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후기 천문학겸교수(天文學兼敎授)의 활동과 그 의미

        경석현 ( Kyung Seok-hyun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6 동방학지 Vol.176 No.-

        천문학겸교수는 조선왕조의 관상감 운영체계가 『경국대전』 단계에서 『서운관지』 단계까지 계기적으로 발전해 가는 과정에서 출현하였다. 이들은 문과에는 합격하지 못했지만 문신에 버금가는 家格과 학문적 소양을 갖춘 자로서, 특히 천문학에 조예가 깊어 특채 형식으로 뽑힌 사대부 출신의 천문학 전문가였다. 공식적인 절차 없이 추천으로 선발되었고, 또 정해진 근무일수를 채우면 동반의 참상직으로 승진할 수 있는 특혜도 있었다. 천문학겸교수는 비교적 늦은 나이에 출사하여 군직을 받고 천문학겸교수로 활동하다가 동반 정직으로 승육해 나가는 거의 패턴화 된 관직활동을 하였다. 그러면서도 천문학 분야에서 전문성을 발휘하며 성과를 냈다. 혼천시계를 제작한 송이영과 『천동상위고』를 집필한 최천벽이 조선후기의 대표적인 천문학겸교수였다고 할수 있다. 17세기 중반 이후 가격과 실력이 낮은 천문학겸교수가 늘어난다는 지적으로 천문학겸교수의 직제는 정비되었다. 실력이 우수한 천문학겸교수의 지속적인 확보를 위해 정원을 1원에서 3원으로 늘리되, 증설한 2명은 임명절차를 보다 강화하는 방향으로 정비되었다. The post of astronomy adjunct professor emerged during the establishment of the Bureau of Astronomy(Gwansanggam)’s operating system, which developed from Gyeonggukdaejeon into Seowoongwanji. Astronomy adjunct professors were scholars from good families who demonstrated academic accomplishments, although they did not have to pass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They entered the government’s service through a special employment program following recommendation from a high office for their expertise in astronomy. After a period of time, they were given preferential treatment for promotion as a Chamsangjik of Civil Officials(Dongban). At a relatively late age, they entered the government’s service for the first time as astronomy adjunct professors, and patterned civil service activities. They demonstrated their abilities as great astronomers, and achieved good results. Song Lee-yong, who produced the armillary clock, and Choi Cheon-byeok, who wrote a Cheondonggangwigo, are two representative astronomy adjunct professors of the late Joseon. From the mid-seventeenth century, the abilities of astronomy adjunct professors declined, causing a modification of the astronomy adjunct professor system. The procedures for the appointment of astronomy adjunct professors were strengthened, and the number of appointees was increased from one to three in order to be sure to have a capable astronomy adjunct professor.

      • KCI등재

        전통적 역산천문학의 단절과 근대천문학의 유입

        전용훈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2 한국문화 Vol.59 No.-

        This article examines the procedure of the discontinuance of traditional astronomy and the introduction to modern astronomy. The former is examined through the changes of official annual almanacs the government published and the latter is studied based on the Western books that were imported and textbooks on astronomy that were published in Joseon during the late 19th and early 20th centuries. Since late 17th century, Siheonryeok 時憲曆(western calendar) was adopted, and Renaissance astronomy was introduced to the traditional calendrical astronomy. The calendrical astronomy in Joseon was developed to the highest level until the end of 19th century and was used in issuing national official almanacs (the annual calendar 日課曆 and the almanac of the seven celestial bodies 七政曆). However, the office for the observation of natural phenomena 觀象所 was abolished by the intervention of Japan at the end of 1907. Unable to be developed anymore, the calendar issue in Joseon was passed on to the charge of Japanese astronomers who had mastered modern astronomy. Publications containing Western astronomical knowledge were also imported, confirming to the movement of adopting the Western culture in late 19th century, and related knowledge was spread by newspapers such as The Hanseong Ten-Daily 漢城旬報 and The Hanseong Weekly 漢城週報. As a basic form of knowledge to discuss world geography, the elementary astronomical knowledge was introduced in geographic publications. However, modern astronomy was not recognized as a professional field of science in Joseon until early 1900. Two books, Chyeonmunhak 天文學(Astonomy) written by Jeong Yeong-taek and Cheonmunyakhae 천문략(Short Explanation of Astronomy) written by William Baird in 1908, which were published as a textbook to teach professional astronomy, show that modern astronomy was finally established in Joseon as one field of professional science.

