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인공생명예술의 미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사이먼 페니의"인공생명예술의 미학"을 중심으로-

        임경호 ( Kyungho Lim ),윤준성 ( Joonsung Yoon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2010 예술과 미디어 Vol.9 No.2

        인간의 생명 창조 욕망은 고대로부터 지속되고 있는 보편적인 욕망이며, 과학기술뿐만 아니라 예술 활동을 통해서도 꾸준히 지속되고 있다. 본 논문은 생명 및 인공생명에 대한 과학기술과 예술의 융합 적 형태로 나타나는 인공생명예술에 관한 연구이다. 특히 본 연구는 과학 분야에서의 인공생명의 정의 및 개념들을 살펴보고, ``VIDA: Art and Artificial Life Art``와 같은 공인된 예술의 장에서 다루어진 인공생명예술 작품 사례들을 소개하고 분석하여, 인공생명예술의 미학적 특성을 밝히고자 한다. 인공생명예술 작품은 디지털이미지 기반의 작품, 인공생명 조각, 자율적 에이전트, 사회문화적 연관 성을 가진 작품들로 분류하여 분석하였고, 이를 토 대로 한 인공생명예술의 미학적 특성으로 자율성 및 창발성에 의한 행동, 생성적 모방의 재현, 새로운 상호작용성, 그리고 기술문명의 일상적 체현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미학적 특성은 전통적인 관객과 작품의 관계를 새로운 방식으로 전환할 것을 요구 한다. The human desire for creation of life is continued. Also the desire is continued through not only the technological efforts but artistic practice. This paper is research for Artificial Life (A-Life) Art that presented convergence of art and technology about life and artificial life. For this research, I survey the definition and concept of A-Life and I also introduce and analysis A-Life artworks that treated at the recognized art field such as ``VIDA: Art and Artificial Life Art``. Then We will present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A-Life Art. A-Life artworks are classified the digital image based artworks, the A-Life sculpture, the autonomous agent and the artworks related social and cultural aspects.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A-Life Art depended on this classification are the aesthetic of behavior, the aesthetic of mimesis, the aesthetic of new interactivity and the embodiment of everyday technologies. These aesthetic characteristics demand that our understanding shift to the relationship between spectator and artwork.

      • KCI등재

        지하루와 그래험 웨이크필드의‘ 인공자연’ 시리즈를 통해 본 인공생명미술의 특징

        전혜숙 현대미술사학회 2020 현대미술사연구 Vol.0 No.47

        “Artificial Nature” is an art installation series and research project by Haru Ji and Graham Wakefield. It is a kind of artificial ecosystem, created by computers through the principles of complex systems, inspired by nature’s creativity and biological mechanisms. Artworks of the “Artificial Nature” series are embodied in immersive mixed-reality as an interactive environment in which viewers are included. In this essay, I trace the history, meaning, and the technological methods of Artificial Life (AL), and summari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emergence and self-organization of AL art, and then described the development of AL art from the 1990s to the present. Focusing on the “Artificial Nature” series, I examine the significance and implication of the technological method of artificial ecosystems using genetic algorithms, as well as of the mixed-reality installation method that maximizes the ontological role of the all perceivable elements within the interactions with viewers. The “Artificial Nature” series conveys the aesthetics of the emergence and generative creativity of computer-based art, which incorporates the concepts and techniques of artificial life into art, and reflects the philosophical quest for aesthetic meaning of artificial ecosystem, in the age of ‘changing concept of life’ of the 21st century. 지하루와 그래험 웨이크필드(Graham Wakefield)의 협업 작품들인 ‘인공자연(Artificial Nature)’ 시리즈는 자연의 창조성과 생물학적 매커니즘에서 영감을 얻고 복잡계의 원리에 의해 컴퓨터로 만든 인공적 생태계를 몰입적인 혼합현실(immersive mixed reality)에 구현한 것으로, 관람자가 포함되는 환경으로서의 인터랙티브 미술설치 작품들이자 다학제적인 연구프로젝트다. 본 논문에서는‘ 있을 수 있는 생명(life-as-it-could-be)’으로서의 인공생명(Artificial Life: AL)의 역사와 의의를 추적하고, 인공생명미술(A-life art)의 창발과 자기조직화의 특성을 정리하며, 1990년대부터 현재에 이르는 인공생명미술의 실행방식과 전개양상을 몇 개의 작품들을 통해 기술한다. 또한 지하루와 웨이크필드의 ‘인공자연’ 시리즈를 중심으로, 유전알고리즘을 이용해 내생적이고 창발적인 생태계를 구축하는 기술적 방식과 관람자와의 인터랙션을 극대화하는 혼합설치 방식을 고찰하면서, 그들이 사용하는 방식들이 인터랙션 안에서 어떠한 존재론적 역할을 하는가 살펴본다.‘ 인공자연’ 시리즈는 인공생명의 개념과 기술을 미술에 접목함으로써 컴퓨터 기반 미술의 창발성과 생성의 미학을 전달하며, 미술로서의 인공생태계가 21세기 생명개념의 변화 시대에 어떤 미학적 의미를 전달할 것인가에 대한 철학적 탐구를 반영하고 있다는 데 의의를 가진다.

