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행정행위의 해석에 관한 소고

        남하균(Nam, Ha-Kyoon) 행정법이론실무학회 2016 행정법연구 Vol.- No.47

        법률 해석론은 법학일반이론에서, 사법상의 법률행위 해석론은 민법학에서 기초적인 주제로 강조되고 있는 데 반하여 행정행위 해석에 관한 논의는 찾아보기 힘들다. 행정행위에 추상적이고 불분명한 표현이 있을 때 해석을 통하여 확정된 의미내용에 따라 행정행위의 효력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행위의 법적 성격이 해석으로써 확정된다. 비록 ‘해석’이라는 쟁점으로 부각되지는 않았지만 행정법학의 곳곳에서 개별적인 주제로서 논의되어 온 것이 적지 않다. 행정쟁송의 대상적격으로서 처분성 인정여부, 행정행위의 취소 또는 철회 여부, 부관의 성질 판명, 후행처분이 선행처분에 미치는 영향 등이 그것이다. 행정행위는 법률의 틀 안에서 그를 집행하는 성격을 가지는 만큼 행정행위의 해석은 곧 법률 해석의 문제로 해소되는 경우가 많다. 그렇더라도 행정법학 전반의 개별 주제들을 아우르는 행정행위의 일반적 해석 방법론을 시론적으로 모색해볼 의미가 있을 것이다. 먼저, 기존의 법률 해석론 및 법률행위 해석론을 간략히 살펴보고 행정행위 해석과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상대방 있는 행정행위는 일반적 효력을 발생하는 법률과 달리, 그 해석이 구체적 사례에 고유한 사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개별적 성격을 띤다. 이 점에서는 쌍방적 구조를 공유하는 법률행위의 해석에 접근한다. 행정행위의 해석은 법률행위의 해석과 그 방법적 측면에서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다. 다만, 당사자의 실제 의사를 최대한 실현시킴으로써 사적자치의 이념을 지향하는 사법상의 법률행위 해석과 달리, 탈주관적인 공동체 이익을 지향하는 행정행위에서는 표의자인 행정청의 실제 의사에 결정적인 중요성을 부여할 수 없는 객관적 성격이 보다 강하다고 볼 수 있다. 다음으로, 행정행위의 해석 기준에 관한 판례를 유형별로 살펴보고 분석하였다. 대법원은 문언중심의 해석 원칙에 입각하여, 행정청이 문서에 의하여 처분을 한 경우 그 문언에 따라 처분의 내용을 해석하되, 처분서의 문언만으로는 불분명한 경우에는 처분 경위나 처분 이후의 상대방의 태도 등 다른 사정을 고려하여 처분서의 문언과 달리 그 처분의 내용을 해석할 수도 있다고 본다. 서면주의를 취하는 행정행위의 해석이 문언에 따라 이루어져야 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고, 일방적 규율로서의 행정행위의 성격상 문언중심원칙은 법률행위 해석에서보다 더 강조되어야 할 것이다. 판례는 신청에 대하여 행해진 행정행위는 처분 자체뿐 아니라 상대방의 신청행위 등의 문언 내용과 함께 행정행위의 목적, 행정행위가 행하여진 경위, 당사자들의 이해관계 등을 종합적으로 참작하여야 한다고 한다. 특히 신청에 대한 거부처분은 행정청의 적극적인 내용 구성이 없고 신청내용에 의존하기 마련이므로, 그 해석은 신청행위까지 아울러 대상으로 하여야 할 것이다. 그밖에 사례 검토와 기존의 법률 및 법률행위 해석론을 바탕으로 간략하게 행정행위 해석방법을 정리해보았다. While the legal interpretation theory is emphasized in the general theory of law and also the interpretation of private legal act as a basic theme in the civil law, the interest in the interpretation of agency action has been ra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ethodology that is unique to the interpretation of agency action. The administrative act has the nature to enforce the law within it"s own framework, and the opinion of the administrative office is often limited to reproducing the effects specified in the law in specific cases. As results of examining each precedent, we can find several characteristics of the interpretation of agency action. First, there are not many instances in which interpretation of agency action is an issue. This is because, as seen from the beginning, the agency action has the character of law enforcement, and the intention of the administration is not created by various contents. On the other hand, unlike the interpretation of private legal act, the Supreme Court precedents in interpreting the agency actions consider the agency or the other party"s intention, but does not put the exploration for it as an explicit interpretation goal. It is also possible that there is a percep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administrative law relations, which have a strong objective character. Finally, in the case of the interpretation of the administrative act, there are many cases where interpretation results are diverted not only between the agency and the other party but also between the courts. This is different from legal interpretation. If the general proposition of the interpretation of the law is established, there is not much doubt about its application. On the contrary, It seems hard to expect to improve the general proposition of the case or to elicit any more new proposition. It is also difficult to predict the outcome of each case because the individuality of each judge plays a large role. Therefore, it would be required to seek a practical operating system such as a way to clarify the text of the disposal letter from the front line administration and to make it cross-chek between the persons in charge and confirmation of the legal department so that there is less possibility of a dispute.

