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폐 스펙트럼 장애 청소년과 일반 청소년의 영상을 이용한 얼굴 표정 복합 정서 인식 비교 연구

        이지훈(Lee, Jihoon),정경미(Chung, Kyong-mee) 한국자폐학회 2019 자폐성 장애연구 Vol.19 No.3

        본 연구는 국내 자폐 스펙트럼 장애(Autism Spectrum Disorder: ASD) 청소년 집단의 복합 정서 인식 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목적으로, 캠브리지 감정 읽기 배터리(Cambridge Mindreading Face Battery)를 참조하여 정서 읽기 동영상 과제를 제작하고, 이를 통해 ASD 청소년의 얼굴 표정을 통한 복합 정서 인식 능력이 첫째, 일반 청소년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둘째, 두 집단의 차이가 있다면 긍정적/부정적 정서종류에 따라 다른지, 셋째, 연령, 지능, 자폐적 특성에 따라 다른지 조사하였다. 연구의 참가자는 ASD 진단 기준을 충족한 13-17세의 청소년 22명과 연령을 매칭한 일반 청소년 22명으로, 모든 참가자를 대 상으로 18가지의 복합 정서 인식 능력을 평가하는 컴퓨터 과제를 실시하였으며, ASD 청소년 집단을 대상으로 추가적으로 자폐적 특성 설문지(AQ)를 실시하였다. 통계 분석 방법은 비모수 검정 방법인 Mann-Whitney U 검증과 Pearson 상관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ASD 청소년 집단이 일반 청소년 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낮은 정서 인식 총점, 인식 정확도 점수를 보였다. 또한 긍정적 정서 및 부정적 정서 모두 ASD 청소년 집단이 일반 청소년 집단에 비해 정서 인식 점수가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ASD 청소년 집단에서 긍정적 정서와 부정적 정서 인식 능력에 유의미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ASD 청소년 집단의 정서 인식 총점은 연령, 지능, 자폐적 특성과 유의미한 상관을 나타내지 않았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연구적, 임상적 함의와 한계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is to assess the complex emotion recognition ability for adolesc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ASD) in Korea. For this, the Mindreading Video Task was developed based on the Cambridge Mindreading Face Battery(CAM). We demonstrated, first if the difference existed in adolescents with ASD and the typically developing adolescents in facial emotion recognition abilities, and second, whether if the difference was influenced by their negative or positive emotions, and third, whether the emotion recognition abilities in adolescents with ASD were associated with their age, intelligence and autistic characters or not. In this study, 22 subjects with ASD aged between 13 and 17 and 22 typically developing controls, matched for age, were chosen to compare emotion recognition abilities. For the all subjects, a computer assignment which evaluates 18 complex emotion recognition ability was performed, and Autism-Spectrum Quotient(AQ) was administered additionally for the ASD adolescents.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a nonparametric Mann-Whitney U test an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The results yielded that the ASD group had scored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controls on the emotion recognition scores and the recognition accuracy scores. Furthermore, the ASD group scored lower than the controls on both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but their positive emotion recognition abiliti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ir negative emotion recognition abilities. Last, the total scores gained by the ASD group in the emotion recognition ability test did not show the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age, intelligence and autistic characters. Based upon the finding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n this research were furtherly discussed.

      • KCI등재

        Three Common Early Indicators of Autism Spectrum Disorders(ASD) and Their Roles in Screening and Assessment

