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식행동 및 영양섭취 특성 관련 문헌연구
박지연(Park, Jiyeon),김유리(Kim, Yuri),이숙향(Lee, Sukhyang),김유리(Kim, Yuri),오지은(Oh, Jieun),정서진(Jung, Seojin),안혜신(An, Hyesin) 한국자폐학회 2019 자폐성 장애연구 Vol.19 No.3
본 연구는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식행동 및 영양섭취 관련 선행연구에 대한 고찰 및 분석을 통해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건강한 식생활 지원을 위한 향후 과제에 주는 시사점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지난 15년 동안 발표된 선행연구 총 26편을 선정하고, 선정된 논문의 전반적 연구 동향과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식행동 및 영양섭취 특성을 분석하였다. 선행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선행연구들은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과 일반아동의 식행동을 비교하여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비전형적인 특성을 조사하였다. 둘째, 연구자료 수집은 주로 부모가 질문지에 응답하거나 부모의 아동 관찰을 통해 이루어졌다. 셋째, 여러 선행연구에서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식행동과 개인변인 간에 관계가 있음을 보고하였으나, 그들의 식행동과 가족변인 간의 관계를 조사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하였다. 넷째,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영양섭취 및 영양상태에 대한 연구는 그 편수가 많지 않고, 몇몇 선행연구는 상충된 결과를 보고 하기도 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식행동 및 영양관련 향후 연구과제에 대한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This study was to review literature on eating behaviors and nutrient intake i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and provide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Twenty-six studies published over the last 15 years were identified and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ynthesis indicated that the majority of the studies focused on comparing eating behaviors i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to those of children without autism spectrum disorders, and identified atypical eating behaviors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The common procedure for collecting information about the eating behaviors and nutrient intake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was a questionnaire and observations. Overall, the studies exhibited that there were relationships between individual variables and eating behaviors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but few studies examined relationships between family variables and eating behaviors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There were also a small number of studies of nutrient intake and nutritional adequacy among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and several studies produced conflicting results. Based on the findings, the future directions for eating behaviors and nutrition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were discussed.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 대상 신체 중심 심리적 개입방법의 국내 최신 연구 동향-심리운동, 무용/동작심리치료, 감각통합을 중심으로-
신휘 ( Hwi Shin ) 대한무용동작심리치료학회 2016 신체심리연구 Vol.2 No.1
본 연구는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에 대한 신체 중심 심리적 개입방법의 국내 연구 동향을 살펴봄으로써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에게 적절히 적용될 수 있는 치료적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앞으로의 방향과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분석대상 연구 논문의 기준은 자폐스펙트럼 대상 신체 중심 심리적 개입 분야의 학위논문이 처음 보고된 시점인 1989년부터 최근 연구까지 국내 학위논문 및 등재지 이상의 학술지를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문헌 고찰을 통한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 대상 신체 중심 심리적 개입의 연구에서는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문제행동 및 상동행동 감소와 의사소통, 사회성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신체·정서·인지적 측면의 전반적 발달을 돕는 유익한 개입으로 긍정적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 대상 신체 심리적 개입 방법에서 심리운동, 감각통합의 개입은 국내외에서 꾸준히 연구되고 있으나, 무용/동작심리 치료적 개입은 국내에서 그 연구가 최근 5년 동안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 대상의 무용/동작심리치료적 연구가 질적, 양적으로 요구되는 실정이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provide therapeutic data base which can be properly applied to the child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by searching domestic research trend and to suggest not only the direction for future but also the implications. As the criteria of the subject of analysis, domestic theses and journal articles which have been studied since 1989 when the thesis on the field of somatic psychological intervention focusing on the child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was reported were selected. The study on somatic psychological intervention focusing on the child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presented the positive effects as useful intervention which helps the all-round development of physical emotional cognitive aspects of the child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Intervention of psychomotorik, sensory integration in the method of somatic psychological intervention focusing on the child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has been steadily studied at home and abroad. On the other hand, intervention of dance/movement psychotherapy hasn't been studied in the past five years in Korea. Thus, the study on dance/movement psychotherapy focusing on the child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is required.