      • KCI등재

        미국 FCC의 결정에 대한 미국 법원의 행정청의 해석 존중의 원칙의 적용

        조상희(Jo Sang Hee) 행정법이론실무학회 2007 행정법연구 Vol.- No.18

        One of the most venerable doctrines in administrative law is that a court will give great deference to an agency's interpretation of its own rules (In German administrative legal terms, Beurteilungsspielraum). This deference is even greater than that afforded an agency's interpretations of the statutes it enforces. However, courts have positively provided their own interpretations where they disagree with the agency. Although the doctrine requires deference, it does not require that courts give agency interpretations controlling effect; thus courts are free to substitute judgment if they strongly disagree with the agency's interpretation. However, in the Chevron case, U.S. Supreme Court established a new regime that significantly altered the judiciary's role in reviewing agency statutory interpretations by referring to political accountability of the incumbent administration and the Chief Executive and political branch. And in Brand X case, U.S. Supreme Court has invoked the Chevron doctrine in reviewing an FCC statutory interpretation that implements a significant communications policy direction. But It is desirable that a less deferential review standard should apply to independent regulatory agencies such as FCC, SEC and FTC. Because the ability of the President and Congress to influence the independent agencies in their own ways does not rise to the level of control that justifies ascribing political accountability of executive agencies.

