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게란다상히타』 Gherandasamhita의 요가 자세( asana)에 대한 일고찰

        김재민(Kim, Jae-min) 불교학연구회 2018 불교학연구 Vol.54 No.-

        현재 국내에서 2 백만 명 가량의 사람들이 요가를 하고 있는 것으로 추산되고 있으나 그 요가는 대부분 신체 동작 (asana) 을 중심으로 한다 . 요가가 궁극적으로 추구했던 정신의 회복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첫 단계로서 현대 요가 동작 (asana)) 의 뿌리인 전통 요가, 특히 하타 요가의 요가 자세 (asana) 에 대한 상세한 이해가 필요하다. 이를 위 해서 하타 요가의 주요 3 종 문헌 중 요가 자세에 대한 설명이 가장 많은Gherandasamhita( 이하 GhS; 32 종 ) 를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적은Hathapradipika (이하 HP; 15 종) 에 나타난 것들을 각각 비교하여 고찰하였다. 제 2 장에서는 두 문헌에 나타난 요가 자세들 중 먼저 명칭은 같지만 행법이 다른 네 종류 즉 행운, 활, 영웅, 맛시옌드라에 대해 송들의 내용과 더불어 자세의 사진 / 그림을 통해서 양자의 차이점을 살펴보았다 . 그런 다음, 누운 거북 자세와 사자좌를 다루었다. 이것들은 두 문헌에서 명칭이 같고 행법이 거의 유사하게 나타났다 . 특히 사자좌의 경우는 HP 의 설명과 이 문헌의 주석서인 Jyotsna 의 설명이 상대적으로 자세하여서 GhS 의 내용을 더 깊게 이해할 수 있었다 . 마지막으로 다룬 달인좌, 연화좌는 두 문헌 모두 동일한 행법인데 , HP 에서는 다른 전통의 행법도 소개하고 있다. 이를 통해서 요가 자세를 더 넓게 볼 수 있었다. 제 3 장에 GhS 의 ‘ 제 2 장 요가 자세 ’ 중 HP 와 겹치지 않는 것 즉 GhS 에만 서술되어 있는 17 종에 대한 원전 (梵本) 의 번역문을 실었다. 아직 국내에서 GhS의 요가 자세에 대한 원 전 번역이 없기에 이 또한 작으나마 의미 있는 연구 작업이라 생각되어서이다. 이상의 연구가 하타 요가 문헌들에 나타난 전통적인 요가 자세들을 보다 폭넓고 상세하게 이해하는데, 더불어 전통적인 요가의 근본정신, 원래 요가가 추구했던 궁극적 목표를 되살리는데 미약하나마 일조할 수 있기를 바라본다. Today, it is estimated that two million people practice yoga. But most of them just exercise bodily postures (asanas). To recover the fundamental thought of yoga, namely liberation, traditional yoga which is the root of modern postural yoga has to be understood first. Especially, asanas of Hatha Yoga should be comprehended in detail. For this, I compared asanas of Gherandasamhita (GhS; 32 asanas included) with those of Hathapradipika (HP; 15 asanas included) in this paper. Along with Sivasamhita, these two texts consist of three main representative works of Hatha Yoga. In Chapter Two, I studied differences of four asanas (bhadrasana, dhanurasana, virasana, matsyendrasana), which are called by the same names but have different methods to do, through aphorisms in two texts and pictures of those asanas. And then uttanakurmasana and simhasana are examined. These two asanas have a same name and (almost) same ways to practice, according to the two texts. In particular, HP and Jyotsna have more detailed description of simhasana than GhS doe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this asana more deeply. Siddhasana and padmasana are dealt lastly. These two asanas appear to have the same practice method in two texts. However, HP also introduces other ways to practice them which belong to other schools. Through this, those two asanas can be comprehended more widely.

