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순수 외이도 공명

        허승덕(Seung Deok Heo) 한국언어치료학회 2012 言語治療硏究 Vol.21 No.3

        External auditory canal (EAC) resonance occurs in the closed-end of a tube near the ear drum. However, the gain of EAC resonance cannot be measured because it occurs inside the human body. Real ear unaided responses (REURs) include both the acoustic reflection of the pinna, skull, torso and the resonance gain of the external ear. The concha cavity resonance (CC resonance) can be measured if EAC is obstructed. Therefore, EAC resonance can be calculated by subtracting the CC resonance from REUR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gain of the EAC resonance in normal Korean adults and provide the basic information for hearing aid fitting and further research in the field of audiological rehabilitation. Twenty-none normal adults (58-ea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frequency range of EAC resonance was observed from 80㎐ to 4,000㎐ at 0° and from 600㎐ to 3,700㎐ at 45°. The maximum resonance frequency was recorded at 2,619(±288.7)㎐ at azimuth 0° and 2,613.8(±381.8)㎐ at azimuth 45°. The mean of maximum resonance gain was recorded at 13.2(±3.5)㏈ and 12.3(±3.4)㏈, respectively.

      • KCI등재

        A Survey Study of Audiology Services during the Coronavirus Disease 2019 Pandemic in South Korea

        InOn Kim,Soo Hee Oh 한국청각언어재활학회 2021 Audiology and Speech Research Vol.17 No.4

        Purpose: The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pandemic has severely affected public health and people’s lifestyle. The purpose of this survey study is to investigate audiology services during COVID-19 pandemic to understand the current audiology service situations in Korea and to improve audiology services. Methods: A total of 120 participants (60 audiologists and 60 clients visiting audiologists) were surveyed in this study using online or face-to-face methods. The participants answered 24~25 questions including current status of audiology service, communication difficulties with wearing masks, and the provision of tele-audiology services during COVID-19.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both audiologists and clients with hearing loss still preferred face-to-face audiology services in COVID-19 situation in spite of 56% of visiting schedule delay and cancellation. The primary audiology services they considered in COVID-19 were hearing aid fitting and maintenance & repair services. Wearing masks has led communication difficulties in both audiologists and clients with hearing loss due to speech level reduction, frequency filtering of sounds, and insufficient visual cues during the conversation. Only 30% of audiologists have provided tele-audiology services, and 4.4% of clients received tele-audiology services during COVID-19. Conclusion: The impacts of COVID-19 in audiology services in South Korea are still progressing. The technical and administrative systems and educational support to improve audiology services in South Korea are necessary.

      • KCI등재

        Qualitative Analysis for Major in Speech Therapy and Auditory Rehabilitation and Working Experience in Clinical Field

        Ji Youn Kim,Soo Bok Lee,Pyung Kon Thak 한국청각언어재활학회 2020 Audiology and Speech Research Vol.16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graduated students with major in speech therapy and auditory rehabilitation and their working experience in the clinical field by using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After conducting in-depth interviews with seven graduates who majored in speech therapy and hearing rehabilitation, content analysis was performed. As a result of open coding the interview data, 2 dimensions, 8 core categories, 13 subcategories, and 69 concepts were derived. The 2 dimensions were divided into personal and social dimensions. Employment considerations, overall work, the relationship between majors and work, and the skills needed to perform work were discussed. This study explained the current status of work and job satisfaction of graduates from the department of speech therapy and audiology rehabilitation, a considerable relation between majors and jobs, and future development directions.

      • KCI등재

        청력손실과 보청기 조절 오류의 발견 지연 1례 보고

        허승덕(S. D. Heo) 한국재활복지공학회 2017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Vol.11 No.3

        청각학적 재활은 청력손실 배경 정보 획득, 청각학적 평가, 보청기 전기음향특성 분석, 음향 이득 결정만으로도 충분히 만족스러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청력은 나빠질 수 있고, 보청기는 출력음압이 낮아지거나 고장이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청력손실의 조기 발견과 정기적인 추적 관찰은 매우 중요하다. 이 연구는 정상적인 추적에도 불구하고 보청기 조절 실수가 확인된 증례를 통해 효과적인 청각언어재활 방향을 고민하는데 목적이 있다. Audiological rehabilitation by itself can provide satisfactory services through acquisition of background information on hearing loss, audiological evaluation, analysis of electroacoustic characteristics of hearing aids, and determining acoustic gain. However, hearing can be exacerbated, and sound pressure level of hearing aids can be lowered. Moreover, breakdown of hearing aids can happen. Therefore, the early detection of hearing loss and regular follow-up observations are very important. The aim of this study concern the direction of effective audiological rehabilitation by checking the clinical cases where hearing aids fitting failures were found.