자폐스펙트럼장애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포커스 그룹 인터뷰 분석
장정윤,선우현정,전주연,봉귀영,노남훈,정성준,노동현,유희정 한국자폐학회 2016 자폐성 장애연구 Vol.1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quire a child-care teachers’ perception of autism spectrum disorder using focus group interviews targeting child-care center teachers and directors. After three group interviews, we analyzed interview contents using the constant comparison method. From the qualitative analysis, five themes and eleven categories emerged: (1) perceptions of early screening and intervention of autism spectrum disorder, (2) understanding of diagnosis and symptoms of autism spectrum disorder, (3) difficulties in autism spectrum disorder at the child-care field, (4) coping plan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nd (5) demands for autism spectrum disorder.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child-care teachers training in early screening and interventions of autism spectrum disorder and demands for specialized and systematic early screening and intervention service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자폐스펙트럼장애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어린이집 교사 및 원장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행하였다. 30명의 어린이집 교사 및 원장을 세 그룹으로 나누어 인터뷰를 진행한 후, 반복적 비교분석법에 의해 인터뷰 내용을 분석하였다. 인터뷰 내용을 질적 분석한 결과, 5개의 연구주제와 11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연구 주제는 (1) 자폐스펙트럼장애 조기 선별 및 개입에 대한 인식, (2) 자폐스펙트럼장애 진단명 및 증상에 대한 이해, (3) 자폐스펙트럼장애와 관련한 보육현장에서의 어려움, (4) 자폐스펙트럼장애와 관련한 대처방안, (5) 자폐스펙트럼장애와 관련한 요구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보육현장에서 자폐스펙트럼장애 조기 선별과 개입을 위한 교육,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조기 선별 및 개입 서비스가 필요하다는 점을 논의하였다.
이미경 한국특수아동학회 2014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6 No.3
본 연구는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학생의 읽기이해력에 영향을 미치는 하위 변인과의 관계를 알아보고 향후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학생의 읽기이해력 평가 및 중재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참여한 대상자는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학생 18명과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일반 학생 18명이었다. 연구결과 자폐스펙트럼장애학생들은 일반학생들에 비해 음독 과제, 작동기억, 어휘를 제외하고는 모든 하위 과제에 있어 일반학생보다 낮은 수행력을 나타내었다.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 초등학생이 일반 학생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수행을 보인 과제는 구문의미이해력, 문장 따라 말하기, 마음읽기, 듣기이해력, 이야기글 읽기와 설명글이었다. 자폐집단 내 읽기이해력과제에서도 설명글이 이야기글보다 더 나은 수행을 보였다. 읽기이해력의 하위변인별 상관을 살펴본 결과 읽기이해력은 어휘, 구문이해력, 마음읽기, 문장구성하기 및 듣기이해력과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났다. 마음읽기는 읽기유창성, 문장구성하기, 문제해결력 및 듣기이해력과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학생의 읽기 교육의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ed at providing basic data that aids assessments and intervention of students with high functioning autism spectrum disorders by examining characteristics including reading comprehension, decoding, reading fluency, listening comprehension, vocabulary, and so on. The subjects of the study included 18 children with high functioning autism spectrum disorders and 18 children who matched language development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showed lower performance than normal children in reading comprehension, listening comprehension, theory of mind reading, reading fluency, vocabulary, and syntax understanding. They showed better performance on understanding expository text than narrative text. Reading comprehension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vocabulary, syntax understanding, theory of mind reading, word ordering skills, problem solving, and listening comprehension. Theory of mind reading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reading fluency, word ordering skills, problem solving, and listening comprehension.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which could aid in the assessment and intervention of students with high functioning autism spectrum disorders.
심리운동 활동이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놀이자발성에 미치는 영향
마소(Ma, Xiao) 한독심리운동학회 2020 심리운동연구 Vol.6 No.2
이 연구는 심리운동 활동이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놀이자발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에 이 연구는 놀이자발성 하위요인 중 신체적 자발성, 사회적 자발성, 인지적 자발성, 유희적 자발성 및 유머 감각을 포함하는 심리운동 활동을 선정하여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에게 적용하였다. 심리운동 활동을 회당 40분, 총 12회기실시하였고, 사전 및 사후 검사를 통해 놀이자발성의 하위요인 중 신체적 자발성, 사회적자발성, 인지적 자발성, 유희적 자발성 및 유머 감각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연구결과는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특성을 고려하여 구성하는 심리운동 활동을 적용하였을 때 놀이자발성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는 심리운동활동이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놀이자발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줌으로써 나아가 자폐성장애를 갖는 아동에 대한 구체적인 적용 방법을 제시한 것에 그 의미를 찾을 수 있다고생각한다. The study aims to find out the effects of psychological exercise on the spontaneity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Thus, the study selected psychological exercise activities including physical spontaneity, social spontaneity, cognitive spontaneity, playful spontaneity, and sense of humor among the sub-factors of play spontaneity and applied them to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The study conducted a total of 12 trials of psychological exercise activities per 40 minutes per child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nd examined changes in physical spontaneity, social spontaneity, cognitive spontaneity, and humorous sense among the sub-factors of play spontaneity through pre-and post-examin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psychological exercise activities, which are organized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can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play spontaneity. The study believes that psychological exercise activity can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play spontaneity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which further suggests specific application methods for children with frequent autism spectrum disorders.
