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컨벤션 의제(Agenda) 채택 과정에 대한 연구 -정보채택모델의 적용-

        김종철,이예린,구철모 한국관광학회 2020 관광학연구 Vol.44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affect the selection of the agenda, which is the core content of convention events and the mechanism of agenda decision-makers' adoption of the agenda. In the convention industry, the agenda is the most important keyword faced by society. Although it plays a role in determining the success of the convention, related research is lacking. Therefore, in this study, an empirical study model was presented by referring to the decision processing through the personal information processing and the usefulness of the information. In addition, the attitude and impact on the agenda were analyzed by adding social norms and government policy agenda variables, which are social impact variables, in consideration of the convention context. Based on qualitative interviews with convention experts, a survey was conducted and a total of 203 data were collect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association and timeliness of the agenda as a quality factor of the agenda act as a leading factor in the usefulness of the agenda and the necessity of the agenda. On the other hand, agenda necessity and source credibility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usefulness of the agenda. It was confirmed that social norms and government policy agendas showed different results in attitude and intention. This is expected to be an academically and practically useful barometer by further organizing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research on the convention agenda selection process, which was conducted without a rationale by using the information adoption model. 본 연구의 목적은 컨벤션 행사의 핵심 콘텐츠인 의제(agenda)선정과 관련하여 그 영향 요인이 무엇이고, 의제 결정자들의 의제 채택 매커니즘을 규명하는데 있다. 컨벤션 산업에서 의제는 사회가 직면하고 있는 가장 중요한 키워드이기 때문에 컨벤션 성공을 좌우하는 가늠자 역할을 하고 있음에도 관련 연구가 매우 부족하다. 따라서 기존 선행연구를 토대로 의제의 특성에 적합한 변수를 도출하고, 개인의 정보처리과정을 설명하는데 널리 사용되어 온 정보채택모델을 차용하여 개인의 정보 처리 과정(논거의 품질․정보 원천의 신뢰성․정보의 필요성)과 정보의 유용성을 통한 의사결정(태도․채택의도) 절차를 참고하여 실증연구 모델을 제시하였다. 또한, 컨벤션 맥락을 고려하여 사회적 영향 변인인 사회적 규범과 정부정책의제 변수를 추가하여 의제에 대한 태도와 채택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컨벤션 전문가들의 질적 인터뷰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203개의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그 결과, 의제의 품질 요소로 의제의 연관성과 시의성이 의제의 유용성에 선행 요인으로 작용함을 밝혀냈으며, 의제의 필요성 역시 의제의 유용성에 영향을 미치며, 이는 의제의 태도, 나아가 채택의도에도 영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반면에 의제 내용의 정확성과 의제 원천의 신뢰성은 의제의 유용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또한, 사회적 영향 변인인 사회적 규범과 정부정책의제는 의제에 대한 태도와 채택의도에 상이한 결과가 나타났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정보채택모델을 활용함으로써 이론적 근거 없이 진행되었던 컨벤션 의제 선정 절차에 대한 연구의 이론적인 틀을 한층 체계화함으로써 학문적으로나 실무적으로 유용한 바로미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 SSCISCOPUSKCI등재

        South Korea`s Middle Power Diplomacy: Toward an Agenda-Partner Based Leadership

        ( Jangho Kim ),( Saeme Kim ) 한국국방연구원 2016 The Korean Journal of Defense Analysis Vol.28 No.2

        This paper suggests that South Korea’s middle power identity can take on a more distinctive shape, and fulfill concrete goals, if it adopts a model of agenda-partner based leadership in which it demonstrates agenda-setting capabilities in tandem with strategic partner selection. Its middle power initiatives have been one way for South Korea to promote its national interests amidst a volatile geopolitical environment. However, its present middle power track has often lacked direction and sophistication. This is largely due to poor agenda selection, oftentimes choosing agendas that are too broad in scope or too rigid to coordinate with potential partners. Refining South Korea’s middle power diplomacy by directing resources to specific agendas, and collaborating with selective partners, will not only enable South Korea to secure a niche among myriad agendas, but also make it possible to build strategic, as opposed to tactical, coalitions.

