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모스서 통일성 논쟁에 대한 재고: 아모스의 지진을 중심으로

        방기민 한국신학정보연구원 2023 Canon&Culture Vol.17 No.2

        이 논문의 목적은 아모스서의 통일성 문제를 재고찰하는데 있다. 학자들 은 아모스서가 한 번에 쓰여진 책이라기 보다는 최소 3단계에서 최대 6단계 에 걸쳐 작성된 것으로 보았다. 그 까닭은 아모스서의 예언이 앗시리아에 의한 북이스라엘 멸망이나 남유다의 멸망 및 재건과 같은 후대의 사건들에 대한 암시를 포함하고 있는 것처럼 보였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기원전 750년경에 일어난 규모 7.8-8.2로 추정되는 지진 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아모스서에 기록된 대부분의 심판이 아모스의 지진 으로 성취되었을 수 있음을 논의하고, 아모스서 대부분이 아모스에 의해 직접 선포되었을 수 있다는 주장을 입증하려 노력한다. 아모스 지진에 대해 살펴보기 위해 (1) 고고학자들과 지질학자들의 연구, (2) 스가랴와 요세푸스, (3) 시편 46편을 살펴보며, 이를 바탕으로 아모스 지진의 양상을 살핀다. 그런 다음 (4) 앞선 연구를 바탕으로 아모스서 구절들 을 처음부터 끝까지 새롭게 읽는다. 본 연구로 아모스서의 완전한 통일성을 입증하기는 어렵더라도, 아모스 서의 보다 많은 부분이 8세기 중엽에 집필되었을 수 있음을 독자들이 동의할 수 있을 것이다. 아모스서 1장 1절은 아모스서 전체를 이해하는 핵심 구절이 며, 우리에게 회개를 요구하는 하나님 및 기후위기와 같은 자연재난을 통해 심판하시는 하나님이라는 신학적 주제에 대하여 보다 심도 깊은 후속연구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consider the unity of the book of Amos. Scholars have seen that the book of Amos was written in at least three (Robert Coote) to a maximum of six stages(Hans Walter Wolff), rather than a book written at one time. The reason is that the prophecies in Amos seemed to contain allusions to later events, such as the destruction of northern kingdom (Israel) by neo-Assyria and the destruction and rebuilding of southern kingdom (Judah). This paper suggests that most of the judgments recorded in the book of Amos could have been accomplished by the earthquake of Amos,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earthquake estimated to have a magnitude of 7.8-8.2 that occurred around 750 B.C. In order to examine the Amos earthquake, (1) studies by archaeologists and geologists, (2) Zechariah and Josephus, and (3) Psalm 46 are examined, and based on this, the aspects of the Amos earthquake are examined. Then it re-reads (4) the verses of Amos from cover to cover anew based on previous research. Although it is difficult to prove the complete unity of the book of Amos by this study, readers may agree that more of the book of Amos could have been written in the middle of the 8th century by Amos the prophet.

