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정용 공기청정기 디자인 감성평가 분석

        김장석 ( Jang-seok Kim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6 한국디자인포럼 Vol.52 No.-

        구배경 산업사회의 발달로 대기오염이 심각한 환경문제로 대두되면서 공기청정기의 필요성이 극대화되고 있다. 공기청정기는 2000년대 이전에는 사치가전으로 인식되었으나, 2000년 이후 인간의 건강을 추구하는 웰빙(well-being)에 개념이 확산되면서 공기청정기의 인식이 생활필수품으로 전환되고 많은 가정에서 수요가 늘고 있으며 그에 따른 디자인 역시 소비자들의 선택 기준에 영향을 끼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가정용 실내공기청정기의 디자인 및 감성평가 분석을 통한 인간의 감성에 잘 부합하고 실내공간에 잘 어울릴 수 있는 가정용 실내공기청정기를 개발하는데 기초데이터를 구축하고자 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소고에서는 공기청정기의 이론적 고찰과 관련 선행연구 분석, 국내외 시장현황 및 디자인분류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소비자인식을 파악하기위하여 디자인에 대한 감성평가와 만족도 평가를 실시하였다. 실험은 피험자 남·여학생 30명으로 구성하여 6가지 평가대상을 조형성, 심미성, 기능성에 관련된 형용사 15쌍을 설정하였다. 연구결과 공기청정기의 형태에 대하여 `각진`, `직선적인`, `평범한` 형용사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평가되었다. 재질에 대하여는 `유연한`, `약한` 형용사에 대하여 부정적으로 평가되었으며, 색채에 대해서는 `무광인`, `어두운`, `칙칙한`, `차가운` 형용사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평가되었다. 다음은 소비자의 세부적인 심리상태 및 인식을 파악하기 위해 질문지의 문항은 조형, 재질, 색상에 대한 관련문항 15개를 선정하였다. 각 문항의 답변은 문항에 대해 생각하는 정도를 알 수 있는 단일문항과, 문항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여러 가지로 답할 수 있는 복수문항이 있어 피 실험자들의 인식 파악을 할 수 있게 하였고, 연구결과는 형태에서는 안전성과 균형감에서 높은 지표가 돌출되었고, 재질에서는 파트 간 연결의 느낌과 전체적 느낌이 강하게 나타났으며, 색채에서는 바디와 버튼의 배색과 공기배출구의 배색이 높은 수치를 나타내고 전체적인 색상은 산뜻하고 어두운 배색을 선호하고 있다. 결론 디자인 만족도 요인으로 도출된 내용을 정리해보면 공기청정기 디자인에 있어서 안정성 있는 형태와 깨끗한 공기청정기 이미지와 부합하는 산뜻한 색채를 선호하므로 추 후 공기청정기 디자인 요소로 중요시 할 부분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 분석되어진 공기청정기 디자인의 평가내용들은 추 후 디자인 되어지는 제품들의 사후 평가항목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디자인에 만족하는 내용들을 바탕으로 실제 디자인에 접목하여 공기청정기 디자인을 하는데 있어 기초적인 데이터베이스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As the development of the industrial society made the air pollution to be on the rise as a serious environment problem issue, the modern interior design of buildings has been arranged to the form of an airtight space. Therefore, the necessity of an air purifier has been highly demanded by a lot of environmental troubles from the fine dust. Before 2000s, the air purifier was regarded as a luxury item, however, after 2000, as the concept of well-being, which pursues a better healthy life for humans, has spread broadly, the recognition of the concept of the air purifier has been converted to a daily necessity, thus the demand of it has been increased in households. For that reason, in this research paper, it is aimed at developing an indoor air purifier for household use, which would be suitably matched with the current indoor space in accordance with the improvement on the quality of the modern interior. Methods In a brief view, it is established to set the aim, the method and the range of the research, moreover the investigation of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for an air purifier, the internal and external market condition and the design classification were conducted. To figure out the recognition of the consumer, SD sensibility test and a step method for a value were conducted for the design analysis. The tests were subject to thirteen volunteers of both men and women. They were subject to six sections such as the form, the material, the color etc. and experimented on the comparison analysis with the seven steps SD Method(Semantic Difference Method) which were based on fifteen adjective words pairs related to formativeness, aesthetic and functionality. Result As a consequence, for the section of the form in questionnaire, words of angulated, linear and normal were positively evaluated. For the material section, words of flexible and vulnerable were negatively evaluated and for the color section, words of matt, dark, dull and cool were positively evaluated. In addition, a step method for value selected fifteen relevant categories for the questionnaire in order to figure out the consumer`s specific mental state and recognition. The response of each category consisted of two groups: one group was made of single questions, which is for the elementary tendency of respondents, and the other group was composed of plural questions, which is for a variety of responses, so that it was possible to figure out the recognition of the volunteers. For the result, in the section of the form, the indicator of safety and balance was represented high. In the material section, the perception of both partial connection and entirety was strongly represented. In the color section, the coloration of a body, a button and an outlet represented the high degree. In addition, the fresh and dark colors were preferred on the whole. Conclusion As for the contents concluded by the satisfaction factor for the design, since the stabilized forms and warm color tone which corresponds to the pure images are preferred for the air purifier design, it is possible that such factors would be recognized as significant design aspects for it later. In conclusion, the contents of evaluation analyzed by this research would be applied to the assessment items for the subsequent designed products. Additionally, based on the contents satisfying the design aspects, those analyzed contents would develop into the fundamental databases for designing the air purifier in the actual design process.

