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술치료의 치료적 요인별 효과적인 미술매체에 관한 질적 연구: 전문가 인터뷰를 중심으로

        김미진,이근매 한국미술치료학회 2015 美術治療硏究 Vol.2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ind effective art materials for each therapeutic factor having a positive influence on clients in art therapy. For this aim of this study, 10 therapeutic factors were chosen, including such as intimacy, self-awareness, self-expression, communication, catharsis, availability, creativity, relaxation/regression, integration and symbolization by analyzing Therapeutic Factors in art therapy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 In addition, classifying art materials were classified as flat dried materials, flat wet materials, solid dried materials, solid wet materials, paper materials and atypical materials. To determine what art therapy experts considered find out usage and appropriateproper art materials for each selected therapeutic factor and how they used those materials in therapeutic treatments, the researcher conducted interviews of consensual quality analysis was carried out for 10 art therapy experts through interview about therapeutic factors in art therapy and proper materials for that. In the result wet materials promoting regression are appeared to proper for relaxation/regression factors. The results suggest that factors included in the cognitive domain connected to perception and consideration, such as self-awareness and, communication, are related to flat dried materials, and solid wet materials are mainly used for factors included emotional stimulus, such as catharsis, intimacy, and relaxation/regression. 본 연구는 미술치료에서 내담자에게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치료적 요인별 효과적인 미술매체를 살펴보고자하였다. 연구문제를 수행하기 위해 먼저 이론적 고찰을 통한 미술치료의 치료적 요인을 분석하여, 10개의 치료적 요인인 친밀감, 자기이해, 자기표현, 의사소통, 카타르시스, 용이성, 창조성, 이완/퇴행, 통합, 상징화를 선정하였다. 또한, 평면건식매체, 평면습식매체, 입체건식매체, 입체습식매체, 종이매체, 비정형매체로 미술매체를 분류하였다. 선정된 치료적 요인별 미술치료 매체의 활용 정도와 적합한 미술매체를 살펴보기 위해 미술치료전문가 10명에게 미술치료의 치료적 요인과 이에 적합한 미술매체에 관한 면담을 통해 합의적 질적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퇴행을 촉진하는 습식 매체들은 카타르시스와 이완/퇴행 요인에 적합하다고 나타났다. 지각과 사고에연계되어 있는 자기이해, 의사소통, 통합 등의 인지적 영역에 포함되는 요인들은 평면건식매체 등이 연관성이있었다. 카타르시스, 친밀감, 이완/퇴행 등의 정서적 자극을 포함한 요인에는 평면, 입체습식매체가 주로 활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집단미술치료에서 미술치료사의 매체 활용 경험에 대한 포커스 그룹 인터뷰 연구: 정신건강의학과 보호병동 중심으로

        정유진(Jung, You-jin),이은주(Lee, Eun-joo) 한국미술치료학회 2020 美術治療硏究 Vol.27 No.5

        본 연구는 정신건강의학과 보호병동 집단미술치료에서 미술치료사들의 매체 활용 경험을 탐색하고 임상현장에서의 실증적인 자료를 수집하여 매체를 활용함에 있어 치료적 활용을 연구 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확보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정신건강의학과 보호병동에서 집단미술치료 경험이 있는 미술치료사 12명을 두 그룹으로 나누어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치료사는 보호병동 집단미술치료에서 매체를 선정함에 있어 병동의 환경적 특성, 환자의 다양한 증상적 특성, 매체 활용 방법의 다양성, 치료사의 특성, 치료목적을 고려하여 선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매체가 효과적으로 사용되었던 경험으로는 환자들의 사회적 경험이 간접적으로 이루어지거나 환자들의 미술치료 참여 욕구를 자극하였을 때라고 하였다. 셋째, 매체가 환자에게 미친 영향으로는 환자들의 자기표현을 자극하게 되어 긍정적인 변화를 미칠 수 있는 경험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보호병동 집단미술치료에서 매체 활용 시 어려움과 대처에 있어 치료 환경과 환자의 증상적 특징으로 인해 어려움이 있었고, 준비과정과 회기 진행과정에서 치료사의 적절한 대처 경험을 탐색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정신건강의학과 보호병동 임상현장에서 매체 활용을 이해해볼 수 있었으며, 추후연구와 임상에서 매체 활용연구의 기초자료로 제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research aims to gather a basic data to study the clinical use of art materials based on collected clinical empirical data from art therapists who have experience using group art therapy within a mental health care ward. The study conducted focus group interviews with 12 art therapists, divided into two different groups based on their clinical experience. Findings of this study show; First, art materials were selected by art therapists with thorough consideration based on clinical setting, severity of patients’ symptoms, use of art materials, art therapist s style, and purpose of art therapy. Second, art materials were used most effectively when art therapists provided indirect social experience or encouraged participation from their patients. Third, the art therapists experienced that art materials created positive changes in patients via amplified self-expression. Fourth, the use of art materials in group art therapy had difficulties due to different clinical settings as well as various patients symptoms. However, proper handling by art therapists was observed during the preparation and program activities. This study indicates how art materials apply to clinical practice in a mental health care ward, and this may be useful as basic data on clinical use of art materials and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