      • KCI등재

        예술에서 살펴본 인공지능의 미래 산업화 가능성 – 영화와 인공지능 예술을 중심으로

        김희영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18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50

        The possibility of future industrializ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was studied through aspects of artificial intelligence art and movie. The field of artificial intelligence is developing by imitating humans through past and present, so it can be inferred that it is important to grasp the future image presented in movie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rt. Human values are represented differently in artificial intelligence films and arts. Artificial intelligence film and art are concerned with the external and internal aspects of human values, respectively. The AI movie looks at similar external aspects in human and AI shape and function, but artificial intelligence art deals with human alienation and lack of communication due to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development. Artificial intelligence in movies is a direction to visualize the imagination for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rt is expressed in the way of making and implementing works using technology. The future of artificial intelligence, which we have shown in imagination in movies today, is being realized technologically. Artificial intelligence art reflects the problems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that can be appeared through current technology, and human problems that may arise from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development. Movie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rt reflect the current problems, and through them we can see the future of artificial intelligence. The future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movies is an artificial intelligence service that provides human convenience, cyborg artificial intelligence industry, industry that uses exoskeleton robot and exoskeleton suit, and artificial intelligence secretary. If we look at the future of artificial intelligence through the artificial intelligence art in terms of the problems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and the problem of human value, there are artificial intelligence to learn from trial and error or mistakes, self-expression and communication by lifelogging, recovery of miscommunications by a reflective thinking, and an expansion of the area of artificial intelligence artist through human uncertainty. The future industrialization potential of artificial intelligence as study through aspects of artificial intelligence art and movie is an industry that extends the five senses, an industry that improves the insufficient physical ability of the human, an industry that enhances the physical ability of the human being, and an industry that maintains psychological and mental well-being. 인공지능의 미래 산업화 가능성을 인공지능 예술과 영화를 통해서 연구하였다. 인공지능 분야는 과거와 현재를 통해 인간을 모방하여 발전하고 있으므로 영화와 인공지능 예술에서 제시하는 미래상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유추할 수 있을 것이다. 인간의 가치는 인공지능 영화와 예술에서 다르게 표현된다. 인공지능 영화와 예술은 각각 인간 가치의 외적인 면과 내적인 면에 관심을 가진다. 대체로 영화는 인간과 인공지능의 형체와 기능 등에서 서로 유사한 외형적인 측면을 바라보지만, 인공지능 예술은 인공지능 기술 발전에 기인한 인간의 소외와 소통의 부재에 대해 다룬다. 영화에서의 인공지능은 인공지능 기술에 대한 상상을 시각화하는 방향으로, 인공지능 예술에서는 기술을 활용하여 작품을 제작하여 구현하는 방식으로 발현된다. 오늘날 영화에서 상상력으로 보여준 인공지능의 미래는 기술적으로 실현되고 있다. 인공지능 예술은 주로 현재 기술을 통해 나타날 수 있는 인공지능 기술의 문제와 인공지능 기술발전에서 야기될 수 있는 인간적인 문제를 반영하고 있다. 영화와 인공지능 예술은 전반적으로 현재의 문제를 반영하고 있어 그것들을 통해 인공지능의 미래를 조망할 수 있을 것이다. 영화에서 살펴본 인공지능의 미래상은 인간의 편의를 제공하는 인공지능 서비스형태, 사이보그 인공지능 산업, 외골격 로봇과 외골격 슈트를 활용한 산업, 인공지능 비서 등의 산업이다. 인공지능 예술을 통해 인공지능 기술의 문제점과 인간의 가치문제의 관점으로 인공지능의 미래상을 고찰하면, 실수를 통해 생각하는 인공지능, 라이프로깅의 활용을 통해 자신과 소통하고, 반성적 사고를 통하여 소통의 실패를 만회하며, 인간적인 우연성을 통해 인공지능 예술가의 영역을 확장하는 형태 등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영화와 인공지능 예술을 통해 연구한 인공지능의 미래 산업화 가능성은 인간의 오감 영역을 확장하는 산업, 인간의 부족한 신체 능력을 향상하는 산업, 인간의 신체적 능력을 향상하는 산업, 인간의 심리적 정신적 영역을 치유하는 산업이다.

