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청소년의 행동함정과 미래시간전망이 진로의사결정능력에 미치는 영향

        안윤정,오현주,김미경 한국진로교육학회 2011 진로교육연구 Vol.24 No.3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behavioral traps and future time perspective of adolescents on their career decision making competency.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subjects were 578 middle-school students and 303 high-school students who lived in Seoul. Data were analyzed by t-test, Pearson's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linear regress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used to verify the model of this study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future time perspectiv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variables such as gender, grade did not show any effect on behavioral traps, future time perspective and career decision making competency. By the result of analysis, there was proportional correlation between future time perspective and career decision making competency and there was inverse proportion between behavioral traps and future time perspective, career decision making competency. The mediating effect of future time perspective between behavioral traps and career decision making competency was verified. In other words, the behavioral traps had direct effect on their career decision making competency and future time perspective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behavioral traps and career decision making competency. So the career counselling program is needed for adolescents in order to be able to overcome reverse cognitive function such as behavioral traps and have long future time perspective. 본 연구는 청소년의 행동함정과 미래시간전망이 진로의사결정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시에 거주하는 중학생 578명과 고등학생 303명을 대상으로 행동함정, 미래시간전망, 진로의사결정능력 등의 검사결과를 토대로 각 변인들의 성별과 학년 평균 차이검증과 상관분석, 선형회귀분석 등을 수행하였다. 구조방정식 모델을 사용하여 연구모형을 검증하였고, 행동함정이 진로의사결정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미래시간전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청소년의 성별, 학년에 따른 행동함정, 미래시간전망, 진로의사결정능력은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행동함정, 미래시간전망 및 진로의사결정능력 상관관계 분석결과 미래시간전망과 진로의사결정능력은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으나, 행동함정과 미래시간전망 및 진로의사결정능력은 모두 유의한 부적상관으로 나타났다. 행동함정과 진로의사결정과의 관계에서 미래시간전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청소년의 행동함정과 진로의사결정능력에 대한 미래시간전망의 매개효과는 유의미하게 검증되었다. 즉, 행동함정은 진로의사결정능력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한편 미래시간전망을 매개로 하여 진로의사결정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교나 관련 교육기관에서는 청소년들에게 일상적인 생활에서 행동함정에 빠지기 쉬운 역기능적 인지를 제거하고 진학위주의 단기적인 시간전망보다는 미래의 직업까지 생각할 수 있는 장기적인 시간개념을 기반으로 진로의사결정을 할 수 있는 진로상담프로그램이 필요하다.

      • KCI등재

        지식공유의 합리적 행위모델에 있어서 관점수용의 역할

        설현도 한일경상학회 2018 韓日經商論集 Vol.78 No.-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role of perspective taking on the knowledge sharing based on theory of reasoned behavior. Data were collected on a structured questionnaire containing the perspective taking, attitude toward knowledge sharing, subjective norm, knowledge sharing intent, and knowledge sharing behavior. Hypotheses were test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of the data after establishing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cales. The study proved that the perspective taking has positive relationship toward the subjective norm, attitude toward knowledge sharing, and knowledge sharing behavior. But the impact of perspective taking on the intent of knowledge sharing was not significant. The discussion focuses on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The theoretical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it expanded its understanding of the influence factors of knowledge management by introducing the concept of perspective taking and attempted to expand on the theory of reasoned behavior. The practical implication is that to facilitate the knowledge sharing among the members in the organization,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perspective taking ability and to find specific ways to enhance the perspective taking ability. 본 연구는 지식공유의 합리적 행위모델에 있어서 관점수용의 역할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관점수용, 지식공유에 대한 태도, 주관적 규범, 지식공유 의도, 지식공유 행동을 연구모델로 설정하여 우리나라 기업조직 구성원 226명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하였다. 측정 자료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확보한 이후 구조방정식모델을 사용하여 가설을 검정하였다. 분석 결과 관점수용은 주관적 규범, 지식공유에 대한 태도, 지식공유 행동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지식공유 의도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과 함께 향후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론적 측면에서 볼 때, 본 연구는 그동안 우리나라의 지식경영 분야에서 깊이 있게 다루어지지 않은 관점수용의 개념을 도입함으로써 지식경영의 영향요인에 대한 이해의 폭을확장하였으며, 지식공유 행동을 더 잘 예측해 주는 새로운 변수로서 관점수용의 개념을 추가함으로써 합리적 행위이론에 대한 확장을 시도하였다는 점에서 함의를 찾을 수 있다. 실무적 측면에서는 조직 내에서 구성원들의 지식공유를 촉진하기 위해서는 관점수용을적극적으로 고려하여야 하며, 구성원들의 관점수용 능력을 제고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모색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청소년의 부모 및 형제에 대한 친사회적 행동 : 부모애착, 부모 모니터링, 사회경제적지위 및 조망수용과의 관계

