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북아시아적 관점에서 본 북한 청동기시대의 형성과 전개

        강인욱 동북아역사재단 2011 東北亞歷史論叢 Vol.- No.33

        In this study, author tries to reexamine bronze age of North Korea in two new methodological suggestions. First, author suggest to reassess the level of archaeological sources from North Korea. Most of artefacts concerned bronze age of North Korea in South Korea were acquired by japanese archaeologist during Colonial period, subsequently most of them has poorly documented in the context of archaeology. Secondly. most of archaeological publication made by North Korean archaeologist were reported under. Like this, archaeological materials from North Korea were gathered and reported in thoroughly different manners, accordingly, plain crossdating of North Korean materials with South Korean materials could be regarded carelessly. So, Author tries to build a macro-viewed chronological sequence of North Korean bronze age with according to recently excavated material from neighboured regions as the Yanbian area of Jilin Province of China and the Southern Primorie of Russia. As the result, author divides the bronze culture of North Korea into 5 phases. 1) transition period from neolithic to bronze ages(20th~15th centuries B.C.) 2) the early phase(15~12th centuries B.C.) represented by the appearance of dolmen and cairn in Liaodong and western area of North Korea, and xingcheng culture in easter part of North Korea. 3) the middle phase(11~8th centuries B.C.) could be regarded as usage of stone cist tombs in North Korea. For example, Machengzi-Misongni culture in the North-western part and Acorn-shaped pottery culture in Daedong river basin belong to this stone cist tome zones. Besides, North-eastern part of North Korea belongs to Liutingdong type in Tumen river basin, which is characterized by the coarse bowl with straight rim and croissant shaped stone knifes. It is worthwhile to note that the practice of stone cist tombs were spread over from Liaodong to South Korea and Yanbian area. This kind of long-distanced interaction could be explained by the wide introduction of intensive cereal agriculture. 4) the late period of bronze age(8~5th B.C. century), well-known lute shaped dagger culture were spread over Liaodong and western part of North Korea. Besides, in the north-eastern part of North Korea were divided into continental agricultural type(the late Liutingtong type) and maritime type with shell midden(Yankovski Culture) on the coastal area. Finally, around 4th century B.C. bronze age were ended by the expansion of dynasty Yan and introduction of iron tools, simultaneously Duanjie-Krounovka culture firmed in the north-easter part of North Korea and neighboured regions. 본고에서 필자는 토기를 중심으로 동북아시아 청동기시대의 형성과 발전이라는 거시적인 관점에서 북한 청동기시대의 변천을 살펴보았다. 북한의 청동기시대는 남한 청동기시대의 형성과 발전과정을 규명하는 핵심적인 자료임에도 불구하고, 자료에 대한 접근성 및 자료의 수준이 떨어지기 때문에 철저한 방법론적인 검토가 없이 단편적인 자료를 해석하는 것은 한계가 있음을 밝혔다. 그 구체적인 대안으로 만주와 한반도를 포괄하는 ‘무문토기문화권’을 상정하고, 그 안에서 북한의 청동기시대를 살펴보았다. 동북아시아 무문토기문화권의 전반적인 문화변동을 감안하여서 북한을 5개의 지역으로 세분하고, 시기적으로는 크게 [전환기], [전기], [중기],[후기] [철기시대] 등으로 나누었다. [전환기]는 무문토기와 즐문토기가 혼재하는 시기(기원전 20~15세기), [전기]는 완전히 무문토기로 재편되며 청동기 및 석묘(고인돌 및 집단식석묘를 통칭)가 출현하는 시기(기원전 15~11세기), [중기]는 미송리형토기문화, 대련의 적석묘군, 팽이형토기 등 각 지역이 비교적 큰 무문토기문화권으로 통합되는 시기(기원전 11~9세기), [후기]는 서북한을 중심으로 팽이형토기문화와 비파형동검이 확산되고 동북한 지역에서는 유정동 유형과 얀콥스키문화, 그리고 함남지역을 중심으로금야유형 등이 성립되는 시기(기원전 9~5세기) 등이다. 이후 [철기시대]는 燕國의 점진적인 팽창에 따라서 비파형동검문화권에서 대형무덤의 소멸, 요동지방의 토광묘 등장, 점토대토기의 남하하며, 동북한은 크로우노프카문화(團結文化)가 성립된다. 본 고에서는 기존 연구에 대한 대안으로 무문토기문화권의 형성이라는 거시적인 관점에서 북한청동기시대를 조망할 것으로 주장하고, 그 시안을 제시했다. 그 결과 북한의 청동기시대는 무문토기문화권의 성립과 함께 시작되어서 각 시기별로 만주지역 및 남한과 연동하여 문화적인 변화가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 KCI우수등재