      • KCI등재후보

        특별기고(特別寄稿) : Yoga 철학에서의 dhyana and asana 그리고 좌법

        임동호 ( Dongho Lim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5 韓國思想과 文化 Vol.80 No.-

        오늘날, 요가는 여러 분야에서 다양하게 변형되어 가고 있으며, 현대인에게 있어 요가는 건강을 위한 운동쯤으로 해석되고 있으며 특히나 요즘 요가를 수련하는 일반인들은 hatha yoga의 asana를 요가의 전부라고 생각하고 있다. yoga는 신체를 명상에 들어갈 수 있는 최적의 상태를 만들어 궁극적으로 진리에 도달할 수 있게 해주는 수단이자 과정이다. 요가의 asana는 요가의 한 부분으로 요가의 전체는 아니며 요가의 asana는 요가의 목표인 samahi를 성취하는데 필요한 신체를 만들어 주는 준비 수단이자 하나의 단계인 것이다. 명상을 통해 사마디(samahi, 삼매)를 얻기 위해서는 먼저 명상을 하기 위한 자세가 필요하며 yoga에서 명상 수행에 필요한 자세를 의미하는 것이 바로 아사나(asana)즉, 좌법이다. 명상수행에 적합한 좌법은 육체와 정신적인 문제를 제거하여 요가의 목적인 해탈에 이르게 하는 수단으로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명상은 대상을 향한 끊임없는 인식의 흐름을 뜻한다. 고전요가에서 asana는 좌법의 의미로 사용하고 hatha yoga는 자세의 의미로 사용되었다. asana의 의미가 고전요가에서 ‘좌법’의 의미에서 후대의 hatha yoga에서는 ‘자세’의 의미로 사용되고 있지만 hatha yoga의 asana의 수련도 명상에 들어갈 수 있는 적합한 신체를 만들기 위해서는 필요한 수련임을 알 수 있다. 고전요가와 hatha yoga의 asana는 결국은 명상을 하기 위한 준비단계로서의 수행이 요가의 asana가 나아가야 할 방향이라 할 수 있다. Today, Yoga has become variously modified in a number of areas and has been interpreted to exercise for about health. Especially, people who practicing Yoga think that asana of hatha yoga is the whole of Yoga in these days. It is a means and a process that Yoga allows you to create the optimum conditions that can enter the body in meditation reach the ultimate truth. The asana of Yoga, is not the whole of Yoga, is only a part of that, is one of the means and a step to create and prepare the body needed to achieve the goal of yoga, samahi. In order to obtain samadhi through meditation, the posture for meditation is necessary and the meaning of the posture for meditation is asana, in other words, a sitting method. Suitable asana for meditation practice is to remove the mental and physical problems, it can be seen that have important implications as a means to reach the purpose liberation of yoga. Meditation means a flow of constant awareness toward the target. In classical yoga, asana is used in the sense of sitting method and hatha yoga is used in the sense of position. However, it can be seen that the training of hatha yoga`s asana is also required training to create the appropriate body for meditation. Classical yoga and hatha yoga`s asana is eventually preparation for meditation as practice asceticism and it can be called to go forth direction of asana of yoga.

