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교양기초교육원의 표준모델을 적용한 4년제 대학 교양기초교육의 현황과 시사점

        정승원,장현수,김세준 한국교양교육학회 2020 교양교육연구 Vol.14 No.5

        This study presents a plan to improve the liberal arts basic curriculum by examining and analyzing the status of this curriculum within domestic universities through the division of basic education, as well as the liberal arts and literacy areas of the standard model of liberal arts basic education.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atio of liberal arts basic education to graduation credits, the average ratio of basic education in 132 universities was 26.2%. This is well below the minimum standard of 35% suggested by the standard model of liberal arts basic education. In addition, the average ratio by area was analyzed to be 10.4% for basic education, 12.1% for liberal arts education, and 3.6% for literacy educa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types by region, establishment type, and university size, the difference in ratio was not large. Due to the insufficient ratio of liberal arts basic education organization and the differentiation in the organization of this curriculum between universities, the proposal of the standard model for liberal arts basic education cannot objectively be regarded as an effective from the prerequisites. However, the division of areas in the standard model can contribute to highlighting the fundamental reasons for the formation of the current basic curriculum, and for suggesting improvements. The lack of an understanding of the precise goals of liberal arts basic education is revealed as the phenomenon of adjusting the curriculum within a limited proportion of liberal arts basic education. The improvement of the curriculum to achieve the ideological orientation and the goals of liberal arts basic education should increase the ratio of formation by area and ensure the independence of the curriculum. 본 연구는 「대학 교양기초교육의 표준 모델」의 ‘기초교육’⋅‘교양교육’⋅‘소양교육’이라는 영역 구분을 통해 교양기초교육과정의 편성 현황을 조사⋅분석하여, 교양기초교육과정의 개선 방안을 제출하는데에 기여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씌어졌다. 교양기초교육 편성의 졸업이수학점 대비 비율을 조사한결과, 132개 4년제 대학의 교양기초교육 편성 비율의 평균은 26.2%였다. 이는 「대학 교양기초교육의표준 모델」이 제시하는 최소기준인 35%에 크게 못 미친다. 또한 영역별 비율 평균은 기초교육이 졸업이수학점 대비 10.4%, 교양교육은 12.1%, 소양교육은 3.6%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권역별, 설립구분별, 규모별로 확인할 때에도 그 비율간 차이는 크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교양기초교육 편성비율의 부족과 대학간 교양기초교육과정 편성의 차별성 미흡으로 인해, 「대학 교양기초교육의 표준모델」의 제안은 전제조건에서부터 그 실효성을 확보하지 못 했다고 말할 수 있다. 하지만 「대학 교양기초교육의 표준 모델」 제안과는 상반되게 영역별 구분은 현재 교양기초교육과정편성의 근본적 이유를 부각시키고, 개선의 방향을 시사하는 데에 일정 기여할 수 있다. 교양기초교육의목표에 대한 이해의 부족은 기초교육⋅교양교육⋅소양교육의 목표를 구분하지 않고 부족하고 한정된교양기초교육 편성 비율 안에서 교육과정을 조절하는 현상으로 드러난다. 교양기초교육의 목표를 지향하고 달성하기 위한 교양기초교육과정의 개선은, 편성 비율의 확대에서부터 시작되어야 하지만 이확대는 교양기초교육의 영역별 목표를 지향하는 교육과정을 독립적으로 확보함으로써 이루어져야만할 것이다.

      • KCI등재

        평생학습사회와 문식성 교육의 방향

        이지영 한국어교육학회 2020 국어교육 Vol.0 No.171

        In this paper, the direction of literacy education is discussed focusing on a “lifelong learning society”. Lifelong learning was approached as a structure with an ideological layer, a policy layer, and a practice layer. The ideological layer provides the direction of literacy education required by our society and becomes an epistemological basis for literacy education. The policy layer allows the establishment of a policy discussion and frame system for life literacy education. I discuss life literacy education policy by dividing it into a hard function and a soft function. Focusing on literacy’s hard function, literacy education can construct a life literacy frame that considers human life. Focus on the soft function of literacy, literacy education can be established through various literacy policies. The practice layer suggests specific directions for developing lifelong education programs related to literacy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look at social systems and education regarding humans’ life cycle. Literacy education also needs to be approached as a lifelong learning system in a lifelong literacy frame.