스마트 러닝 기반의 수세기 학습이 자폐성 장애학생의 수세기 수행과 수업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유현아,방명애,홍점숙 한국자폐학회 2016 자폐성 장애연구 Vol.1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smart learning counting program on counting competence and academic engagement behavior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subjects was use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hree mal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The intervention program had three components: the baseline phase, the intervention phase, and the maintenance phase. The independent variable was a smart learning counting program and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counting competence and academic engagement behavior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mart learning counting program had positive effects on improving the counting competence of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The improved counting competence of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was maintained three weeks after the discontinuation of the intervention. Second, the smart learning counting program had positive effects on improving the academic engagement behaviors of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The improved academic engagement behaviors of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were maintained three weeks after the discontinuation of the intervention.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and implications for special education settings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 러닝 기반의 수세기 학습이 자폐성 장애학생의 수세기 수행과 수업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것이었다.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1학년 통합학급에 재학 중인 자폐성장애 남학생 세쌍둥이였으며 대상자간 중다 간헐 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여 기초선, 중재, 및 유지의 세 단계로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 러닝 기반의 수세기 학습이 자폐성 장애학생의 수세기 수행을 향상시켰으며, 습득된 수세기 수행은 중재 종료 3주 후에도 유지되었다. 둘째, 스마트 러닝 기반의 수세기 학습이 자폐성 장애학생의 수업참여행동을 향상시켰으며, 습득된 수업참여행동은 중재 종료 3주 후에도 유지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시각적 강점을 가진 자폐성 장애학생의 학습을 위한 스마트 러닝의 효과에 대해 논의하였고,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JunCheol Lee,Won-Guk Kang,Hyun-A Lee,Okjin Kim 한국실험동물학회 2021 한국실험동물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21 No.7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iagnostic and evaluation criteria for autism spectrum disorders. According to the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APA)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5 (DSM-V, 2013), autism spectrum disorders are deficient and restrictive in social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Suppose you can see repetitive behavior patterns. The criteria for diagnosing these autism spectrum disorders are delayed or abnormal in function according to the diagnostic criteria for jape spectrum disorders presented in DSM-5 of the diagnosis and statistics of mental disorders issued by APA. Autism spectrum disorders are diagnosed when symptoms appear early in development and cause clinically significant damage to social, occupational or other important functional areas. There are diagnostic criteria for ICD-10 established by WHO in 1992, the Overall Functional Assessment Scale (GAS), and the Pediatric Autism Rating Scale (CARS), a test tool produced by Schopler et al. (1986). In addition, using the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method, the measurement of stress, which is a factor causing mild cognitive impairment, is analyzed through changes in hormones such as Cortisol and Oxytocin. As a method for solving these autism spectrum disorders, a method of selecting visitors who meet the above diagnostic criteria for autism spectrum disorders and applying an Animal-assisted intervention program to alleviate the symptoms. Acknowledgement: This paper was supported by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in 2020, Agenda Research Project(PJ01475901) - Study on the mechanism of animal assisted therapy in human animal bond.
자폐 범주성 장애의 조기발견 및 조기개입의 역할 및 과제
이소현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09 유아특수교육연구 Vol.9 No.1
Recently, there has been a dramatical increase in research to examine the cause and core deficits of autism spectrum disorders. As the result, our knowledge about autism spectrum disorders has been greatly expanded. Autism is conceived as a neurodevelopmental disorder with a biological basis and appropriate intervention can make a positive difference in the course of development of children with autism and related disorders. Moreover, early detection and early intervention play an important role as predictors of outcomes of person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establishing a systematic system for early detection and to claim the development and the practice of early interven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For the purpose, research related to the early detection of autism spectrum disorders for the past 10 years was reviewed. Findings and discussions on early detection were provided in terms of screening and diagnosis. Current issues related to the most efficacious early intervention in autism were also provided. Finally, the role and implications of early detection and early intervention were discussed. 