      • KCI등재

        2022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지구과학 내용 구성 방안 탐색 -천문 영역을 중심으로-

        김현종 ( Hyunjong Kim ) 한국과학교육학회 2021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41 No.6

        본 연구에서는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지구과학 내용 영역과 핵심개념의 변화에 대한 고등학생의 인식을 조사하고, 국내외 지구과학과 교육과정의 천문 영역 학습 요소 비교·분석을 통해 2022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지구과학 선택과목의 천문 영역 내용구성(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5 개정 교육과정으로 전환하면서 지구과학 교과목에 도입된 내용 영역 및 핵심개념에 대한 고등학생의 인식을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4명의 지구과학교육 전문가들이 우리나라를 비롯한 미국, 캐나다 British Columbia(BC)주, 일본, 국제바칼로레아 디플로마 프로그램(IBDP) 교육과정에 제시된 천문 영역학습 내용을 비교·분석하였다. 설문 조사 결과, 지구과학 내용 영역중 학생들이 가장 큰 매력을 느끼는 내용은 천문 영역으로 나타났다. 천문 관련 핵심개념에 가장 큰 흥미를 느낀다고 응답한 고등학생들은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천체관측 관련 내용이 삭제된 것에 대해 많은 아쉬움을 나타내었다. 국내외 교육과정을 비교한 결과, 우리나라와 IBDP 교육과정이 가장 많은 양의 천문 영역 학습 내용을 다루고 있었다. 캐나다 BC주와 IBDP의 경우, 천문 영역을 독립된 과목으로 개설하며, 우리나라와 가장 유사한 일본의 교육과정은 지구과학 과목에서 천문 영역의 내용을 다루고 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천문교육강화를 위해 학생들이 흥미를 가질 수 있는 학습 요소와 변별력을 확보할 수 있는 천문 관련 내용으로 지구과학 일반 선택과목을 구성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천문 영역은 다양한 학문의 배경지식이 요구되며 교과 연계 학습이 필요하므로 일반적인 천문학의 지식체계를 따라 진로 선택과목을 구성할 필요가 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천문교육을 통한 과학소양교육 실현에 초점을 두고 2022 개정 교육과정 지구과학 선택과목의 천문 영역 내용 구성(안)을 제안하였다. In this study, we propose the composition of contents on the area of astronomy for high school Earth Science elective courses for the 2022 revised curriculum based on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f changes in Earth Science core concepts over the curriculum revisions, and analysis of learning elements in the area of astronomy for domestic and foreign Earth Science curriculum. Four Earth Science education experts compared and analyzed the astronomy contents presented in Korea, the US, British Columbia (BC) in Canada, Japan, and the International Baccalaureate Diploma Program (IBDP) curriculum.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s, high school students who answered that they were most interested in the core concepts of astronomy expressed a lot of regret that the contents related to astronomical observation were eliminated from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s a result of comparing domestic and foreign curriculum, Korea and IBDP curriculum dealt with the largest amount of learning elements in astronomy. In the case of BC in Canada and IBDP, astronomy was offered as an independent subject, and the curriculums of Japan and Korea dealt with astronomy in the Earth Science subject. According to the resul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general elective courses in Earth Science with astronomy-related contents with high discriminating power in order to strengthen astronomy education. Since astronomy requires background knowledge from various disciplines and inter-disciplinary learning was required, it is necessary to organize the career-related elective courses in Earth Science so that astronomy can be dealt with according to the knowledge structure of general Astronomy.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ways to organize astronomy contents for Earth Science elective courses were suggested.