        Chae, Soojung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2 특수교육 Vol.11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three indicators of autism spectrum disorders(ASD), which were “response to name”, “joint attention”, and “imitation”. There is a arrangement of social communication parameters that are important early indicators of ASD, particularly deficits in three aspects listed above. In addition, the roles of these indicators in two popular behavior scales, Developmental Profile(CSBS-DP) and the Autism Diagnostic Observation Schedule(ADOS) Module 1, were analyzed with a case study of a boy. These scales have high degree of internal consistency, test-retest reliability, inter-rater reliability, and high validity among other popular tools for ASD screening. In the case, the boy was 24 months old and recently diagnosed as ASD. Using ADOS, his behaviors were observed and recorded. Based on the observation, he demonstrated deficits in areas of the three behaviors. A summary of the review suggests that these indicators still play important roles in diagnosis and assessment of ASD as well as early intervention for young children with ASD. 본 연구는 자폐 범주성 장애 조기 판별 시 의사소통기능에서 일반적 지표로 사용되고 있는 “이름에 반응하기(response to name)”, “응시하기(joint attention)”, “모방하기(imitation)” 기능의 특성과 역할을 문헌을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와 더불어 현재 자폐범주성 장애 선별에서 많이 이용되고 있는 두 가지 검사도구, Developmental Profile(CSBS-DP)과 the Autism Diagnostic Observation Schedule(ADOS) Module 1의 항목 중 위에 열거한 세 가지 지표 중심으로 분석하고 선별의 예(Matthew의 사례)를 첨부함으로써 그 지표들의 역할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였다. 연구 결과, “이름에 반응하기”, “응시하기”, “모방하기”의 세 가지 지표는 자폐범주성 장애 조기 진단 및 선별, 그 이후에 연결되는 조기중재 결정에 있어서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시사하였다.

      • KCI등재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의 인지 프로파일 분석

        이소현(SoHyun Lee),윤선아(Sun Ah Yoon),우숙정(SukJung Woo),심세화(SeHwa Sim),남보람(Boram Nam) 한국자폐학회 2023 자폐성 장애연구 Vol.23 No.1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exhibits as many intellectual levels and functions as different levels of the spectru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ith AS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K-WISC-IV profile, an intelligence test conducted for participants in the K-CARS 2 standardization study. According to the criteria of K-CARS 2, the ASD group was classified into groups (standard, high-functioning) based on IQ of 80, and the subjects were 141 people aged 8-15 years (78 ASD; standard 50, high-functioning 28, 24 typical development children, and 39 clinical children). In this study, we first analyzed the overall intelligence quotient (FSIQ) of the K-WISC-IV, the average of the index scores, and the profile pattern. Second, the effect of the index scores of children with standard and high-functioning ASDs on the overall intelligence was examined. Third, an analysis was conducted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the IQ or subtest according to ASD, typical development children or clinical children. Finally, the correlation between autism symptoms and cognitive profile index scores of children with ASD was analyzed.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identify the cognitive characteristics shown through the K-WISC-IV profile of children with ASD, and there were parts that were consistent with previous studies such as the superiority of perceptual reasoning index scores by analyzing the research results. There are some parts that show differences from previous studies, so this has been dealt with in the discussion. 자폐 범주성 장애(ASD)는 지적 수준과 기능에 있어서 그 다양성의 폭이 매우 넓다. 본 연구는 한국판 아동기 자폐 평정 척도(K-CARS 2) 표준화 연구 참여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지능검사 K-WISC-IV 프로파일 분석을 통해 ASD 아동의 인지적인 특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8~15세의 141명(ASD 78명; 표준형 50명, 고기능형 28명, 일반아동 24명, 임상아동 39명)이었으며, ASD 그룹은 K-CARS 2의 기준에 따라 지능지수(IQ) 80을 기준으로 그룹(표준, 고기능)을 구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K-WISC-IV의 전체지능지수(FSIQ), 지표점수의 평균과 프로파일 양상을 살펴보았다. 두 번째로 표준형과 고기능형 ASD아동의 지표점수가 전체 지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으며, 세 번째로, ASD 일반아동이나 임상아동에 따라 지능지수나 소검사 간의 차이가 있는가에 대한 분석을 실행하였고, 마지막으로 ASD 아동의 자폐 증상과 인지프로파일의 상관 및 자폐 증상이 FSIQ 및 지표점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ASD 아동의 K-WISC-IV 프로파일을 통해 나타난 인지적 특성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연구결과에서 나타난 지각추론 지표점수의 우위성 등 선행연구와 일치되는 부분과 고기능 및 표준형에 따라 선행연구와 차이를 보이는 부분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걸음마기 아동 행동 발달 선별 척도-교사용 설문지 (BeDevel-Q/T: Behavior Development Screening for Toddlers-Questionnaire/Teacher)타당화 연구: 영유아기 자폐스펙트럼장애 조기선별도구

        이경숙,정석진,신용우,조영일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20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33 No.2