      • KCI우수등재

        공기정화식물을 적용한 소형 공기청정기의 성능평가 및 효과에 대한 연구

        조진균,장승민,신철웅,박병용 대한설비공학회 2022 설비공학 논문집 Vol.34 No.6

        Indoor air quality (IAQ) refers to the air quality within and around buildings and structures, especially as it relates to the health and comfort of building occupants. Understanding and controlling common pollutants indoors can mitigate the risk of indoor health concer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quantitatively evaluate the combined performance of small air purifier in combination with air purifying plants. The CADR (clean air delivery rate) was performed according to the test standards, by combining two small air purifiers and three plants with an air purifying effect. When the two air purifiers without performance certification were operated in the rated operation mode, it was found that all of them did not meet the minimum requirement. Although some air purifying plants had the effect, the particle removal efficiency of the combined air purifiers and air purifying plants, which operated in the rated operation mode, were half the level compared to the product with performance certification. In the market of the air purifier, consumers must be protected from air purifiers with air purifying plants, that advertise their effectiveness without performance verification. Although air purifying plants do not remove fine dust, it is clear that they are effective in improving indoor air quality. Thu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air purifier that can improve the air purification ability of plants. 1인가구의 증가, 하루 중 대부분을 실내에서 생활하는 현대인, 초미세먼지의 증가와 COVID-19 펜데믹 등 실내공기오염에 관한 관심도와 함께 공기청정기를 포함한 환기시스템은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시중에서 공기정화식물과 조합한 성능인증 없이 판매되는 소형 공기청정기의 복합성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한다면 다음과 같다. ⦁식물거치가능 소형 공기청정기 2개와 공기정화효과가 있는 식물 3가지(후마타 넉줄고사리, 홍콩야자, 홍페페 페페로미아)를 조합하여 공인 시험규격으로 공기청정성능시험을 수행하였다. ⦁공기정화식물은 거치하지 않고 2개의 대상 공기청정기를 정격운전모드로 가동할 경우, 공기청정성능시험 기준에 모두 미달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대상 공기청정기와 3개의 공기정화식물은 조합하여 정격운전모드로 가동하여 측정한 결과, 1개의 대상만 유일하게 청정화능력 기준을 통과하였다. 따라서 일부 공기정화식물의 효과는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다른 대상의 경우, 성능인증을 받은 제품과 비교하여 절반수준의 입자제거효율이 나타났고 30분경과에 따른 챔버내 입자효율은 거의 효과가 없는 수준이었다. ⦁공기정화 식물의 순수 입자제거율을 기준으로 약 10평의 거실에 적용할 경우, 실험에 사용한 공기정화식물 11개 정도 설치를 해야만 정화효과가 발생한다. 식물정화식물의 효과와 공기청정기의 성능과 결합하여 복합적인 기능으로 입자제거효율의 상승을 기대했지만 현재 시판중인 인증을 득하지 않은 대부분의 공기청정기는 그 성능이 미달하는 수준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시중에서 성능검증 없이 효과를 광고하는 공기정화식물 거치형 공기청정기로부터 소비자의 보호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그러나 공기정화식물은 미세먼지의 제거는 아니지만 실내공기질 개선에 효과가 있는 것은 분명하다. 따라서 식물의 공기정화능력을 상승시키며 일정수준 이상의 입자제거효율을 유지하는 지속가능한 공기청정기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우수등재