      • KCI등재

        아모스 8-9장에 나타난 희망의 신탁에 관한 연구

        최종원 한국구약학회 2017 구약논단 Vol.23 No.4

        This study aims to show through a compositions approach that Amos 8-9 plays a role as the key to understand the book of Amos as a whole. So far, studies on Amos are limited only to those on its individual units. Amos 8-9 forms a well-organized entity in its literary composition, and the underlying theological thoughts are based on the treaty traditions of the ancient Near East. Around the theological thoughts, the text provides important clues to the formation of the entire book of Amos. The final form of the text helps us to identify the entire fabric of Amos through a compositions approach, along with literary criticism on Amos 8-9. The last formation of Amos was done by a compositor of Amos 8-9, which is believed to have some deuteronomistic traces. As Julius Welhausen discovered, Amos 8-9 can be traced to have postdeuteronomistic characteristics, and Amos's hope can be a clue to show the features of the post-deuteronomistic theology. Amos 8-9 highlights Amos 9:5-7 in its structure, and each themes are clearly identified symmetrically in its chiastic structure. Finally, this study on Amos 8-9 stresses that the book of Amos took the deuteronomistic treaty tradition, and that the cause of the national disaster of Israel lies in the destruction of the contract with God. This position shows Amos is significant in that it reflects Israel's theological thoughts of the post- deuteronomistic age in relation to the texts of all the other minor prophets, and thus we can expect new research activities in the future on the relations between the treaty tradition of the 12 minor prophets and that of the Pentateuch. 본 연구는 구성사적 비평방법을 통하여 아모스서 8-9장이 아모스서 전체를 이해하는 중요한 열쇠로서 역할을 하고 있음을 밝히려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지금까지 아모스 8-9장에 대한 연구는 개별 단위의 연구에 그치고 있다. 아모스 8-9장 전체 내용이 문학적인 구성 속에서 잘 짜여진 통일체를 이루고 있으며, 그 구조를 이루고 있는 근본적인 신학적 사고는 고대 근동의 계약적 전통에 근거하여 기록되어 있음을 전제로 한다. 이러한 신학적 사고를 중심으로 본문은 아모스 전체 본문의 형성사에 있어서 중요한 단서를 제공해 주고 있다. 본문의 최종적인 모습은 8-9장의 문학적인 비평과 함께 구성사적인 비평을 통하여 전체 아모스의 구조를 파악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 있다. 마지막 아모스의 구성은 8-9장의 편찬자에 의하여 형성되어졌으며, 이러한 시도에는 신명기사가적인 흔적이 있음을 전제로 한다. 또한 벨하우젠이 발견했듯이, 신명기사가 이후(post-dtr)의 특징들을 찾아 볼 수 있는데, 아모스의 희망은 신명기사가 이후의 신학적 특징을 보여주는 단서가 될 수 있다. 이 희망은 8-9장이 구조적인 면에서 아모스 9장 5-7절을 강조하고 있으며, 이 부분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적으로 각각의 주제들이 서로 나열되고 있는 구조 속에서 분명하게 드러나고 있다. 결국 아모스 8-9장의 연구는 아모스서가 신명기사가적인 계약 전통을 받아들이며 이스라엘의 국가적 재난이 하나님과의 계약파기 속에서 이루어지고 있음을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입장은 12 소예언서와의 연계 속에서 전체적으로 포로기 이후의 이스라엘의 신학적 사고를 반영하는 것으로 그 의미가 있음을 보여주며, 앞으로 12 소예언서와 오경의 계약전통 사이에서 새로운 연구 활동을 기대해 볼 수 있다.