        본 연구는 9~47개월 영유아를 대상으로 자폐스펙트럼장애 위험군을 선별하기 위한 교사 보고용 설문 검사도구인 걸음마기 아동 행동 발달 선별 척도-교사용 설문지(BeDevel-Q/T: Behavior Development Screening for Toddlers-Questionnaire/Teacher)의 타당성을 검정하였다. 217명(일반발달군 179명, ASD군 32명, 발달지연군 6명) 대상으로 예비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조사(총 1,936명, 이 중 일반발달군 1,833명, ASD군 62명, 발달지연군 41명)에서 예비 문항, M-CHAT, BITSEA의 자폐증 선별에 민감한 문항, K-DST의 사회성 영역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9~11개월, 12~23개월, 24~35개월, 36~47개월로 구분되며, 월령별로 7~27개 문항으로 구성되고, 3개 하위요인이 도출되었다. BeDevel-Q/T와 M-CHAT, BITSEA의 자폐증 선별에 민감한 문항, K-DST의 사회성 영역과의 상관분석 및 일반발달 집단, ASD 집단, 발달지연 집단간 차이 분석을 활용하여 BeDevel- Q/T의 타당도를 검정하였고, 본 척도는 받아들일 만한 수준의 타당도를 보였다. BeDevel-Q/T는 민감도(50.0~85.0%), 특이도(59.6~84.8%), 문항 내적 일치도(Cronbach's α=.72~.76), 검사-재검사 신뢰도(R=.79~.94)에서도 높은 수준의 결과를 나타내었다. BeDevel-Q/T가 한국의 보육 및 교육환경에서 영유아기 ASD를 조기 선별하는 간편선별 도구로 유용하게 사용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validified the Behavior Development Screening for Toddlers-Questionnaire/Teachers (BeDevel-Q/T), an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screening instrument. This assessment serves the purpose of teacher reports for early screening of ASD on infants aged 9-47 months. Pilot tests were conducted on a total of 217 people(N=179 typical development, N=32 ASD, n=6+DD). A total of 1,936 participants were tested N = 1,833 typical development, N = 62 ASD, N = 41 developmentally delayed). The results showed a line between age ranges of 9-11 months, 12-23 months, 24-35 months and 36-47 months. Each age ranges consisted of 7-27 questionnaires and 3 subfactors. BeDevel-Q/T validity was tested by the general developmental criterion of BeDevel-Q/T, M-CHAT, Autism items from BITSEA and sociability items from K-DST. M-CHAT, Autism items from BITSEA and sociability items from K-DST were also employed and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and general differentiation factors between ASD, developmental delayed, and normal groups were also considered. Results showed a reasonable level of acceptability. BeDevel-Q/T showed high sensitivity (50.0-85.0%), specificity (59.60-84.8%), high internal consistency (Cronbach's α=0.72-76) as well as high test-retest reliability (r=0.79-94). Our results suggest that BeDevel-Q/T might work as a useful short form screener for early identification of ASD in primary care settings.

      • KCI등재

        자폐 스펙트럼 장애 인식도 및 한의치료 인식도에 관한 단면연구 - 환아의 부모를 대상으로

        박용석,김재현,이지홍,이선행,박슬기,박소현,김예지,이진용,장규태 대한한방소아과학회 2021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Vol.35 No.1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widely utilize the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or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by investigating parents who have children with ASD about their perception in ASD and their thoughts on Korean medicine treatment to treat ASD. Methods: We conducted a survey on 'perception of ASD' and 'perception and preference of Korean medicine treatment for ASD' on the parents of 22 children with ASD (age 4-6) who visited department of pediatrics of Korean medicine at Kyunghee University Korean medicine hospital at Gangdong and Kyunghee University Korean medicine hospital. Results: Of the parents, 20 (90.91%) said their children had no experience with Korean medicine treatment. Among them, 11 (35.48%) chose ‘I didn't know that Korean medicine treats ASD’ for the reason (multiple choice). When questioned what the worries are for Korean medicine treatment, 13 (30.95%) chose ‘worries about probability of side effects of herbal medicine’ as the most worrisome reason (multiple choice). On the question about the necessity of Korean medicine for the treatment of ASD, most chose ‘Korean medicine treatments are necessary for children with ASD’ (9, 40.91%).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clinical practice guideline that reflects comprehensive evidence for side effects as well as the effectiveness of Korean medicine for ASD, and is necessary to promote the effectiveness and evidence-based Korean medicine treatment to patients and their caregivers through various distribution tools.

