 조선 후기에는 약사불로 정형화되었다. 그래서 조선 후기에는 석가불․약사불․아미타불로 구성된 석가삼세불 형식이 전국적으로 유행하게 된다. 조선시대 삼세불은 과거․현재․미래를 상징하는 시간의 개념과 사바세계․유리세계․극락세계을 상징하는 공간적 개념이 융합되어 있고, 또한 法身․報身․化身의 三身佛 개념도 융합되어 있다. 그뿐만 아니라 五佛을 형상화하고, 시방삼세일체제불을 대변하고 있다. 그리고 사상과 신앙이 공존하고 자력 신앙과 타력 신앙의 조화를 이루는 구성력을 보이고 있다. The Buddhas of the Three Worlds are normally understood as temporal manifestations of Buddha, hence the embodiments respectively of the past, present and the future. During the Joseon Period of Korea, however, a peculiar triad of Buddhas came to represent the Buddhas of the Three Worlds, composed of Śākyamuni, Bhais(s 밑에 점)ajyaguru and Amitābha. The main Buddha of the triad was sometimes Vairocana, accompanied by Amitābha, Maitreya or Prabhūtaratna Buddha as attendant Buddhas. The Buddhas of the Three Worlds are given prominent positions within major Korean temples, located most often inside their main sanctuary, and their place in the history of Joseon-period sculpture was just as central. The Buddhas of the Three Worlds in Joseon Buddhist temples have received much attention among Buddhist specialists. However, due to the lack of doctrinal grounding of this type and its vast stylistic diversity as well as its eclectic symbolism, the interpretation of this sculptural tradition varies wildly depending on the researcher. Buddha triads having Śākyamuni as the main Buddha are generally designated by terms such as samsebul (Buddhas of the three Worlds), sambul (Three Buddhas), samgyebul (Buddhas of the three spheres) or sambangbul (Buddhas of the three directions).” Meanwhile, those triads having Vairocana as the main Buddha are referred to as birojanasamsinbul (Buddhas of the three bodies with Vairocana),” samsinbul (Buddhas of the three bodies), samsinsamsebul (Buddhas of the three bodies and the three worlds) or sambul (Three Buddhas). In this paper, I discuss the confusion in the nomenclature of this iconographic type, and attempt to explain why it should be designated as samsebul by tracing back to the earliest available historical records. The Buddhas of the three worlds, unknown in Indian Buddhism, made their first appearance during the fifth century, in Northern Wei of China. Buddha triads produced during this period already exhibited the defining characteristics of the Buddhas of the three worlds, namely the successive spatio-temporal embodiments of Buddha. The images of the Buddhas of the three worlds regained popularity during the Liao and Jin Dynasties, and the tradition was maintained throughout Yuan, Ming and Qing. The Sui-dynasty Buddhas of the three worlds in the Dazhu cave at Lingchuan Temple (589), having Rocana as the main Buddha, accompanied by Maitreya as the left attendant and Amitabha as the right attendant, for instance, are considered an excellent showcase of this sculptural theme, as it was understood and interpreted during the Northern and Southern Dynasties of China. Likewise, the Jin-Dynasty Buddhas of the three worlds in Changle Temple, consist of Śākyamuni, Maitreya and a Kāśyapa eloquently bespeak the related tradition in the Liao and Jin Dynasties. In Korea, sculpted images of the Buddhas of the three worlds first appeared during the Goryeo Dynasty. This tradition, having remained current through the following Joseon Dynasty, was brought to a peak in the later part of the dynasty, when it gained a nationwide popularity. The Maitreya Buddha Triad at Samburam of Mt. Geumgang, dating from the Goryeo Period, in particular, importantly helped to cast light on the symbolism of the Buddhas of the three worlds, when the identities of the three deities were finally established (Fig. 5). Joseon-period Buddhas of the three worlds are distinguished into two broad categories: those with Śākyamuni as the main Buddha and those having Vairocana as the main Buddha. The latter are generally from the early Joseon Period, while the former are in the style of the late Joseon Period. In the late Joseon Dyansty examples, Bhais(s 밑에 점)ajyaguru Buddha replaced Maitreya as the left-hand attendant of the main Buddha. Hence, the triads popular nationwide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most often consisted of Śākyamuni, Bhais(s 밑에 점)ajyaguru and Amitābha. Joseon...