        한국 신석기-청동기시대 전환과 조기청동기시대에 대하여

        김장석 한국고고학회 2018 한국고고학보 Vol.0 No.109

        Since the beginning of the 21st century, how to understand the earliest part of the Korean Bronze Age has been a hot issue and at its center is the Incipient Bronze Age. As the debate on its validity continued, the defini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Incipient Bronze Age have substantially changed. Reviewing the research history of this period, I discuss logical and factual problems of the Incipient Bronze Age and where these problems derive from, and look into some misunderstandings of the current research tendency about my previous explanation of the Neolithic-Bronze Age Transition of Korea. Then, to understand the change in diversity of pottery design in the Bronze Age, a model is proposed. It suggests that the early Bronze Age witnessed a population boom and it led to the rapid expansion of population and social reorganization on a regional scale, leading to the coexistence of various pottery designs, and as people aggregated at some locales around 2800 BP, diversity of pottery design decreased, dominated by perforated rim design.

      • KCI등재

        한반도 청동기시대의 목기에 대한 고찰-남한지역의 목기를 중심으로

        김권구 한국고고학회 2008 한국고고학보 Vol.67 No.-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wooden tools of the Bronze Age and to reconstruct their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In the Bronze Age, tools used in daily life consisted mostly of wood and stone. Wooden tools which have been discovered through excavation include hoes, a wooden tool used to level soil, a pestle, a type of small plow, axe handles, a charcoaled handle for a polished stone dagger, a fire shovel, the shaft of an arrow, part of a water pipe, a birdshaped wooden object, and a charcoaled wooden tool. In addition, stone tools such as stone chisels, stone hand planes and stone axes are frequently found at archaeological sites, which indirectly suggests that wood-working was in great demand in the Korean Bronze Age. It appears that Bronze Age wooden tools may evidence regional, as well as, temporal variation, but this is difficult to confirm at present due to lack of conclusive data. It is also believed that the agricultural intensification of the Late Bronze Age is reflected in the wooden tool culture of the period. The appearance of various agricultural tools and water regulating facilities, such as water pipes, are examples of this intensification; they may also be regarded as a temporal signature of the Late Bronze Age wooden tool culture. Indeed, various wooden tools, such as hoes, pestles and other tools can be traced back to the Late Bronze Age (the Songgukri Period). Regional patterns are not clear, at present, but the common features observed from wooden axe handles from Seobyeon-dong, Daegu, and Majeon-ri, Nonsan, may be regarded as a common feature of this tool type in the southern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In addition, the wooden pestle found at Jeojeon-ri, Andong, was found to share many common features, in terms of shape and style, with the wooden pestles from Japanese sites, such as Itatzuke in Northern Kyushu and Karakogagi in Kansai Province; this may indicate the presence of a common wooden tool culture which was shared by the southern regions of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Japanese archipelago. It is also believed that this similarity in wooden tools may be associated with the diffusion of rice culture from Korea into Japan. The timber used to make these tools appears to have been selectively chosen–the type of wood used depended on the type of tool that was to be made. For example, it has been identified that wood from oak and other oak species (Quercus sp.) were used, in many cases, to make hard tools. More intensive archaeological research and excavations are required, however, in order to shed light on the regional and temporal features of the wooden tools of the Korean Bronze Age. It is hoped that international cooperation and the sharing of information between scholars in Korea and Japan will facilitate further explorations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ooden tool cultures of the Korean Bronze Age and the Japanese Jomon and Yayoi Periods.