        C.P.Edwards,하영희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05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11 No.1

        Data were collected from 310 6th, 7th, and 8th grade students and parents by questionnaires and analyzed by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higher parents attachment and parents monitoring, the higher prosocial behavior towards parents and siblings, the higher perspective-taking, the higher prosocial behavior towards parents, and the higher socioeconomic status, the higher prosocial behavior towards siblings. More prosocial behavior toward parents was reported by girls than by boys. Prosocial behavior toward siblings did not show a gender difference. In the total group, high parent attachment and perspective-taking predicted prosocial behavior towards parents; high parent attachment and socioeconomic status predicted prosocial behavior towards siblings. In the boy group, high parent attachment and perspective-taking predicted prosocial behavior towards parents; high socioeconomic status predicted prosocial behavior towards siblings. In the girl group, high parent attachment predicted prosocial behavior towards parents and high parent attachment and socioeconomic status predicted prosocial behavior towards siblings. Discussion focused on the relative importance of parents attachment, perspective-taking, and socioeconomic status in predicting early adolescents' prosocial behavior. 본 연구는 부모 및 형제에 대한 초기청소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관련변인으로 부모애착, 부모모니터링, 사회경제적 지위 및 조망수용 등을 탐색하여 가족맥락 안에서의 친사회적 행동을 증가시키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실시되었다. 이에 초등학교 6학년과 중학교 1, 2학년 남녀 310명과 학부모를 대상으로 질문지를 적용하여 측정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초기청소년의 친사회적 행동과 사회경제적 지위를 포함한 인구학적 배경은 부모용 응답지를 그리고 부모애착, 부모모니터링 및 조망수용은 청소년용 자기보고식 응답지를 이용하였다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t-test와 중다회귀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결과, 첫째, 부모애착과 부모모니터링이 높을수록 부모와 형제에 대한 친사회적 행동 수준이, 조망수용 수준이 높을수록 부모에 대한 친사회적 행동 수준이 그리고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은 가정의 청소년일수록 형제에 대한 친사회적 행동 수준이 높았다. 둘째, 여아가 남아보다 부모를 향한 친사회적 행동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다회귀 분석결과, 전체 청소년의 부모에 대한 친사회적 행동은 부모애착과 조망수용이, 형제에 대한 친사회적 행동은 부모애착과 사회경제적 지위가 중요한 예언변인이었다. 성 차 구분에 의한 분석에서 남아의 경우, 부모에 대한 친사회적 행동은 부모애착과 조망수용이, 형제에 대한 친사회적 행동은 사회경제적 지위가 중요한 예언변인이었다. 여아의 경우, 부모에 대한 친사회적 행동은 부모애착이, 형제에 대한 친사회적 행동은 부모애착과 사회경제적 지위가 예언변인으로 나타나 성 차에 따른 관련변인의 차이를 보였다.