      • KCI등재

        조선시대 三世佛像의 연구

        심주완(Shim Joowan) 한국미술사학회 2008 美術史學硏究 Vol.259 No.259

        三世佛은 敎學上 과거ㆍ현재ㆍ미래의 시간적 개념으로 알려져 있지만 조선시대에는 석가불ㆍ약사불ㆍ아미타불로 구성된 독특한 삼세불상이 대유행을 하게 된다. 또한 본존상에는 비로자나불이 등장하기도 하고, 좌우존상에는 아미타불ㆍ미륵불ㆍ다보불 등이 등장하기도 한다. 그리고 이 삼세불은 주요 사찰의 중심 佛殿에 봉안되고 있고, 또한 우리 라라 전역에 퍼져 있어 조선시대 조각사에 있어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그래서 조선시대 삼세불에 대한 연구가 주목받고 있으며, 그 연구성과가 가시화되고 있다. 그런데 조선시대 삼세불은 교학적 근거가 없고 다양한 형식과 복합적 개념이 포함되어 있어 연구자들 마다 다양한 의견이 제시되고 있다. 석가불 중심의 삼불 형식은 三世佛, 三佛, 三界佛, 三方佛 등으로 명명되고 있으며, 비로자나불 중심의 삼불 형식은 ‘毘盧遮那三身佛’, ‘三身佛’, ‘三身三世佛;, ‘三佛’ 등으로 명명되고 있다. 그래서 명칭에 대한 문제점을 언급하고, 조상 기록을 밝혀 ‘三世佛’로 명명하는 것이 타당함을 증명하였다. 삼세불은 인도에서는 찾아볼 수 없고, 5세기 중국 북위 시대에 등장하기 시작한다. 이 시기에 이미 시공간의 개념이 융합된 삼세불이 조성되고 있었다. 遼ㆍ金代 다시 유행하기 시작하여 원ㆍ명ㆍ청 대 이르기까지 삼세불의 전통이 이어져 오고 있다. 특히 隋代 〈靈泉寺 大主石窟 삼세불좌상〉(589년)은 본존 노사나불, 좌존 미륵불, 우존 아마타불로 구성되어 남북조시대 삼세불의 개념을 이해할 수 있었으며(도4), 금대 〈常樂寺 삼세불좌상〉은 본존 석가, 좌존 미륵, 우존 가섭으로 구성되어요ㆍ금대 상세불의 일면을 이해할 수 있었다(도7). 우리나라도 고려시대에 삼세불이 본격적으로 등장하기 시작하여 조선 초까지 고려와 전통이 이어지고 조선 후기에는 전국적으로 유행을 하게 된다. 특히 고려시대 〈금강산 삼불암 마애삼존불상〉은 존명이 밝혀져 삼세불의 개념을 밝히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도5). 조선시대 삼세불을 크게 석가삼세불 형식과 비로자나삼세불 형식으로 구분하였는데, 비로자나삼세불 형식은 조선 전기적인 경향이 강하고 석가삼세불 형식은 조선 후기적 경향이 강하다. 특히 좌존상은 미륵불에서 약사불로 대치되어 조선 후기에는 약사불로 정형화되었다. 그래서 조선 후기에는 석가불ㆍ약사불ㆍ아미타ㆍ로 구성된 석가삼세불 형식이 전국적으로 유행하게 된다. 조선시대 삼세불은 과거ㆍ현재ㆍ미래를 상징하는 시간의 개념과 사바세계ㆍ유리세계ㆍ극락세계을 상징하는 공간적 개념이 융합되어 있고, 또한 法身ㆍ報身ㆍ化身의 三身佛 개념도 융합되어 있다. 그뿐만 아니라 五佛을 형상화하고, 시방삼세일체제불을 대변하고 있다. 그리고 사상과 신앙이 공존하고 자력 신앙과 타력 신앙의 조화를 이루는 구성력을 보이고 있다. The Buddhas of the Three Worlds are normally understood as temporal manifestations of Buddha, hence the embodiments respectively of the past, present and the future. Dilling the Joseon Period of Korea, however, a peculiar triad of Buddhas came to represent the Buddhas of the Three Worlds, composed of ??kyamuni, Bhai?ajyaguru and Amit?bha. The main Buddha of the triad was sometimes Vairocana, accompanied by Amit?bha, Maitreya or Prabh?taratna Buddha as attendant Buddhas. The Buddhas of the Three Worlds are given prominent positions within major Korean temples, located most often inside their main sanctuary, and their place in the history of Joseon-period sculpture was just as central. The Buddhas of the Three Worlds in Joseon Buddhist temples have received much attention among Buddhist specialists. However, due to the lack of doctrinal grounding of this type and its vast stylistic diversity as well as its eclectic symbolism, the interpretation of this sculptural tradition varies wildly depending on the researcher. Buddha triads having ??kyamuni as the main Buddha are generally designated by terms such as samsebul (Buddhas of the three Worlds), sambul (Three Buddhas), samgyebul (Buddhas of the three spheres) or sambangbul (Buddhas of the three directions)." Meanwhile, those triads having Vairocana as the main Buddha are referred to as birojanasamsinbul (Buddhas of the three bodies with Vairocana)," samsinbul (Buddhas of the three bodies), samsinsamsebul (Buddhas of the three bodies and the three worlds) or sambul (Three Buddhas). In this paper, I discuss the confusion in the nomenclature of this iconographic type, and attempt to explain why it should be designated as samsebul by tracing back to the earliest available historical records. The Buddhas of the three worlds, unknown in Indian Buddhism, made their first appearance during the fifth century, in Northern Wei of China. Buddha triads produced during this period already exhibited the defining characteristics of the Buddhas of the three worlds, namely the successive spatio-temporal embodiments of Buddha. The images of the Buddhas of the three worlds regained popularity during the Liao and Jin Dynasties, and the tradition was maintained throughout Yuan, Ming and Qing. The Sui-dynasty Buddhas of the three worlds in the Dazhu cave at Lingchuan Temple (589), having Rocana as the main Buddha, accompanied by Maitreya as the left attendant and Amitabha as the right attendant, for instance, are considered an excellent showcase of this sculptural theme, as it was understood and interpreted during the Northem and Southern Dynasties of China, Likewise, the Jin-Dynasty Buddhas of the three worlds in Changle Temple, consist of ??kyamuni, Maitreya and a K??yapa eloquently bespeak the related tradition in the Liao and jin Dynasties. In Korea, sculpted images of the Buddhas of the three worlds first appeared during the Goryeo Dynasty. This tradition, having remained current through the following Joseon Dynasty, was brought to a peak in the later part of the dynasty, when it gained a nationwide popularity. The Maitreya Buddha Triad at Samburam of Mt. Geumgang, dating finn the Goryeo Period, in particular, importantly helped to cast light on the symbolism of the Buddhas of the three worlds, when the identities of the three deities were finally established (Fig. 5). Joseon-period Buddhas of the three worlds are distinguished into two broad categories, those with ??kyamuni as the main Buddha and those having Vairocana as the main Buddha. The latter are generally from the early Joseon Period, while the fanner are in the style of the late Joseon Period. In the late Joseon Dyansty examples, Bhai?ajyaguru Buddha replaced Maitreya as the lefthand attendant of the main Buddha, Hence, the triads popular nationwide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most often consisted of ??kyamuni. Bhai?ajyaguru and Amit?bha. Joseon Buddhas of the three worlds combine the temporal symbolism whereby