        ADHD 청소년의 정서조절을 위한재활용품 활용 미술중심 예술치료 프로그램 설계

        편정원,이에스더 한국문화교육학회 2015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0 No.1

        오늘날 빠르게 변화하는 지식과 정보화 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우리나라 청소년들은 입시경쟁 위주의 교육제도, 학업과 진로고민, 왕따, 학교폭력 등의 부정적 환경 요인으로 인해 그 어느 때 보다 더 많은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다. 이러한 요인으로 인해 ADHD 청소년들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들은 과잉행동, 주의력 결핍, 잦은 충동성 등으로 인해 학교생활에 여러 가지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그러므로 ADHD 청소년들이 건강하게 학교생활을 영위하기 위해서는 약물치료법 외에 심리 상담과 더불어 정서조절 및 다양한 문제해결을 위한 예술치료의 적용이 요구된다. 예술치료는 미술, 음악, 무용 등의 다양한 예술매체가 활용되며, 그 중 미술매체에는 그리기 재료, 입체 재료, 자연 재료, 재활용품 재료 등이 있다. 특히 재활용품은 폐휴지, 페트병, 신문지 등 다양한 생활재료를 활용하여 대상자의 느낌, 생각, 감정 등을 안정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매체로 ADHD 청소년들의 정서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ADHD 청소년의 정서조절을 목적으로 재활용품을 활용한 미술 중심의 예술치료적인 접근을 시도하였다. 매체접근의 편의성, 매체제공의 다양성, 정서 기능 강화의 측면에서 재활용품을 활용하여 다양한 예술치료 활동을 경험할 수 있도록 미술중심의 12회기 예술치료 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Most Korean adolescents living in a rapidly changing Knowledge-Information centric society have been experiencing much stress because of not only worry about their study and academic career but also negative environmental factors like bullying and school violence. Because of these factors, the number of teenagers with ADHD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has been increasing and the students have a great difficulty in their school life due to hyperactivity, attention deficit and frequent impulsiveness. In order to help teenagers with ADHD to lead healthy school life, precaution for emotional regulation and various approaches on solving problems are required. Recently, the importance of arts therapy along with psychology consultation comes to the fore. Arts therapy utilizes various art media -painting, music, dancing, play, movie, photograph and literature- and the materials used in art therapy include drawing, three-dimensional, natural and recyclable ones. Among them, the recyclable materials can be especially helpful for emotion of adolescents with ADHD as the students can express their feelings and thoughts by utilizing various materials such as used paper, PET bottle, newspaper etc. Therefore, in this study, the art-centric arts therapeutic approach using recyclable materials was tried for teenagers with ADHD controlling their emotion. Considering the aspects of easy access to the medium, variety of materials, and enforcement of emotional function, the art-centric arts therapy program was designed for the subjects to experience various arts therapeutic activities by using recyclable materials.