      • KCI등재

        아유르베다(Ayurveda)에 의거한 요가 아사나(asana) 수련의 마음치유원리

        이거룡 ( Lee Geo-lyong ) 인도철학회 2017 印度哲學 Vol.0 No.51

        본 논문의 목적은 요가의 아사나(asana) 수련을 통하여 기대할 수 있는 마음치유의 원리를 규명하는 것이다. 지금까지 아사나수련은 대개 신체수련 또는 신체적인 질환의 치유효과와 관련하여 논의된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빠딴잘리(Patanjali)의 고전요가에서 아사나는 그 자체로 마음치유의 측면을 지닌다. 전통적으로 치유를 위한 요가수련은 아유르베다(Ayurveda)와 유기적인 관련을 지닌다. 요가수련 프로그램에는 수련자의 신체적, 정신적 체질이 고려되어야 하며, 요가테라피(yoga-therapy)의 적용과정에서 핵심은 아유르베다 체질에 의거한 개별적인 접근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아유르베다는 신체의 체질과 마음의 체질을 구분하고 있지만, 또한 이 둘의 상호관련을 인정한다. 즉 신체적 도샤(dosa)는 정신적 도샤와 유기적인 관련을 지닌다. 또한 신체와 마음의 상호 유기적인 관계로 볼 때, 신체수련과 마음수련은 불가분의 관계를 지닌다. 즉 아사나는 단지 신체수련이 아니라 마음수련의 측면을 지니며, 또한 명상은 기본적으로 마음수련이지만 그럼에도 신체에 영향을 미친다. 신체의 각 부위는 특정 도샤와 관련을 지니며, 요가 아사나를 통하여 이 부위를 압박하고 자극함으로써 특정 도샤의 증가나 균형을 도모할 수 있다. 그러나 아사나 수련이 신체적 도샤의 균형을 도모하고 마침내 마음작용의 억제를 위한 수련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아사나 수련의 전 과정에서 “바라봄”(觀)이 병행되어야 한다. 바라봄과 집중이 그 대상에 미치는 영향은 오늘날 양자역학에서 말하는 “관찰자 효과”로 설명될 수도 있다. In this paper, I tried to identify the principles of mind healing that can be expected through yoga asana training. So far, asana training has generally been discussed in relation to physical training or the healing effects of physical diseases. In classical yoga of Patanjali, asana training has its own side of mind healing. This can be read, in the definition (2.46), completion (2.47) and effect (2.48) of asana, which are introduced in the Yoga Sutra. In particular, the comment of Vyasa which says that the asana is completed by “the relaxation of severe effort” has an important meaning in terms of asana's mind healing aspects. Traditionally, yoga training for healing has a close relationship with Ayurveda. This point can be seen in the Yoga Sutra and the commentary of Vyasa. Ayurveda and yoga complement each other. While Ayurveda emphasizes the understanding of the outside world, which is essential for maintaining physical health, yoga focuses on the restraint of fluctuations in the mind and spiritual perfection. But the difference between these emphases is only relative, and traditionally these two traditions have been regarded as sister studies. In the yoga training program, the physical and mental constitution of practitioner should be considered, and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the central point in the application process of yoga-therapy is the individual approach based on the Ayurvedic constitution. Though Ayurveda distinguishes the constitution of the body and that of the mind, it also acknowledges the interrelationship of the two.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dosa and mental dosa means that asana practice can act as one of the mind healing. Also, in terms of the mutual relationship between body and mind, physical practice and mind training have an inseparable relationship. Asana is not merely a physical practice, but a mind training. And similarly, meditation is a mind training, but it affects the body nevertheless. The Asana training can balance the dosa, but it can also disturb the dosa balance. The opposite is also valid. In other words, the balance of mental dosa can affect that of physical dosa. Each part of the body is associated with a specific dosa, which can be stressed and stimulated through the Yoga asana to increase or balance specific dosa. However, in order to balance of physical dosa and suppress the fluctuations in the mind, the 'mindful observation' must be performed in the whole process of practice. The influence of mindful observation and concentration on the object can also be explained by the 'observer effect' in quantum mechanics today. There is a proverb in the yoga tradition that “Cakra lives with the food of mindful observation given by the practitioner.”