      • KCI등재

        조선시대 17-18세기 三身三世佛掛佛圖 연구

        김선희 한국불교학회 2014 韓國佛敎學 Vol.71 No.-

        In this paper, we studied type classification and form features around <Three World Buddhas Banner Paintings> during the reign of Injo⋅ Jeongjo in 17th, 18th century. The times are when Buddhist temples destroyed by fire through social change and stabilization period after war were restored and Buddhist painting style was established in composition⋅ form⋅color⋅pattern etc. by actively creating Buddhist paintings and can be said to hold an important position in research for the style of Buddhist paintings of the Joseon Dynasty as well as history of Buddhist paintings. According to the fusion of Trikaya⋅Three World Buddhas after 17th century of the Joseon Dynasty, in case of Buddhist Banner Paintings, ‘Three World Buddhas Banner Paintings’ in which ‘Seokgamoni Three World Buddhas’ consisting of Seokgamonibul⋅Yaksabul⋅Amitabul and ‘Biroojana Trikaya buddha’ composed of a group of Biroojanabul⋅ Nosanabul⋅Seokgamonibul are mixed is a new painting of the Joseon Dynasty and divided into three types of five Buddhas⋅four Buddhas⋅ three Buddhas. Except the sculpture in the main hall of Sokrisan Beopjusa, most Buddha sculptures are found to be formed with Three Buddhas type (Biroojana⋅Yaksabul⋅Amitabul). This painting was influenced by Hanging Painting of Five Monks Assembly in the 17th century and peaked in Three World Buddhas Banner Paintings in 18th century. Second, Buddhist Banner Paintings in the 17th century show various compositions such as placement method of ‘ㅗ’ type and ‘inverted triangle (▽)’ , ‘lateral square(▭)’, ‘trapezoid’ etc. and group image form of 2-stage or 3-stage in one screen. And then 2-stage composition filling the screen has been handed down and shows us the flow of the 18th century. Third, the form shown in Buddhist Banner Paintings in the 17th century is quite similar to stylistic characteristics of Buddhist Paintings in the 16th century and in particular, it shows affinity with <Four Buddhas Gathering Painting> owned by National Museum of Korea. And then the flow of big chunk tendency etc. of Gapsa Buddhist Banner Painting created in 1650 led to Buseoksa Buddhist Banner Painting created in 1684, showing stylistic characteristics which are the same as modeling, Biroojana Buddhist Sculpture in the first half of the 17th century. The 18th century Buddhist Banner Painting has more dependents compared to the previous period and is somewhat rigid and formal but evaluated as the masterpiece of the times in terms of screen configuration and sophisticated physical beauty etc. shown in large works. Fourth, though old, the colors of Buddhist Banner Paintings of the times are clear and delicate, showing the elegant atmosphere of 17th-century Buddhist paintings well. The main colors are red and green and delicacy and gorgeousness of King Myeongjong royal family praying Buddhist Paintings still remain in gold painted Buddha body, gold dust and transformed yellow line, colorful lotus rinceau pattern of halo, use of middle colors etc. The 18th century is the time when they became increasingly turbid and decorative aspect and deep-colored tendency appeared but the new style of painting was inherited allowing us to realize changes in the generation form. In addition, it turned out to be enough to feel their value because these are painting and Buddha sculptures made by several beliefs and doctrines of Joseon through rituals even in exhaustion and impoverishment after war. 이 논문은 17, 18세기 인조.정조기의 <삼신삼세불괘불도>를 중심으로형식 분류와 양식특징에 대해서 고찰한 글이다. 이 시대는 전란 이후 사회적 변혁과 안정기를 거치며 소실된 불교사원을 복원하고, 활발한 불화조성으로 구도.형태.색채.문양 등에 있어 불화양식이 확립되는 시기로, 조선시대 불화 양식은 물론 불교회화사 연구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고 하겠다. 조선시대 17세기 이후 三身.三世佛의 융합에 따라 괘불화의 경우 비로자나불.노사나불.석가불이 한 조를 이루는 ‘비로자나삼신불’과 석가불.약사불.아미타불로 구성되는 ‘석가모니삼세불’이 혼합된 ‘삼신삼세불괘불도’는 조선시대의 새로운 도상으로서, 오불.사불.삼불 세 가지 형식으로 구분된다. 불상조각은 속리산 법주사 대웅전 상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3불 형식(비로자나.약사불.아미타불)이 전형을 이루고 있음이 파악된다. 이러한도상은 17세기 오불회괘불도의 영향을 받아 18세기 삼신삼세불괘불도에서정점을 이룬다. 둘째, 17세기 괘불도는 매우 다양한 구도를 보여주는데, ‘ㅗ’형 그리고 ‘역삼각형(▽)’, ‘횡방형(.)’, ‘사다리꼴’ 등의 배치법과 한 화면에 2단 또는 3단의 群圖形式의 구도법이 보인다. 이후 화면을 꽉 채운 二段 構圖는 그대로傳承되어 18세기의 흐름을 엿볼 수 있다. 셋째, 17세기 괘불도에 나타나는 형태는 16세기 불화의 양식적 특징에서유사함을 많이 나타내고 있으며, 특히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四佛會圖>와친연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어서 나타나는 1650년 作 갑사 괘불도의 塊體化경향 등의 흐름은 1684년 作 부석사 괘불도로 이어져 17세기 전반기의 소조비로자나불상과 동일한 양식적인 특징이 나타난다. 18세기 괘불도에서는 앞시대에 비해 권속수가 많아지며 다소 경직되고 정형화된 모습이지만 대형작품에서 보여주는 화면 구성과 세련된 형태미 등에서 당대의 수작으로 평가된다. 넷째, 이 시기 괘불도의 색채적 특징은 비록 채색은 낡았지만 맑고 은은하여 17세기 불화의 고상한 분위기를 잘 보여 주고 있다. 적색과 녹색 계열을주조색으로 하고, 佛身의 金彩, 金泥와 변용한 황색 筆線, 광배의 화려한 연당초 문양, 중간 계열의 색사용 등은 명종대 왕실발원 불화의 섬세함과 화려당초 문양, 중간 계열의 색사용 등은 명종대 왕실발원 불화의 섬세함과 화려함이 여전히 남아 있다. 18세기부터는 점차 탁해지고 장식적인 면과 진채적성향이 나타나는 시기이지만 새로운 화풍을 계승하여 세대양식의 변화를 실감할 수 있게 한다. 이와 함께 전란 이후 피폐와 곤궁 속에서도 조선의 여러신앙과 교리가 의식을 통해 만들어진 그림과 불상 조각이므로 그 가치를 느끼게 하기에 충분하다.