        먼지 및 유분 등의 누적에 따른 공기정화기의 성능 감소에 대한 실험적 연구

        김무중,김관택,유재석,김현정,윤백 대한설비공학회 2019 설비공학 논문집 Vol.31 No.8

        Recently, the use of air purifier has drastically increased due to increased hazardous effects of fine dust on the human health. Proper care and attention are essential in preserving the efficiency and reliability of an air purifier. It is generally known that the capacity of air purifier reduces as the filter is loaded with dust, thus the need for periodic replacement of the filter. In the present study, an air purifier equipped with the HEPA (High Efficiency Particulate Air filter) filter was loaded with several types of test dust and oil mist, and the capacity of air purifier was measured while varying the amount of pollutant deposited on the filter. This was done to quantitatively analyze the effect of the amount of the dust and oil mist deposition. Generally, the reduction of air purifier capacity due to the pollutant deposition results from two causes, one is the reduction of filtration efficiency and the other is the decrease in air flow rate due to augmented flow resistance of filter. In the present work, the latter has been found to be the main cause of the reduction of air purifier capacity due to the pollutant deposition. 본 연구에서는 H13 등급의 헤파 필터를 장착한 가정용 공기청정기를 대상으로 6종류의 오염물질을 인위적으로 누적시켜 먼지 누적량에 따른 필터의 압력 손실, 공기청정기의 풍량, 팬 모터의 소비동력 등의 변화를 실험을 통하여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1) 시험용 먼지가 달라지더라도 필터의 먼지 누적량에 따른 필터의 압력손실, 공기청정기의 풍량 및 팬 모터의 소비 동력의 변화량은 달라지지 않는다. 이를 통해 오염물의 특성이 상이한 다양한 사용 환경에서도 본 연구의 결과를 적용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2) 오염물의 누적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성능 저하는 대부분 필터의 압력 손실 증가에 의한 풍량 감소에 기인한다. 즉 오염물이 누적되더라고 헤파 필터의 집진 효율을 크게 변하지 않는다. (3) 공기청정기의 분진청정화 능력은 오염 물질이 필터 내부의 유로를 차단함으로써 발생하는 필터의 압력손실 증가에 의하여 지배적으로 영향을 받으며, 필터의 압력 손실 혹은 팬 모터의 소비 동력을 측정함으로써 분진청정화 능력을 예측할 수 있다. (4) 본 연구로부터 필터를 통과하는 공기의 압력 손실 및 팬 모터의 소비 동력은 오염물의 종류에 상관없이 공기청정기의 성능을 예측할 수 있는 중요한 변수라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를 공기청정기 필터의 교체시기를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사용자 심층인터뷰를 통한 공기청정기의 의미 분석에 관한 연구