      • KCI등재

        하타 요가(Hatha Yoga) 자세(asana) 수행의 효과 __주요 3종 문헌을 중심으로__

        김재민 ( Kim Jae-min ) 인도철학회 2019 印度哲學 Vol.0 No.55

        본고에서는 하타 요가의 주요 3종 문헌 즉 『쉬바상히타』(Sivasamhita, 이하 SS), 『하타프라디피카』(Hathapradipiaa; 이하 HP), 『게란다상히타』(Gherandasamhita: 이하 GhS)에 나타난 요가 자세의 실천 수행으로 발생하는 효과에 대해 고찰하였다. 요가 자세를 세 문헌 공통의 것들, 두 문헌(HP, GhS) 공통의 것들, 한 문헌에만 나타난 것들 순으로 그 효과들을 수행적 효과와 치유적 효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효과가 서술된 요가 자세는 총 13종이다. 세 문헌 공통의 것은 달인·연화·등펴기·길상(4종)이고, 두 문헌 공통의 것은 공작·송장·행운(3종)이며, 한문헌에만 나타나 있는 것들은 HP의 경우 맛시옌드라(1종), GhS의 경우 사자·물고기·마카라·뱀·요가(5종)이다. 그리고 이 요가 자세들의 효과들을 간략히 요약하자면, 먼저 수행적 효과로는 요가의 완성인 해탈, 완성의 토대인 바유의 수슘나로 흐름과 쿤달리니의 각성 등이 있고, 다음으로 치유적 효과로는 모든 질병 또는 질병의 파괴와 소화의 불을 지피거나 증대시키는것이 주를 이루고 있다. 후자에, 하타 요가의 등장 이전에 요가 자세와 관련하여 언급되지 않았던 ‘치유 효과’가 분명하게 보인다. 요가 자세의 수행의 결과 발생하는 효과를 HP(1.17)는 ‘심신의 안정과 질병 제거와 사지의 가벼워짐’이라고 한다. 그 핵심은 치유 효과이다. 이효과를 또는 이 효과의 결과를 축약하여 표현한 것이 GhS(1.10)의 ‘견고함’(drdha) 즉 ‘신체의 강건함’이다. 이것이 하타 요가에서 요가 자세가 갖는 의미 또는 위상이다. 이러한 신체는 요가 자세 이후의 요가의 지분(支分)들을 수행해 나가기 위한 중요한 토대가 된다. In this paper, effects of practicing asanas in three main texts of Hatha Yoga (Sivasamhita, Hathapradipik ; Gherandasamhita) are examined. Order of main discourse of the paper is firstly, common asanas of three main texts, secondly those of two texts (Hathapradipik ; Gherandasamhita), lastly those of one text. And we classify effects of practicing those asanas into effects for liberation and therapeutic effects. All is thirteen kinds which are described effects of asanas in three main texts. Common asanas of these texts are siddhasana, padmasana, pascimottanasana (ugrasana), svastikasana (total 4 kinds), those of the two texts are mayurasana savasana bhadrasana (total 3 kinds) and those of one text are matsyendrasana (Hathapradipik ; total 1 kind), simhrasana, matsyasana, makarasana, bhujangasana yogasana (Gherandasamhita ; total 5 kinds). Summerizing the effects of those asanas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is that effects for liberation are reaching the goal of yoga, vayu flowing in susumna which is base for perfection and awakening kundalini, then therapeutic effects are mostly consist of removing all diseases (or destroying disorders), making (or increasing) agni. Manifestly shown in the latter are ther apeutic effects of Asanas that had not been mentioned before Hatha Yoga had emerged in the tradition of Yoga. In Hathapradipika, those effects as a result of practicing asanas are described ‘stability of body and mind’ (sthairya), elimination of diseases (arogya) and becoming lighter of the limbs (laghava). The essence of this passage is therapeutic effect. In case of Gherandasamhita, those effects or the results of those effects are briefly expressed in firmness (drdha), that is to say, ‘strong and sturdy of body’. This body is important foundation for practicing the limbs (angas) of yoga after limb of asana.