      • KCI등재

        조선 전반기 三身ㆍ三世佛 조성에 대한 연구

        김경미(Kim, Kyung-mi)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4 한국학연구 Vol.49 No.-

        조선전반기에 새롭게 등장하는 불교미술과 관련된 도상 중에서 삼세불과 삼신불을 주목할 수 있다. 삼세불과 삼신불에 관한 인식은 이미 고려시대에 우리나라에 유입되었을 것이다. 『원대화소기』에 원대 무왕조의 삼세불을 모신 萬安寺는 고려 충렬왕 때 국존이자 유가종 승려인 弘眞國師 惠永(1228~1294)이 1290년 원나라에 들어가 『仁王經』을 강의했던 곳이다. 따라서 당시 혜영이 삼세불을 보았을 것이다. 또한, 고려시대의 『稼亭集』에 북경 龍泉寺 화재관련기사에서 삼신불에 대한 언급과, 조선초에 「연복사탑중창비(1394년)」에 나오는 비로자나불의 조성 기록을 통해 삼신불에 대한 개념이 고려시대에는 형성되었을 것이다. 조선시대에 들어와 유행하는 삼세불은 석가불, 아미타불, 약사불로 공간적 삼세불이 조성된다. 일본 곤카이코묘지(金戒光明寺)소장 〈삼세불도(1573년)〉,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금동삼세불좌상〉, 〈경주 왕룡사원 소조 약사ㆍ석가불상(1579년)〉등이 확인된다. 삼신불 조성은 원각사탑 1층 남면에 부조된 〈비로자나삼신불도(1467년)〉, 〈천은사 불감 비로자나삼신불도〉등이 확인된다. 또한, 조선 전반기에 조선 전반기의 三身ㆍ三世佛을 함께 造成하는 사례는 세종 때 金守溫(1410~1481)이 世宗 31년(1449)에 편찬한 부처사리에 대한 영험을 기록한 「舍利靈應記」, 일본 주린지(十輪寺)소장 〈五佛會圖(1467년)〉등에서 확인된다. 이와 같은 도상은 조선 전반기에 이르러 대승불교에서 삼신불과 삼세불에 대한 認識이 점차 확산되면서 불교 이론의 발전과정에서 보다 심도 깊은 認知의 결과로서 등장한 것으로 볼 수 있다. This thesis deals with the Trikaya and Three World Buddha in the early Joseon Dynasty. Buddhas of the Three Worlds are composed of ??kyamuni(석가불), Bhai?ajyaguru(약사불) and Amit?bha(아미타불). There are generally designated by terms such as samsebul (Buddhas of the three Worlds). Meanwhile, birojanasamsinbul (Buddhas of the three bodies with Vairocana) is composed of Vairocana, ??kyamuni, Nosana Buddha. Trik?y?h are means as dharma-kaya(法身), nirmana-kaya(應身), sambboga-kaya(報身). The Buddhas of the three worlds appearance during the fifth century, in Northern Wei of China. Especially according to ‘The records of painting and sculpture in Yuan dynasty『元代畵塑記』’, there are designed for the Buddhas of Three Periods. In Korea, the images of sam-se-bul with time(the Buddhas of the three worlds) and sam-sin-bul(the Buddhas of the three body) appeared during the 16th century. In addition it integrates with Sam-sin-bul and Sam-se-bul. That is SamsinSamsebul. Understanding of combinationis based on their pattern by time period. Iconography of the images of sam-se-bul with time(the Buddhas of the three worlds) and sam-sin-bul(the Buddhas of the three body) was completed at this time.