최근에 들어서 자폐 범주성 장애의 원인을 규명하고 핵심적인 결함 특성을 이해하고자 하는 노력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로 자폐 범주성 장애는 태어나면서부터 지니는 생물학적 근거의 신경 발달적 장애임이 규명되었으며, 특히 적절한 중재적 접근을 통하여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또한 조기발견을 통한 조기개입이 최상의 예후를 가능하게 하는 핵심적인 요소일 수 있음이 강조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국내 자폐 범주성 장애의 조기발견을 위한 진단 체계 구축 및 방법론 개발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진단과 연계되는 조기개입 프로그램의 개발 및 실행의 활성화를 촉구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최근 10년간 자폐 범주성 장애 조기발견과 관련된 연구 동향과 이들 연구에서 밝혀진 영아기 초기 발달 특성을 알아보고, 이러한 발달 특성과 연계해서 이루어지고 있는 조기진단 방법론을 알아보고, 더불어 조기발견의 가능성을 전제로 한 조기개입의 최근 동향과 과제를 제시함으로써 자폐 범주성 장애의 조기발견 및 조기개입의 역할 및 과제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자폐성장애 학생의 내면화 문제와 외현화 문제에 대한 특수교사와 부모의 인식비교
장역방,방명애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18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perceptions on the internalized and externalized problems of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between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parents. The research design of this study was a quantitative, non-experimental comparative study. The subjects sampled from 7 special schools were 79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Both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parents rated the internalized and externalized problems of 79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Two independent samples t-tests were implemented. The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internalized problems of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between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parents. According to the analyses of the 5 subscales parents perceived the depression of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more seriously than special education teachers. Second, there was no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externalized problems of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between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parents.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이 연구의 목적은 학교급별에 따른 자폐성장애 학생의 내면화 문제와 외현화 문제에 대한 특수교사와 부모의 인식을 비교하여 분석하는 것이었다. 연구대상은 서울특별시 1개교, 광주광역시 1개교, 세종특별자치시 1개교, 경기도 1개교, 전라북도 2개교, 전라남도 1개교, 총 7개 특수학교에서 79명의 자폐성장애 학생을 편의군집표집하였다.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두 독립표본 t검증을 적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폐성장애 학생의 전체 내면화 문제에 대한 특수교사와 부모의 인식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며, 두 집단 모두 강박행동을 가장 심각하게 인식하였다. 자폐성장애 학생의 내면화 문제의 하위영역을 살펴보면 우울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자폐성장애 학생의 우울 특성에 대해 부모가 교사보다 더 심각한 문제로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자폐성장애 학생의 전체 외현화와 각 하위영역에 대한 특수교사와 부모의 인식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며, 두 집단 모두 상동행동을 가장 심각한 문제로 인식하였다. 이 연구는 자폐성장애 학생의 내면화 문제와 외현화 문제에 대한 특수교사와 부모의 인식을 비교하여 분석함으로써 자폐성장애 학생의 정서행동문제에 대한 효과적인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그래픽 조직자를 활용한 전략 교수가 자폐성 장애 초등학생의 읽기 이해에 미치는 영향
오정민,김은경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18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strategy instruction using graphic organizers in reading comprehens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The subjects were 3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attending after school class at center. The multiple probe across subjects design was used for the research design. The study was carried out in the order of baseline, intervention, maintenance and generalization. Each subjects' reading comprehension scores were graphed to analyze visually.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reading strategy instruction using graphic organizers improv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reading comprehension performance in expository text. Second, improved reading comprehension performa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was maintained even after the intervention. Third, improved reading comprehension performa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was generalized in narrative text even after the intervention. This study imply that providing repetitive practice opportunity of learned contents at school during after school program implementing reading strategy instruction using graphic organizers can improve reading comprehension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이 연구에서는 그래픽 조직자를 활용한 전략 교수가 자폐성 장애 초등학생의 읽기 이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복지관 초등방과 후 교실에 다니는 3명의 자폐성 장애 초등학생이었다. 연구설계로 대상자간 중다간헐기초선설계가 적용되었다. 연구는 기초선, 중재, 유지, 일반화 단계의 순서로 진행되었으며 회기 별로 진전도 평가와 중재 순으로 이루어졌다. 연구대상의 읽기 이해 점수를 그래프로 나타내서 시각적 분석하였으며 일화 기록을 하여 읽기 이해 점수 외에 그래픽 조직자 활용도 및 읽기 활동에 대한 흥미와 관심 등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그래픽 조직자를 활용한 전략 교수를 통해 자폐성 장애 초등학생의 읽기 이해수행이 향상되었다. 또한 중재 종료 후에도 그래픽 조직자를 활용한 읽기 전략의 효과가 유지되었으며 이야기 글과 사회과 설명글에도 일반화되어 나타났다. 이 연구는 대상학생이 다니고 있는 복지관에서 운영하는 초등방과 후 교실에서 중재를 적용하여 학교에서 학습한 내용을 반복적으로 연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으며 시각적 지원인 그래픽 조직자를 활용한 읽기 이해 전략이 자폐성 장애 초등학생의 읽기 이해수행을 의미 있게 향상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