      • KCI등재후보

        디지털 매체 예술에서 상호작용성과 창발성에 관한 연구 : 인공생명 알고리즘을 응용한 작품 중심으로

        성창경(Sung Changkyoung)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08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8 No.4

        본 연구목적은 인공생명 알고리즘을 통해 생명이 있는 영상작품을 제작하는데 있다. 그리고 "인공생명을 이용한 영상작품이 갖는 의미는 무엇인가?"에 대한 고찰을 서술 해 보고자 하는데서 시작 하였다. 기존의 영상작품은 동일한 내용을 반복해서 보여주거나 제한된 상호작용성이 있다. 그러나 인공생명 알고리즘을 응용한 작품은 스스로 성장하고 소멸할 수 있다. 따라서 작품은 예측 불가능한 창발성(emergence)과 무한한 상호작용성(interactivity)을 갖게 된다. L-system은 자연계의 식물과 유사한 성장 규칙들을 만들어 낼 수 있다. 본 논문은 L-system을 응용하여 성장 하는 식물을 만들었다. 그리고 이것을 이용해 무한히 다르게 표현되어질 수 있는 영상작품(사군자)을 제작하였다. 두 번째 작품으로 세포자동자 알고리즘을 이용해서 수족관속의 인공생명을 창조하였다. 이 인공생명은 수족 관속의 먹이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진화를 하게 된다. 인공생명 알고리즘을 응용한 작품은 무한한 상호작용성 (interactivity)을 표현할 수 있다. 또한 작품이 스스로 예측 불가능한 창발성(emergence)을 나타낸다. 따라서 인공생명예술은 기존예술에 비해 무한한 상호작용성과 창발성을 가질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t making a film work that has life using artificial life algorithm. and "What is the significance of film works using artificial life?" at the viewpoint of artificial life scholars that "The essence of life is information". The existing film works show same contents repeatedly or just have a limited interactivity. But the work applying artificial life algorithm is able to grow and become extinct by itself. Therefore the work gets to have unpredictable emergence and unlimited interactivity. L-system is able to make similar growth regulations with the plants of natural world. This thesis has made a growing plant applying L-system. And the film work (the Four Gracious Plants) that can be expressed unlimitedly in a different way produced using this system. The second work has created an artificial life inside the aquarium using cellular automation algorithm. This artificial life gets evolved into various forms depending on the food inside the aquarium. The works that have applied artificial life is able to express unlimited interactivity. Also the work shows an unpredictable emergence. Therefore the artificial life art can have unlimited interactivity and emergence compared to the existing art.