      • 쁘라나와 아빠나의 합일을 위한 아사나 수련의 가능성

        곽미자(Kwak, Mi-Ja) 한국요가학회 2015 요가학연구 Vol.- No.13

        본 연구의 목적은 쁘라나와 아빠나의 합일의 원리를 응용한 아사나 수련의 가능성을 살펴보는데 있다. 쁘라나와 아빠나의 다양한 의미를 살펴본 결과, 쁘라나와 아빠나는 단순히 들숨과 날숨의 호흡의 의미를 가지기 보다는 미세한 몸의 에너지를 일깨우기 위해 사용하는 에너지의 흐름으로 이해해야 하며, 쁘라나는 상승하는 에너지로, 아빠나는 하강하는 에너지로 파악되었다. 쁘라나와 아빠나가 의미하는 안으로 들어오는 에너지와 바깥으로 나가는 에너지는 문헌마다 불일치하여 추후 연구가 더 필요하다. 쁘라나와 아빠나의 합일을 위한 다양한 수련방법을 검토하면서 쁘라나와 아빠나의 합일을 위하여 아사나 수련 시 응용할 수 있는 원리는 다 음과 같았다. 첫째, 쿰바카를 활용하기, 둘째, 쿰바카와 반다를 활용하기 셋째, 에너지의 흐름을 위한 자각의 방법 및 빛의 형태로 있는 에너지의 시각화였다. 부장가아사나를 통하여 쁘라나와 아빠나의 합일에 대한 다양한 수련법을 적용하려고 하였으며, 이는 추후 문헌고찰과 임상적인 사례연구를 통해 검증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신체중심의 아사나가 하타요가의 목적인 쁘라나와 아빠나의 합일을 위하여 다양하게 수련될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asana practice based on the methods for union of prana and apana. Even though the meaning of prana and apana is various according to several texts, there is concurrence among texts; prana means upward moving force and apana means downward moving force. However about inward or outward mov-ing force there is no concurrence. So it needs more research. By researching the methods about union of prana and apana, there are some principles of union prana and apana for practice of asana. First, it is possible by kumbhaka, second, by three bandhas third, by the awareness of energy flowing and visualization of energy as light. I tried to find the possibility of asana practice based on the methods about union prana and apana through bujangasana. However it needs to verify by case study and texts.

      • KCI등재

        요가수뜨라(Yogasūtra)의 스므리띠(smṛti)에 관한 고찰 - 요가수뜨라(Yogasūtra) 1.20의 스므리띠(smṛti)와 현대요가에서 마인드풀니스요가(Mindfulness Yoga) 적용문제를 중심으로

        옥장숙,이거룡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4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Vol.25 No.2

        본 논문의 목적은 요가수뜨라(Yogasūtra)의 스므리띠(smṛti)를 고찰함으로써, 요가의 마음챙김(mindfulness)을 검토하고, 현대요가에서 마음챙김요가(Mindfulness Yoga)의 적용 가능성을 모색해 보는 것이다. 요가수뜨라에서 스므리띠는 마음작용(1.6, 1.11)으로 제시되기도 하고, 방편(1.20)으로 제시되기도 한다. 마음작용(1.6, 1.11)의 스므리띠를 '기억(memory)'으로 해석하는 것에는 큰 이견이 없어 보인다. 반면에 요가수뜨라 1.20의 스므리띠에 대해서는 크게 기억(memory), 선정(dhyāna), 사띠(sati) 등의 견해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요가수뜨라 1.20의 스므리띠에 대한 이러한 해석들도 또한 모두가 사띠와 무관하지 않음을 살펴 봄으로써 1.20의 스므리띠가 불교수행의 사띠처럼 ‘마음챙김’으로 해석될 여지가 있음을 알아 본다. 아사나는 신체수련으로 이해되는 것이 일반적인 현대 하타요가의 흐름에서 하타요가의 대표적인 큰 스승인 아이엥가르(B.K.S. Iyengar)가 그의 요가수뜨라 해설에서 아사나를 명상의 과정으로 설명하는 부분은 본 논문의 주제와 관련하여 주목할 만하다. 특히 3.1에서 “응념(dhāraṇā)에 의해 외적 수련이 내적 성찰로 전환된다”고 설명한다. 응념의 이러한 성격은 고엔까 위빳사나의 아나빠나사띠에 관한 설명에서 “한 대상에 계속 머물러 집중 유지하기”와 “잡생각 물리치기”라는 집중의 중요한 두 가지 자질을 계발할 수 있다고 설명하는 부분과 상통한다. 이는 ‘응념’이 아사나에서 사띠와 유사한 성격을 지니고 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위 논의들을 토대로 볼 때, 아사나 중심의 현대 요가에서 ‘마음챙김요가’는 적용 가능하다고 보여진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mindfulness in yoga by examining the concept of smṛti in the Yogasūtra, and to explore the applicability of mindfulness yoga in contemporary yoga. In the Yogasutra, smriti is presented both as an action of the mind (1.6, 1.11) and as a method (1.20). There seems to be little disagreement with interpreting smriti as “memory” in the mind-action (1.6, 1.11). On the other hand, there are three main views of smriti in Yogasūtra 1.20: memory, dhyāna, and sati. This paper will show that these interpretations of smriti in Yogasūtra 1.20 are not all unrelated to sati, leaving room for smriti in 1.20 to be interpreted as “mindfulness,” like sati in Buddhist practice. In the modern stream of hatha yoga, where it is common for asana to be understood as a physical practice, it is noteworthy in relation to the topic of this paper that B.K.S. Iyengar, the greatest teacher of hatha yoga, describes asana as a process of meditation in his commentary on the Yogasūtra. In particular, in 3.1, he explains that “by dhāraṇā, external practice is transformed into inner reflection.” This characterization of dhāraṇā resonates with the description of anapanasati in the Goenka Vipassana, where it is explained that it enables us to develop two important qualities of concentration: “maintaining concentration by staying on one object” and “eliminating distractions.” This shows that dhāraṇā is of a similar nature to sati in asana. Based on the above discussion, it seems that mindfulness yoga is applicable in modern asana-centered yoga.