      • KCI등재

        북한 청동기시대 편년연구의 비판적 검토 : 대동강유역 주거지를 중심으로

        정동귀 한국전통문화대학교 한국전통문화연구소 2015 한국전통문화연구 Vol.15 No.-

        북한에서는 1950년대 말 이미 한반도에 청동기시대라는 개념을 적용시켰고, 1960년대를 거쳐 1970년대에는 세부적인 편년틀까지 제시했다. 그러나 1990년대 대동강문명론으로 객관성이 상실되었고, 이는 북한 청동기시대연구 퇴보와 이어졌 다. 남한에서도 최근까지 청동기시대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북한 과의 지리적인 단절은 한반도라는 큰 틀에서의 청동기시대 연구에 큰 걸림돌이 되 고 있다. 북한의 자체적인 연구는 오래되고 검증이 부족해, 이를 적용시키기 위해서 는 북한 자료에 대한 검토가 선행돼야 할 것이다 필자는 이에 대한 초보적인 연구로 북한 청동기시대 편년연구 중에 주거지를 중 심으로 비판적인 검토를 진행했다. 지역적으로는 북한 청동기시대 주거유적의 44% 를 차지하는 대동강유역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주거지에 대한 속성은 크기ㆍ장 단비ㆍ장축방향ㆍ바닥다짐ㆍ화재흔적ㆍ출입구시설ㆍ작업대ㆍ노지ㆍ주공배치(내 부와 벽가)등으로 나눠 분석하였다. 그리고 속성 중에서 시간과 공간적인 의미를 가 지고 있다고 판단되는 크기ㆍ장단비ㆍ바닥다짐ㆍ노지ㆍ주공배치(내부와 벽가)를 통해 각각의 주거지에 대한 특징을 파악하고, 층서관계를 근거로 유적의 분기설정 을 통해 속성별 변화양상을 살펴보았다. 유적 중에서는 명확한 층서관계를 가지고 있는 표대ㆍ남경ㆍ고연리유적을 중심으로 주거지의 특징과 변화양상을 파악하였 다. 이들 유적은 서로 근거리에 위치해 있으며, 유물을 통해서 볼 때 미송리형토기 ㆍ팽이형토기ㆍ변형팽이형토기가 비슷한 양상으로 변하기 때문에 오랜 기간 서로 영향을 주고받았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 유적들은 대동강유역 주거문화를 대표 할 수 있을 것이다. 분석결과 세 유적 모두 보고서와는 조금씩 다른 분기를 설정할 수 있었고, 대동 강유적 주거지의 각 분기별 특징과 변화양상을 파악할 수 있었다. 변형팽이형토기 와 미송리형토기의 등장과 소멸은 이들 세 유적의 분기를 설정하는데 큰 기준으로 적용되었고, 각 유적들이 분기별로 서로 대응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이를 기 준으로 각 분기별로 세부적인 속성에 대한 몇 가지 공통적인 요소와 유적간의 차이 도 파악하였다. 주거지의 크기는 세 유적 모두 중형이 중심을 이루다가 표대유적 3 기, 남경유적 3기, 고연리유적 2기부터 다양화되는 경향을 보인다. 장단비는 표대유 적의 경우에만 2기부터 장방형의 비율이 증가하며 세장방형도 등장하지만, 나머지 두 유적은 기본적으로 모두 장방형이다. 바닥다짐은 세 유적이 어느 정도 같은 양상 으로 변화하고 다양화되는 경향을 보인다. 반면에 노지는 유적별로 차이가 뚜렷한 데, 대표적으로 고연리유적은 무시설식과 수혈식이 공존하다가 무시설식이 우위를 차지하지만 남경유적은 무시설식에서 위석식으로, 표대유적은 비교적 다양한 종류의 노지에서 수혈식으로 단일 화되는 경향을 보인다. 주공배치는 일정한 규칙성과 동시에 지역적 차이를 모두 보여준다. 기본적으로 세 유적 모두 내주공이 규칙적으 로 배열되는 변화양상을 보이지만 표대유적은 규칙적으로 주공을 파고 초석을 배치 한 반면에 고연리유적은 주춧돌을 외주공과 종ㆍ횡상 평행하게 배치하는 발전된 형 태를 보인다. In North Korea, the concept of Bronze age was applied in the late 1950s. Through the 1960s, details of chronology frame were suggested in the 1970s. However Bronze age research in North Korea was regressed because Taedong River civilization theory was lack of objectivity in the 1990s. South korea also have been studying Bronze age widely. But old and subjective North korea materials are lack. So if south Korea want to be able to accept the data presented in the North Korea, they have to examine them. Therefore this article investigates critically reexamination of the North Korea chronology study focusing on the dwelling. Regionally, analyse around Taedong river basin which accounts for 44% of North Korea dwelling sites. About properties of dwellings, analyse sizeㆍfineness ratioㆍground tampingㆍhearthㆍ entrance facilityㆍbankerㆍfire potㆍpillar arrangement. And through sizeㆍ fineness ratioㆍground tampingㆍhearthㆍpillar arrangement containing temporal and spatial meanings, apprehend characters about each dwellings. After that, study aspect of transition on each properties basing the authority of stratigraphic relationships. On dwelling sites, concentrating on PyodaeㆍNamgyungㆍGoyunri sites having clear stratigraphic relationships, study characters and aspect of transition of dwellings. That sites are located in the local area around the Taedong river and when analysing artifacts, not only Misongri-type pottery but also Top-type and transform Top-type pottery similarly had changed. They constantly interactions exchanged each other, so will be represent Taedong river basin bronze dwelling culture. The results suggest that all sites can be established different quarters.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characters of each quarters and aspect of transition. The emergence and extinction of transform Top-type pottery and Misongri-type pottery is applied to important standards for setting quarters of the three sites. When viewed through it, assure that any quarter of each site is associated with any quarter of other sites. And by using this standards, study some common factors and difference of each sites about detailed properties involved each quarters. The size of three site dwellings tends to change medium size into variety size, since Pyodae site 3quarter, Namkyung 3quarter, Goyunri 2quarter. Fineness ratio is that only from Pyodae site 2quarter, the ratio of rectangle increase and thin-rectangle appear. But other 2 sites are basically all rectangle. Ground tamping also, three sites change into basically common tendency and tend to diversification. On the other hand, in case of hearth, the difference is distinct. Typically Goyeonri site first had been non-facility and pit hearth together, after that non-facility hearth was more. But Namkyung site was changed non-facility hearth into upstanding stone hearth, Goyeonri site tended to unify over being changed variety type into pit hearth. Pillar arrangement shows certain regularity and Regional differences together. Basically, inner pillar of all three sites tend to change regular arrangement, on the other hand Pyodae site dig pit regularly and arrange cornerstones. And Goyeonri site shows developed method that cornerstones was arranged vertical and horizontal parallel shap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at the Bronze age chronology study of North Korea reviews critically and presents some solutions about that. So I have done basically study on dwellings of Taedong river basin. I hope to continue this study to obtain finally goals that combine South Korea bronze age with North Korea bronze age.