      • KCI등재후보

        COMPARISON OF ASTRONOMY TEXTBOOKS DURING THE PERIOD OF KOREAN EMPIRE

        박은미,민병희,이용삼 한국천문학회 2016 天文學論叢 Vol.31 No.2

        There were two books on astronomy published in 1908. One is 『Astronomy (天文學)』 written by Jeong, Yeong-Taek (鄭永澤, 1874 ∼ 1948), an educator. The other is 『Introduction to Astronomy (텬문략)』 written by William Martyn Baird (裵偉良, 1862 ∼ 1931), an American missionary. It was known that these two books were translated into Korean as astronomical textbooks of the Korean Empire. We investigated the life of translators, the motivation of writing textbook, and the translators’ specialty in astronomy. We also compared the two books in terms of content, orthography of terminology, scale of units, and so forth. We suggest that these books were really utilized as textbooks of astronomy in the modern school in the early 20th century in Korea. We also conclude that in astronomy education these two textbooks bridged the gap between the traditional Chinese astronomy of the middle age and modern astronomy from the West.

      • KCI등재

        초등예비교사들의 천문영역 교수방법에 대한 인식 조사 연구

        이용섭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2023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Vol.16 No.1

        This study was conducted on 115 students from 4 classes of 2nd year intensive courses at B University of Education.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were surveyed on what teaching methods they were aware of regarding the subject of elementary science astronomy. Recognition data of 80 people from whom the questionnaire was collected were analyzed. For this study, a 5-day survey was conducted.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complained of difficulties in teaching methods in the astronomy area among various areas of the science depart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what difficulties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have in teaching elementary science astronomy topics, and to find more efficient teaching methods for teaching astronomy topics. The topic of the survey was set by discussing with the preparatory elementary teachers about what kind of survey to use in teaching the subject of elementary science astronomy. There are many topics for elementary science astronomy, but two questionnaires were prepared focusing on the unit on the earth and the moon. ‘What does the earth look like?’ in Unit 4 (1/10) of the 3rd year, 1st semester In Unit 2 (1/11) of the 1st semester of the 6th grade, it was set as ‘What does the moon look like?’. Candidly describe how to teach the subject of astronomy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by mobilizing all the background knowledge of preparatory elementary teachers. The results of these surveys were visualized and displayed using Netminer as a language analysis method, and the contents of the responses to the actual surveys by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described and interpreted. Based on these results, preparatory elementary teachers tried to suggest a more efficient teaching method for the subject of elementary science astronomy. In addition, basic procedures and methods for lecturing on the subject of elementary science astronomy were presented. A more efficient teaching method for teaching elementary science astronomy subjects to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was suggested. 본 연구는 B 교육대학교의 2학년 심화과정 4개반 11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초등예비교사들은 초등과학 천문영역 주제에 대해서 어떤 교수 방법을 인식하고있는지 조사하였다. 설문이 수집된 80명의 인식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5일간의 설문조사를 하였다. 초등예비교사들은 과학과의 다양한 영역 중에서천문영역 교수방법에 대해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었다. 초등예비교사들이 초등과학 천문영역의 주제를 교수하는데 어떠한 어려움이 있는지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천문영역 주제를 교수하는데 보다 효율적인 교수방법을 찾고자 연구하였다. 초등과학 천문영역의 주제를 교수하는데 어떠한 설문을 할 것인지에 대해서도 초등예비교사들과 함께 토의하여 설문에 대한 주제를 설정하였다. 초등과학 천문영역에 대한 주제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지구와 달에 대한 단원을 중심으로 2가지의 설문을 작성하였다. 3학년 1학기 4단원(1/10)에서 ‘지구는 어떤 모습일까요?’. 6학년 1학기 2단원(1/11)에서 ‘달은 어떤 모습일까요?’로 설정하였다. 초등예비교사들의 배경지식을 총동원하여 초등학생들에게 천문영역 주제를 어떻게 교수할 것인가에 대해서 솔직하게서술하시오. 이러한 설문에 대한 결과 처리는 언어 분석방법으로 넷마이너를 활용하여 언어 표현을 가시화하여 나타내었으며, 초등예비교사들이 실제 설문에 응답한 내용을 기술하고 해석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예비교사들이 초등과학 천문영역 주제에 대해 보다 효율적인 교수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초등과학 천문영역 주제를 강의하기 위한 기본적인 절차와 방법을 제시하였다. 초등예비교사들에게 초등과학 천문영역 주제를 교수하는데 보다 효율적인 교수방법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조선후기 잡과(雜科) 교육의 변화와 특성