      • KCI등재

        아모스 3- 6장의 구조와 기능

        김래용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19 신학사상 Vol.0 No.186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structures and functions in Amos 3-6. For this I analyzed structure, content, syntax, and vocabulary in the pericope. Through this analysis, I found two structures, an indictment structure -Yahweh’s judgment and an exhortation structure - Yahweh’s ability. These structures play a role in justifying Yahweh’s judgment against Israel. On the basis of these structures, Amos 3-6 is divided into three cycles in which the two structures are repeated. The first cycle appears in Amos 3:9-4:13, the second cycle in Amos 5:1-17, and the third cycle in Amos 5:18-6:7. Amos 3:1-8 serves as an introduction and Amos 6:8-14 serves as a conclusion. Amos 3:1-8 becomes a basis for the justification of Yahweh’s judgment by mentioning a covenant relationship between Yahweh and Israel, and exploring the causes and consequences of that relationship. The first cycle (Amos 3:9-4:13) is composed using a structure of an indictment-Yahweh’s judgment and of an exhortation-Yahweh’s ability. They mention the sins and judgments of the leaders of fortresses and their wives, and advise that people should return to Yahweh for life. The second cycle (Amos 5:1-17) is composed in the form of two laments, one structured on an indictment-Yahweh’s judgment and the second structured on an exhortation-Yahweh’s ability. This pericope mentions the sins and judgments of the leaders of Israel, and it exhorts the people to seek Yahweh and maintain justice. The third cycle (Amos 5:18-6:7) is composed using the structure of an exhortation-Yahweh’s ability and of an indictment-Yahweh’s judgment. They mention the sins and judgments of political leaders, and they indicate misunderstandings about Yahweh’s day and about religious festivals, assemblies, and several offerings. And they emphasize that people should maintain justice and righteousness. Amos 6:8-14 serves as a conclusion that emphasizes detailed contents related to Yahweh’s judgment. In particular, Yahweh’s judgments against seven nations in Amos 1-2 show that Yahweh judgment of Israel is justified, and Amos 7-9 shows the fact that the five visions justify Amos’s declaration. In this view, it is sure that Amos 1-9 plays a role in justifying Yahweh’s judgment against Israel. 아모스 3-6장은 ‘고발-야웨의 심판에 관한 구조’와 ‘권면-야웨의 능력에 관한 구조’가 반복되는 구조를 가지며, 이러한 2종류의 구조를 통해 야웨의 심판의 정당성을 강조한다. 한마디로 고발과 권면을 통해 이스라엘 족속의 죄악을 부각하며, 이러한 죄로 인해 야웨가 이스라엘을 심판 하게 되었음을 강조한다. 이러한 2종류의 구조를 기준으로 아모스 3-6장을 나누면, 아모스 3:1-8은 서론 역할, 아모스 3:9-6:7은 본론 역할, 아모스 6:8-14는 결론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서론 역할을 하는 아모스 3:1-8은 야웨와 이스라엘 사이의 언약 관계와 인과율을 통해 야웨의 심판의 정당성을 위한 토대를 놓고 있다. 본론 역할을 하는 아모스 3:9-6:7을 2종류의 구조를 한 쌍으로 하여 나누면, 이 단락은 3개의 사이클이 반복되는 구 조를 지닌다. 첫 번째 사이클(암 3:9-4:13)은 고발-야웨의 심판에 관한 구조와 권면-야웨의 능력에 관한 구조를 통해 궁궐의 권력자들과 그들의 부인들의 죄악과 심판을 언급하며, 특별히 ‘야웨께 돌아와야 살 수 있다’는 것을 권면으로 강조한다. 두 번째 사이클(암 5:1-17)은 앞과 뒤에 애가를 배치하고 중앙에 권면-야웨의 능력에 관한 구조, 고발-야웨의 심판에 관한 구조, 권면-야웨의 능력에 관한 구조를 배치하여 궁궐 밖의 권력자들의 죄악과 심판을 언급하며, 특별히 ‘야웨를 찾으며 정의를 행해야 한다’는 것을 권면으로 강조한다. 세 번째 사이클은(암 5:18-6:7)은 권면-야웨의 능력에 관한 구조와 고발-야웨의 심판에 관한 구조를 통해 정치적 지도자들의 죄악과 심판을 언급하며, 특별히 야웨의 날에 대한 오해와 절기/성회와 재물에 대한 오해를 지적하며, ‘정의와 공의를 행해야 한다’는 것을 권면으로 지적한다. 아모스 6:8-14는 결론 역할을 하는 데, 야웨의 심판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강조함으로써 야웨께 돌아오지 아니한 이스라엘 족속의 최후를 언급한다. 이처럼 아모스 3-6장은 2종류의 구조를 통해 야웨의 심판의 정당성 을 체계적으로 기술하는데, 앞에 배치된 아모스 1-2장은 7개의 열방에 대한 심판 신탁을 통해 심판자로서 야웨의 자격을 강조하고, 뒤에 배치된 아모스 7-9장은 5개의 환상을 통해 야웨의 심판의 선포자로서 선지자의 자격을 보강한다. 이런 점에서 아모스서는 철저하게 야웨의 심판의 정당성을 부각하는 책이라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언어유희와 아모스의 심판신탁