        박준홍 한국인더스트리얼디자인학회 2018 산업디자인학연구 Vol.12 No.4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rive the meaning from air purifiers that perceive by analyzing users' perception and behaviors about air purifiers based on the in-depth interview. In order to accomplish this purpose, technical definitions and core functions of air purifiers were confirmed and analyzed the research methods between air purifiers and users by tracking the literature study of last decade. Based on this, conducted an in-depth interview with 14 peoples between the ages of 20 and 40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air cleaner that users perceive. Interview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ree stages subject cording, categorization of meaning, and conceptualization of meaning.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behavior of users using air cleaner could be classified into 4 types of group, a groups that are constantly in use, a group that uses passively since purchasing an air purifier, a group that is not used after purchasing an air purifier, And finally, who do not want to buy an air purifier. Through this classification, the meaning of the air purifier recognized by the user could be divided into groups.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is study are meaningful and worthy of being able to analyze the meaning of the air cleaner from the existing research method and try to interpret the new alternative. However, it is a limitation of this study that the scope of users is limited to domestic and the number of in-depth interviews is limited to 14 peoples.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continuous research will be required, and various studies will be attempted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user more deeply. 본 논문은 심층인터뷰를 바탕으로 공기청정기에 대한 사용자 들의 생각과 행태를 분석하여 사용자들이 인식하는 공기청정 기의 의미를 도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공기청정기의 기술적 정의와 핵심기능을 확인 하였으며, 지난 10년간의 문헌연구를 추적하여 공기청정기와 사용자를 활용한 연구방법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사용 자들이 인식하는 공기청정기의 의미를 도출하기 위해 20대에 서 40대 사이의 남녀 14명을 대상으로 한 심층인터뷰를 기획 하고 진행하였다. 인터뷰는 주제별 약호화, 의미의 범주화, 의 미의 개념화의 3단계를 기준으로 분석하였으며, 도출된 내용 을 바탕으로 사용자가 인식하는 공기청정기의 의미를 개인화 된 경험(Experience)과 사회적 의미(Perception)로 구분하여 구조화 하였다. 연구의 결론으로 공기청정기를 사용하는 사용 자의 행태를 크게 4가지로 분류할 수 있었는데, 지속적으로 사 용하고 있는 그룹, 공기청정기 구입 후 소극적으로 사용하는 그룹, 공기청정기를 구입 후 사용하지 않는 그룹 그리고 마지 막으로 공기청정기를 구입할 생각이 없는 그룹이다. 이와 같 은 분류를 통해 사용자가 인식하는 공기청정기 의미를 각 그 룹별로 나누어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결론에서 심층인터 뷰의 결과를 바탕으로 디자인 개발을 위한 전략과 새로운 관 점을 대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기 존의 연구방식에서 벗어나 공기청정기의 의미를 분석하고 해 석을 시도하여 새로운 대안을 고찰한 것에 그 의미와 가치가 있다. 하지만, 사용자의 범위를 국내로 한정한 것, 그리고 심 층인터뷰의 인원이 14명으로 제한된 것은 본 연구의 한계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지속적인 후속연구가 요구되며, 이를 통 해 사용자 의미를 보다 깊이 있게 이해 할 수 있는 다양한 시 도들이 연구되기를 기대한다. Abstract

      • KCI등재

        사물인터넷 개인용 휴대 공기청정기 제안 -웨어러블 액세서리 형태와 정보설계 중심으로-

        김지해 ( Ji Hea Kim ),김승인 ( Seung In Kim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16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54 No.-

        사물인터넷 개인용 휴대 공기청정기 주요 가치는세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휴대 편리성이다. 공기청정기는 공간크기, 거치장소가 제한되어 개인에게 밀착된 공기정화를 제공하지 못한다. 항시 신체에 착용하며 활동에 불편을 주지 않는 웨어러블 크기와 형태는 필연적이다. 둘째, 대기질 상태 정보에 대한 신뢰성이다. 실시간 주변 공기 질을 감지하는 센서는 대기질분석 정보를 알려주고 앱을 통해 언제 어디서나 편리한공기관리뿐 아니라 사용자 유형을 진단하고 맞춤 행동안내를 알려준다. 셋째, 착용감과 감성적 만족을 주는 매력성이다. 심미적 만족을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내 몸에 맞는 패션 아이템으로 활용하는 것이 큰 의미가 있으며, 실제 제품이 최적화되어가는 과정에서 그 효과를 얼마나 유지할 수 있느냐에 대한 문제가 가장 중요한 쟁점이 될 것이다. 본 연구는 향후 미래형 웨어러블 휴대 공기청정기에 활용되어 기능적, 형태적 방향 및 활성화 측면에서 기초 연구로서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Main value of Internet of things personal portable air purifier can be classified to three things. First one is portable convenience. Due to the limit of space size and deferred place, air cleaner cannot provide close air cleaning to individuals. It’s necessary to have wearable size and shape to wear on body all the time and not to give inconvenience to activities. Second one is reliability about air quality status information. Sensor, sensing the quality of surrounding air in real time, informs air quality analysis information, provides convenient air management whenever and wherever through App(application), diagnoses user type and instructs customized action guide. Third one is attractiveness that satisfies wearing feeling and emotional satisfaction. Using fashion item that fit well on oneself means a lot to fulfill aesthetic satisfaction and the problem, how long the effect could be kept during the process that actual product is optimized, will be the most important issue. This study could be used for future wearable and portable air purifier and expect to contribute as basic study in terms of functional and morphological direction and vitalization.