      • KCI등재

        지역사회 가정어린이집 방문간호사 네트워크를 활용한 자폐스펙트럼 장애 선별도구의 효용성

        김일옥 ( Il-ok Kim ),봉귀영 ( Gui-young Bong ),강태웅 ( Taewoong Kang ) 한국간호과학회 정신간호학회(구 대한간호학회정신간호학회) 2015 정신간호학회지 Vol.24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utility of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screening tools using community network of home childcare center visiting nurses. Methods: The design of this study is multilevel survey to find the ASD using modified checklist for autism in toddlers (M-CHAT) for first screening by childcare teachers, checklist for autism in toddlers (CHAT) for secondary screening by nurses, Autism diagnostic observation schedule (ADOS) and Autism diagnostic interview revised (ADI-R) for final diagnosis by pediatric psychiatrists. Results: In first screening by using M-CHAT, 61 subjects(0.56%) were detected among 8,926 subjects. Among the first screened 61 subjects, 13 subjects were exempted for normal finding in CHAT. 24 subjects consented participation for final diagnosis and 23 of them were diagnosed ASD. Conclusion: In conclusion, M-CHAT and CHAT were verified their utility as screening tools for ASD in the community and the community health networks as a childcare visiting nurses can be useful network in early detection and referral of ASD.

      • KCI등재

        자폐 범주성 장애 학생의 특성 및 교수방법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및 지원 요구

        이소현,이숙향,윤선아,김지영,오세림 한국특수교육학회 2014 특수교육학연구 Vol.49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erceptions and support need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had and have taught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ASD), on characteristics of students with ASD and teaching practices for the students. For this study, a survey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1,942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746 schools in Seoul and a total of 796 surveys were analyzed among the returned surveys. The results indicated that special education teachers showed above moderate level of knowledge, implementation, and needs for training on characteristics of ASD and teaching practices for students with ASD. In terms of teaching practices, sub-domains rated as a high level of knowledge are likely to show a high level of implementation. However, the level of implementation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knowledge, which means teachers have less implemented than their perceived level of knowledge regarding teaching practices. Also,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level of knowledge and implementation on characteristics of ASD and teaching practices across teachers’ educational background, years of teaching experiences, type of schools, and number of students with ASD teaching presently.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needs for training across the variables. Based on the results, support need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are teaching students with ASD were identified and implications for teacher training were provided as follows: (1) teacher training based on applications in the field, (2) specialized teacher training based on teachers’ needs, (3) comprehensive educational approach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ASD. 본 연구는 급증하고 있는 자폐 범주성 장애(ASD) 학생의 효과적인 교육을 위해 이들을 지도하는 특수교사의 지원 요구를 파악하고 전문적인 교사교육의 필요성을 모색하고자 ASD 학생을 지도하는 특수교사의 장애 특성 및 교수방법에 대한 인식 및 지원 요구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 746개교 1,942명의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였으며 회수된 설문지 중 최종 796부의 설문지에 대해 ASD 특성과 교수방법 및 기술에 대한 특수교사의 지식 및 실행수준, 연수요구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특수교사들은 ASD 특성과 교수방법 및 기술에 대해 전반적으로 보통 이상 수준의 지식 및 실행수준, 연수요구를 보였으며, 특히 교수방법 및 기술에 대해서는 지식수준이 높은 영역에서 실행수준도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지식수준에 비해서는 실행수준이 유의하게 낮아 실제로 지식수준만큼 실행하지는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참여자의 변인별 특성에 따른 ASD 특성과 교수방법 및 기술에 대한 지식 및 실행수준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학력, 경력, 근무기관 유형 및 담당 학생 수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연수요구에 있어서는 변인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ASD 학생을 지도하는 특수교사의 지원요구를 확인하고 나아가 ASD 학생을 지도하는 특수교사의 교육을 위해 다음과 같은 제언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1) 현장적용 중심의 교사교육, (2) 교사 요구를 고려한 특화된 전문성 교육, (3) ASD 학생의 특성을 고려한 종합적인 교수적 접근.