      • KCI등재

        교육회복을 위한 기초학력 전담교사의 역할과 교사교육의 과제 — 문해력 개별화 수업 전문성을 중심으로

        김미혜 국어교육학회 2023 國語敎育學硏究 Vol.58 No.3

        2021년 교육부는 코로나19로 인해 증폭된 학습결손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교육회복 종합방안」 기본계획을 발표했다. 진정한 의미에서의 교육회복을 위해서는 기초학력을 보장하고 교육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국가적 책무를 이행해야 한다. 기초학력 전담교사제는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이다. 기초학력 전담교사제는 2020년 전라남도교육청이 문해력 전담교사와 수해력 전담교사를 선발해 운영하면서 처음 시행되었고, 이후 충청북도교육청, 경상북도교육청, 울산시교육청 등으로 확대되었다. 이 제도는 학습부진 학생을 조기에 발견해 개입하는 것이 학습격차를 예방하고 최소화하는 데 효과적이라는 것을 보여주었다. 또한 문해력 부진을 해결하는 데는 일반적인 수업 시간 내 풀 아웃 방식으로 1:1 개별화 수업을 담당하는 교사의 전문성이 매우 중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담교사들은 문해력 개별화 수업 전문성을 신장하기 위해 노력했으며 교사 연수와 교사학습공동체 활동 등을 통해 전문성이 향상되었다. 이 제도의 정착과 교육회복을 위해서는 교사교육 차원에서 보완해야 할 점도 있다. (1) 문해력 개별화 수업을 담당하는 교사의 전문성을 확보해야 한다. 기존의 교사 연수 외에 대학원 수준에서의 재교육을 통해 전문성 신장을 지원하는 것이 적절한 방안이 될 수 있다. (2) 장기적으로는 교육대학교의 교육과정에 기초학력 관련 내용을 포함시킬 필요가 있다. 덧붙여 (3) 초등학교 입학 전에 발생하는 학습격차를 줄이기 위한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In 2021, the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announced the “Comprehensive Plan for Education Recovery” to address the problem of learning deficits amplified by COVID-19. To truly recover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fulfill the national responsibility to guarantee basic academic ability and bridge the educational gap. A system of teachers dedicated to basic academic ability was introduced to solve these problems. The system of teachers dedicated to basic academic ability was first implemented in 2020 when the Jeollanam-do Office of Education selected and managed dedicated teachers for literacy and math skills, and later expanded to the Chungcheongbuk-do, Gyeongsangbuk-do, and Ulsan City Offices of Education. This system showed that early detection and intervention for underachievers is effective in preventing and minimizing learning gaps.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professionalism of teachers in charge of individualized classes in a pull-out method during general class time is vital for improving literacy skills. Dedicated teachers strove to enhance the professionalism of individualized literacy classes, and professionalism was improved through teacher training and teacher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 To establish this system and restore education, some points must be considered in terms of teacher education. (1) The expertise of teachers in charge of individualized literacy classes should be secured. In addition to the existing teacher training, it is possible to support professional development through re-education in graduate school. (2) In the long run, it is necessary to include basic academic skills in the training and retraining process for Korean language teachers. In addition, (3) it is necessary to seek ways to reduce the learning gap that occurs before entering elementary school.

      • KCI등재

        언식성을 고려한 기초 문식성 교육 방안

        김윤옥 ( Kim Yunok )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21 한국초등국어교육 Vol.70 No.-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저학년에서 기초 문식성 교육 내용을 살펴보고, 기초 문식성 교육에 대하여 개선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기초 문식성에서 언식성의 중요성을 살펴보고, 초등학교 국어교육에서 기초 문식성 교육 내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언식성이 초등학교 저학년 기초 문식성 교육에 중요한 역할을 함에도 불구하고 실제 기초 문식성 교육은 문자 언어 위주의 활동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학생들의 언식성을 간과하여 지도되고 있다 보니 음성 언어와 분리되어 한글 해득 학습에 그치고 있어 학생들의 원활한 의사소통 능력 발달에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언식성을 고려한 기초 문식성 교육을 위한 방안으로 학생들의 경험 이야기를 활용하여지도, 스토리텔링 활용, 그림책 읽어주기, 통합적 지도 등으로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초등학교 1, 2학년의 기초 문식성 지도 방법과 교과서 개발에 도움을 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improvement of basic literacy education of the lower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by reviewing the education content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Therefore I examined the importance of oracy in basic literacy and analyzed the basic literacy education contents in korean curriculum and the elementary school textbooks by oracy. As a result, the basic literacy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is running focus on reading and writing Hangul characters although oracy is important in basic literacy. There was a limit to the development of student’ smooth communication ability. I suggest the improvement plans of basic literacy education based on oracy. There are teaching by using the students’ pesonal narrative, storytelling, picture book reading, and integrated guidance and so on. This study helps to develop the basic literacy education method in 1st and 2nd grade elementary school and the next Korean language textbooks.