      • KCI등재

        미술치료에서 매체제공 환경 조건에 관한 연구: 미술매체 수량을 중심으로

        김양자 인문사회 21 2019 인문사회 21 Vol.10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for stable material supply in art therapy. For this purpose, the investigator collected 103 questionnaires from art therapists in the Seoul metropolitan region in 2018 and conducted frequency analysis with them.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35%, 29%, 24%, and 12% of the subjects had a career of 10 years or more, 5-10 years, 1-5 years, and less than a year, respectively; second, the number of art materials provided by art therapists was under 50 in 68%, 50-100 in 29%, and 100-200 in 3%; third, the “proper amounts” assessment was the highest among the art therapists with a career of 10 years or longer, and the “small amounts” assessment was the highest among those who had a career of 1-5 years; and finally, clay recorded the highest frequency of use, being followed by drawing tools, paper, and paints in the order.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for a stable art material supply include the number of art materials provided limited under 50 frequent use and the art therapists' abilities of making use of materials, putting proper limits on them, and adjusting to changes. These conditions require a need for ongoing reedu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미술치료에서 안정적인 매체제공 환경 조건이 무엇인지 살펴보는데 있다. 2018년 수도권지역에 종사하는 미술치료사로부터 103부의 자료를 수집하여 빈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연구 대상의 경력은 10년 이상 35%, 5년 이상-10년 미만이 29%, 1년 이상-5년 미만이 24%, 1년 미만이 12%으로 나타났다. 둘째, 미술치료사가 제공하는 미술매체의 수량은 50개 미만이 68%, 50-100 미만이 29%, 100-200미만이 3%로 나타났다. 셋째, 10년 이상의 경력자의 ‘적당하다’라는 평가가 가장 높으며, 1년 이상-5년 미만의 경력군에서는 ‘적다’라는 평가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넷째, 사용빈도가 높은 매체는 점토류, 그리기도구, 지류, 물감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안정적인 미술매체 제공 환경 조건은 사용빈도가 높은 50개 미만의 미술매체 제공과 미술치료자의 매체활용능력, 미술매체를 적절히 제한 할 수 있는 능력, 변화에 적응하는 능력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이를 위해 미술치료사의 꾸준한 재교육이 실시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표현예술치료의 창조성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다양한 예술매체의 창조적 연결을 활용한-

        김은숙 한국상담학회 2019 상담학연구 Vol.20 No.1

        This study aims to describe and understand rich meanings and nature of ‘creativity’ of expressive arts therapy using ‘creative connection’ of various art materials, and to figure out vivid experiential values of expressive arts therapy's own. The study also aims at making a small contribution to share values of experiences of ‘creativity’ in expressive arts therapy and to heighten its therapeutic values, by reviewing how various genres of art materials contributes to healing when they are creatively connected, and how it is experienced by the participants in the actual scenes. For this, the data were collected by various methods including in-depth interviews with 24 participants from July 2014 and January 2015. The data were analyzed according to four steps of the phenomenological method by Giorgi. 1080 meaning units were used for the analysis and 8 core components and 24 sub-components were deduced by grouping the meaning units with identical meaning category. The nature of experiences of ‘creativity’ of the expressive arts therapy revealed through this study are a message of image becomes(is expressed) a symbol or an image by expressive art material, the blocked energy flows again through creative connection of a variety of art materials(conversion of energy), leading to convert(reorganize) maladaptive mental structure to wise enough for living, and the images of healing experienced in creative process are recreated as afterimages and they are integrated, embodied (stabilized) in lif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it has revealed that the elevated creativity experiences resulting from crossing of various art materials and the experiences affect continually by reviving in the gestalt of experience in daily lives.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예술매체의 ‘창조적 연결’을 활용한 표현예술치료의 ‘창조성’의 풍부한 의미와 본질을 기술하고 이해하며, 표현예술치료만이 고유하게 갖는 생생한 경험적 가치들을 탐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다양한 장르의 예술매체들이 창조적으로 연결될 때 그것이 치유에 어떻게 얼마나 기여하는지, 실제 현장에서 참여자들에게 어떻게 경험되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창조성’ 경험의 임상적 가치를 공유하고 그 치료적 가치를 높이는데 작은 기여를 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2014년 7월부터 2015년 1월까지 24명의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비롯한 다양한 방법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은 Giorgi의 현상학적 방법의 4단계로 실행하였고, 1080개의 의미단위가 분석에 사용되었으며 의미단위를 동일한 의미로 묶어서 8개의 핵심 구성요소와 24개의 하위 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표현예술치료 ‘창조성’의 경험의 본질은 표현예술매체를 통하여 심상의 메시지가 상징이나 이미지로 (표현)되고, 다양한 예술매체의 창조적 연결로 막혀있던 에너지가 다시 흐르는 (에너지의 전환)이 일어나서, 부적응적인 정신구조가 삶을 살아가기에 지혜로운 구조 (재구조화)가 되고, 창조 과정에서 경험한 치유의 이미지가 잔상으로 되살아나서 삶속에서 통합시키고 체화시키면서 (안정화)가 되는 것이다. 본 연구는 16회기의 프로그램이 진행되는 현장에서 다양한 예술매체들이 서로 교차되어서 발생하는 상승된 창조성 경험과 그 경험들이 일상의 삶속에서 경험의 형태로 되살아나서 지속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밝혀냈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미술치료에서 미술치료자의 매체제공에 관한 연구