      • KCI등재후보

        특별기고 : 한국 요가의 현실과 전망

        강은순 ( Eun Soon Kang ),임동호 ( Dong Ho Lim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3 韓國思想과 文化 Vol.69 No.-

        우리나라에 요가가 대중화되기 시작한 것은 1960년대에 들어서이다. 이후 요가협회가 발족되고 일반인들에게 보급되었다. 그러나 현대로 들어올수록 요가는 단순히 다이어트나 몸매를 만들기 위한 수단으로만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요가의 본질에 대해 바르게 인식하며 한국요가의 현실을 조명하고 요가의 발전을 도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요가의 현실은 다음과 같이 볼 수 있다. 첫째, 아사나만 지나치게 강조하는 신체수련 중심의 요가로 인해 심신의 균형 잡힌 발전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아사나가 몸의 습관과 체질을 바꿔 몸의 균형을 바로잡는 수련법이긴 하지만, 요가의 일부분이지 전부는 아니다. 아사나만 잘 한다고 요가를 완전히 행한다고 말하기 어려우나, 현재 대부분의 지도자와 수련자들이 아사나 만을 통해 요가를 말하는 것에 문제가 있다. 둘째, 요가 전문가들의 노력 부족과 연구 의지의 미약을 들 수 있다. 요가수련은 건강과 직결되어 있는 것이기 때문에 검증되지 않은 지도자들에 의해 요가 지도가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검증되고 사명감 있는 요가 지도자들에 의해 올바른 지도가 필요하다. 이러한 전문가들의 노력과 연구로 현대 한국 사회에 맞추어 바르게 행해지는 요가가 선행되어야 한다. 셋째, 공인된 요가협회의 필요성이다. 현재 요가 협회, 요가 기관, 요가 지도자 수, 요가 수련자 수 등에 대한 실태 파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우리나라의 요가 실태를 파악하고, 요가 문화를 연구하고 발전시켜 나갈 수 있는 공인된 기관이 있어야 한다. 넷째, 요가가 단순히 다이어트를 위한 운동이 아니라, 심신 치유에 도움이 되는 보완 치유 요법으로서의 위상 확립을 해야 한다. 인도에서 요가는 아유르베다와 같은 전통 의학과 함께 통합적으로 대체의학으로서의 역할을 해왔다. 우리나라에서도 전통적으로 아유르베다와 같은 체질을 연구한 사상체질론이 존재한다. 이러한 분야와 함께 요가를 통합 연구하여 우리 문화에 맞는 보완 치유 요법을 연구하는 것이 중요하다. This study is though about the status and problems with occupied Yoga in Korea society. I try to recognize rightly about the true nature of the Yoga and the purpose of the yoga. The intention of Yoga is to promote the development. Currently, Yoga status of our country can be seen as follows. First, the only Asana-oriented Yoga training over-stressing the body is not the balanced development of mind and body which is the point. The Asana is the training method which change the constitution with the habit of our body and correct the balanced of one``s body. If the body is changed rightly, the mind must be changed together. It is because the body of the human and the consciousness is to grow together. The preceding bodies and consciousness make an imbalance, so it is need to grow consistently. Second, the experts Yoga may be the lack of effort and the volition of research. The Yoga practice is directly related to health. But the Yoga coaches partially gave lessons who have been made by untested leaders. So, we need the Yoga leader who has the verification and the sense of duty. Such these efforts and research experts will be preceded by the Yoga with acting correctly match in the modern society Third, it will be necessity of the yoga group which is recognized officially. It identify the current status of Korea``s Yoga, and the agency is required to manage. It is keen to lead the yoga culture with the continuing research and development. Fourth, the Yoga should be the establishment of the position. The Yoga practice is the self-evident fact that the promotion of health is the vast role. But many people do not do the Yoga steadily. Because, it is the lacks of essential understanding about the Yoga. A recovering potential power of the Yoga have gotten the human desire from many coutnries. The Yoga position should establish through the continuous research of the Yoga parts in the field of alternative medicine in the korea society. We need the development of Korea Yoga systems currently which we lay the stress at the result to be seen as the surface. It should be settled an one step further to develop a mature yoga culture in our Korea society.