      • KCI등재

        수권규정에 관한 법해석과 법외노조 통보제도의 적법성 - 대법원 2020. 9. 3. 선고 2016두32992 전원합의체 판결 -

        곽신재 한국법학원 2021 저스티스 Vol.- No.184

        2013년 10월에 시작된 전국교직원노동조합 법외노조 통보 사건이 7년의 심리 끝에 대법원의 전원합의체 판결 선고로 마무리되었다. 대상판결의 다수의견은 현행 법외노조 통보 제도가 가진 수권근거의 결여, 즉 ‘법률의 공백’을 지적하는 지점에서 판단을 그쳤고, 각 별개의견과 반대의견은 이러한 다수의견이 판단이 ‘문제의 본질을 회피하는 편의주의적 판단’에 해당한다고 비판하였다. 이러한 견해 대립은 표면적으로 법외노조 통보 제도의 수권규정에 관한 서로 다른 해석론의 대립이나, 그 근저에는 행정법 영역에서 법원이 부담하여야 하는 역할이라는 보다 큰 쟁점이 놓여 있다. 행정법의 핵심적인 특질은 그 규율 대상인 행정이 수범자인 동시에 1차적 법해석자의 지위에 있다는 점이다. 수권규정에 관한 법해석과 실체적 요건에 관한 법해석의 구분은 이러한 특질의 연장선상에 있는 쟁점으로서, 행정관청에 대한 사법 존중의 범위, 행정에 대한 법치주의적 통제 방식, 나아가 삼권(三權)의 바람직한 분립과 견제 등의 질문과 연결되어 있다. 실체적 요건 규정의 경우 전문성을 가진 행정관청의 법해석을 충분히 존중할 필요가 있는 반면, 행정관청의 권한 범위를 설정하는 ‘수권규정’의 영역에서만큼은 입법부와 사법부가 보다 적극적으로 행정부를 감시‧통제할 필요가 있다. 특히 법원은 수권규정과 실체적 요건 사이의 구별을 염두에 두고, 행정관청이 입법부의 의사에 반하여 자신의 권한을 확장하는 방향으로 수권규정을 해석하고 있지는 않은지, 행정관청의 권한을 확장하는 법해석이 국민의 기본권을 제한할 가능성은 없는지, 나아가 법원에 의한 섣부른 법형성이 입법부의 제도 형성권을 침해할 가능성은 없는지 주의할 필요가 있다. 대상판결에서 각 별개의견과 반대의견은 흠결된 수권규정을 보충하는 법리인 ‘묵시적 위임 법리’와 ‘수익적 처분의 직권철회 법리’를 근거로 법외노조 통보 제도의 법적 근거를 인정하는 법해석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수권규정에 관한 법해석이 지닌 특징과 노동자의 단결권을 보호하는 헌법 원리 및 법령 개정 과정에서 드러나는 입법자의 의사를 고려할 때, 당해 사안에서 법원이 법해석을 통하여 흠결된 수권근거를 보충하는 것은 타당하다고 보기 어렵다. 대상판결은 법외노조 통보 제도의 수권근거를 인정하지 아니함으로써 입법기관 및 행정관청에게 ‘노동조합 사후심사제도’를 새롭게 형성할 책무를 지웠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In September 2020, the Korean Supreme Court issued an en banc decision that revoked the disposition notifying non-legalization of the Korean Teachers and Education workers Union. The majority opinion of the case indicated that because of the lack of legislative delegation to notify non-legalization of trade union, Article 9(2) of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Trade Union and Labor Relations Adjustment Act is null and void. Not giving any further interpretation of the rule which defines substantial requirements of ‘legal’ trade union, the major opinion is criticized by two concurring opinions and the dissenting opinion that it put aside the essential issue of the problem by focusing on the minor issue, such as the legal basis of delegation. However, the interpretation of delegation rule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issue in administrative law. It leads to significant questions about parliamentary reservation, separation of powers, judicial deference toward agency decisions, and the desirable regime of control over administrative power. As a member of trias politica, administrative agencies are not only regulatees of administrative law, but also initial interpreters of the rules. The courts might give some deference to agency interpretation of ‘requirement rules’, which frequently contains technical consideration and expert knowledge. However, in case of delegation rules, the courts should thoroughly examine whether administrative agencies enlarge their authority by arbitrary interpretation, putting the people’s fundamental rights in danger. Moreover, the courts should give deference to the National Assembly, which can hold public discussion about conflicting interests and fundamental matters with regard to people’s rights. As the authority for institutional formation is reserved to the legislature, the courts should be careful not to trespass the boundary of legislative power. In this case, each concurring opinions and the dissenting opinion has adapted judicial precedent of ‘implied delegation’ and ‘agency’s authority of revocation’ in order to supplement legal delegation of the disposition. However, none of these doctrines seems sufficient to complement the statutory grounds of the disposition or the enforcement decree. Rather, in consideration of parliamentary reservation, a trade union’s rights of association which the Constitution typically protects from the administrative control, and the legislator’ intent which can be inferred from the legislative history of the Trade Union Act, the administrative agency should not be permitted to do such a formative disposition like notification of non-legalization of a trade union without any statutory grounds, nor should the courts complement delegation that does not exist in the law by interpretation. On this account, the major opinion is particularly meaningful in that it urges the National Assembly and the government to form a new desirable regulation for a registered trade union by public discussion and adjustment of conflicting social interests.