      • KCI우수등재
      • KCI우수등재
      • KCI등재

        풍력발전의 환경침해에 관한 법적검토

        김남욱(Kim, Nam Wook) 한국국가법학회 2022 국가법연구 Vol.18 No.1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에 대응하고 파리기후협약을 이행하기 위하여 국회는 탄소중립기본법을 2021.9.24. 제정하였다. 탄소중립기본법에서는 2050 탄소중립사회이행과 녹색성장 기본원칙, 국가·지방자치단체·공공기관·사업자의 책무, 국가비전과 온실가스 감축목표, 국가 탄소중립 녹색성장 기본계획, 국가탄소중립녹색성장 위원회, 온실가스감축시책 등을 명시하고 있다. 정부는 원자력은 점진적으로 축소하고 화석연료는 대폭적으로 줄이며, 풍력·태양광·수소발전 등의 신재생에너지는 확대하고 하고 있다. 육상풍력발전이 백두대간 등 자연경관 및 생태계 파괴, 저주파 소음피해 등으로 인근 지역주민과 환경상 분쟁을 야기함에 따라 지방자치단체는 조례로 풍력발전건설의 과도한 이격거리등을 허가요건으로 규정함에 따라 풍력발전입지를 확대하는데 일정한 한계가 노정되어 있다. 정부는 풍력발전을 위한 원스톱 샵을 제도화하여 육상풍력발전보다 해상풍력발전을 더욱 확대할 방침의 경우에도 해상풍력발전에 따른 어업권 및 생태계 침해 등의 법적분쟁이 최소화 되도록 하는 법적 검토가 필요하다. 풍력발전의 공공성과 경제성을 확보하고 원활하게 신재생에너지를 확대하기 위하여 재생에너지법과 더불어 풍력발전특별법의 제정이 요구되고 있다, 국회에 계류 중인 풍력발전특별법은 국무총리 직속으로 풍력위원회를 설치하여 풍력발전사업시행승인까지 원스톱 샵 체제를 이루고 있으며, 인허가 의제 등을 도입하고 있다. 따라서 풍력발전건설의 전략적 계획과 지역계획 수립, 인허가의제도의 사전승인 후 협의제도 도입, 원스톱 샵의 도입과 지방자치단체의 역할 강화, 풍력발전건설의 이격거리 기준의 명문화, 풍력발전소의 전략적 환경영향평가와 종 보호, 풍력발전개발행위허가 취소에서의 원고적격문제에 관한 법적 쟁점을 검토한다. In order to respond to climate change caused by global warming and implement the Paris Agreement, the National Assembly passed the Carbon Neutrality Framework Act on September 24, 2021. enacted. In the Carbon Neutral Framework Act, 2050 carbon-neutral society implementation and basic principles of green growth, the responsibilities of the state, local governments, public institutions, and business operators, the national vision and greenhouse gas reduction goals, the national carbon-neutral green growth master plan, the national carbon-neutral green growth committee , and policies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The government is gradually reducing nuclear power, drastically reducing fossil fuels, and expanding new and renewable energies such as wind power, solar power, and hydrogen power generation. As onshore wind power generation causes environmental disputes with local residents due to destruction of natural landscapes and ecosystems such as Baekdu-daegan, and damage to low-frequency noise, local governments stipulate excessive separation distances for wind power generation construction as permission requirements by ordinance. There are certain limits to the expansion of the power generation site. Even if the government plans to further expand offshore wind power generation rather than onshore wind power generation, legal review is necessary to minimize legal disputes such as infringement of fishing rights and ecosystems due to offshore wind power generation. Therefore, strategic planning and regional planning for wind power generation construction, introduction of a consultation system after prior approval of the licensing system, introduction of one-stop shop and strengthening of the role of local governments, stipulation of separation distance standards for wind power generation construction, strategic planning of wind power plants Legal issues related to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and species protection, strengthening of residents’ acceptance of wind power generation, and legal issues related to the revocation of permits for wind power development activities will be reviewed.