      • KCI등재

        바우처(Voucher) 시스템과 청각서비스 : 지역사회 서비스 혁신사업 중『2008 장애아동 재활치료서비스사업』과제 중심으로

        구성민 한국청각언어재활학회 2008 Audiology and Speech Research Vol.4 No.2

        대한민국 헌법 제10조‘모든 국민은 인간으로서의 존엄과 가치를 가지며, 행복을 추구할 권리를 가진다. 국가는 개인이 가지는 불가침의 기본적 인권을 확인하고 이를 보장할 의무를 진다.’ 국가는 국민 모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양한 시대적·사회적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사회복지서비스를 지속적으로 개발하여 제공할 의무를 가지고4) 국민의 세금으로 마련되는 제한된 복지재원을 효율적이며 형평성 있게 재분배되어야 할 것인가를 끊임없이 노력해야 한다. 반 면에 우리나라에서 장애인은 전통적으로 복지서비스의 사각지대로 놓여져 왔으며, 비장애인에 비해 차별적 대우를 받아온 것이 사실이다. 이에 정부에서는 장애인 복지의 확대, 특수교육 강화, 장애인차별금지법시행 등을 통해 장애

      • KCI등재

        교육현장에서 청능사의 역할 : 청각치료지원서비스

        장현숙,조수진,임덕환,조소현 한국청각언어재활학회 2007 Audiology and Speech Research Vol.3 No.1

        지난 2007년 4월 30일『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면서 새롭게 제정되었고, 2007년 5월 25일자로 공포되어 2008년 5월부터 시행되었다. 이 법안의 목적은 이미 알려진 바대로『교육기본법』 제18조에 따라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가 장애인 및 특별한 교육적 요구가 있는 사람에게 통합된 교육환경을 제공하고 생애주기에 따라 장애유형과 장애정도의 특성을 고려한 교육을 실시하여 이들의 자아실현과 사회통합을 하는데 기여하기 위함이었다. 특히 법안의 내용 중 기 폐지된『특수교육진흥법』 제18조에서 명시되었던 치료교육에 관한 내용을 삭제하고, 새롭게 제정된『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제28조(특수교육관련서비스) 2항에서“교육감은 특수교육 대상자가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물리치료, 작업치료 등 치료지원을 제공하여야 한다.”라고 명시하고 있다. 그래서 청능훈련을 포함한 기존의 치료교육 8대 영역(물리치료, 작업치료, 언어치

      • KCI등재

        Difference Between the Preferred Gain and the NAL-NL2 Gain in Korean Hearing Aid Users

        이종근,전재민,송재준,채성원 대한이비인후과학회 2022 대한이비인후과학회지 두경부외과학 Vol.65 No.7

        Background and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preferred gainand the National Acoustic Laboratories Nonlinear 2nd edition (NAL-NL2) gain value in Koreanlanguage hearing aid users. Subjects and Method In this retrospective study, preferred gain and NAL-NL2 gain datawere obtained from 199 monaural hearing aids users who were satisfied with their hearing aiddevices. The gain value data were collected from three different sound levels at various frequencies. Several factors were also evaluated to determine a potential impact on the preferredgain. Results The preferred gai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NAL-NL2 target gain (p=0.01). This difference was highest with the gain measured with a medium-level sound (65 dB) with 1kHz tone. There was a tendency of reduced preferred gain with the increased age of the participant(p=0.049).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Korean hearing aid users require more gain than theNAL-NL2 target gain. Linguistic characteristics, age, degree of hearing loss, and many otherfactors may be implicated in this result.