        유윤종(Yoon Jong Yoo) 한국신학정보연구원 2016 Canon&Culture Vol.10 No.1

        이 글은 아모스서의 심판신탁에서 언어유희가 발생하는 세 단락(6:13-14; 7:7-9; 8:1-3)을 분석해 그 언어유희가 어떻게 심판신탁에 나타나며 활용되는지를 보여주고자 한다. 언어유희가 고유명사나 시각적인 형태를 취할 때 미래에 대한 예시적 기능을 담고 있다는 이론에 근거해 세 언어유희가 북이스라엘 대한 심판선언으로서 어떻게 기능하고 있는지를 살핀다. 아울러 아모스서 내에서 언어유희와 심판선언이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지, 문학적 기능과 신학적 의미를 찾고자 한다. This paper examines the literary and theological function of wordplays attested in three judgment oracles (6:13-14; 7:7-9; 8:1-3) in the book of Amos. The structure of the book of Amos lacks clear dividing marks unlike other prophetic writings and has a loose unity. Drawing upon G. von Rad’s initial observation on wordplay, I will analyze wordplays in three judgment oracles and seek to find their literary function and theological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book of Amos. First, in Amos 6:13-14 a wordplay appears in the words Lo-debar (לֹא דָבר )and and Karnaim (קְרָניִם). Two words can be interpreted literally as proper names. Lo-debar and Karnaim in verse 13 mean ‘not a thing’ and ‘two horns,’ respectively. Amos scorns the Israelites’ rejoicing over the conquest of Lo-debar and Karnaim by reducing its significance to nothing and vain strength. In this judgment oracle, the occurrence of Lo-debar and Karnaim functions as a wordplay and provide the reason for judgment in verse 14. Second, Amos 7:7-9 is the third vision among five visions appeared in the book of Amos. In this vision, a wordplay occurs in a Hebrew word אָנדּ. It is attested four times only in these verses. Its exact meaning is difficult to identify. Many scholars attempted to solve the problem, but it is still under much debate. One clear meaning of this word is ‘a tin’ derived from Akkadian annaku. If we apply the meaning of ‘tin’ to in Amos 7:7-9, it implies its double meaning by a wordplay. If a reader pronounces the word אָנדּ one would associate its meaning of ‘tin’ with a word אָנָחה referring to ‘lament, groaning’ with a similar sound. In this vision, judgment occurs in Amos 7:8b-9. The last אָנך appears in judgment oracle. In this vision, a wordplay is associated with judgment. Third, Amos 8:1-3 is the fourth vision in the book of Amos. In this vision, the identification of two Hebrew words קִָיץ and קֵּ ץ is crucial. Although two words have different roots and meaning, but their sound is closely connected. It is remarkable to note that two words have same pronunciation in the northern Israel. The diphthong ay was changed to ē in in northern Israel, whereas ay was kept in the southern Judah. Accordingly it is concluded that northern Israel people perceived קִָיץ as קֵּץ . It is considered as a bilingual wordplay. Three judgment oracles in the book of Amos are connected with various wordplays. The forms of wordplay are different, but its literary function is closely connected. The severity of judgment in three judgment oracles escalates step by step. The climax is in Amos 8:1-3 where the word ‘end’ occurs in the form of wordplay. In the three judgment oracles found in the book of Amos, wordplay occurs with a variety of forms and conveys distinct theological message effectively.

      • AMOS 소프트웨어에서 구현되는 구조방정식 모형과 의미

        김경태 ( Kyung Tae Kim ) 한국조사연구학회 2007 추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07 No.-

        이 연구에서는 공분산구조 분석을 실시하기 위해 주로 사용하고 있는 AMOS 소프트웨어에 대하여 알아보려고 한다. 응용소프트웨어에서 활용된 수학적인 모형을 알지 못하면, 구조방정식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할 수 없으며, 구조방정식에 대한 8가지 가정이 어떻게 구현되는지 알 수 가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구조방정식모형 연구에서 주로 활용되었던 LISREL 프로그램으로 RAM과 MOSAN을 구현하였고 AMOS 결과와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AMOS프로그램은 8가지의 모든 가정을 따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AMOS 프로그램이 MOSAN보다는 RAM으로 구현되고 있음을 본 연구를 통해 알 수 있다. AMOS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은 잠재변수(F)와 측정오차(e)간의 상관값을 산출할 때 충분히 추정을 하지 못하고 부분적으로만 추정하여 값을 산출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In this research, it will be examined on mathematical model of AMOS software program that ues for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if we have not understood to mathematical model of Covariance Structure, we fail to underst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imilarly If We were not understand to mathematical model of AMOS Software, we do not use Software adequately. Therefore we examine two sorts of Software that be designed for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r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In this research, We will focus on 8 assumption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compare AMOS(Analysis of MOment Structure) program with LISREL(Linear Structure RELation) program. We found that A Program of AMOS Software have materialized with RAM(Reticular Action Model).