      • KCI등재

        조직구성원의 리더에 대한 조망수용과 감성지능이 발언행동에 미치는 영향 : 발언에 대한 자기효능감의 매개역할

        최용득(Yongduk Choi),조영삼(Youngsam Cho) 한국인사조직학회 2021 인사조직연구 Vol.29 No.1

        본 연구는 발언이 시도되는 관계적 맥락을 고려하여 구성원의 사회적 공감 역량이 발언행동에 미치는 효과와 그 과정을 고찰하였다. 선행연구는 리더와 구성원의 역학관계에 주목하여 구성원의 발언을 촉진할 수 있는 리더십 효과에 우선적으로 주목하여 왔다. 본 연구는 이러한 리더의 역할을 넘어 구성원의 사회적 역량과 발언의 관계를 고찰함으로써 선행연구의 부족한 이해를 메우고자 한다. 본 연구는 구성원의 조망수용과 감성지능이 리더의 생각과 감정에 대한 이해와 공감을 통해 발언시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고찰하였다. 아울러, 이러한 대화 상대에 대한 인지적 및 정서적 공감에 기반을 둔 사회적 역량이 발언에 대한 자기효능감이라는 심리적 역량의 강화를 통해 발언으로 이어질수 있는지를 고찰하였다. 국내 교육콘텐츠 제작 및 설계 IT 기업에 근무하는 246명의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리더에 대한 조망수용과 감성지능이 발언행동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과 발언에 대한 자기효능감의 심리적 매개 역할을 검증하였다. 구체적인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조망수용과 감성지능은 모두 발언행동을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발언을 촉진하는 대표적인 리더 행동으로 알려진 리더의 소통행동을 통제하고도 조망수용과 감성지능이 발언에 미치는 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는 점에서 발언결정에 있어 구성원의 사회적 역량의 고유한 역할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발언에 대한 자기효능감은 조망수용 및 감성지능과 발언행동의 관계를 유의하게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리더에 대한 조망수용과 감성지능이 발언에 기여하는 구체적 과정을 설명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종합하면, 본 연구 결과는 리더에 대한 사회적 정보를 확보할 수 있는 리더에 대한 조망수용과 감성지능은 발언에 대한 자기효능감이라는 심리적 역량을 결집시킴으로써 직간접적으로 발언행동에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논의하고 한계점과 추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research field of voice behavior by investigating the social competence of employees with regard to voice behavior. Employee voice is defined as a social interaction with his or her leader. The existing literature has highlighted the antecedents of voice behavior mainly from a leader-centered perspective, emphasizing the role of leaders as a facilitator for employee voice. As a result, not much is known about why certain employees are able to be more proactive in social communication with their leaders. The present study attempts to fill this research gap by focusing on an employee-centered perspective. We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for employees to recognize leader-relevant social factors, such as their viewpoint and emotions, in order to favorably interact with them. Thus, we propose that two core competencies in social interaction contribute to the ability of employees to actively share their opinions and ideas with leaders: leader perspective taking and emotional intelligence. Furthermore, we propose that self-efficacy for voice could link leader perspective taking and emotional intelligence to voice behavior. Using a sample of 246 employees working for an IT company producing educational material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leader perspective taking and emotional intelligence of employees were both positively related to voice behavior when controlling for perceived managerial openness, proactive personality, and demographic variables. Thus, their unique influences were identified. Second, self-efficacy for voice medi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leader perspective taking and emotional intelligence and voice behavior, respectively. Based on these empirical findings, we discuss meaningful theoretical and managerial implications.

      • KCI등재

        관점수용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합리적 행동모델을 중심으로

        설현도 ( Hyun Do Seol ) KNU기업경영연구소 2021 기업경영리뷰 Vol.12 No.1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perspective-taking on innovative behavior based on the theory of reasoned behavior. The concept of perspective-taking, which has been mainly studied in the field of psychology, was applied in the field of organizational behavior to expand the understanding of the antecedents of innovative behavior. In addition, it was intende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managers to increase employee’s innovative behavior by taking an interest in perspective-taking. In this study, we tried to empirically analyze how the perspective-taking affects attitude, subjective norm, intention, and behavior of innovative behavior rather than the relationship within variables in the reasoned behavior model, for which consistent results were derived from previous studies. To this end, data collected from 491 Korean organizational members, and the fitness of the data was confirmed through reliability and validity analysis, and the hypothesis was verified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As a result of the hypothesis test, it was found that the perspective-taking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 effect on attitudes toward innovative behavior, subjective norms, and innovative behavior, but it was confirmed that it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intent to innovative behavior.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implications from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aspect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presented.