        김태완 인문사회 21 2019 인문사회 21 Vol.10 No.5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a look into the details of a therapeutic meaning of providing a therapy material in a therapy session and what affects a therapist on choosing a material for client. A set of question were given to subjects, who were art therapists, working in Seoul and metropolitan areas. A 103 answer sheets came collected at the end of the process and a frequency analysis was proceeded on them. The study results firstly, therapists’ choice of materials on who their client was remained same or different. Secondly, therapists tend choose of different materials according to main complaints or symptoms of clients, their age, sex or preferences and for their own safety issues. Thirdly, therapists choose of same materials when clients’ sense of security, reactiveness or progression were involved. The concluded firstly, An art therapist tends to prioritize a client’s sense of security when choosing and providing a therapy material, Secondly, the materials provided by a therapist an aspect of human heart invested in it, Thirdly, language is the absolute medium for art therapy, Therefore, In future research we hope to find ways classify the therapeutic factors of the art media and use them for art therapy. 본 연구는 미술치료에서 미술치료자가 내담자에 따라 매체를 어떻게 제공하고 있으며 제공된 매체에 포함된 치료적 의미는 무엇인지를 알아보고자 서울, 수도권 지역에서 미술치료에 종사하고 있는 대상자들에게 설문지를 배포하고 103부를 회수하여 빈도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미술치료자들은 내담자에 따라 매체를 다르거나 동일하게 제공하였다. 둘째, 미술치료자는 내담자들의 주 호소, 연령, 성별, 매체선호반응 그리고 안전성에 따라 매체를 다르게 제공하였다. 셋째, 미술치료자는 매체에 대한 안전감, 내담자의 반응 그리고 발달에 매체를 동일하게 제공하였다. 연구결론은 첫째, 미술치료자는 매체제공과 관련하여 안전감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한다. 둘째, 미술치료자가 제공하는 매체는 우리들의 마음이다. 셋째, 미술치료에서 매체는 언어이다. 따라서 추후 연구에서는 미술매체의 치료적 요인을 분류하여 미술치료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보길 기대한다.

      • KCI등재

        한국화 매체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치매노인의 자기표현에 미치는 효과

        채윤희,문정민 한국미술치료학회 2018 美術治療硏究 Vol.25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using Korean painting material on the self-expression of elderly patients with dementia.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eight individual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eight in the control among mild dementia over 65 years of age who were using J Home Care Center in K city and wanted to participate with the agreement of themselves and their guardians. Participants except two who were dropped out for health reasons of control group, were randomly deployed into the two groups and 60 minutes per session, a total of 16 sessions conducted for the period from July 2015 to October 2015. As research tools, the Art-Self and Communicational-Self Expression Ability Evaluation were employed for pre- and post-implementation and analysis. Data processing was performed by repeated measurement for comparative analysis and the characteristics of change in art and communication self-expression of the group members. And analyzed qualitatively, together with the characteristics of change when brushes and colored Korean papers were used. The results showed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art and communication self-expression ability of elderly patients with mild dementia using Korean painting material into group art therapy. Therefore, it can be used in clinical field as a therapeutic approach to art therapy program for the elderly patients with mild dementia. 본 연구는 경증치매노인에게 한국화매체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를 실시하여 자기표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K시의 J재가복지센터를 이용 중인 65세 이상 경증치매노인 중 프로그램 참여를 원하는 분을 대상으로 본인과 보호자의 동의를 얻어 실험집단 8명과 비교집단 8명으로 무선배치 하였다. 건강상의 이유로 중도 탈락한 경우를 제외한 실험집단 8명과 비교집단 6명을 최종 연구 집단으로 하였다. 연구기간은 2015년 7월부터 10월까지 주 1회, 회기 당 60분씩, 총 16회기의 집단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미술자기표현(Art-Self Expression)능력 평가와 언어자기표현(Communicational-Self Expression)능력 평가를 사전․사후로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자료처리는 반복측정 변랑분석을 실시하였고, 집단구성원들의 과정별 미술자기표현과 언어자기표현의 변화 특성과 붓과 색한지를 사용했을 때의 특성을 질적 분석 하였다. 연구결과, 한국화 매체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경증치매노인의 미술자기표현능력과 언어자기표현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임상영역에서 경증치매노인을 대상으로 한 미술치료프로그램에 치료적인 접근으로 활용될 수 있기를 바란다.