      • KCI등재

        아모스서의 창조 신학과 심판 신학: 송영을 중심으로

        허인숙 한국복음주의구약신학회 2023 구약논집 Vol.27 No.-

        The prophecies of indictment and judgment against Israel in Amos have been inclined to be premised only on breach and breaking of the Sinaitic covenant. However, there is found in Amos not only covenant theology but also creation theology as the grounds of punishment. This article investigates a relationship between creation and judgment focusing on the content of three hymns to the Creator(Amo 4:13; 5:8-9; 9:5-6) and development of the adjacent context. This study explored synchronically the creation-judgment theological meaning and the literary function served by the doxologies in the final book of Amos. Three doxologies begin with the praise to the creator. And yet the doxologies were developing in the way that the creator’s decreative activity, which was presented the God’s main work in these doxologies, was stressed and praised accompanied by the name of YHWH God of Hosts. The common message of three is the reversed creation of the almighty creator, a judgment through disorder and destruction that reverses the world He himself created. By declaring that YHWH is the Creator, the doxologies added creation theology to Amos and judged Israel’s Baalistic worship or syncretic religion. The doxologies supported, strengthened, and confirmed the preceding prophetic oracles through Juxtaposition of creation and decreation motifs which depict the creator's omnipotent power and sovereignty of universe scale. The doxologies convey the definite message of judgment through manifestation of reversed natural order. Reversed cosmic order in hymns also denounced northern society analogically for reversing the justice expressed in the created order(Am 6:12). And in respect to literature, all three doxologies were inseparably conjuncted with the context structurally and rhetorically. So they performed a function of the climax which highlight the creator’s judgment declaration in the discourse unit to which the hymn belonged, or a role of the closing song that concludes the unit. The peculiarity of creation theology presented in the doxologies of Amos is not a previous creational concept of struggle with chaos(Chaoskampf). Insead, Amos utilized the negative aspect of the Creator, destruction and chaos(cf. Ge 6:7, 13; Isa 45:7), so as to communicate and emphasize the message of judgment. The book of Amos justified YHWH’s Irreversible final punishment by condemning northern Israel doubly by means of juxtaposition of covenant theology and creation theology.

      • KCI등재

        무료 통계소프트웨어와 상업 통계소프트웨어의 비교: AMOS와 jamovi 비교를 중심으로

        주지혁 한국융합과학회 2023 한국융합과학회지 Vol.12 No.12

        연구목적 교육과 연구 과정에서 통계소프트웨어에 대한 접근 비용과 학습의 난이도는 중요한 문제이다. 통계소프트웨어에 대한 접근에서 비용 측면의 저렴함과 학습과 교육 측면의 용이성이 교육과 연구 현장에서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유료 통계 패키지 AMOS와 무료 통계 패키지 jamovi SEM을 이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하여 두 가지 소프트웨어의 결과를 비교하였다. 이를통해 교육과 연구에서 무료소프트웨어의 유용성과 활용 가능성을 평가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자료는 구조방정식모형분석에서 자주 언급되는 Bollen(1989) 의 ‘정치적 민주주의(political democracy)’ 자료를 AMOS 18과 jamovi 2.3.18를 활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과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실시하여 결과를 도출하고, 두 통계 패키지에서 산출된 결과를 비교하였다. 결과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두 통계 패키지의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에서 비표준화 요인적재치와 표준화 요인적재치가 같았고, 각종 모형적합도 지수에서 미세한 차이를 보였다.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에서도 확인적 요인분석과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하지만 AMOS의 경우 타당성분석을 위해 집중타당성과 판별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해 복잡한 계산이 필요하지만 jamovi의 경우 집중당성 평가를 위한 ω값들과 최근판별타당성 평가를 위해 권장되는 HTMT 상관계수를 출력해주어 편리하다. 결론 분석결과를 통해jamovi는 비용과 이용자의 학습과 교육 측면에서 유료 통계패키지와 비교할 때 활용용이성과 유용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Purpose The cost of access to statistical software and the difficulty of learning it are important issues in education and research. Low cost of access to statistical software and ease of learning and teaching are required in the field of education and research. Therefore, this study conducted a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analysis using AMOS, a paid statistical package, and jamovi SEM, a free statistical package, to compare the results of the two softwa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usefulness and applicability of free software in education and research. Methods In this study, the data of 'political democracy' of Bollen (1989), which is often referred to i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re subjected to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using AMOS 18 and jamovi 2.3.18,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results produced by the two statistical packages Result To summarize the results,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sults of both statistical packages showed the same unstandardized and standardized factor loadings, with minor differences in various model fit indices. The results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were similar to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However, in the case of AMOS, complex calculations are required to check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for feasibility analysis, but jamovi is convenient because it outputs ω values for convergent validity evaluation and the recently recommended HTMT correlation coefficients for discriminant validity evaluation. Conclusion The analysis confirmed that jamovi is easier to use and more useful than paid statistical packages in terms of cost and user learning and education.