      • KCI등재

        마크 베다우의 분류에 따른 인공생명예술의 상호작용성에 관한 고찰

        이주빈,김선영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20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60 No.-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예술작품과 감상자 간 거리는 그 어느 때보다 가까워졌고, 감상자의 적극적 참여가 강조되는 상호작 용예술이 주목받는 현실이다. 하지만 대부분의 작품은 감상자가 일정한 규칙을 따르면 그에 대한 결과를 내놓는 다소 한정 적인 경향을 띤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본 연구는 상호작용예술의 다변적 결과를 구현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 인공생명 예술을 제시하였고, 그 상호작용성에 대해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다소 생소한 개념일 수 있는 인공생명과 인공생명예술의 이론적 배경에 대해 알아본 뒤 국내외 다양한 인공생명예술 사례를 소개하였다. 보다 명확한 사례분류를 위해 직관적이면서도 단순한 마크베다우의 부드러운, 단단한, 촉촉한 인공생명예술 분류법을 실제 인공생명예술 사례에 적용 한 뒤 각 사례별 상호작용성의 양태와 차이를 분석하였다. 이때 상호작용성의 정도는 상호작용성의 3요소인 속도, 범위, 맵핑의 충족여부를 바탕으로 결정하였다. 이 기준에 따르면 상호작용성이란 사용자가 매개환경에서 얼마나 빠르게 영향력 있으며 자연스럽게 조작이 가능한지 여부에 따라 그 정도가 결정된다. 사례분석 결과, 부드러운 인공생명예술보다는 단단한 인공생명예술에서, 단단한 인공생명예술보다는 촉촉한 인공생명예술에서 작품과 관람객 간 보다 적극적인 상호작용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이는 촉촉한 인공생명 형태에 가까울수록 지속적 진화를 거듭하는 생명체의 특성인 창발성이 두드러지기 때문이다. 이러한 창발성은 상호작용성의 3요소를 충족시켜 결과적으로 높은 상호작용성을 이끌어내었다. 다시 말해 관람객 개인 맞춤형 상호작용을 가능케 함으로써, 보다 다변적인 상호작용을 도출해내는데 용이하였다. 본 연구가 상호작용 예술의 다변화를 위한 연구의 밑거름이 되기를 희망한다. The distance between art and audience has been closer than ever before while the scope of interactive art has been expanding and the role of audience has become crucial 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ies. But most of the arts tend to show limited outcome allowing audience to follow certain rules and produce certain results in back. With this perspective, this study suggests the artificial life art as an example to realize diverse results in the interactive art. To this end, we introduce the concept of artificial life and artificial life art which could be little known yet and present diverse cases on the field. For clear case classification, we use Mark Bedau’s analysis -Hard, Soft and Wet artificial life- which is intuitive and simple to classify. The 3 factors of interactivity-speed, scope and mapping-are used to ascertain the level of interactivity. According to these 3 factors, interactivity has something to do with how fast, widely and naturally human(audience) can manage the art environment. As a result, Hard type of artificial life art showed stronger interactivity than the Soft type, and the Wet type showed stronger interactivity than the Hard type. This is because the characteristics of Wet type of artificial life show continuous evolution by itself. This means it is able to lead diverse outcomes of art by providing customized interactivity per audience. We hope that the result of this study would be a stepping stone to explore diverse results of the interactive art.