      • KCI등재

        초⋅중등 예비교원의 조망수용과 다문화행동의 관계: 편견과 다문화태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임다솔,김영화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3

        Objectives This study explored the mediating effects of prejudice and multicultural attitud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pective-taking and multicultural behavior among pre-service teachers. Methods Two hundred and twenty-four pre-service teachers from single-Korean-ethnic background participated in the surveys assessing perspective-taking, prejudice, multicultural attitude, multicultural behavior,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Results The results found that perspective-taking and multicultural attitude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multicultural behavior. On the other hand, prejudic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multicultural behavior. Also, prejudice and multicultural attitudes showed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pective-taking and multicultural behavi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pective-taking and multicultural behavior, the indirect effect of prejudice was not found, but the indirect effect of multicultural attitude was significant. In addition, the path from perspective-taking to multicultural behavior by sequentially mediating prejudice and multicultural attitude was significant.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prejudice and multicultural attitudes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pective-taking and multicultural behavior. Accordingly, this study discussed educational intervention through perspective-taking to promote multicultural behavior of prospective teachers. Finally,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목적 연구는 단일민족 배경의 초⋅중등 예비교원을 대상으로 조망수용과 다문화 행동의 관계에서 편견과 다문화 태도의 매개효과를 탐색하여 예비교원 다문화교육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224명의 초⋅중등 예비교원을 대상으로 조망수용, 편견, 다문화 태도, 다문화 행동 및 인구통계학적 특성으로구성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고 결과를 분석하였다. 매개효과 분석을 위해 SPSS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분석을 실시하고Bootstrapping을 통해 간접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결과 그 결과, 첫째, 조망수용과 다문화 태도는 다문화 행동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반면 편견은 다문화 행동과 부적 상관을나타냈다. 둘째, 조망수용과 다문화 행동의 관계에서 편견, 다문화 태도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편견의 간접효과는 나타나지않았으나, 다문화 태도의 간접효과는 유의하였다. 또한 조망수용이 편견과 다문화 태도를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다문화 행동에 이르는 경로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결과는 다문화 행동 증진에 있어서 조망수용이 중요한 심리적 변인이며, 이 과정에서 편견과 다문화 태도의 역할을함께 이해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예비교원 다문화교육에서 조망수용을 활용한 개입의 가능성을 논의하고, 연구의 한계점을 바탕으로 추후 연구 방향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가정에서의 소비윤리 교육경험과 교직관이 윤리적 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제미경,황보영란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19 생태유아교육연구 Vol.18 No.3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가정에서의 소비윤리 교육경험과 교직관이 윤리적 소비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교직관과 윤리적 소배행동의 전반적인 경향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 경남지역 유아교육과 학생 39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SPSS를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등 기초분석과 Cronbach α 신뢰도 계수, t-검증, 일원분산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예비유아교사의 교직관 수준은 공직관, 전문직관, 노동직관, 성직관 순으로 나타났고 교직관의 모든영역에서 중간점을 상회하였다. 단계별 윤리적 소비행동은 기초단계, 성장단계, 성숙단계 순으로 소비윤리행동 단계가 높아질수록 윤리적 소비행동 수준은 낮아졌다. 윤리적 소비행동에 대한 변수들의 영향력은 가정에서의 윤리적 소비교육 경험이 있는 경우, 전문직관과 성직관이 높을수록 윤리적 소비행동을 많이 하고 있었다. 이 연구결과는 예비유아교사들의 윤리적 소비행동의 향상과 관련하여 교원양성교육과정에서 교직관 교육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ethical consumption educational experience and perspective affects ethical consumption behavior i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92 student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s in the Busan and Gyeongnam regions. The collected data treated with SPSS Win. 25.0 and analyzed for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hrough Cronbach α, t-test, one-way ANOVA, and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educational perspective scores were all above median values. The official educational perspective score was the highest, followed by the professional, and Holy Order educational perspectives. As the level of ethical consumption behavior increased, the measured score for ethical consumption behavior decreased. The average score of ethical consumption behavior decreased as the level of ethical consumption increased in the order of basic, growth, and maturity levels. The results of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 showe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regarding educational experience in ethical consumption in family, and higher professional educational perspective on ethical consumption behavior. The Holy Order educational perspective also had a positive effect, except for on the basic level of ethical consumption behavior. This study demonstrated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al perspective training on shaping the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to improve ethical consumption behavior i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 KCI등재후보