      • KCI등재

        청동기시대 조기 移住와 定着의 고고학적 현상과 의미

        정대봉(Jung, Dae Bong) 부산고고학회 2016 고고광장 Vol.- No.18

        본고는 우리나라 선사시대에 최초로 나타나는 청동기시대 조기 이주와 정착에 관한 현상을 이론적 접근을 통해 밝히는 것에 초점을 두었다. 연구의 방법은 文化變動을 바라보는 주된 시각인 이주와 전파의 이론적 개념을 이해한 다음, 이를 한반도 중남부지역 청동기시대 조기의 물질문화에 적용하는 ‘연역적 방법’을 적용하였다. 한반도 중남부지역 청동기시대 물질문화의 형성은 청천강~압록강유역의 한반도 서북지역의 큰 영향 아래. 두만 강유역의 동북지역 문화요소가 융합하여 형성된 것으로 이해되어 왔다. 하지만 이 두 지역은 신석기시대에서 청동 기시대로의 전환이 연속적인데 반해, 한반도 중남부지역의 해당시기 전환기는 극히 단절적인 것이 사실이다. 현재 까지의 자료로 보는 한, 확실한 점은 한반도 중남부지역의 신석기시대 종말기의 상황이 뚜렷하지 않으며 이어지는 청동기시대 개시기의 유물복합체와 보이는 異質性이다. 전환기에 돌연 등장한 이런 문화변동은 前시기와 개연성이 짙은 한반도 서북지역의 그것과도 절대적인 차이를 보인다. 따라서 이러한 문화변동은 한반도 서북지역 주민의 집단 ‘移住’ 가능성을 상정할 수 있다. 이는 전파와는 분명히 구별해야 할 개념이며 이러한 이주와 그 후 정착의 과정은 또 다른 문화변동으로 인식할 수 있다. 본고의 핵심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주의 종류를 파악하고 이주를 발생케 하는 요인으로서 원거주지의 사회적 변동과 기후변동을 근거로 삼았다. 둘째, 이주 후, 정착의 고고학적 증거로 청동기시대 조기 방형주거 지의 속성변화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주거지의 형태 및 속성이 초기에 비해 획기적으로 변화하는 시점을 포착 하였으며, 이는 필자의 지난 토기연구 결과와도 정합하는 것으로서 청동기시대 조기 후반으로 획기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이주 집단과 선주민의 力關係에 따른 공간적 모델을 창출하여 한반도의 실정에 맞게 추론하였다. 이에 따르면 한반도 중남부지역 신석기~청동기시대 전환기의 공간적 모델은 ‘獨立的 土地占有’ 임을 가정하였다. This paper focus on to prove migration and settlement in early Bronze age on the Korea peninsula by theoretical approach. Method of research is to understand cultural changes and then apply deductive method on the material culture of Korea peninsula. Formation of the material culture in early Bronze age is built by direct influence of the northwestern province where is Chung chun river and Aprok river basin. On the other hand, there is continuedness among the material culture in northwestern province and northeast province, there is no probability among the material culture between the Neolithic Age and early Bronze age on the Korea peninsula. Based on current data, one thing is for sure that phenomenon of terminal period of Neolithic Age is unclear, and there are so different among the archeological materials. Change in culture of the transition period is so different by northwestern province which is highly probable of the earlier times of the Bronze age. Therefore, I think that this phenomenon on the change in culture have the possibility by migration. Moving of a group is the people who live in northwestern province of the Korea peninsula. Also, this must be subdivided by culture diffusion. Migration and settlement process can be recognized another way which grasp the meaning of the archeological materials. Major core content of this paper is as follows. First, understanding on the sort and cause of migration, and then as a basis to this is social change and climate change. Second, after migration, As archeological evidence I select type of structure change process in early Bronze age on Young Seo province of Korea peninsula. As a result, I traced turning point which is changed comparing with the initial stage. And this is tally by my past studies which is presupposed in early Bronze age. Lastly, as creating spatial interaction model among the settler and indigenous people, I make a deduction apposite to the case of Korea peninsula. According to this, spatial interaction model of the transition period between early Bronze age and Neolithic age is independent land occupation. Finally, I think that it goes with the course of time, material culture of the indigenous people is dissipated.