        이남희(Lee Nam-Hee)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14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Vol.13 No.1

        조선시대의 잡학 교육은 크게 두 갈래, 다시 말해 중앙과 지방에서 이루어졌다. 특히 잡과가 설행된 역학, 의학, 음양학, 율학의 경우, 중앙에서는 사역원, 전의감과 혜민서, 관상감, 형조가 담당했으며, 지방에서는 부 · 대도호부 · 목, 도호부, 군, 현에서 가르쳤다. 몽학과 음양학은 중앙 관서에서만 교육을 실시했다. 『경국대전』의 잡학 생도 규정은 시대의 흐름과 더불어 변화양상을 보여주었다. 주목할 점은『속대전』이후 중앙의 분야별 잡학 생도 정원이 크게 늘어났다는 것이다. 지방 생도 숫자는 일부 역학을 제외하고는 달리 변화가 없었다.『속대전』에서 중앙집중도가 더 높아진 셈이다. 그리고 임진왜란을 계기로 시험 과목의 변화가 있었다. 과목이 축소되면서 새로운 과목이 등장하기도 했다. 그것은 시대변화에 부응하는 것이기도 했다.『경국대전』 이후 두 차례의 변화, 『속대전』과 『대전회통』에서 그 변화상을 확인해볼 수 있다. 전체적으로 보자면, 과목 자체가 축소되었다. 그만큼 잡과 시험보기가 용이해졌다고 하겠다. 잡학 교육 역시 여러 과목보다는 집중적인 몇 과목에 치중되었다. 교재 상으로 가장 많은 변화는 역과에서 확인된다. 양난을 겪으면서 많은 서적이 소실되었기 때문이다. 명과학의 경우 운명을 예측하는 추명서류에서 일상에서 길일과 흉일을 가리는 택일서류로 바뀌는 추세를 보여주었다. 가장 두드러지는 변화는 음양학의 위상 변화라 하겠다. 음양학의 경우, 시험 과목의 축소와 더불어 새롭게 등장한 과목의 수가 다른 과목보다 많다. 대폭적인 축소라기보다는 다양한 과목들의 추가라 할 수 있겠다. 서양 천문학과 시헌력(時憲曆)의 전래, 그를 기반으로 하는 명과학 수요의 증가 등과 같은 시대적 상황에 따른 것으로 여겨진다. 음양학 교육 교재와 학습 방법에도 그대로 반영되었다. 18세기 말 관상감 제조의 요청에 따라 음양학 분야의 선발 인원이 늘어났으며, 그것은 법규로 반영되었다. 인원의 변화가 없었던 다른 분야와는 확실히 다른 점이었다. Japhak(雜學) Education in the Chosun Dynasty was divided into two large streams, education in Seoul and education in the provinces. In Seoul, the education for interpretation, medical science, astronomy, and law, which executed an examination system called Japgwa(雜科), was conducted at the Office of Interpreter, Palace Medical Office, Office of Astronomy, and Ministry of Punishments. Meanwhile, in the provinces, government offices were in charge of equivalent education for such areas. Mongolian Language and astronomy were only taught in public offices in Seoul. When viewing the regulations for Japhak students in GyeonggukDaejeon(1485), aspects of transition can be found depending on the flow of the time. One noteworthy feature is that after the publication of SokDaejeon(1746), the quota for each Japhak division in Seoul had significantly risen. The number of students in the provinces did not show much change. This can be interpreted as higher concentration to Seoul after SokDaejeon. Moreover, since the Japanese Invasion of 1592, changes in the subjects of examination are found. Some subjects were eliminated and new subjects appeared. It was to meet the demands of the time. Two big changes after GyeonggukDaejeon, SokDaejeon and DaejeonHoetong(1865) depict how the changes occurred. In a nutshell, the number of subjects was reduced. Therefore, it became easier to take the Miscellaneous Examination. The Japhak Education also focused on few subjects rather than dealing with broad range of subjects. The biggest change in the textbooks is found in interpretation examination, since many of the textbooks were destroyed during the war with Japan in 1592. The focus of astronomy moved from predicting destiny to taking auspices in daily lives. The most notable change in Japhak Education was the shift of the status of astronomy. In the case of astronomy, the number of new subjects compared tothe cut was larger than other areas. It was an addition of various subjects rather than a swinging cut. Astronomy examination was at the top place instead of interpretation examination in the Late Chosun Dynasty. It may be due to circumstances such as the introduction of Western astronomy, new calendar system, and the rise of demand for astronomy. This was directly reflected in the textbooks and curriculum of astronomy education. The entrance quota for astronomy also increased. It was a distinguishing characteristic of astronomy compared to other areas that showed no change of entrance quota.