        성폭력범죄자 인지행동치료프로그램의 현황 및 개선방안

        염가온(Yeom Ga On),주용휘(Joo Yong Hwi),진유리(Jin Yu Ri) 사단법인 안전문화포럼 2021 안전문화연구 Vol.- No.12

        본 연구는 성폭력 범죄자를 처벌보다는 재활의 관점에서 갱생시키기고 재사회화를 도모하도록 돕는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에 집중하였다. 서구에서는 범죄 관련 치료프로그램의 효과가 입증되는 증거기반치료의 형태로 분석되어야 한다는 인식이 팽배하다. 하지만 현재 우리나라의 형사사법시스템을 살펴보면 성폭력 범죄자에 대한 처우의 개선보다는 처벌을 강화하는 것으로 재범률을 줄이고자 한다. 그러므로 범죄자의 근본적인 원인을 파악하여 왜곡된 인지와 성향을 바꾸어 새로운 생활양식에 적용하도록 돕는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을 발전시키고자 한다. 성폭력 범죄자들을 대상으로 한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을 분석하여 그 효과성을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범죄인의 주요 특성으로는 인지적 왜곡, 강간통념, 공감능력, 충동성에 집중하였다. 현재 성폭력 범죄자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이 무엇인지 현황을 살펴보고, 프로그램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에 대한 개선을 통하여 교정의 목적을 이루고자 함에 있다. 더 나아가 이 논문을 통해 많은 사람이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연구 및 개발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성폭력 범죄자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의 현황과 내용을 살펴본 결과, 현재 개인 차원에서 진행한 성폭력 범죄자를 대상으로 한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은 RNR적 관점에서 위험성 원칙과 충실성 원칙 그리고 욕구원칙에의 개입이 부재하다. 또한 개발 및 시행, 동기부여, 효과연구 부족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은 RNR적 관점에서 프로그램의 구성을 개선하도록 하며 프로그램의 개발과 시행을 고취시켜야 할 필요가 있다. 참여자에게 동기를 부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효과가 검증된 성범죄자 치료프로그램을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성폭력 범죄의 건수는 나날이 증가하고 있으며 수법 또한 잔혹해져 심각성이 대두된다.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프로그램의 개선과 개발을 통하여 재범방지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현 성폭력 범죄자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의 개선을 통하여 궁극적으로 범죄자의 재사회화를 통해 재범방지를 이루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재범방지를 통하여 성폭력 범죄피해자의 감소와 사회 안전이 이루어질 것이다. 더하여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을 널리 전파함으로써 효과적인 재범률 감소를 돕고자 한다. This study focused on cognitive behavior therapy programs that help rehabilitate sexual offenders from the perspective of rehabilitation rather than punishment and promote re-socialization. In the West, there is a widespread perception that the effects of crime-related treatment programs should be analyzed in the form of evidence-based treatment. However, if we look at the current criminal justice system in Korea, we want to reduce the recidivism rate by strengthening punishment rather than improving the treatment of sexual offenders. Therefore, we want to develop a cognitive behavior therapy program that helps us identify the underlying causes of criminals and change distorted perceptions and tendencies and apply them to new lifestyles. The purpose was to analyze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programs for sexual offenders and verify their effectiveness. The main characteristics of criminals were cognitive distortion, conventional rape, empathy, and impulsivity. The purpose of the correction is to improve the cognitive behavior therapy program by examining the current status of the sex offender cognitive behavior therapy program and pointing out problems in the program and suggesting improvements. Furthermore, this paper allows many people to research and develop with interest in cognitive behavior therapy programs. According to the current status and contents of the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program for sexual offenders, the current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program for sexual offenders at the individual level lacks intervention in the principle of risk, fidelity and desire from an RNR perspective. There are also problems such as motivation and lack of effectiveness research. These problems need to be improved in the organization of programs from an RNR perspective, and the development and development of programs. Participants should be motivated and efforts should be made for a proven sex offender treatment program. The number of sexual violence crimes is increasing day by day, and the methods are also brutal, raising seriousness. Efforts should be made to prevent recidivism by recognizing problems in cognitive behavior therapy programs and improving and developing program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chieve the prevention of re-offending by ultimately re-socializing criminals through the improvement of the current sexual violence criminal cognitive behavior therapy program. The prevention of recidivism will reduce the number of victims of sexual violence and ensure social safety. In addition, it seeks to effectively help reduce recidivism rates by spreading cognitive behavioural therapy programs.