      • KCI등재후보

        Pictorial Representation of Hwaeom Thought -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Goryeo Period Painting 'Vairocana and Three-thousand Buddha'

        강소연 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 2008 International Journal of Buddhist Thought & Cultur Vol.11 No.-

        In this paper we discuss the Buddhist painting Vairocana and the Three-thousand Buddha (毘廬遮那三千佛圖) which until recently was in the possession of a Japanese collector known as Tanaka (田中). According to the description recorded on the wooden box in which this piece is stored, it was titled the Ten-thousand Buddha painting (萬佛畵) and is noted to be a family treasure of Tanaka Kozaemon. However, in 1996 it was acquired by the Kobe Municipal Museum and remains in their collection until today. In 1999 it was listed as a tangible cultural property in the Kobe city collection under the title, Thirteen-thousand Buddha (一萬三千佛圖) and classified as an art work of the Japanese Kamakura dynasty. In 2002, Kenichi Kawano, a curator of Kobe Municipal Museum, renamed it Vairocana Narrative (毘廬遮那佛變相圖) and published the paper in which he claims that this art work belonged to the Korean Goryeo dynasty. In 2006, Professor Jung again renamed it Vairocana Preaching (毘廬遮那說法圖). So over the centuries this Goryeo Buddhist painting has been passed on several times, and relocated to Japan, under the various titles of Ten-thousand Buddha, Thirteen-thousand Buddha, Vairocana Narrative and Vairocana Preaching. Each new title is probably a fresh attempt to ‘pin down’the meaning of iconography representations in the painting. This paper aims to assign the painting its proper name based on chronological and typological analysis.