      • KCI등재

        AMATURE ASTRONOMY AND ASTRONOMY EDUCATION IN INDIA

        CHATTERJEE, SOMENATH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2015 天文學論叢 Vol.30 No.2

        In India, astronomy has been studied from the beginning of civilization. The word amateur means involvement in work for pleasure rather than as a profesion. So, amateur astronomers, in many places, prefer to be called non-professional astronomers. In India, the history of amateur astronomy is quite bright. From the Puranic age astronomy was studied for peoples' daily life. In Ramayana, Mahabharata, there is a lot of evidence of astronomical knowledge. Veda is the main source for studying the history of Indian astronomy. Today astronomy education, consciousness of astronomy education, sky observation, etc. are dependent on non-professional astronomers. Vigyan Prasar, an Indian Govt. organization, is trying to popularize astronomy throughout the country.

      • KCI등재

        천체 전시물 비교 연구 -전시특성 및 지구과학 교육과정의 반영 정도를 중심으로-

        김수경 ( Soo Kyung Kim ),박은지 ( Eun Ji Park ),김찬종 ( Chan Jong Kim ),최승언 ( Seung Urn Choe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6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6 No.6

        천문학은 학생들의 호기심과 탐구하고자하는 욕구가 매우 높은 분야이나 교실 수업이라는 제약이 있어 학습의 효과를 증대시키는 것이 어렵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등장한 과학관은 교실 수업과 상호보완적인 역할을 수행한다는 점에서 그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과학관은 학습자에게 글로 된 설명이나 삽화가 제공하는 그 이상의 경험을 줄 수 있으므로 교육적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천체 관련전시물의 교육적인 측면을 살펴보고 이를 보완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천체전시물의 효과적인 전시특성을 살펴보고 그 내용이 형식교육기관과 어떻게 상호보완하고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먼저 한국, 미국, 일본 세 나라의 유명 과학관을 선정한 뒤 천문학 관련 전시물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이 때 전시의 특징으로는 전시 기술과 매체, 전시 표현, 활동유형 등을 고려하였다. 또한 각 전시 내용에서 과학교육과정을 어떻게 반영하고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분석 기준으로 사용한 교육과정분석틀은 한국, 일본의 국가 수준의 과학교육과정과 미국의 국가과학교육기준(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을 근거로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미국과 일본의 과학관은 국내에 비해 빅뱅우주 전시 등 천체와 관련된 전시 콘텐츠를 다수 확보하고 있었으며 체험형 전시물이 주를 이루었다. 이를 통해 국내 과학관에도 우주의 원리와 같은 내용을 관람객이 보다 실감나게 체험해볼 수 있는 체험형 전시물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세 나라 천체전시물의 내용은 모두 과학교육과정과 잘 연계되어 있었다. 다만 교육과정 상에서, 빅뱅우주와 같은 내용은 선택교육과정에 배치되어 있다는 점으로 미루어 보건대, 대다수 학생들은 이를 학습할 기회가 부족할 것이다. 따라서 공통교육과정에서 다루지 않는 내용을 과학관에서 학습할 수 있도록 천체전시에 있어서 충실한 교육과정의 고려가 필요하다. For students, astronomy is not only interesting but also difficult to learn. However, there is a limit in learning astronomy in a school science setting since astronomy is vast subject. Fortunately, science museums can be helpful in overcoming this limitation. Experiences in science museum provide something that any descriptions or illustrations cannot give. Therefore, to maximize the educational effect, it is necessary to look at astronomical exhibits regarding the educational aspects and complement them. For these reas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characteristics of exhibitions related to astronomy and how much the exhibitions reflect the contents of their science curricula. We selected famous science museums in Korea, America, and Japan and analyzed characteristics of their astronomy exhibition. We analyze these characteristics in the aspects of exhibition technology & media, presentation method and activity types. Also, this study figures out how content of exhibitions are connected to school science curriculum.