      • 조직구성원의 리더에 대한 조망수용과 감성지능이 발언행동에 미치는 영향 : 발언에 대한 자기효능감의 매개역할

        최용득,조영삼 한국인사조직학회 2020 한국인사ㆍ조직학회 발표논문집 Vol.2020 No.1

        발언은 조직 현상에 대하여 문제를 제기하고 아이디어를 제시하는 행위를 의미한다. 이는 조직 구성원의 변화와 혁신을 위한 적극적 참여 행동의 하나로 간주되면서 연구자들의 많은 관심을 받아 왔다. 선행연구에서는 발언이 리더와의 상호작용이라는 점에 주목하여 구성원의 발언행동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리더십을 강조하여 왔다. 즉, 발언을 촉진할 수 있는 효과적인 리더의 행동을 고찰하는데 집중하였다. 결과적으로 발언현상에 있어 리더의 역할을 넘어 발언을 시도하는 구성원의 사회적 숙고와 역량에 대한 깊이 있는 고찰은 이뤄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구성원과 리더의 역학 관계에 주목하여, 리더를 겨냥한 발언을 위해서는 리더와 관련된 사회적 정보를 파악할 수 있는 역량이 매우 중요하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구체적으로, 발언의 선행변수로서 구성원의 리더에 대한 조망수용과 감성지능의 역할을 고찰하였다. 구성원의 조망수용과 감성지능은 타인의 생각과 감정에 대한 인지적 그리고 감성적 측면의 공감능력으로서 발언의 맥락에서 리더의 생각과 판단 그리고 감정을 이해할 수 있는 핵심적인 사회적 역량으로 볼 수 있다. 아울러, 이러한 구성원의 사회적 역량이 어떠한 과정을 통해 발언 결정으로 이어질 수 있는지를 설명하기 위해 발언에 대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고찰하였다. 종합하면, 본 연구는 문헌고찰을 토대로 구성원의 리더에 대한 조망수용과 감성지능 그리고 발언행동의 관계에서 발언에 대한 자기효능감의 심리적 기제 역할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국내 교육콘텐츠 제작 및 설계 IT 기업에 근무하는 246명의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얻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망수용과 감성지능은 발언행동을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특히, 발언을 촉진하는 대표적 리더의 행동으로 알려진 리더의 소통행동을 통제하고도 이 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발언에 대한 자기효능감은 조망수용 및 감성지능과 발언행동을 유의하게 매개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논하고 한계점과 추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research field of voice behavior by investigating employees’ social competence for voice behavior. Employee voice is regarded as a social interaction with his or her leader. Existing literature has highlighted the antecedents of voice behavior mainly from leader-centered perspective, emphasizing the role of leader as a facilitator for employee voice. In consequence, not much is known about why certain employees can be more proactive in the social communication with their leaders. The present study attempts to fill this research gap by focusing on employee-centered perspective. When considering the perspective of employees who express a voice, they need to discern whether a specific situation is favorable to making a suggestion or expressing a concern to their leaders. We suggest that it would be necessary for employees to recognize leader-relevant factors, such as their viewpoint and emotion, in order to favorably interact with them. Thus, we focused on two core competencies for social interaction, employees’ leader perspective taking and emotional intelligence, as essential antecedents of voice behavior. The two social competencies can enable employees to more comfortably share their opinions with leaders in the voice context. Furthermore,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role of self-efficacy for voice to account for the psychological mechanism in the respective relationships for employees’ leader perspective taking and emotional intelligence on voice behavior. We propose that self-efficacy for voice could link leader perspective taking and emotional intelligence to voice behavior. Using a sample of 246 employees working for an IT company producing educational material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mployees’ leader perspective taking and emotional intelligence were positively related to voice behavior, controlling for perceived managerial openness, proactive personality, and demographic variables. Second, self-efficacy for voice mediated the effects of leader perspective taking and emotional intelligence on voice behavior. Based on these empirical findings, we discussed meaningful theoretical and managerial implic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