      • 아모스와 예레미야의 “가난한 자” 이해 연구 – ?????(ʾebyȏn)과 ???(dal)을 중심으로 –

        송승규 한남대학교 기독교문화연구소 2021 기독교문화연구 Vol.24 No.-

        이 연구의 목적은 아모스와 예레미야의 ‘가난한 자’에 대한 이해를 비교 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위해 아모스 A단계와 예레미야 A단계에 나타난 ?????(ʾebyȏn)과 ???(dal)을 중심으로 그 의미를 분석하였다. 2장에서 아모스가 ?????(ʾebyȏn)과 ???(dal)을 사용한 구절들을 분석하였다. 아모스 2장 6b-7a절, 4장 1절, 5장 11-12절, 그리고 8장 4-6절을 분석하였는데, 아모스는 그의 신 탁에서 ?????(ʾebyȏn)과 ???(dal)을 동시에 사용함으로써 강조의 효과를 나타 냈다. 아모스의 ‘가난한 자’에 대한 이해는 대부분의 학자들이 동의하는 대 로 기원전 8세기의 집약농업 역학에서 착취당한 농민들이다. 3장에서 예레미야의 ‘가난한 자’ 이해를 분석하였다. 2장 32절에서는 외국인을 포함하여 고아와 과부를 총칭하는 용어로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램버트의 연 구 결과 이 구절의 가난한 자는 8세기의 농민들과 유사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5장 28절의 ‘가난한 자’는 재판을 공정하게 받지 못하는 부류의 사람들 인 고아, 과부, 외국인 등을 총칭하여 나타낸 단어이다. 20장 13절에 나타나 는 ‘가난한 자’는 예레미야 자신을 포함하여 정치적으로 압제받는 상황에 놓 인 사람들을 지칭한다. 22장 16절의 ‘가난한 자’는 요시야와 관련하여 나타 난다. 따라서 이 구절의 ‘가난한 자’는 아모스의 ‘가난한 자’와 인식을 같이 한다. 결론적으로 아모스의 ‘가난한 자’와 예레미야의 ‘가난한 자’ 사이에는 차이점과 공통점이 동시에 나타난다. 아모스는 엘리트 지배계층에게 착취당 하는 농민들을 명확하게 그 대상으로 하지만 예레미야는 착취당하는 농민들 은 물론, 토라에서 제시하는 고아, 과부, 외국인을 총칭하는 의미로도 사용 한 것을 볼 수 있다. 즉, 아모스의 신탁에서 농민에 집중되었던 ‘가난한 자’ 의 의미가 예레미야의 신탁에서는 농민들을 포함하여 예레이먀 당시의 사회 적 약자였던 고아, 과부, 외국인, 그리고 정치적으로 압제받는 사람들을 총 칭하여 이르는 것으로 확장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mos and Jeremiah’s understanding of “the poor.” For this purpose, we analyzed its meaning of ?????(ʾebyȏn) and ???(dal) in Amos A and Jeremiah A. In Part 2, I analyzed Amos’ phrases using ?????(ʾebyȏn) and ???(dal). Amos 2:6b-7a, 4:1, 5:11-12, and 8:4-6 were analyzed, with the effects of emphasis on the simultaneous appearance of ?????(ʾebyȏn) and ???(dal) in Amos’ oracle. Amos’ understanding of the “the poor” is, as most scholars agree, the peasants who were exploited in the dynamics of agricultural intensification of the 8th century BC. In Part 3, I analyzed Jeremiah’s understanding of “the poor.” In 2:32, it seems to be used as a generic term for orphans and widows, including foreigners. However, according to Lambert's study, the poor in this passage were analyzed to be similar to the peasants of the 8th century. “The poor” in 5:28 is a generic term that refers to orphans, widows, foreigners who were judged not with justice. “The poor” in 20:13 refers to those who are in political oppression, including Jeremiah himself. “The poor” in 22:16 appears in connection with Josiah. Hence, “the poor” in this phrase is in line with Amos’ understanding of “the poor”. In conclusion,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appear simultaneously between Amos' “poor” and Jeremiah's “poor”. Amos clearly targets peasants who are exploited by the elite ruling class, but Jeremiah also used the image of the exploited peasants as well as the orphans, widows and foreigners in the Torah. In other words, the meaning of “the poor”, which was concentrated on the peasants, was expanded to include the collective term for orphans, widows, foreigners, and politically oppressed people who were socially underprivileged in Jeremiah's day.