      • KCI등재

        다문화 사회에서의 문식성(Literacy) 교육의 제 문제

        심상민 ( Sang Min Sim ) 국어교육학회 2009 國語敎育學硏究 Vol.35 No.-

        본고는 다문화 사회에서의 다문화 문식성의 개념을 살펴보고 다문화 문식성 교육이 어떻게 수행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교육 자료와 교수·학습 방법과 관련하여 고려해야 할 몇 가지 점에 대해 논의한 연구이다. 다문화주의를 바탕으로 한 다문화 교육에서 다문화 문식성은 의사소통의 직접적인 수단의 역할을 한다는 측면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할 부분이다. 다문화 문식성은 단순히 글을 읽고 쓰는 능력뿐만 아니라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문화의 다양성을 이해하고 표현하는 능력이라고 말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다문화 문식성에 기반을 둔 다문화 문식성 교육은 읽고 쓰는 능력인 기초적 문식성과 사회 문화적 현상을 인식하고 그것에 대해 비평하고 행동할 수 있는 확장된 문식성을 개발하는 교육이 되어야 할 것임을 주장하였다. 이러한 다문화 문식성 교육의 시행과 관련하여 본고에서는 다문화적 읽기 자료(multicultural reading materials)를 중심으로 한 교육 자료와 문화 반응 수업(culturally responsive teaching)을 중심으로 교수·학습 방법에 대해 살펴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nception of multicultural literacy in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o suggest some considerations on educational materials and teaching·learning methods in multicultural literacy education. Nowadays, multicultural literacy has to be dealt with significantly in terms of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communication. Multicultural literacy can be an ability to understand and express cultural diversity in social-cultural context as well as reading and writing the text. Multicultural literacy education on the basis of multicultural literacy should develop basic literacy including reading and writing skills and extended literacy with functional literacy and critical literacy. This study also investigated multicultural reading materials and teaching·learning methods focused on culturally responsive teaching for multicultural education.

      • KCI등재

        문식성 발달, 언어 발달, 문법교육

        제민경 ( Je Min Kyeong )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21 한국초등국어교육 Vol.72 No.-

        이 연구는 초등 교육에서의 문식성의 지향을 언어 발달의 관점에서 살펴보고, 문식성 발달을 위한 문법교육의 핵심 교육 내용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이를 위해 문식성 발달 단계를 ‘전 문식성(발생적 문식성), 기초 문식성, 학문 문식성’으로 접근하고, 이를 ‘일상적 언어, 추상적 언어, 은유적 언어’라는 언어 발달과 연계하였다. 핵심교육 내용의 제시는 언어 발달의 두 변곡점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첫 번째 변곡점은 ‘문자 언어의 획득으로 인한 추상적 언어의 발달’ 지점이며, 두 번째 변곡점은 ‘은유적 언어의 발달로 인한 학문 문식성 발달로의 진입’ 지점이다. 첫 번째 변곡점에서는 기초 문식성 획득과 향상을 위한 음운 인식이 중요하며 이는 음운 규칙 지식과 밀접하게 관련된다. 두 번째 변곡점에서의 은유적 언어 발달은 문법적 은유 개념과 관련되며, 이는 메타언어적 관점에서 문장 구조 지식과 밀접하게 관련된다. 이러한 교육 내용은 초등교육에서의 학문 문식성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전환을 토대로 하여, 다른 문법지식과 상호 연계되면서 ‘정교화’의 방식으로 제시되어야 한다. This study aims to present the core educational contents of elementary grammar education for the development of literacy. To this end, the stages of literacy development were approached as ‘preliteracy(emergent literacy), basic literacy, and disciplinary literacy’, and these were linked with the language development of ‘everyday language, abstract language, and metaphorical language’. The presentation of the core educational contents was centered on two inflection points of language development. At the first inflection point, phonological awareness for acquiring and improving basic literacy is important, and it is closely related to the knowledge of phonological rules. Metaphorical language development at the second inflection point is related to the concept of grammatical metaphors, which is closely related to sentence structure knowledge. These educational contents should be interconnected and ‘sophisticated’ based on a shift in awareness of the need for academic literacy education in elementary education.