      • KCI등재

        DSM-5의 자폐스펙트럼장애에 관한 10문 10답

        이승희 ( Seung Hee Lee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 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14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0 No.3

        2013년 DSM-5가 발행되어 2000년에 발행된 DSM-Ⅳ-TR을 대치하였다. DSM-5에 나타난 가장 두드러진 변화 중 하나는 전반적 발달장애(PDDs)의 하위유형들을 단일범주인 자폐스펙트럼장애(ASD)로 통합한 것이다. 그러나 이 변화는 DSM-5의 공식적인 출간 전후로 논쟁의 중심에 서게 되면서 연구자, 임상가, ASD를 가진 아동의 부모와 교사들에게 큰 관심사로 부각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논쟁과 관련된 10개의 연구문제를 설정하여 체계적으로 살펴봄으로써 DSM-5 ASD를 둘러싼 논쟁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첫째, DSM-5에서 PDDs라는 용어 대신 ASD를 사용한 이유는 무엇인가? 둘째, DSM-5 ASD에는 DSM-Ⅳ-TR PDDs의 어떤 하위유형이 포함되는가? 셋째, DSM-5 ASD에서 스펙트럼은 연속체와 어떤 차이가 있는가? 넷째, DSM-5 ASD에 대한 차원적 접근이란 어떤 의미인가? 다섯째, DSM-5 ASD의 주요특징은 무엇인가? 여섯째, DSM-5 ASD의 중증도 단계는 적절한가? 일곱째, DSM-5 ASD 진단준거와 DSM-Ⅳ-TR 자폐장애 진단준거의 관계는 어떠한가? 여덟째, DSM-5 ASD 진단준거에 의한 출현율은 어떠한가? 아홉째, DSM-5 ASD 진단준거의 민감도와 명확도는 어떠한가? 열째, DSM-5 ASD의 최종진단준거는 초안진단준거와 어떤 차이가 있는가? 10개의 연구문제별로 DSM-5(2013)와 관련문헌들을 고찰한 후 결론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고찰과 결론을 근거로 향후 DSM-5 ASD와 관련된 연구 및 임상에 대한 몇 가지 시사점을 제언으로 제시하였다. DSM-5 was published in 2013, superseding DSM-Ⅳ-TR which was published in 2000. One of notable changes in DSM-5 is to merge the subtypes of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s(PDDs) into a single category of autism spectrum disorder(ASD). However, this change was in the center of dispute before and after DSM-5 was formally published and then has received considerable attention from researchers, clinicians, and parents and teachers of children with ASD.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 dispute around DSM-5 ASD by formulating 10 research questions related to the dispute and examining them systematically. The 10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a) What is the reason that the term PDDs was replaced with ASD in the DSM-5? (b) What subtypes of DSM-Ⅳ-TR PDDs are included in DSM-5 ASD? (c)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spectrum in DSM-5 ASD and continuum? (d) What does a dimensional approach to DSM-5 ASD mean? (e) What are the essential features of DSM-5 ASD? (f) Are the severity levels for DSM-5 ASD appropriate? (g)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ASD diagnostic criteria in the DSM-5 and autistic disorder diagnostic criteria in the DSM-Ⅳ-TR? (h) What is the prevalence based on DSM-5 ASD diagnostic criteria? (i) What is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DSM-5 ASD diagnostic criteria? (j)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final diagnostic criteria and draft diagnostic criteria of DSM-5 ASD? After reviewing DSM-5(2013) and related literature according to the 10 questions, 10 answers were provided as conclusions. Finally, based on the review and conclusions, several suggestions were presented for future research and clinic related to DSM-5 ASD.