      • KCI등재

        한국 요가의 현실과 전망

        강은순,임동호 한국사상문화학회 2013 韓國思想과 文化 Vol.69 No.-

        This study is though about the status and problems with occupied Yoga in Korea society. I try to recognize rightly about the true nature of the Yoga and the purpose of the yoga. The intention of Yoga is to promote the development. Currently, Yoga status of our country can be seen as follows. First, the only Asana-oriented Yoga training over-stressing the body is not the balanced development of mind and body which is the point. The Asana is the training method which change the constitution with the habit of our body and correct the balanced of one's body. If the body is changed rightly, the mind must be changed together. It is because the body of the human and the consciousness is to grow together. The preceding bodies and consciousness make an imbalance, so it is need to grow consistently. Second, the experts Yoga may be the lack of effort and the volition of research. The Yoga practice is directly related to health. But the Yoga coaches partially gave lessons who have been made by untested leaders. So, we need the Yoga leader who has the verification and the sense of duty. Such these efforts and research experts will be preceded by the Yoga with acting correctly match in the modern society Third, it will be necessity of the yoga group which is recognized officially. It identify the current status of Korea's Yoga, and the agency is required to manage. It is keen to lead the yoga culture with the continuing research and development. Fourth, the Yoga should be the establishment of the position. The Yoga practice is the self-evident fact that the promotion of health is the vast role. But many people do not do the Yoga steadily. Because, it is the lacks of essential understanding about the Yoga. A recovering potential power of the Yoga have gotten the human desire from many coutnries. The Yoga position should establish through the continuous research of the Yoga parts in the field of alternative medicine in the korea society. We need the development of Korea Yoga systems currently which we lay the stress at the result to be seen as the surface. It should be settled an one step further to develop a mature yoga culture in our Korea society. 우리나라에 요가가 대중화되기 시작한 것은 1960년대에 들어서이다. 이후 요가협회가 발족되고 일반인들에게 보급되었다. 그러나 현대로 들어올수록 요가는 단순히 다이어트나 몸매를 만들기 위한 수단으로만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요가의 본질에 대해 바르게 인식하며 한국요가의 현실을 조명하고 요가의 발전을 도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요가의 현실은 다음과 같이 볼 수 있다. 첫째, 아사나만 지나치게 강조하는 신체수련 중심의 요가로 인해 심신의 균형 잡힌 발전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아사나가 몸의 습관과 체질을 바꿔 몸의 균형을 바로잡는 수련법이긴 하지만, 요가의 일부분이지 전부는 아니다. 아사나만 잘 한다고 요가를 완전히 행한다고 말하기 어려우나, 현재 대부분의 지도자와 수련자들이 아사나만을 통해 요가를 말하는 것에 문제가 있다. 둘째, 요가 전문가들의 노력 부족과 연구 의지의 미약을 들 수 있다. 요가수련은 건강과 직결되어 있는 것이기 때문에 검증되지 않은 지도자들에 의해 요가 지도가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검증되고 사명감 있는 요가 지도자들에 의해 올바른 지도가 필요하다. 이러한 전문가들의 노력과 연구로 현대 한국 사회에 맞추어 바르게 행해지는 요가가 선행되어야 한다. 셋째, 공인된 요가협회의 필요성이다. 현재 요가 협회, 요가 기관, 요가 지도자 수, 요가 수련자 수 등에 대한 실태 파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우리나라의 요가 실태를 파악하고, 요가 문화를 연구하고 발전시켜 나갈 수 있는 공인된 기관이 있어야한다. 넷째, 요가가 단순히 다이어트를 위한 운동이 아니라, 심신 치유에 도움이 되는 보완 치유 요법으로서의 위상 확립을 해야 한다. 인도에서 요가는 아유르베다와 같은 전통 의학과 함께 통합적으로 대체의학으로서의 역할을 해왔다. 우리나라에서도 전통적으로 아유르베다와 같은 체질을 연구한 사상체질론이 존재한다. 이러한 분야와 함께 요가를 통합 연구하여 우리 문화에 맞는 보완 치유 요법을 연구하는 것이 중요하다.