      • KCI등재후보

        春川 中島의 古代 共同體社會

        李亨求(Lee, Hyeong-koo)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15 한국고대사탐구 Vol.21 No.-

        현재 문화재 보존문제로 가장 먼저 제기된 유적이 바로 춘천 중도유적이다. 2013년 10월부터 금년 7월까지 발굴한 결과는 중도 내 전역에서 신석기시대 유적으로부터 청동기시대 유적, 철기시대 유적 그리고 삼국시대 유적에 이르기까지 우리나라 고대사를 貫通하는 매우 중요한 유적이 확인되었다. 그런데도 지금까지 이 유적들은 아무런 보존대책도 없이 방치돼 있다가 최근, 그 자리를 서양의 ‘플라스틱 놀이공원’인 레고랜드 코리아(LEGOLAND KOREA)가 대신 개발되고 있다. 본 논문은 2014년 7월 29일 춘천 중도 현장을 참관하고서 바로 춘천 중도유적, 레고랜드와 바꿀 수 없다 라는 제목으로 중앙 일간지에 기고한 후 10월 27일 춘천시민강좌에서 춘천 역사문화 유적의 보존과 개발 이란 제목으로 발표하면서 청동기시대의 대표적인 집단취락이라고 역설하고 줄곧 古朝鮮相을 탐색해 온 첫 성과이다. 중도유적은 이미 1980년부터 1984년까지 국립중앙박물관에 의해 5차례나 발굴 조사되어 보고서도 5권이나 나왔으며, 1980년대에 270여기의 유적이 발굴된 곳이다. 2010년 4대강 살리기사업 발굴에서 200여기가 발굴 조사되기도 하였으며, 2014년 레고랜드 사업부지 내 1단계 발굴 조사에서 1.400여기의 유구가 발굴되었다. 2015년 2단계 발굴 조사에서도 345기의 유구가 발굴되었다. 중도유적에서는 모두 2.200기가 넘는 많은 유구가 발굴되었다. 대부분이 청동기시대의 유적으로 우리나라에서 단일 구역 내에서 발굴된 최대의 유적이라 할 수 있다. 특히 100여기의 고인돌무덤(지석묘)은 세계적인 유적이다.[2015년 11월 2단게 발굴결과 40기가 추가로 발굴되었다] 중도유적에서 발굴된 청동기시대 주거지는 모두 1,200여 棟이 될 것으로 추정된다. 그 가운데 가장 인구밀도가 조밀했던 청동기시대 중기에 속하는 주거지가 전체의 50%에 가까우므로 청동기시대 중기에 600동의 주거지가 존재했다고 한다면, 1세대 당 5~10명이 살았었다고 보았을 때 당시 중도에는 적게는 3,000명, 많게는 6,000명이 거주한 대도시이다.(현재 확인된 유적은 전체의 1/2에 불과함) 그러나 그 중요성에 비추어 한 번도 보호에 적극성을 보이지 않았다. 물론 문화재 관리당국에서도 중도유적이 파괴 인멸되는 것을 막지 못하고 있다. 우선, 발굴단에서 즉각 정식보고서가 나와야 하고 많은 학술적 토론을 거친 다음에야 무슨 연구라도 할 덴데 아직 거기까지는 진전이 안 된 상황이라서 두 차례에 걸친 발굴 설명회 참관과 수차 현장 방문한 경험과 그동안 수집된 자료들을 토대로 문장을 집필하였다. 혹 논란의 여지가 있을 수 있을 것이나 單騎匹馬로 千軍萬馬를 상대해야 하니 여러 가지 면에서 역부족인 점도 없지 않아 있다. The Joongdo site in Chuncheon is the most relevant prehistorical site concerning the current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topic. From October 2013 until July 2015, the excavation results of the Joongdo site exhibits its importance due to the fact that the remains from the Neolithic Age, the Bronze Age, the Iron Age and the period of the Three Kingdoms were found. Despite this progress, the remains are actually in the state of total neglect and LEGOLAND-an occidental ‘plastic amusement park’-is being developed. This study is a result of a continuous study to bring light to the historical entity of the Gojoseon period emphasizing the Joongdo site as representative clustered settlements from the Bronze Age. I contributed an article under a title, ‘Joongdo site, not to be substitute by LEGOLAND’ in a magazine right after observing the site, and since then I worked day and night on this work. The Joongdo site has been excavated 5th times from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from the year 1980 to 1984. When the Four-river Refurbishment Project in 2010 was held, 200 remains. were identified and excavated. by the professional institutes In 2014, there were 1400 localitys discovered inside the project site of LEGOLAND, and 345 localitys more in the following year, 2015. In total, more than 2200 localitys were excavated from the Joongdo site. The majority of them are from the Bronze Age, including 100 of the remains which are to be respected as universal value. It is identified that there are around 1200 dwelling sites of the Bronze Age in the Joongdo site. Since the half of the dwellings is from the Mid-Bronze Age when the population density was intense, the area was quite urbanized with more than 6000 habitants according to the calculation that 5 to 10 people were living together as a household. In spite of the importance, the conservation was never active. Even the Authority concerned ignored for preservation of the Joongdo site. First, on account of the fact that the excavation team has not yet published their official report, this article was based on my observ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excavations, my site inspection and research.