      • KCI등재

        조선 후반기 제3기 [순조(純祖)-순종대(純宗代)] 괘불화(掛佛畵)의 도상해석학적 연구

        김창균 ( Chang Kyun Kim ) 한국불교미술사학회(한국미술사연구소) 2013 강좌미술사 Vol.40 No.-

        조선시대 후반기 제3기는 순조-순종대인 1801년부터 1910년에 이르는 시기로서 근대화와 더불어 서양문물의 유입과 민중봉기로 인한 사회적 혼란기로서, 1800년대 후반부터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한 불화승들이 20세기 전반까지도 지속적인 활동을 통해 조선시대 말기 불화 화단을 이끌어오고 있다. 괘불화나 일반 불화의 경우 1930년대 이후 현대화 경향으로 인한 질적 하락이 뚜렷하다고 판단되어 연구 범위를 1920년대까지로 설정하여 寺勢와 기술력이 집중된 부처 주제의 괘불화만을 대상으로 연구 주제로 삼아, 시기별/주제별 현황과 지역별 현황을 살펴본 다음 주제별에 따른 괘불화의 내용과 도상을 분석해보고, 불화 조성에 참여하였던 이 시기 괘불화 화승유파 및 유파별 화풍에 대해 살펴보았다. 19-20세기 괘불화의 경우 급변하는 사회적 환경으로 인해 불교에 의지하려는 경향과 왕실의 안녕 기원 목적의 석가불과 아미타불 주제의 괘불화가 많이 조성되는데, 현세의 이익과 내세의 극락 왕생에 대한 희망과 바람이 크게 작용한 때문이라고 짐작된다. 특히 20세기에 들어 주변강국들의 외침으로 인해 혼란해진 사회 흐름에 따라 아미타불 주제의 불화가 많이 조성되었을 것으로 추측되며, 이와 같은 경향은 후불화에도 반영되어 다량의 아미타불도가 그려지는 것과 상통한다고 하겠다. 주제면에 있어서도 약사불도가 등장하고, 삼세불도가 크게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석가불을 주존으로 현세에는 무병장수하고 죽어서는 극락왕생을 희구하는 사상이 어느 시기 못지않게 팽배했음이 짐작된다. 또한 화승유파를 분석해 본 결과 19-20세기 괘불화와 후불화(기타 불화 포함)의 경우 경기지역 몇몇 화승들을 제외하고는 화승들 간의 교류가 활발하지 않음으로 보아 17-8세기에 비해 후불화와 괘불화 화승간의 구분이 보다 확실하였음을 알 수 있다. 비록 괘불화의 양이 수적으로 풍부하지 못하고 경기지역에 편중된 지역간의 불균형, 화승들의 한정된 교류로 인해 충분한 연구는 되지 못했다고 하겠으나 장차 괘불화를 포함한 19-20세기 불화 연구에 작은 디딤돌이나마 되었으면 한다. The third stage of the late Joseon period from 1801 to 1910 (from King Sunjo`s to King Sunjong`s days) is socially chaotic due to introduction of Western culture and popular uprising along with modernization. Distinguishing themselves since the 1800s, some Buddhist monk painters led the realm of Buddhist painting in the last period of Joseon with their continuous activities even in the early 20th century. The scope of this study is limited to the time before 1930 as it is believed that quality inclination was remarkable in Buddhist Banner Paintings and common Buddhist paintings due to the tendency of modernization since the 1930s. After examining the temporal, thematic, and local conditions with Banner Paintings of Buddha themes, on which temple attention and techniques were intensely paid, as its subjects, this study has analyzed the contents of iconographies, and explored factions of monk painters of Buddhist Banner Paintings at that time that participated in the creation of Buddhist paintings and their painting styles. In the 19th∼20th centuries, due to rapidly changing social environments, many Buddhist banner paintings with the themes of Sakyamuni and Amitabha for the purpose of the peace of the royal family and the tendency of dependence upon Buddhism were created. This was especially because hopes and wishes for the worldly interest and afterlife euthanasia greatly worked. In particular, it is conjectured that many Buddhist paintings with the theme of Amitabha were created in accordance with the chaotic social trends due to invasions by surrounding powerful nations by the 20tthcentury, and such a tendency appeared in Buddhist Rear Paintings and was consistent with the creation of lots of Amitabha paintings. Also on the side of themes, considering the emergence of Medicine Buddha and the increase of Three-World Buddha paintings, we can conjecture that the philosophy of aspiring to mundane good health and long life, and afterlife euthanasia more prevailed in this period than in any other periods, with Sakyamuni as the main Buddha.

      • KCI등재

        조선 후반기 제3기(純祖-純宗代) 掛佛畵의 도상해석학적 연구

        김창균 한국불교미술사학회 2013 강좌미술사 Vol.40 No.-

        The third stage of the late Joseon period from 1801 to 1910 (from King Sunjo’s to King Sunjong’s days) is socially chaotic due to introduction of Western culture and popular uprising along with modernization. Distinguishing themselves since the 1800s, some Buddhist monk painters led the realm of Buddhist painting in the last period of Joseon with their continuous activities even in the early 20th century. The scope of this study is limited to the time before 1930 as it is believed that quality inclination was remarkable in Buddhist Banner Paintings and common Buddhist paintings due to the tendency of modernization since the 1930s. After examining the temporal, thematic, and local conditions with Banner Paintings of Buddha themes, on which temple attention and techniques were intensely paid, as its subjects, this study has analyzed the contents of iconographies, and explored factions of monk painters of Buddhist Banner Paintings at that time that participated in the creation of Buddhist paintings and their painting styles. In the 19th~20th centuries, due to rapidly changing social environments, many Buddhist banner paintings with the themes of Sakyamuni and Amitabha for the purpose of the peace of the royal family and the tendency of dependence upon Buddhism were created. This was especially because hopes and wishes for the worldly interest and afterlife euthanasia greatly worked. In particular, it is conjectured that many Buddhist paintings with the theme of Amitabha were created in accordance with the chaotic social trends due to invasions by surrounding powerful nations by the 20tthcentury, and such a tendency appeared in Buddhist Rear Paintings and was consistent with the creation of lots of Amitabha paintings. Also on the side of themes, considering the emergence of Medicine Buddha and the increase of Three-World Buddha paintings, we can conjecture that the philosophy of aspiring to mundane good health and long life, and afterlife euthanasia more prevailed in this period than in any other periods, with Sakyamuni as the main Buddha. 조선시대 후반기 제3기는 순조-순종대인 1801년부터 1910년에 이르는 시기로서 근대화와 더불어 서양문물의 유입과 민중봉기로 인한 사회적 혼란기로서, 1800년대 후반부터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한 불화승들이 20세기 전반까지도 지속적인 활동을 통해 조선시대 말기 불화 화단을 이끌어오고 있다. 괘불화나 일반 불화의 경우 1930년대 이후 현대화 경향으로 인한 질적 하락이 뚜렷하다고 판단되어 연구 범위를 1920년대까지로 설정하여 寺勢와 기술력이 집중된 부처 주제의 괘불화만을 대상으로 연구 주제로 삼아, 시기별/주제별 현황과 지역별 현황을 살펴본 다음 주제별에 따른 괘불화의 내용과 도상을 분석해보고, 불화 조성에 참여하였던 이 시기 괘불화 화승유파 및 유파별 화풍에 대해 살펴보았다. 19-20세기 괘불화의 경우 급변하는 사회적 환경으로 인해 불교에 의지하려는 경향과 왕실의 안녕 기원 목적의 석가불과 아미타불 주제의 괘불화가 많이 조성되는데, 현세의 이익과 내세의 극락왕생에 대한 희망과 바람이 크게 작용한 때문이라고 짐작된다. 특히 20세기에 들어 주변강국들의 외침으로 인해 혼란해진 사회 흐름에 따라 아미타불 주제의 불화가 많이 조성되었을 것으로 추측되며, 이와 같은 경향은 후불화에도 반영되어 다량의 아미타불도가 그려지는 것과 상통한다고 하겠다. 주제면에 있어서도 약사불도가 등장하고, 삼세불도가 크게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석가불을 주존으로 현세에는 무병장수하고 죽어서는 극락왕생을 희구하는 사상이 어느 시기 못지않게 팽배했음이 짐작된다. 또한 화승유파를 분석해 본 결과 19-20세기 괘불화와 후불화(기타 불화 포함)의 경우 경기지역 몇몇 화승들을 제외하고는 화승들 간의 교류가 활발하지 않음으로 보아 17-8세기에 비해 후불화와 괘불화 화승간의 구분이 보다 확실하였음을 알 수 있다. 비록 괘불화의 양이 수적으로 풍부하지 못하고 경기지역에 편중된 지역간의 불균형, 화승들의 한정된 교류로 인해 충분한 연구는 되지 못했다고 하겠으나 장차 괘불화를 포함한 19-20세기 불화 연구에 작은 디딤돌이나마 되었으면 한다.