      • KCI우수등재

        공기청정기와 기류 제어용 FAN의 운전조건에 따른 교실 내 공기질 변화에 대한 해석적 연구

        우상무,송해은,강율호,안영철 대한설비공학회 2023 설비공학 논문집 Vol.35 No.5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the operating conditions on an air purifier and extra FAN efficiency in reducing particulate matter in a classrooms.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FD) simulation considering three locations of Air purifiers and operating conditions of four FANs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optimal operating condition. In this study, the Clean Air Delivery Rate (CADR) of Air purifier was 2.4 m3/min (161.4 CMH) and 4.8 m3/min(322.8 CMH). Assuming the indoor particulate concentration is 150 μg/m3, the performance of reducing particle concentration varies by a maximum of 31.2%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air purifier and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FAN. When the CADR of the air purifier is low, particulate matter reduction performance can be improved by a FAN. When using the FAN, make sure that i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airflow of the air purifier.

      • KCI등재

        공기감염성 가축질병 예방을 위한 공기청정기 유형에 따른 부유 미생물의 제거 효과

        박찬정,김현태,김기연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1 농업생명과학연구 Vol.45 No.3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reduction efficiency of various air purifiers on airborne microorganism causing air infected animal disease according to sample collection method. Collection efficiencies of MS2 virus and Pseudomonas fluorescens by biosampler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by button sampler (p<0.05). Regardless of types of air purifier and sample collection method, temporal reduction efficiencies of MS2 virus and P. fluorescens compared to initial background concentration were >50% and >45% on 5 minutes, >70% and >50% on 15 minutes, >80% and >70% on 30 minutes and >90% and >75% on 60 minutes after operating air purifier, respectively. The air purifier of ionizer type showed the highest reduction efficiency on MS2 virus followed by air purifier of electronic precipitation, water filter and dry filter while the reduction efficiency of air purifier on P. fluorescens was highest in the electronic precipitation type followed by ionizer type, dry filter type and water filter type (p<0.05). Based on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temporal reduction efficiency of air purifier on MS2 virus was relatively higher than P. fluorescens. 본 연구의 목적은 공기감염성 가축질병 유발의 주요 인자인 부유 세균 및 바이러스 등의 생물학상 인자들에 대한 유형별 공기청정기의 제균 효과를 비교 평가하는 데 있다. 시료 채취 장비에 대한 포집 성능 평가에서는 MS2 바이러스와 Pseudomonas fluorescens 모두 Button sampler보다는 Biosampler에 의한 채취 효율이 유의하게 높았다 (p<0.05). 공기청정기 유형 및 시료채취 방법에 관계없이 MS2 바이러스의 경우 초기 농도 대비 가동 후 5분에 50% 이상, 15분에 70% 이상, 30분에 80% 이상, 그리고 마지막 측정 시점인 60분에는 90% 이상의 제거 효율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P. fluorescens 세균의 경우 초기 농도 대비 가동 후 5분에 45% 이상, 15분에 50% 이상, 30분에 70% 이상, 그리고 마지막 측정 시점인 60분에는 75% 이상의 제거 효율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형별 공기청정기의 상대적 제균 효율을 비교해 보면 MS2 바이러스의 경우 이온 발생 방식>전기 집진 방식>습식 방식>건조 방식, P. fluorescens 세균의 경우 전기 집진 방식>이온 발생 방식>건조 방식>습식 방식의 순서로 조사되었다.