      • Financial Literacy: A Case Study on a Senior High School in Calabarzon

        Joram Obsioma The International Academy of Global Business and T 2018 The International Academy of Global Business and T Vol.14 No.1

        This paper assessed the financial literacy of senior high school students in CALABARZON as well as some factors that can affect financial literacy. The Enhanced K to 12 basic educational program aims to produce graduates that are prepared for tertiary education, employment, and entrepreneurship. Thus, there is a need to ensure that senior high school students will get adequate education on financial literacy before finishing secondary education. Three out of the four fundamental financial concepts investigated to assess financial literacy were already taught in the Enhanced K to 12 curriculum. However, a majority of senior high school students were still found to have low financial literacy. Although most of the respondents had a good understanding of numeracy, several students were found to have a poor understanding of inflation and compound interest. Contrary to previous studies done outside the Philippines, the majority of the respondents were found to have a good understanding of risk diversific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similar trends found with other previous financial literacy studies done in the country and internationally. The findings of this study may be found useful for curricular reforms for the secondary level of basic education.

      • KCI등재

        비판적 인지와 자기표현 능력 향상을 위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방안 연구

        조남민 한국교양교육학회 2018 교양교육연구 Vol.12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prove the effectiveness of media literacy as an educational tool for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such as universitie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introduces the concepts and theories of media literacy that have been developed in the field of media literacy education. Then this study presents the curriculum basic design and education plan for media literacy education. This study also aims to prove that media literacy education can be a useful educational tool to improve learners’ critical thinking and self-expression ability. The scope of this study is limited to media literacy education which is one of the broad areas of media literacy. In terms of the types of media, this article includes both analog media and digital contents as the object of the research. Analog media includes traditional printed media such as newspapers, and digital contents includes contents delivered on the internet base. By having these two different types of media, this study aims to educate perspectives which could identify and mitigate any bias due to the difference of delivery modes. Therefore, the main object of this study includes news, articles, documentary, editorial, and so on. Also, in terms of the topics of the contents, the focus is on social problems. This study consists of three major parts; educational objectives of the study, a proposed curriculum basic design for media literacy education, and empirical analysis of changes in learners’ behavior before and after media literacy training. 본 연구는 지금까지 미디어 리터러시라 일컫는 광범위한 분야 중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과 관 련된 것으로 한정하고, 이것이 대학이라고 하는 고등교육기관에서 이상적인 교양교육 방안이 될 수 있음을 논의한 것이다. 이에 본 논의에서는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과 관련하여 그간 발전되어 온 미디어 리터러시의 개념과 이론을 소개하고, 이에 부합하는 교육과정의 기초 설계와 교육 방 안을 제시한다. 또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이 대학생의 민주시민으로서의 역량, 즉 올바른 비판 적 인지 능력과 올바른 자기표현(assertiveness)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방법론이 될 수 있 음을 검증해 보고자 한다. 본 논의에서 다루는 미디어 리터러시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전달되는 디지털 콘텐츠는 물론 프 린트 미디어, 즉 신문으로 대표되는 아날로그 미디어를 기반으로 전달되는 콘텐츠를 대상으로 하고 있는데 이 둘 모두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에 효용이 크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미디어 리터러 시 교육의 목표는 미디어의 특성에 따른 콘텐츠의 편향성을 비판적으로 볼 수 있는 혜안을 기르 는 것 또한 포함된다. 그러므로 본고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은 뉴스, 기사, 다큐멘터리, 사설 등 과 같이 우리를 둘러싼 사회 문제를 대상으로 한 콘텐츠를 기반으로 한다.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은 아날로그 및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하여 학습자가 정보를 선별적으로 수집하고, 내용 분석을 통해 핵심과 문제점을 발견함으로써 주어진 문제를 논리적으로 판단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더 불어 학습자 스스로 자신의 생각이 올바른 사회적 파급력을 갖도록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방 식을 습득하게 하고, 내적으로는 자기표현을 실현함으로써 스스로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미디어 리터러시의 개념을 교양교육의 한 방안으로 수용했을 때 궁극적으 로 도달해야 할 교육 목표와 이에 부합하는 교과과정을 위한 기초 설계, 그리고 수업 과정에서 나타난 학습자 행동의 변화 양상에 대한 논의로 구성되었다.