      • KCI등재

        韓半島 出土 琵琶形銅劍의 登場과 地域性 대하여

        姜仁旭(Kang, In-Uk) 한국상고사학회 2005 한국상고사학보 Vol.49 No.-

        현재까지의 자료로 볼 때 중국 동북지방에서 가장 이른 비파형동검은 발해만유역의 和尙溝유적 출토품으로 기원전 10세기말~9세기 초엽대로 편년된다. 이후 8세기 대에 들어 비파형동검은 夏家店上層文化 및 요동지방과 한반도로 급격히 퍼져나간다. 본 고에서는 한반도 비파형동검의 출현시기를 중국 동북지방의 편년과 비교해서 살펴보고 동검 자체의 형식과 지역적 분포를 중심으로 지역성을 살펴보았다. 한반도에서 출토된 초기 비파형동검들은 한반도 남서부의 매납유적과 지석묘에서 발견되는 예전동식, 서북한의 토광묘에서 발견되는 서포동식, 서북한 및 남동부 지역에서 발견되는 선암리식 등으로 나뉘며, 각 형식은 서로 다른 형성과정을 보여준다. 서포동식은 발해만에서 단동지구를 거쳐서 유입되는 동검+다뉴경의 전통이 유입되어 등장한다. 선암리식은 동검의 형식 및 공반유물에서 중국 동북지방의 유적과 상이하다는 점에서 팽이형 토기문화의 유경식석검을 사용하는 집단에 의해 독자적으로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 예전동식은 동검의 형식 및 형태에서 선암리식, 서포동식과 상이하며 공반유물에서 기타 지역과 유사성이 크지 않다는 점, 그리고 출현연대가 중국 동북지방과 거의 차이가 없다는 점에서 요서지방에서 요동반도를 거쳐 남한으로 직접 유입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한반도 남부로의 비파형동검 유입은 주민집단의 이주 또는 문화적 수용과정이 드러나지 않으며 청동기 제련과 관련된 것으로 생각되는 매납유구가 발달한 점에서 소수의 장인집단에 의한 파급으로 생각된다. 비파형동검은 한반도 남부 전기 청동기시대 말에 지석묘문화로 유입되었으며 이후 송국리문화단계에는 보성강유역의 지석교 문화를 중심으로 일부지역에서만 사용되었다. It has been widely known that the Lute-shaped daggers were originated in the Liaoning area of China in the early 1st millenium B.C., and its usage in neighbouring territories like Korea and Jilin province of China represents the influence of Bronze Age culture of Liaoning to the Korean Bronze Age. In this paper, the author analyses the appearance of Lute-shaped daggers in Korean Peninsula, which is regarded as one of the main external motivations in the formation of the Songguk-ni type culture in the south - western part of Korea. In China, the Lute-shaped dagger is known to have originated from the Bohai Bat region in 10th~9th B.C., and in 8th B.C., spread into the Liaodong Peninsula, Jilin province, and Korean Peninsula. The Lute-shaped dagger in Korea could be divided into three group, and each type came to be used differently in time and space. First, the Seopo-dong type was formed under the influence from Bohai Bay region. This could be traced by the existence of Shiertaiyingzi style dagger and bronze mirror with thunder-shaped design in Dandong and Pyongyang area. Secondly, the Seonam-ni type ones are mostly found in Hwanghae province of North Korea, and eastern mountainous part of South Korea. Based on the typological similarities between the Seonam-ni type dagger and tanged stone dagger used in the north-western part of Korea, we can assume that the Sunam-ni type dagger was autonomously made after the shape of stone dagger with tang. Thirdly, the Yejeon-dong type daggers, traditionally regarded to belong to Songguk-ni type culture, are mostly found in the south-eastern part of Korea. This type of dagger has strong similarities with the dagger from Bohai Bay region. Therefore, we can suppose that at first, this type of dagger was made by an metallurgical master immigrated from the Liaoxi area to Korean Peninsula, and subsequently assimilated into the indigenous Dolmen culture. Except the stone cist tomb of the 55 sector in Songguk-ni site, there is no evidence of the usage of Lute-shaped daggers in the typical Songguk-ni type sites. So, it is suggested that the Lute-shaped dagger from the stone cist tomb might be exceptionally brought from the neighbouring dolmen society. Consequently, it is hardly believed that the appearance of the Lute-shaped dagger was closely related to the formation of Songguk-ni type culture. Probably, the Lute-shaped dagger began to be used in southern korea from the final stage of Early Bronze Age culture(8th B.C.). With the appearance of Songguk-ni type culture, bronze daggers were no longer used in main territory of the culture. Instead, the Lute-shaped daggers were interred in reused or miniatured form into dolmens in the Boseong river basin, the peripheral region of Songguk-ni type culture and the dolmen culture.