      • KCI등재

        요가 아사나에서 영웅좌(Vīrāsana)의 변형 사례

        최윤제 ( Choi Yoon Jea ) 인도철학회 2024 印度哲學 Vol.- No.70

        This study examines the variations and applications of Vīrāsana (Hero Pose) from classical and Hatha yoga to modern yoga. The transformation of Vīrāsana is considered a paradigm of the poses extensively modified or developed in modern yoga. In classical yoga, commentators predominantly recognized Hero Pose as half-lotus pose, though it was sometimes identified with full-lotus pose. Additionally, two different forms were considered as Hero Pose based on the direction of the bent legs and the position of the feet, one of which was a specific applied posture described in the original texts of Hatha Yoga, GS and HP. These four postures can trace their origins to Śaṅkara’s vague reference to “Hero Pose as bending one leg and placing the other knee on the ground.” Later commentators and original texts of Hatha Yoga clarified Śaṅkara’s ambiguous comments by specifying the direction and position of the legs, although the exact locations such as 'side,' 'below,' or 'above' remained unclear. Depending on how these positions are applied, the leg posture of Hero Pose can be demonstrated in different forms, resulting in unique postures in modern yoga distinct from the traditional Hero Pose. Therefore, the ambiguity of the original texts describing Hero Pose, the subjectivity in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and the development of applications during demonstration are identified as the main factors in the transformation of Hero Pose. Moreover, this transformation process in modern yoga represents a shift from focusing on mental well-being through meditation to enhancing physical functionality and health through the adaptation or development of asanas.

      • KCI등재

        12주간의 핫요가 프로그램이 여성의 면역글로불린, 아디포넥틴 및 신체구성에 미치는 영향

        박병주(Park, Byung-Joo) 한국체육과학회 2011 한국체육과학회지 Vol.20 No.6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define the effect of yoga conducted continuously in the higher temperature than body temperature on Immunoglobulin, Adiponetin, and body composition. It is intended for 24 females in their twenties and thirties divided into 3 groups of hot yoga, asana yoga, and non-exercise group and conducted for 12 weeks, 4 times a week. The result of this study is following. The asana yoga group showed significant increases in all lgA, lgG, and lgM after exercise. Among the groups, asana yoga group showed higher lgA than non-exercise group and the asana yoga group showed higher lgG and lgM than hot yoga group and non exercise group. Hot yoga group and asana yoga group showed significant increases in Adiponetin after exercise. Among the groups, hot yoga group was higher than asana yoga group and asana yoga group was higher than non-exercise group. Hot yoga group showed significant decrease in weight from body composition after exercise. Among the groups hot yoga group was lower than asana group and non exercise group. Hot yoga group and asana yoga group showed significant decreases in % body fat. Among the groups, hot yoga group was lower than asana yoga group and asana yoga group was lower than non exercise grou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