      • KCI등재

        요한계시록의 ‘전능하신 주 하나님’ 호칭의 구약 배경

        김경식(Kyoung-Shik Kim) 한국복음주의신약학회 2020 신약연구 Vol.19 No.3

        본 논문은 요한계시록에 7번 사용되고 있는 ‘전능하신 주 하나님’ 호칭의 구약 배경을 연구한다. 구약에 하나님 호칭은 수없이 많이 사용되지만, 계시록에 사용된 ‘전능하신 주 하나님’ 호칭은 특정하게 아모스서(LXX)에 사용되는 ‘전능하신 주 하나님 호칭’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그 이유는 아모스서(LXX)와 계시록 사이에 문자적 유사성이 명백하고, 빈도수로 보더라도 이 호칭이 다른 구약본문에는 1-2회 정도 사용되지만, 아모스서에서는 10회나 사용되고 있기 때문이다. 아모스서(LXX)에서 이 호칭이 사용될 때는 하나님의 창조주, 심판주, 모든 만물의 통치자 되심, 그리고 우상에 대한 공격이라는 주제와 함께 사용된다. 흥미롭게도 계시록에서도 비슷한 문맥에서 이 호칭이 사용되는데, ‘셀 수 없는 많은 무리,’ ‘만국’이라는 단어가 함께 사용되거나, ‘통치’의 개념 혹은 ‘심판’의 개념이 함께 사용되고 있다. 이런 현상은 계시록에 사용된 전능하신 주 하나님 호칭이 아모스서의 문맥과 주제를 그대로 계시록 본문으로 끌고 들어와 아모스서의 신학과 교훈을 연상시키는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게 만든다. 계시록은 아모스서의 하나님 호칭을 사용하여, 아모스서의 주제인 우상이 아니라 하나님만이 진정한 예배의 대상임을 상기시키면서, 로마황제라는 우상이 우리의 예배대상이 아니라, 보좌에 앉으신 하나님만이 유일한 참 예배의 대상임을 정교하게 드러낸다. 로마황제가 ‘전능하신 주 하나님’이 아니라, 보좌에 앉으신 분이 ‘전능하신 주 하나님’이시다. 그분이 세상을 창조하셨고, 심판하시며 하나님의 백성뿐만 아니라 모든 사람의 통치자이시기 때문이다. 계시록은 아모스서(LXX)의 하나님 호칭을 사용하면서 아모스서의 전체 문맥을 끌어다가 이 주제들을 연상시키며 신학적 권면을 표현하고 있다. This study looks into the Old Testament background of the title ‘the Lord God Almighty’ that occurs 7 times in the Book of Revelation. Although the divine titles are used in many different forms in the OT, the title, ‘the Lord God Almighty’ in Revelation is closely based on the same divine title in the Book of Amos(LXX) in particular. This is because there is verbal similarity between God’s title in Amos(LXX) and that in Revelation and furthermore the title is employed 10 times in Amos(LXX) whereas it is used only once or twice in other OT books. When the divine title ‘the Lord God Almighty’ is used in the Book of Amos(LXX), it occurs with other themes such as God as creator, judge, ruler of all things and critique of idol worship. Significantly, the title is employed in similar context in John’s Revelation. It occurs with such phrases as ‘a great multitude,’ ‘nations’ and also with such themes as ‘God’s kingship’ and ‘judgment’. All these indicate that the use of the divine title from the Book of Amos in Revelation takes into and even evoke the broad context and themes in the Book of Amos to express exhortations in the Book of Revelation. The Book of Revelation warns about Roman imperial cults as idolatry and encourages believers in Asia Minor to worship only God, by using the divine title from Amos(LXX). The use of the divine title ‘the Lord God Almighty’ from Amos shows that not Roman emperor but the one who sits on the throne is the only one who deserves worship as ‘the Lord God Almighty.’ This is mainly because God is creator, judge and true ruler of all nations, just as he is in the Book of Amos. The Book of Revelation makes such a warning and exhortations by using the divine title ‘the Lord God Almighty’ and thus evoking the broad context and themes of the book of Amos(LXX).