      • KCI등재

        자폐 범주성 장애 진단 및 지원 체계 수립 요구: 소아청소년정신과 전문의의 경험과 인식을 중심으로

        이소현,이숙향,윤선아,김지영,오세림 한국자폐학회 2014 자폐성 장애연구 Vol.14 No.3

        There has been a dramatical increase in the prevalence of autism spectrum disorders(ASD) internationally. Such an increase is also being perceived in the field of diagnosis and education in Korea. Due to the specific needs of individuals with ASD, comprehensive treatment supports are required, including professional personnel for diagnosis and education, and the very high economic expense. Therefore, for individuals with ASD throughout their whole lives, professional and systematic supports are requir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what kind of experience that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ists have in the process of diagnosis of ASD and how they perceive the process.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10 psychiatrists were participated in in-depth interviews. Seven major themes emerged from the qualitative analysis: (1) needs for diagnosis and support, (2) experiences and needs for supporting children with ASD, (3) needs for case management and support, (4) needs for family support, (5) difficulties of inter-organization cooperation, (6) needs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of psychiatrist, and (7) contributing figures for prognosis. Based on the result of the study, implications were provided to facilitate the accuracy of the diagnosis and to establish the supporting system for children with ASD. 자폐 범주성 장애(autism spectrum disorders: ASD)는 전 세계적으로 그 출현율이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진단과 교육 현장에서 출현율 증가가 인지되고 있다. 자폐 범주성 장애는 장애의 특성으로 인해서 전 생애에 걸친 종합적인 지원을 필요로 하며, 특히 진단과 지원을 위한 전문성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많은 비용이 소모된다. 따라서 좀 더 전문적이고 구체적인 지원을 제공할 수 있는 체계가 마련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자폐 범주성 장애 진단 및 지원 체계 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하였으며, 구체적으로는 지원의 시작이라고 할 수 있는 진단의 전문가인 소아청소년정신과 전문의를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여 이들의 관련 경험과 인식을 알아보고 지원 요구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1) ASD 진단 및 지원 요구, (2) ASD 학생 지원 경험 및 지원 요구, (3) ASD 학생 사례관리 및 지원 요구, (4) 가족지원 및 관련 요구, (5) 외부기관 연계 및 협력의 어려움, (6) 소아청소년정신과 전문의 양성과정 및 관련 요구, (7) ASD 학생의 예후 영향 요인의 7개 주제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ASD 진단 전문성 향상을 위한 방안과 지원 체계 수립의 필요성 및 시급함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운동 능력과 사회적 기술 향상을 위한 심리운동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부위(Wei Fu) 한독심리운동학회 2022 심리운동연구 Vol.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ASD아동을 대상으로 운동 능력의 각 하위 영역 운동 능력(민첩성, 평형 감각, 신체 조절, 움직임 조절)과 사회적 기술의 각 하위 영역 사회적 기술(사회적 경향, 사회적 인지, 사회적 의사소통, 사회적 참여, 자기 조절)을 통합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심리운동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ASD아동의 영역별 발달지원에 효과를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심리운동 상관 이론을 토대로 ASD아동의 운동 능력의 각 하위 영역 운동 능력과 사회적 기술의 각 하위 영역 사회적 기술을 9가지를 중심으로 프로그램 구성 요소를 도출하고 심리운동 상관 이론의 영역별 발달지원 요소별로 분석하여 심리운동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을 위해 ASD아동은 실헙집단 10명과 통제집단 10명으로 선정하여 프로그램 적용에 앞서 운동 능력의 각 하위 영역 운동 능력과 사회적 기술의 각 하위 영역 사회적 기술에 대한 사전검사를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효과검증을 위해 심리운동 프로그램을 대상자에게 총 18회기를 실시한 후,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개발된 심리운동 프로그램은 ASD아동의 운동 능력 즉, 민첩성과 균형감각, 신체조절, 그리고 협응력 및 움직임조절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개발된 심리운동 프로그램은 ASD아동의 사회적 기술, 즉 사회적 경향, 사회적 인지, 사회적 의사소통, 사회적 참여, 자기 조절의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개발된 심리운동 프로그램은 ASD아동의 운동 능력과 사회적 기술을 증진시키기 위한 중재 전략으로 사용될 필요가 있다. ASD 중재의 실천적 응용을 발달시키는 심리적 운동 활동 프로그램은 풍부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Psychomotorik Program for ASD children that can support each sub-region of motor skills (sensitivity, balance, body control, movement control) and social skills (social trends, social cognition, social communication, social participation, and self-regulation). Based on psychomotor correlation theory, nine sub-areas of ASD children's motor skills and social skills were derived, and psychomotor correlation theory was analyzed to develop Psychomotorik Program.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a total of 18 psychological exercise programs were conducted on the subjects, and then a post-test was conducted. The developed Psychomotorik Program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the motor skills of ASD children, namely agility and balance, body control, and coordination and movement control. The developed psychological exercise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social skills of ASD children, that is, social trends, social cognition, social communication, social participation, and self-regulation. Therefore, the developed psychological exercise program needs to be used as an intervention strategy to improve the athletic ability and social skills of ASD children. Psychomotorik Program that develop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ASD intervention are abunda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