      • KCI등재

        조각승 혜희(慧熙)의 작품세계와 부산 금정사 봉안 용문사(龍門寺) 목 아미타불상의 복원적(三世佛像)연구

        문명대 ( Myeong Dae Mun ) 한국불교미술사학회(구 한국미술사연구소) 2010 강좌미술사 Vol.34 No.-

        부산 금정사 대웅전에 봉안된 목불좌상은 복장의 조사로 1677년에 조각승 혜희가 조성한 불상으로 밝혀져 크게 주목되고 있다. 혜희(慧熙)는 惠熙라고도 부르는 인·숙종기인 17세기의 대표적 조각승이다. 혜희는 현존하는 작품만으로 판단하면 1640년 보조 조각승으로 출발하여 1677년 수조각승으로 용문사 삼세불상의 조성으로 그의 활동은 끝나고 있다. 2009년 11월 20일경에 개금불사 때 새로 발견된 복장조성 발원문에 의하여 금정사 목(木)불상이 혜희의 작품이고 전주 일출암 약사불상과 함께 완주 대둔산 용문사(龍門寺) 대웅전 삼세불상의 오른쪽 아미타불상으로 조성 봉안되었던 사실을 밝힐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용문사 대웅전 삼세불상의 좌·우 불상이 발견되어 앞으로 본존불만 찾아진다면 또 하나의 17세기 삼세불상이 완전히 복원되는 의의를 갖게 될 것이다. 금정사 아미타불상은 머리가 큼직하고 넓고 높은 무릎보다 상체가 짧은 편인 안정된 비례와 원만한 얼굴 형태 등에서 전형적인 17세기의 대표적 수작 불상으로의 의의를 보여주고 있다. 이 불상의 복장에서 1677년 조성된 사실을 알려주는 조성발원문과 조선초기인 1441년(세종 23년)에 태종의 후비인 신순궁주에 의하여 판각 인출된 묘법연화경(권 4)과 1429년 판각되었다고 추정되는 묘법연화경(권4-7), 또 하나의 묘법연화경(1618년 인경, 권1-3), 1613년 인경금강반야파라밀경(상·하), 또 하나의 금강반야파라밀경, 법어집 1권, 자명총송 1권 등이 발견되었다. 또한 다라니 4종, 수백매가 발견되었는데 이 가운데 1651년 판 오정사 다라니는 조성년대를 알 수 있는 중요한 다라니로써 조선초기의 왕실발원 경전과 함께 매우 귀중한 예로 크게 주목된다. 이처럼 이혜희작 금정사 아미타불상은 17세기를 대표할 수 있는 수작의 목불상이자 새로운 귀중한 복장자료와 새로운 삼세불상을 복원 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로써 크게 주목되어야 한다고 판단된다. The Seated Wooden Buddhist Statue enshrined in Daewoongjeon at the Geumjeong-sa Temple in Busan was found to have been created by monk sculptor Hyehee in 1677 based on contents stored in the belly. Hyehee is a representative monk sculptor in the 17th century, the period in the reign of King Injo and Sukjong. Based on extant works, Hyehee started his career as an assistant monk sculptor in 1640 and ended it with the creation of the Three World Buddhas Statue at the Yongmun-sa Temple as the leading monk sculptor in 1677. According to the written prayer newly found in the belly on November 20, 2009 during a gold mending project, the Wooden Buddhist Statue at the Geumjeong-sa Temple was created by Hyebee, and it was enshrined as the Right Amitabha Statue among the Three World Buddhas Statue in Daewoongjeon at the Yongmun-sa Temple in Mt. Daedun in Wanju together with the Medicine Buddha Statue at Ilchul-am in Jeonju. Accordingly, the Left and Right Buddhist Statues have been found among the Three World Buddhas Statue in Daewoongjeon at the Yongmun-sa Temple. Thus, if the main Buddha statue is found, another 17th-centluy Three World Buddhas Statue is restored completely. The Amitabha Statue at the Geumjeong-sa Temple is meaningful as a representative excellent Buddhist statue, which shows the typical characteristics of 17th century Buddhist statues such as large head, stable proportion of the broad and high lap to the relatively short trunk, and round face. As presented above, Hyehee`s Amitabha Statue at the Geumjeong-sa Temple is an excellent wooden Buddhist statue representing the 17th century. With the new discovery of valuable contents in the belly, the work should be spotlighted as an important material for restoring another Three World Buddhas Statue.