      • KCI등재

        입체매체와 평면매체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ADHD 경향 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

        김경식 한국미술치료학회 2013 美術治療硏究 Vol.2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입체매체와 평면매체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ADHD 경향 아동들의 주의력결핍과 과잉행동 및 충동성 감소에 미치는 효과성을 비교 검증하고, 나아가 ADHD 경향 아동의 미술치료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매체를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K시에 소재하고 있는 S초등학교 1, 2학년에 재학 중인 아동들 중, 이를 실험집단 10명, 비교집단 10명, 통제집단에 10명으로 구성하였으며, 프로그램은 총 16회기 4단계로 구성하였다. 연구도구는 한국판 ADHD 평가척도 K-ARS와 ‘ADHD 아동 행동평가 평정지-관찰자용’을 이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WIN 18.0 Program 이용하여 집단과 검사 시기를 반복측정 변인으로 하는 이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으며, ADHD 아동 행동평가 평정지를 활용하여 아동의 문제행동에 대한 회기별 변화과정을 하위영역별로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입체집단과 평면집단 모두 통제집단보다 주의력결핍과 과잉행동 및 충동성의 사후검사 점수가 사전검사에 비해 유의한 수준으로 감소하였으며, 사후․추후 점수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그 효과가 지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입체집단과 평면집단의 치료회기별 프로그램의 진행과정에서 입체집단이 평면집단보다 적응적인 참여를 보였으며, 진행과정의 효율성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using 3 and 1 dimensional materials in reducing the attention deficiency, behavioral overreaction, impulsiveness of ADHD children so as to recommend materials that could improve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30 ADHD children belonging to the normal range in the first and second grade at S elementary school in the city K.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he experimental group of 10 using 3-dimensional materials, the comparison group using 1-dimensional materials, and the control group of 10. The 16 session therapy consisted of 4 phases. The data was computed by using the SPSS WIN 18.0 program which calculated repeated measures from ANOVA with the group and the test period as repeated measures variables. Change in the participants' behavior along the sessions on the subcategories were compared using ADHD children behavior evaluation sheet.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mparison between the pre and posttest found that both the 3-dimensional and 1-dimensional group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duction in attention deficiency and overreaction at the posttest,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re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found between the post and follow-up test. Second, the 3-dimensional group showed more adaptive participation than the 1-dimensional group, an indication of the 3-dimensional group's high efficiency in conducting the therapy