      • KCI등재

        기초 문식성 함양을 위한 한글책임교육 정책의 성과와 지향점

        강동훈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23 한국초등국어교육 Vol.76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agnose the achievements of the Responsible Hangul Education policy, and to explore the necessary policy supplements or future directions to support the cultivation of basic literacy. In order to diagnose the achievements of the Responsible Hangul Education policy, the progress and major achievements so far were analyzed by dividing them into national-regional-school aspects and ground conditions for Responsible Hangul Education-diagnosis tools-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First of all, I divide the results of responsible Hangul education into national- regional-school aspects, at the national level, the continuous expansion of Hangul education hours, reinforcement of Hangul education contents,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of materials(Hangul Tobaktobak, chanchan Hangul) for Hangul responsible education, development of distance learning contents for teachers, dissemination of high-quality reading materials, etc. At the local level, there are various plans for and support for students who do not understand Korean, the preparation of curriculum considering local conditions, and training for teachers in cities and provinces. At the school level, there are various approaches to reduce the burden of learning Korean for students, the operation of small-scale supplementary guidance programs, and the operation of customized curriculum for 1st and 2nd graders. Next, it was possible to explore some complementary points to improve the completeness of the Responsible Hangul Education education policy. At the national level, it is necessary to promote the quality of Responsible Hangul Education, upgrade diagnostic tools for learning Hangul, and systematize training to strengthen the Responsible Hangul Education competency of prospective teachers. At the local level, in order to establish and promote a regionally specialized implementation plan, collect practical data on Hangul education, improve support measures for Responsible Hangul Education for schools, and overall trends such as the flow of talent development and the latest training techniques to strengthen local teachers’ Hangul education competency.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rend identification and training. At the school level, efforts must be made to improve the operation of school and class curriculum for Responsible Hangul Education, support proper time Hangul Education, and strengthen school-family linkages for Hangul education.

      • KCI등재

        초등국어과 기초학력 교육 방향 탐색

        김도남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06 한국초등국어교육 Vol.30 No.-

        초등학교 국어과 기초학력은 제7차 교육과정이 시행되고, 국가수준 기초학력 진단평가가 실시되면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그러나 국어과 기초학력은 기본학력이나 심화학력 못지않게 중요함에도 교육에서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성적부진학생 지도나 학습문제학생 교정 지도의 의미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는 기초학력 개념의 부재와 가치에 대한 인식의 소홀에서 비롯된 문제이다. 이 글에서는 기초학력의 개념을 탐구하고 교육적 접근 방향을 탐구하였다. 먼저 기초학력의 개념을 ‘국어’와 ‘기초학력’의 의미에 대한 논의를 바탕으로 ‘국어심성을 바탕으로 국어생활을 할 수 있는 국어문식력’으로 정의하였다. 그리고 국어과 기초학력의 교육 목표를 ‘국어생활인’ 교육으로 제시하였다. 이 목표를 이루기 위한 교육 내용과 방법을 생각하여 보았다. 국어과 기초학력 교육 향상 방향은 본질 규정, 내용 구조, 교육 원리로 구분하여 보았다. 첫째 국어과 기초학력의 본질은 국어심성과 국어정체성 및 국어문식력을 갖춘 국어생활인 교육이다. 둘째, 기초학력 교육 내용은 국어심성개발, 국어정체성확립, 국어문식력향상의 범주로 구분하였다. 셋째, 국어과 기초학력 교육 원리로는 미분성과 종합성, 구체성과 상황성, 직접성과 경험성을 제시하였다. 국어과 기초학력 교육은 바른 개념정의에 기반을 두고, 체계적인 계획에 의하여 이루어져야 한다. 목표와 내용도 없이 비체계적으로 이루어진다면 큰 의미가 없다. The basic learning is very important to the korean-language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It is a foundation of another learning. It is emphasized in the seventh korean education curriculum and the national basic learning achievement test. But there is upon to question what is the basis learning. Because of there is no an agreement among the korean-language educator for the basic learning in the elementary korean-language education In this paper, I discuss the concept and the direction of the basic learning in the elementary korean-language education. I define the concept of basic learning as 'korean-language literacy for the life of korean based on korean-language humanity'. And I take the educational goal of the basic learning at that is to educate the person who have korean-language life. The direction of the basic learning in korean-language education are divided three fields. The first is to find the characteristic of the person who have korean-language life. The second is to select the contents of instruction; those are the mentality, the identity and the literacy. The third is to choose the principles of teaching: those are the unity-integration, the concrete-situation, and the direct-experi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