      • KCI등재

        공기감염성 가축질병 예방을 위한 공기청정기 유형에 따른 부유 미생물의 제거 효과

        박찬정,김현태,김기연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1 농업생명과학연구 Vol.45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공기감염성 가축질병 유발의 주요 인자인 부유 세균 및 바이러스 등의 생물학상 인자들에 대한 유형별 공기청정기의 제균 효과를 비교 평가하는 데 있다. 시료 채취 장비에 대한 포집 성능 평가에서는 MS2 바이러스와 Pseudomonas fluorescens 모두 Button sampler보다는 Biosampler에 의한 채취 효율이 유의하게 높았다 (p<0.05). 공기청정기 유형 및 시료채취 방법에 관계없이 MS2 바이러스의 경우 초기 농도 대비 가동 후 5분에 50% 이상, 15분에 70% 이상, 30분에 80% 이상, 그리고 마지막 측정 시점인 60분에는 90% 이상의 제거 효율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P. fluorescens 세균의 경우 초기 농도 대비 가동 후 5분에 45% 이상, 15분에 50% 이상, 30분에 70% 이상, 그리고 마지막 측정 시점인 60분에는 75% 이상의 제거 효율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형별 공기청정기의 상대적 제균 효율을 비교해 보면 MS2 바이러스의 경우 이온 발생 방식>전기 집진 방식>습식 방식>건조 방식, P. fluorescens 세균의 경우 전기 집진 방식>이온 발생 방식>건조 방식>습식 방식의 순서로 조사되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reduction efficiency of various air purifiers on airborne microorganism causing air infected animal disease according to sample collection method. Collection efficiencies of MS2 virus and Pseudomonas fluorescens by biosampler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by button sampler (p<0.05). Regardless of types of air purifier and sample collection method, temporal reduction efficiencies of MS2 virus and P. fluorescens compared to initial background concentration were >50% and >45% on 5 minutes, >70% and >50% on 15 minutes, >80% and >70% on 30 minutes and >90% and >75% on 60 minutes after operating air purifier, respectively. The air purifier of ionizer type showed the highest reduction efficiency on MS2 virus followed by air purifier of electronic precipitation, water filter and dry filter while the reduction efficiency of air purifier on P. fluorescens was highest in the electronic precipitation type followed by ionizer type, dry filter type and water filter type (p<0.05). Based on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temporal reduction efficiency of air purifier on MS2 virus was relatively higher than P. fluorescens.

      • KCI등재

        공동주택용 공기청정기의 현황 및 향후 개발방향에 관한 연구

        석정현,박수용,이동형 국제차세대융합기술학회 2021 차세대융합기술학회논문지 Vol.5 No.5

        우리 사회는 소득증가, 고령화, 1인 가구 증가, 여성의 사회진출 증가, 혼인율 저하, 저출산, 신종바이러스 출현 등의 급격한 변화를 겪으면서 쾌적한 실내 공간 및 공기 질 확보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게 되었다. 이로 인 해 최근 공동주택의 설계방향도 최적의 공간 활용과 함께 실내공기 질 향상이란 두 기능을 동시에 고려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시중에 시판되고 있는 환기시스템 및 공기청정기는 나름대로 고유의 기능과 특성을 가지고 있어 적 합한 기기선정을 어렵게 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동주택의 주거특성에 관한 이론적 고찰과 고객요구분석 을 통해 공동주택용 공기청정기 현황 및 특성을 파악하고 향후 개발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 는 변화되고 있는 여러 가지 사회현상과 주거환경의 특성에 따른 문제점을 공간과 공기청정기의 통합적 구성이라 는 매개체를 활용하여 해결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Our society has come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securing a comfortable indoor space and air quality while experiencing rapid changes such as a new virus, income increase, aging population, increase in single-person households, increase in women's entry into society, decrease in marriage rate, and low fertility etc. For these reasons, the recent design direction of apartment houses is considering the two functions of optimal space utilization and improvement of indoor air quality. However, ventilation systems and air purifiers currently on the market have their own unique functions and characteristics, making it difficult to select a suitable device. In that resp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solving various social phenomena and problem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environment using the medium of the integrated composition of space and air purifi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