      • KCI등재후보

        아모스 6:4-7의 <마르제아흐> 비판: 혼합종교에 대한 것인가, 사회적 불의에 대한 것인가?

        김태훈 21세기기독교사회문화아카데미 2011 신학과 사회 Vol.24 No.2

        Indictment on Marzeah in Amos 6:4-7: On Syncreticism or Social Injustice? With the issue of the purpose of the marzeaḥ, some scholars emphasize the funerary aspect. They argue that In the feast participants offered comfort by sharing meals and drinks with the mourners. Others emphasize the memorial aspect. They consider the marzeaḥ as the feast for and with ‘deceased ancestors’ or ‘deceased heros.’ Recently Greer insists that the marzeaḥ as described in Amos 6:4-7 was a religious event. According to him, the use of mizraq vessel in Amos 6:6 is definitively syncretistic practice adopted from the nations around Israel. Epigraphic and iconographic evidence suggests that ritual vessels were used at cultic banquets in the ancient Near East. In Greer’s opinion, the cause of woe was the offense of syncretism, rather than the luxurious life. The present writer argues that Amos's indictment of the feast described in Amos 6.4-7 was not religious but social. Wealth and high-rank in the society apparently were prerequisites for participation. Amos 6:4-7 should not be dealt with separately. This unit is one of his judgment speeches on the doom of the elites of Israel and its luxury-living society. In addition, there is no reference to the pagan religion, nor to any form of communication with the deceased ancestors or heroes in Amos 6:4-7. The target is toward "participants" in such banquets. The reason for the destruction is the luxury-living of the elites at the cost of the poor and Israel's failure to bring forth the fruit of justice in the society. <마르제아흐>가 무엇인지, 어떤 성격과 기능을 가지고 있는지에 관해서 최근 20-30년 동안 연구가 진행되어 많은 부분이 밝혀졌으나 여전히 의견일치를 보지 못하는 주제들이 있다. 최소한 아모스 6:7에서의 <마르제아흐>에 대한 비난은 백성들을 억압하고 착취하는 이스라엘의 사회-경제 엘리트들을 대표하는 제도로 오랫동안 인식되어왔으나, 최근에 다시 아모스의 <마르제아흐>가 이스라엘 엘리트들의 이교적이며 혼합적인 종교행태를 반영한다는 주장이 대두되었다. 본 논문의 목적은 <마르제아흐>의 성격과 중요 요소, 그리고 목적에 대한 연구결과들을 검토하고, 아모스 6:4-6 본문에서 <마르제아흐>에 대한 언급이 경제-사회적 비판인지 아니면 종교행태에 대한 비판인지를 판단하는 것이다. 목적에 도달하기 위해, 본 논문은 먼저 <마르제아흐> 모임의 일차적인 목적이 무엇인지에 관한 학자들의 주요 주장들을 파악하고 평가한다. <마르제아흐>가 비록 종교적인 성향, 그리고 “죽은 자를 위한 제의”와의 상관성을 어느 정도 보여주고 있으나, 이런 결론이 주전 8세기 아모스의 특별한 상황에 직접 적용될 수 있다고는 보지 않는다. 아모스가 비난하는 <마르제아흐>는 아모스 본문과 그 시대 상황에서 이해해야 한다고 보는 것이 본 논문의 주장이다. 아모스의 <마르제아흐> 비난은 혼합주의적인 종교 행태에 대한 것이 아니라, 그 제도 혹은 잔치가 대변하는 사회 지도자들의 사치와 불의에 대한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