      • KCI등재

        1950~70년대 북한고고학계의 청동기·철기시대 설정과 고조선 인식

        배현준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22 東洋學 Vol.- No.89

        A series of arguments made while advocating the theory of ‘Daedonggang Culture’ in the 1990s on North Korea’s Gojoseon research are currently difficult to accept, but previous research on Gojoseon conducted before then had its own archaeological basis at the time. In particular, in the 1970s, the North Korean academia tried to further refine the historical image of Gojoseon based on the achievements of archaeological research. The purpose was to archaeologically establish the theory of ‘Gojoseon is located in the Liaodong area’. In the background, it was possible because archaeological research results such as overcoming ‘the Chalcolithic Period’ presented by Japanese scholars and establishing the Bronze Age and Iron Age were supported during the 50s~60s. Therefore, it is evaluated that the 50s and 60s were the golden age of research in the field of North Korean history and archaeology. So, it is important to review the archaeological research results of that time in order to understand the logical basis for claiming the theory of ‘Gojoseon is located in the Liaodong area’ in the North Korean at that time. From an archaeological point of view, this article aims to summarize and review the logical basis of the North Korean archaeological community in the 50s and 70s from the Bronze Age to the perception of Gojoseon. 북한에서 90년대 대동강문화론을 주장하면서 이루어지는 고조선에 대한 일련의 주장들은 현재 받아들이기어렵지만, 그 이전의 연구 성과는 당시로서 나름의 고고학적 근거를 가지고 개진된 연구들이었다. 특히 북한학계는 1970년대 고고학적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고조선의 역사상을 보다 구체화하고자 하였으며, 이는 곧 고조선 요동중심설을 고고학적으로 확립하는 것이었다. 그 배경에는 해방 후 5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된 금석병용기의 극복과 청동기시대, 철기시대의 설정이라는 고고학적 연구성과가 뒷받침되었기에 가능한 것이었다. 그래서 50~60년대는 북한 역사학·고고학 분야 연구의 황금시대라고 평가하기도 한다. 따라서 당시 북한고고학계에서 고조선 요동중심설을 주장하는 논리적 근거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당시의 고고학적 연구성과를 검토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글에서는 고고학적인 관점에서 청동기시대부터 고조선사 인식까지 50~70년대의 북한고고학계의 논리적 근거를 정리 및 검토하였다.