      • KCI등재

        인공생명 예술의 특성

        임경호(Kyung-Ho Lim),윤준성(Joon-Sung Yoon) 한국콘텐츠학회 201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1 No.1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미디어아트의 몰입과 상호작용적 특성에 따른 관객과 작품 사이의 ‘닫힌 관계’로써의 ‘열린 상호작용성’을 넘어, 인공생명(Artificial Life) 예술에 이르러 더욱 진화된 상호작용성에 관해 고찰한다. 이를 위해 생물학 및 계산과학을 비롯한 다양한 학문의 성과에 따른 인공생명 이론을 살펴보고, 인공생명의 자율성과 창발적 행동을 인공생명 예술적 맥락과 연결되는 특성으로 분석하였다. 특히 인공생명 예술을 공인하는 역할을 하고 있는 ‘VIDA : Art and Artificial Life International Awards’에서 선정된 예술 작품들 중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인공생명 예술 작품과 외부 세계에서 개체로 살아 움직이는 인공생명 예술 작품들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관객과 작품 간의 감성적 주체로써의 관계와 나아가 기술과 인간이 맺는 공생과 공진화의 다양한 층위의 관계성에 대해 이해하고자 하였다. In this study, we consider the evolved interactivity at the Artificial Life Art beyond 'open interactivity' as 'closed relationship' between viewer/participant and artwork by immersive and interactive features of digital media art. In order to consider this evolved interactivity, we survey the theory of artificial life of which result of many studies like biology and computational science. And then we analysed characteristics related artistic context of artificial life at the autonomy and emergent behavior of artificial life. Especially, we research the artworks of interaction with ecologies and of living in outside(not in-silico) among the artworks of officially adopting an artificial life arts in ‘VIDA : Art and Artificial Life International Awards’. And we are going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of emotional subjects between viewer/participant and artwork, and a step further to understand the diverse relationship of symbiosis and co-evolution of the technology and human.

      • KCI등재

        인공생명예술의 생성미학적 해석 - 대전 비엔날레 2018 [바이오]의 인공생명 예술작품 분석을 중심으로 -

        신종천 ( Shin Jong Cheon ),윤준성 ( Yoon Joon Sung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8 기초조형학연구 Vol.19 No.6

        본 연구는 대전 비엔날레 2018 [바이오]에 출품된 작품들 중 제 2전시장을 중심으로 소개된 인공생명 예술작품들을 막스 벤제(Max Bense)의 ‘생성미학(generative aesthetics)’을 바탕으로 해석한다. 대전 비엔날레 2018에 전시된 작품들은 '바이오: 예술로 들어온 생명과학'이라는 주제로 5개의 전시장에 4개의 부문-바이오미디어(Bio Media), 디지털 생물학(Digital Biology), 불로장생의 꿈(Dream of Eternal Youth), 인류세의 인간들(Men of Anthropocene)-로 나뉘어져 전시되었다. 그 중에서도, 디지털 생물학 부문에 소개된 예술 작품들-지하루와 그라함 웨이크필드(Graham Wakefield)의 < 중첩 속으로(Insuperposition) >, 필립 비즐리(Philip Beesley)와 LAS(Living Architeccture Systems Group)의 < 빛나는 토양(Radiant Soil) >, 최우람의 < 쿠스토스 카붐(Custos Cavum) >-은 생물학의 연구 성과를 디지털 환경에 적용시킴으로써 생명의 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특히, 그것들은 실제 생명이 아닌 인공생명을 다루지만 생성에 대한 깊은 사유를 바탕으로 생명이라는 주제를 이야기하고 있다는 점에서, 생성미학적 가치를 드러낸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생명 형태의 가능성과 창발성의 측면에서 인공생명예술을 탐구하고, 인공생명예술이 채택하는 상향식 접근 방식이 벤제의 생성미학과 밀접하게 연관될 수 있다는 것을 설명한다. 여기서 생성미학은 규범으로부터 벗어난 일탈 또는 혁신의 가능성에 대한 인공적 생산을 목표로 한다는 점에서, 잠재적인 미학적 요소의 생성으로 논의될 수 있다. 또한 그것은 생물학적 창발을 인공적으로 재현하는 <중첩 속으로>, <빛나는 토양>, <쿠스토스 카붐>과 같은 작품들 속에서 다양한 형식으로 확인되어진다. This study analyzes "generative aesthetics" of Max Bense and interprets the artificial life artworks on display at the 2nd exhibition hall in Daejeon Biennale 2018 [Bio]. The works in Daejeon Biennale 2018 were divided into 4 categories-Bio Media, Digital Biology, Dream of Eternal Youth, Men of Anthropocene-, and were displayed in five exhibition halls under the theme of "Bio: Life science that comes into art". Among them, the works in Digital Biology such as < Insuperposition > by Haru Ji and Graham Wakefield, < Radiant Soil > by Philip Beesley and LAS(Living Architecture Systems Group), and < Custos Cavum > by Uram Choe show that the biological researches can be applied to the digital environment and that the applied researches can extend the taxonomic domain of life. In particular, they reveal the value of generative aesthetics in that although they deal with artificial life instead of real life, they talk about life on the basis of deep thought about the generative process. Therefore, this study explores artificial life art in terms of emergence of life form and explains that the bottom-up approach adopted by artificial life art can be closely related to generative aesthetics of Bense. Here, generative aesthetics can be discussed as the production of potential aesthetic elements in that it aims at the artificial production of probabilities of deviation or innovation from the norm. It is identified in various ways through the works such as < Insuperposition >, < Radiant Soil >, and < Custos Cavum >, which artificially represent biological emergence.