      • KCI등재

        청능사 현황 : 호주, 캐나다, 중남미

        송욱 한국청각언어재활학회 2006 Audiology and Speech Research Vol.2 No.1

        청각학을 간단하게 정의하자면 난청으로부터 발생되는 청각 장애를 학문적으로 연구하고 이를 토대로 청각 기능의 평가, 증폭기기 그리고 청각재활을 임상을 통해서 제공하는 학문이다. 청각학의 태동은 역사적 배경과 주변 학문과의 연관성에 따라서 각 나라마다 조금씩 다른 모습으로 발전해 왔다. 여타의 선진국과 마찬가지로 국내에서도 청각학은 대중에게 널리 알려지지 않은 것이 사실이며, 청각학을 전공한 audiologist가 무엇을 하는 전문가인지 생소하게 생각하는 사람들도 적지 않다. 각 나라마다 청각학 교육과정을 이수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최소 학위 수준도 조금씩 다르기 때문에 audiologist의 업무나 직능 범위에 있어서도 나라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다. 이제 우리나라도 청각학을 이수할 수 있는 학부와 대학원 그리고 박사 과정이 있기는 하지만 보다 양적, 질적으로 많은 성장을 이루기 위해서는 학문적, 제도적 그리고 업무 시스템에서 개선되어야 할 점들이 있다. 이 글에서는 청각학 분야에서 상당한 연구와 성과를 보이고 있는 호주와 지리적으로 미국과 근접해 있지만 학문적, 임상적으로 조금 성향이 다른 캐나다 그리고 개발도상국이 많이 속해있는 남미와 중미에 대해서 각 나라 대학의 청각학 프로그램과 어떠한 양상으로 청각학이 태동하고 발전해 왔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 KCI등재

        아시아의 청능사 현황

        이미숙 한국청각언어재활학회 2006 Audiology and Speech Research Vol.2 No.1

        현대 사회의 산업화 고령화 추세로 청력손실은 더욱 증가 추세에 있으며 이들에서 청력손실의 예방, 진단, 재활 및 교육 등을 담당하는 청각학 및 청능 치료사의 역할 또한 중요하지 않을 수 없다. 이에 미국, 캐나다 등 많은 국가에서 체계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이들을 육성한다. 따라서 임상자격증을 얻기 위해 대학원 학위를 가지고 전문적인 교과 과정과 임상실습 전문 관련 기관에서 이수해야 하므로 미국 내에서만 약 120여개의 대학에서 학부 및 석·박사 과정이 있다. 그러나 우리 나라에서는 아직 청능사(Audiologist)라는 이름조차 생소하게 느껴지는 실정이다. 1960년대 서울대와 연세대 이비인후과에서 난청에 관심을 기울여 자체적으로 청각학 관련 연구 등을 실시하였 으며, 학문적인 프로그램은 1998년에 한림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내에 국내 최초로 석사과정을 개설한 것이 청각학의 시초라 할 수 있다. 이에 한국의 청각학과 관련하여 아시아권에서 청각학 관련 교육 및 제도를 알아보고자 한다.

      • KCI등재

        일반 성인의 운율 변화에 따른 말소리 지각과 음도 및 선율윤곽 수행력 비교

        설혜윤,김은연 한국콘텐츠학회 202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3 No.8

        의사소통 과정에서 말소리 지각은 필수적이며, 자모음과 같은 분절적 요소뿐 아니라 분절음에 얹히는 초분절적인 요소에 대한 지각 및 이해도 중요하다. 하지만, 난청인들의 말소리 지각 평가 및 재활에 활용되는 대부분의 검사와 재활도구들은 말소리의 분절적 요소에 초점이 맞춰져 왔다. 본 연구에서는 말소리의 초분절적인 요소를 반영한 말소리 운율변화 지각과제를 건청 성인을 대상으로 시행하여 난청인을 위한 말소리 운율지각 검사의 기초자료로 삼고자 한다. 청력평가를 위해 널리 사용하는 순음청력검사의 0 dBHL 기준은 정상 청력 청장년의 가청역치 평균을 의미하기에 20~30대 건청 성인을 대상으로 음소(/ㅏ/, /ㅓ/, /ㅣ/)와 단어(긍정 및 중립적 의미를 갖는 단어) 수준의 말소리 운율지각 과제, 그리고 음도와 선율윤곽 과제를 시행하여 수행력을 살펴보았다. 음소 및 단어과제에 덧붙여진 긍정 및 부정적인 운율에 따른 의미변화에 98% 이상의 정반응율을 보였고, 운율요소지각 과제에서도 95% 이상의 정반응율을 보였다. 성별 및 연령은 수행력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말소리 운율지각 과제가 향후 초분절적인 요소를 포함한 말소리 지각 수행력을 총체적으로 평가하는 검사 및 재활도구, 그리고 디지털치료콘텐츠 개발에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