      • KCI등재

        암 환자 대상 미술치료 연구동향 분석

        모소현(Mo So-Hyun),정여주(Chung Yeo-Ju) 한국미술치료학회 2021 美術治療硏究 Vol.28 No.4

        본 연구는 2002년부터 2019년 1월까지 학술연구정보서비스에 게재된 국내 학술지와 학위논문의 암 환자 대상 미술치료 논문의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별 분석 결과는 여성, 일반 성인, 유방암 환자가 가장 많았다. 둘째, 연구방법별 분류에서는 질적 연구, 사례연구가 가장 많았다. 셋째, 연구내용에서 개인미술치료의 구조, 병원 환경이 가장 많았으며, 총 치료회기는 개인 형태의 11-20회기, 주당 치료횟수는 개인과 집단 형태에서 주 1회, 60분 이상 100분 이하, 연구주제에서는 자아성장 및 자기개념이 가장 많이 사용된 결과를 보였다. 넷째, 미술치료 표현기법의 분석 결과 그리기가 42.7%로 가장 많이 실행되었다. 매체별 사용빈도는 도화지 169회(50%), 사인펜 159회(30.9%), 수채물감이 61회(70%), 공산품이 98회(50.7%), 점토가 37회(44.0%)로 사용되었다. 위의 결과와 더불어 남성 성별, 만들기와 콜라주 표현기법, 섬유바탕재, 파스텔은 최근 5년 새 점차 사용빈도가 증가하였으며 공산품과 점토는 사용빈도가 증가하는 양상과 더불어 각 분류 내 가장 많은 사용량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미술치료 프로그램 구성 및 개발에 필요한 기초 자료와 사용매체의 빈도 및 변이하는 추세를 살펴 미술치료 임상현장에 자료로 활용될 수 있는 것에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nalyzed the research trends in art therapy papers for cancer patients in domestic academic journals and dissertations published in academic research information system and service(RISS) from 2002 to January 2019. First, results showed that most participants were females, adults, and breast cancer patients. Second, qualitative and case studies were most common in the research method classification. Third, in the research content, the structure of personal art therapy and the hospital environment were most common, the total number of treatment sessions was mostly between 11 and 20 sessions in individual and group forms, the number of treatments per week was most commonly once a week with 60 to 100 minutes per session, and the research topics that appeared most often were self-growth and self-concept. Fourth, regarding the analysis of art therapy expression techniques, drawing was the most common with 42.7%. In the frequency of use by media, drawing paper was used 169 times(50%), marker was used 159 times(30.9%), watercolors 61 times(70%), industrial products 98 times(50.7%), and clay 37 times(44%). In addition to the above results, over the past five years, the male gender has been studied increasingly often. Art-making collages, fiber-based materials, and pastels have gradually increased in use for the past five years, with industrial products and clay showing the highest usage in each category. This study can be used as a reference at clinical sites by looking at the basic data for the composition and development of art therapy programs for cancer patients, the frequency of sessions, and the variety of media used.

      • KCI등재

        한국화 매체를 활용한 미술치료의 연구동향 분석

        정하욱,김갑숙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18 예술심리치료연구 Vol.14 No.3

        본 연구는 한국화 매체를 활용한 미술치료의 연구동향을 분석함으로써 한국화 매체 활용방안 마련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2001년부터 2018년 3월까지 국내 학위논문과 학술지 총 40편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분석 결과는 첫째, 한국화 매체를 활용한 미술치료 연구는 통합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었다. 둘째, 일반군의 경우, 유․아동기에 다양한 특성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주로 진행되었으며, 진단군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대부분 노년기에 치매나 뇌 손상과 같은 대상이 많았다. 또한 집단 연구가 개별대상 연구에 비해 많았다. 셋째, 치료목표의 분석 결과 사회성 향상에 대한 연구가 가장 많았고 뒤를 이어 정신건강 회복, 자아성장 순서로 나타났다. 넷째, 매체의 종류별 사용 정도를 살펴보았을 때, 한지와 동양화 붓, 먹물과 한국화 물감이 많이 사용 되었다. 도구에서는 먹의 사용 빈도가 높았고, 이 외에도 금분, 은분, 배접지 등 다양한 매체가 사용되었으나, 빈도는 낮았다. 다섯째, 활동내용은 그리기 활동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만들기, 매체 탐색, 만다라 순서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한국화 매체를 활용한 미술치료가 내담자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효과적이나, 현재까지는 연구방법이 국한되어 있으므로 다양한 연구 방법을 통해 한국화 매체가 가진 효과성을 검증하는 것이 필요하다.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 in Art Therapy using the Korean Painting Materials to provide basic data on how to utilize the Korean Painting Materials. First, A total of 40 domestic academic papers and academic journals were analyzed from 2001 to March 2018. The research and analysis result showed that the study of Art Therapy using the Korean Painting Materials consisted mainly of integrated research. Second, in general groups, research was conducted mainly on a variety of characteristics in childhood, and in most old age, studies conducted on diagnostic groups such as dementia and brain damage. There were also more group studies than there were individual studies. Thir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reatment goals, sociality enhancement was the most studied, followed by mental health recovery and self-growth. Fourth, when looking at the degree of use of each type of media, Hanji, Oriental painting brush, ink, and Korean color were used a lot. Various media such as gold flour, silver flour, and backing paper were used in the tools, but the frequency of use was low. Fifth, the activities in therapies was presented in order of creation, media discovery and mandala, with the highest percentage of drawing activity. In conclusion, Art Therapy using the Korean Media is effective in solving the problem if deterrents, but the research method has been limited so far so that it can be effective through various verification metho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