      • KCI등재

        河南 浚縣 千佛洞에 대한 연구 - 初唐代 三世佛像을 중심으로

        김은아 불교미술사학회 2020 불교미술사학 Vol.29 No.-

        Qiānfódòng(千佛洞) in Jùnxiàn(浚縣) Prefecture sits inside the Qiānfósì (Thousand Buddha Temple) at Fugiu Mountain, Jùnxiàn, Hénán Province, China. The Cave is made of the Cave I and II. In total, 1027 buddhistic sculptures in 935 niches were engraved inside the Cave I and II, and 76 niches built the external wall of the Caves. The building time of the Cave was estimated in Tang Dynasty based on the 4 sculpture building records found in the Cave I. They can be regarded as important research objects in the point of possibility for discussing the diversity of pattern of early Tang Dynasty discovered at Hénán area when it is taken into account that the studies on the patterns of buddhistic sculpture in early Tang Dynasty are limited to Shǎnxī area and a few particular Caves. In this study, out of 2 Caves, further discussion was made on the Cave I at Qiānfódòng in Jùnxiàn Prefecture. Out of the three World Buddhas in Cave I, the present Buddha is at its center, the past Buddha adopted the mage of Buddha Amitabha with Fifty Bodhisattvas drawing. The adoption of such drawing indicates the characteristics of Cave at Jùnxiàn Prefecture not found in the other regions. In addition, it was pointed out from looking into the sculptures that the patterns and styles have close relations with Cháng’ān(長安) style while they reflect the unique pattern of Hénán area understood as Chinese style. Moreover, it was known that there was a trend of more emphasizing the expression on the offerers than other Caves. On the other hand, the review on the contents of sculpture building records and patterns of Buddha statues resulted that three World Buddhas made of 15 Buddha statues were made before 680s. Finally, it was estimated that the place was possibly the space for meditating the truth in sitting posture by taking the points of Amitabha Buddha as a post Buddha expressed in the image of Buddha Amitabha with Fifty Bodhisattvas drawing and the expression of nirmana-Buddha at the wide backdrop of the present Buddha and future Buddha and the ample space inside the Cave. The making of the three world Buddhas was interpreted as intention of real appearance of statue of the Buddhas seen to the believers in result of sitting meditation. 浚縣 千佛洞石窟은 中國 河南城 浚縣 浮丘山 千佛寺 안에 위치하고 있으며, 제 1, 2굴로 구성된 석굴이다. 제1굴과 2굴 안에는 총 935개의 감과 1027개의 불교조상이 조각되어 있으며, 굴 외벽에는 76개의 감이 조성되어 있다. 이 석굴의 제작 시기는 제1굴에서 확인되는 4개의 造像記에 근거하여 당대로 비정된다. 初唐代 불교조각의 양식 연구가 陝西地域 및 몇몇 특정 석굴에 국한되어 있는 점을 감안하면 河南地域에서 확인되는 초기 당양식의 다양성을 논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연구대상이라고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두 개의 굴 중 준현 천불동 제1굴에 대해 좀 더 논의를 진행하였다. 제1굴의 삼세불은 현재불을 중심으로 당시 유행하던 아미타오십보살 도상이 과거불로서 채용되었으며, 이러한 도상의 채용은 다른 지역에서 보이지 않는 준현석굴의 특징이라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준현 천불동의 불보살 및 제자상들의 형식과 양식적인 부분을 살펴 본 결과 중국식으로 이해된 하남지역 특유의 양식을 반영하고 있으면서도 장안양식과 깊은 관련이 있다는 것을 지적하였다. 또한 공양자의 표현이 다른 석굴에서보다 강조된 경향이 있다는 점도 알 수 있었다. 한편 조상기의 내용 및 불상의 양식검토를 진행 한 결과 삼세불을 구성하고 있는 15구의 불상은 680년 이전에 제작되었다고 추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아미타오십보살도상의 전개과정 속에서 표현된 과거불로서의 아미타불, 현재불과 미래불의 광배에 표현된 화불의 표현, 굴 안에 공간이 충분한점 등을 들어 이곳이 禪觀을 위한 공간이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추정하였다. 삼세 불의 제작에는 선관의 결과 신앙자들에게 보이는 불보살의 顯現을 의도한 것이라고 해석하였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