      • KCI등재

        뉴스 소비의 변화와 뉴스의 진화 : 포털뉴스와 언론사 뉴스 사이트를 중심으로

        김경희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2012 언론정보연구 Vol.49 No.2

        본 연구는 이용자들의 뉴스 소비가 어떻게 달라지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달라진 이용자의 뉴스 소비가 저널리즘의 주요 이론에 어떤 변화를 가져오고 있는지를 고찰해 보았다. 분석 결과, 뉴스 이용 동기는 객관적 거리를 두고 뉴스를 수용하는 관객 동기에서 교감자 동기, 생산자 동기로 변화해 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생산자 동기는 이용자들이 아마추어 저널리스트로 변신하게 만들었는데, 그런 이용자들은 ‘수용자 분석하기’, ‘콘텐츠 취재하기’, ‘콘텐츠 생산하기’의 과정을 거쳐 기사를 생산하고 있었다. 또 이용자의 뉴스 소비로 ‘공감성’과 ‘이면성’, ‘인간적 흥미성’의 뉴스가치가 부각되었다. 이용자들은 뉴스 읽기 행위를 통해 미디어의 의제설정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고 있었으며, 기사를 작성해 인터넷 상에 출판함으로써 직접적으로도 미디어의제에 영향을 주고 있었다. 이용자의 뉴스 소비 변화가 가져온 뉴스의 내용면의 변화로는 ‘사적 영역의 뉴스화’, ‘주관적 의견의 뉴스화’, ‘조각 사건의 뉴스화’를, 형식면의 변화로는 ‘문어체에서의 탈피’, ‘기사 형식의 파괴’, ‘멀티미디어 형식으로의 변화’ 등을 찾아볼 수 있었다. This study addressed the changes in news consumption and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of those changes in journalism. First, news consumption motives changed from the spectator motive to the communer-motive, and then later to the producer-motive. The producer-motive transformed users into amateur journalists, who produced news articles by the process of ‘analyzing the audiences,’ ‘collecting the data for contents,’ and ‘producing the contents.’ The emerging news values in reading and producing news are ‘empathy,’ ‘hidden stories,’ and ‘human interest.’ The users indirectly influence the media agenda by consuming news, and directly affect the agendas of our societies by choosing social issues, writing articles, and publishing them on the Internet. The changes in new contents include ‘reporting private issues as news stories,’ ‘writing subjective opinions into news stories,’ and ‘writing fragmented cases into news stories.’ The changes in news format include ‘the dropping-out of literary style,’ ‘the destruction of the typical news format,’ and ‘the uses of multimedia.’

      • KCI등재

        저널리즘 연구 경향에 대한 국내외 비교 분석: 뉴스 관련 논문의 주제어 분석을 통해

        이종혁 ( Jong Hyuk Lee ),최윤정 ( Yun Jung Choi )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2017 커뮤니케이션학연구 Vol.25 No.3

        새로운 미디어기술의 확산과 뉴스 이용자의 적극적 참여로 저널리즘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데이터저널리즘, VR저널리즘, 네트워트저널리즘, 소셜저널리즘 등 새로운 양식에 대한 시도도 이뤄지고 있다. 하지만 저널리즘 연구가 이러한 변화에 따라가지 못한다는 비판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런 문제의식에서 최근 국내외 저널리즘 연구 경향을 살펴보고, 주로 사용되는 학술적 개념과 이론을 비교 분석하고자 기획됐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2012∼2017년 국내외 학술지(외국7곳, 국내 6곳)에 게재된 뉴스 관련 논문395건(외국 212건, 국내 183건)을 수집했다. 이어서 이 논문들로부터 주제어 1,434개(외국 769개, 국내 665개)를 도출한 뒤, 추상적 개념, 구체적 개념, 이론으로 분류했다. 추가로 이 주제어들을 연구영역(S-M-C-R-E)과 연구수준(개인-관행-조직-조직 외부-이념)별로 나눠 분석했다. 분석결과, 외국 논문에서는 온라인뉴스(onlinenews)와 소셜미디어(social media) 등 매체를 뜻하는 구체적 개념들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추상적 개념 가운데는 선택적 노출(selective exposure)과 뉴스 가치(news values) 등이 주요 연구 소재로 등장했다. 국내 논문에서는 뉴스 가치, 다양성, 공정성 등의 추상적 개념과 취재원 등의 구체적 개념들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이론에서는 프레이밍과 의제설정이 국내외 논문 모두에서 가장 많이 사용된 것으로 드러났다. 요컨대, 취재원과 뉴스 가치 등의 전통적연구 소재들이 여전히 연구되고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한편, 소셜미디어와 같은 기술 관련 소재나 댓글과 같은 이용자 참여에 대한 소재도 새롭게 나타나고 있었다. 저널리즘 이론에 대해서는 새로운 시도와 개발이 부족한 것으로 밝혀졌다. With the spread of new media technologies and the active participation of news users, interest in journalism is increasing. However, there is also a criticism that journalism research can not keep up with these changes.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trends of domestic and foreign journalism research and to analyze the academic concepts and theories used by the research.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llected 395 news-related articles published in domestic and overseas journals from 2012 to 2017. Then, from these articles, 1,434 key-words were derived and classified into abstract concept, concrete concept, and theory. In addition, these key-words were analyzed by research areas(S-M-C-R-E) and research levels(individual-routine-organization-extra mediaideology). As results, in foreign articles, the most frequently used concrete concepts were online news and social media. Among abstract concepts, selective exposure and news values have emerged as major research topics. In Korean articles, abstract concepts such as news value, diversity, and fairness, and the concrete concepts such as sources and news values were mentioned most frequently. In theory, framing and agenda setting were found to be the most used theories in both domestic and foreign studies. In short, traditional research subjects such as news sources and news values are still being studied. On the other hand, new subjects about user participation and social media is drawing attention. In terms of theories, journalism researchers lack in new attempts and develop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