      • KCI등재

        특정화합물 안정동위원소분석법을 이용한 청동기시대 중서부지방 생업양상 연구

        곽승기(Seung ki Kwak) 한국상고사학회 2017 한국상고사학보 Vol.95 No.-

        선사시대의 생업 활동을 고찰함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해당 지역의 고고자료를 면밀히 연구하여 당시의 식생활이 어떠했는지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한반도의 청동기시대는, 농경이 확산되고 벼를 위시한 다양한 작물들의 재배가 성행하여 농작물이 당시사람들의 주식으로 자리 잡은 때라고 알려져 있다. 지금까지 청동기시대의 식생활을 복원해보려는 노력은 주로 작물 유존체의 분석을 통해 이루어져 왔다. 본고에서는 한반도 중서부 지역의 청동기시대 주거유적인 평택 소사동과 김포 양촌, 그리고 송국리의 유적에서 출토된 토기에서 추출한 유기물에 대한 안정동위원소분석의 결과를 활용하여 당시의 식생활에 대한 새로운 정보를 도출해 내고자 하였다. 본 연구 결과, 청동기시대 한반도 중서부지역 거주민들이 수렵활동을 통해 사슴이나 멧돼지와 같은 야생 육상동물들을 주기적으로 섭취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한반도의 청동기시대 농경민들은 송국리형 문화 단계에 집약적 도작농경이 확립된 이후에도 생업활동을 하는 데에 있어 작물재배와 함께 다양한 전략을 보조적으로 활용하였던 것으로 추측되며, 농경 도입 이전부터 인류의 가장 대표적인 생업 활동의 하나였던 수렵도 그중의 하나였을 것이라고 판단된다. 비록 농경에 의한 작물의 재배가 청동기시대 생업활동의 한 축을 담당하고 있었고, 벼를 위시한 재배작물이 사람들의 식생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이전 시기보다 높았다고 볼 수 있지만, 당시 농경민들은 보다 넓은 범위에서 유기적인 전략을 가지고 생계를 유지해 나갔을 가능성이 있다. This study attempts to understand ancient human subsistence and pottery use in the midwest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through the lipid analysis of potsherds from two major prehistoric settlement sites. One of the main topics of Korean archaeology has been the process of transition to farming. In the midwest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the period that has been tightly linked with this change was the Bronze Age. However, due to the high acidity of sediments that does not allow long-term preservation of organic remains, we still lack critical information related to the subsistence of the Bronze Age people. Ceramic vessels contain well-preserved lipids originated from culinary practices. Reconstructing food processing episodes through the analysis of ancient lipids extracted from pottery matrix can contribute to understand the true nature of the subsistence during the Bronze Age. The potsherd samples for the analyses in this paper were collected from the three prehistoric Bronze Age (c.a. 3000-2300 BP) settlement sites located in the midwest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Kimpo-Yangchon, Sosa- Dong, and Songguk-ri site. The result shows that terrestrial animals are presented in the organic residues, suggesting that there was utilization of a wider range of animal resources along with harvested crops among ancient farmers in the midwest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 KCI등재

        남한 신석기-청동기시대 이행에 대한 맥락적 이해

        김범철(Kim, Bumcheol) 한국신석기학회 2021 한국신석기연구 Vol.- No.41

        남한 신석기-청동기시대 이행과정에 대한 개연적이고 체계적인 설명은 여전히 우리 선사고고학 의 큰 숙제이다. 당초 의도와는 상관없이 청동기시대 조기에 관련된 논의는 일단 그러한 숙제의 해결에 발을 들여놓게 되었다. 그리된 데에는 ‘주민 남하’라는 동인과 ‘농업사회의 성립’이라는 결과를 ‘설명’의 시말에 놓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당시의 기후(변화), 정착지의 생산배경 및 생산 방식 등에 대한 거시적, 정황적 정보를 심각하게 고려하지 않은 것 때문에 다소 ‘맥락’에서 벗어날 수도 있는 설명이 양산되기도 하였다. 본고는 신석기⋅청동기시대 기후궤적에 대한 최근의 성과와 관련 유적의 석제 도구조합상 및 그 주변의 토양양상 분석을 통해 남한 신석기-청동기시대 이행의 시말에 관련된 설명에서 장해(障 害) 또는 암초(暗礁)가 될 만한 요소들을 지적한다. It has been a long standing question how the transition of Neolithic to Bronze Age in South Korea processed. Whatever the original idea is, the discussion about the Initial Period of Bronze Age step in the effort to answer the question. It is attributed to proposed that the transition was initiated by the migration of population from the northen part of Korean Peninsula or Liodong, China, and completed by the formation of agricultural society in South Korea. However, the proposition seems to be out of context, because it is not compatible with the information about climatic condition at that time, and the condition and patterns of subsistence production at the destination. Reconstructing climate fluctuation during Neolithic and Bronze Age, and analyzing composition of stone tools from and soilscapes around the sites relevant to the transition, I point out what could be obstacles or reefs in proper understanding and explaining how the transition w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