      • 크리스타 좀머러와 로랑 미뇨노: 인공생명 예술과 상호작용성

        고다현 미술사문화비평학회 2020 미술사문화비평 Vol.11 No.-

        본 논문은 크리스타 좀머러(Christa Sommerer, 1964-)와 로랑 미뇨노(Laurent Mignonneau,1967-)의 공동 작품인 인공생명 이론을 접목한 인터랙티브 예술 작품을 분석한다. 좀머러와 미뇨노가 미술계에 주목 받게 된 계기는 첫 작품이라 할 수 있는 <인터랙티브 식물 성장Interactive Plan Growing>(1992)를 발표 하면서부터이다. 이 계기로 좀머러와 미뇨노는 인공생명 개념을 예술분야에 적용하기 위한 본격적으로 연구를 시작했으며, 이후 인터랙티브 아트의 예술적 가능성을 한 차원 더 높였다는 평가를 받았다. 이들은 인간과 상호작용하는 동시에 스스로 자생하는 인공생명을 작품으로 보여주며 뉴미디어 아트의 한 지평을 넓혔다. 본 글에서는 우선 작품 제작에 핵심 개념이라 할 수 있는 인공생명의 정의와 함께 인공생명 개념이 예술과 접목될 수 있던 계기를 살펴본다. 다음으로 좀머러와 미뇨노가 인공생명 예술 개념에 관심 갖게 된 계기와 더불어 이들 작품의 특징이라 할 수 있는 상호작용성을 중심으로 분석해 보고자 한다. 또한 인공생명이라는 존재가 인터랙티브 아트로서 갖는 관람자와의 상호작용성을 알아본다. This paper analyzes the interactive artistic work of Christa Sommerer (1964-) and Laurent Mignonneau (1967-) — collaborative work based on the theory of artificial life. Sommerer and Mignonneau first came to prominence in the art world with what may be considered their first work: Interactive Plant Growing (1992). Following this, their extensive research on how to apply the concept of artificial life to artistic fields is considered to have raised the artistic possibilities of interactive art to new heights. With regard to the art of artificial life in particular, their unique aesthetics and their work demonstrating self-regenerating artificial life which simultaneously interacts with humans broadened the horizons of new media art. In this paper, I will examine the definition of artificial life — the key concept — and the process of how the concept of artificial life was combined with art during the creation of artistic works. Next, I will describe how I became interested in Sommerer and Mignonneau’s concept of the art of artificial life as well as interactivity — the defining characteristic of their work — in the art of artificial life. I will also examine the interactivity of artificial life with audiences as interactive art.