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cience Museums of America and Japan utilize interactive exhibits to raise participation. It implies that Science Museum of Korea needs Interactive Exhibits that provide a realistic experience of the universe. Second, the astronomy exhibits reflect some of the learning elements of their science curricula concerned with astronomy. However, these astronomical contents are included selectively and not according to their required curriculum. It means that many students lack the opportunity to study Astronomy in their schools. Therefore, the astronomy museum must reflect learning elements of science curricula concerned with astronomy in the exhibits.

      • KCI등재후보

        천문과학관 프로그램에 반영된 과학교육과정의 분석

        윤광아,최상인,정구송,이호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09 科學敎育硏究誌 Vol.33 No.1

        이 연구는 과학 교육과정 중 천문관련 단원의 내용과 천문과학관의 전시내용을 비교 분석하여 천문과학관이 교육과정의 내용과 목표를 얼마나 잘 반영하고 있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국내 천문과학관 5곳으로 천문과학관 프로그램 평가도구를 사용하여 프로그램 내용을 평가하고 프로그램 형태를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이 때 사용된 평가도구는 교육부(1997)에서 고시한 과학교육과정 내용과 교육과정 평가원(2000)에서 제시한 성취기준 및 평가기준을 근거로 고안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천문과학관에서는 과학 교육과정 내용 중 천문관련 학습요소를 대부분 반영하고 있었다. 이는 천문과학관이 비형식 교육 기관으로서 학교 과학 교육과 비교적 잘 연계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교육과정 반영비율은 5학년이 가장 높으며, 전시 형태는 패널 형태가 가장 많았다. 평가점수는 반영비율에 비하여 낮았는데 이는 향후 천문과학관의 프로그램을 선정함에 있어 과학 교육과정을 더 충실히 반영하여야 함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much the programs of astronomy museums reflect the contents and objectives of current science curriculums. To attain the aim, comparison and analysis on the museum programs and science curriculum have been made. Five domestic astronomy museums have been selected. The contents and forms of their programs have been studied and appreciated by assessment instruments for astronomy museum programs. The assessment instruments were devised in consideration of both the science curriculums of the Ministry of Education(1997) and the achievement and evaluation criteria of the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astronomy museums reflect most of the learning elements of science curricula concerning astronom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astronomy museum as an informal education institute is comparatively well connected to science education. The 5th grade science curriculum reflected mostly on the museum programs, and too many of the astronomy museum programs were in forms of panel exhibition. Science curricula fared well but they failed to reflect the curricular objectives, which resulted m relatively low assessment scores. It is suggested that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a foundation and act as guidance for selecting and developing astronomy museum programs which include the contents of the science curriculums more substantially.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