      • KCI등재

        인공지능과 서화예술의 생명성에 관한 연구

        김윤주 한국동양예술학회 2019 동양예술 Vol.45 No.-

        Artificial intelligence has a lot of influence in the art field, and its value is recognized as the works of art are sold in the auction market. There is the deep learning method which has been recently used in AlphaGo, and it is a system that mimics the process of human’s perceiving the world and recognizing the object. As AI begins to use this deep learning method, artificial intelligence wrote jazz music, completed the work of Rembrandt by learning the styles of famous artists, and produced Chun Lian(春聯). Such artificial intelligence is expected to have an influence in the field of calligraphy and painting. In this study, thus, to evaluate and diagnose such phenomena aesthetically, I investigated the unique worldview of calligraphy and painting and examined the possibility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realizing the spirit in the worldview. The aesthetic consciousness of calligraphy and painting can be examined through the Book of the Changes which tries to clarify the origin of life and the principle of life through which all things are made. The correlative relationship of yin and yang is a life principle of all things and embraces the aesthetic possibility as a principle of change and creation of art. That can be confirmed through the theory of calligraphy and painting of Kim Jeong-hui, Bu Yantu(布顔圖), and Shao Meichen(邵梅臣). They said that the vitality of the nature could be reproduced when understanding the creating principle of the universe based on ‘the Way that yin and yang successively move[一陰一陽之謂道]’. In addition, they decided that the artistic creativity, which had ‘the Spirit that they cannot assess yin and yang[陰陽不測之謂神]’, could emerge when they understand and express the principle of change which yin and yang complement and embrace each other. On the other hand, until now, the driving system of deep learning basically finds the correct answer by recognizing the small unit in the lower level and the higher unit as it goes up. In this process, the answers found by the neurons in the lower level are often inaccurate. Therefore, because of its narrow view, it causes distortions like they perceived Michelangelo’s <The Creation of Adam>. As such, at the current level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it seems to be difficult for AI to recognize the significance of ‘stroke’, which is important in calligraphy and painting, and to expect a form that is full of vitality. In addition, because the calligrapher’s or painter’s love for life is not based on a copy and a logical understanding but a stage of experience and inspiration, there is a limit to make the machine learn it. Ultimately, even if artificial intelligence can reach a level that mimics an artist’s consciousness, so that fundamental learning about East Asian art becomes possible, it still remains a question of judging whether or not it is merely the manifestation of an artist by AI.

      • KCI등재후보

        미디어아트로서의 인공생명예술에 관한 연구 -기계 개념 및 기계 미학을 중심으로

        임경호 ( Kyungho Lim ),윤준성 ( Joonsung Yoon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2010 예술과 미디어 Vol.9 No.1

        다양한 실험적 형태로 나타나고 있는 미디어아트는 쉽게 정의하기 어렵기 때문에 미디어아트는 어떻게 작동하는가라는 질문을 통해 이해하는 것이 용이하다. 한편 들뢰즈의 기계 개념을 통한 기계 미학적 관점은 미디어아트를 이해하는 또 다른 접근법이다. 본 논문에서는 숭고의 의미가 도입된 기계 미학을 통해 인공생명예술과 같은 미디어아트에서 독특한 형태의 예술 실천에 접근한다. 또한 인공생명예술을 통해 일상의 삶을 예술로 끌어들일 수 있는 미학적 문제의 접근 가능성을 작품 사례를 통해 제시한다. 미디어아트의 기계 미학은 작가-관객-작품을 일상 의 삶으로부터 제3의 열린 공간으로 초대함으로써 감성적 지각의 차원에서 통합된 의식으로의 미학적 경험을 이끌어 낸다. Defining media art that presented various experimental forms is difficult. Thus the question should be changed to how do media art action or work? The aesthetics of machinic from which Deleuze`s concept of ``machine`` is an another aproach to understand media art. In this paper, we approach to an unusual artistic practice of media art such as artificial life art through the aesthetic of machinic that imported the sublime. We also present the accessibility about problem of aesthetic of everyday life through some of artificial life artwork. The aesthetic of machinic of media art invite the author-spectator-artwork to the 3rd spa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