      • KCI등재

        미국행정청에 대한 사법부의 존중 원칙의 검토 -청정수법 규칙 제정을 중심으로-

        최지연 한국법제연구원 2019 법제연구 Vol.- No.57

        미국 트럼프행정부는 청정수법의 시행규칙제정을 통해 법의 적용 범위를 명확히 함으로써 규제범위를 축소하고자 한다. 법의 적용 범위인 “미국 내 수역”을 자세하고 명료히 행정청의 시행규칙에 두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인데, 이와 같이 모호하게 표현된 법조항을 행정청이 해석하여 집행하는 것에 대한 사법심사의 기준으로 미국 행정법에서는 행정청에 대한 사법부의 존중 원칙(Chevron Doctrine)을 적용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미국 행정법에서 가장 중요한 원칙 중 하나로 꼽히는 Chevron Doctrine의 의미를 살펴보고, 청정수법의 해석에 대하여 행정청의 입장을 존중하되 Chevron Doctrine의 적용 범위를 점점 좁혀 온 대법원의 대표적인 판례 3건을 분석한다. 그리고 근원적인 법조항의 모호함으로 일어나는 지속적인 논란을 각각의 사건별로 법원의 판결에 의존하고 이를 정리하여 행정청의 지침으로만 두던 종례의 관행을 넘어, 2015년에 시도되었던 행정청의 규칙제정과 이에 따른 소송, 그리고 트럼프행정부의 새 규칙 제정 경과에 대하여 정리한다. 또한 현재 제정안에 대하여 Chevron Doctrine에 따라 제정안을 존중해야 한다는 정부와 제정안의 의도가 규제범위를 과도하게 축소하여 결국 청정수법의 입법의도와 어긋나므로 Chevron Doctrine을 고려하더라도 적절하지 않다는 시민단체의 입장 차이 및 주장에 대해 검토하고, 마지막으로는 법원의 판결 경향 및 정부 동향 등에 기반한 앞으로의 전망과 이로부터 얻어낼 수 있는 한국 행정법에의 시사점을 제시한다. The Trump Administration’s deregulatory agenda has been divulged in the agency interpretation of the Clean Water Act, as the proposed rules suggested seemingly limited applicability of the law. The Chevron Doctrine, the legal principle that the implementing agency has the authority to act and the courts are to defer the agency’s interpretationen when the Congress’s will as expressed on the statute is not clear will play the supporter for the administration’s position. This article provides a brief review of the Chevron Doctrine and the analysis of the three decisions by the Supreme Courts on the agency interpretations of the Clean Water Act. Explanations on the 2015 agency regulations and the subsequent lawsuits, and the newly proposed regulations, as well as the prospects for the regulations follow. Government’s arguments that the deference should be given as per Chevron along with activists’ concerns over the proposed regulation’s overbroad reduction of the law’s applicability are examined. Based on the court’s decisions in recent years and the government’s agenda, a careful expectation on the regulations of the Clean Water Act are stated. Thoughts and suggestions that may be helpful in the Administrative Law context in Korea are drawn at the end.

      • KCI등재

        재량을 구속하는 행정입법의 성질과 처분의 하자

        박재윤(Park, Jae-Yoon) 행정법이론실무학회 2017 행정법연구 Vol.- No.50

        재량은 행정의 본질에 속한다. 재량은 다른 한편으로 실무상 예측가능성과 법적 안정성의 측면을 보장하기에 장애가 되고, 더 나아가 행정에 부패의 여지를 발생시키는 한 요인으로서 부정적으로 평가되어 왔다. 개별사안에 적합한 유연한 해결의 필요성과 예측가능성의 부여라는 관점 사이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우리 판례는 종래 제재처분의 기준에 관하여 부령이라는 형식에도 불구하고 행정명령에 해당한다는 이론을 발달시켜서 법적 구속력을 부인함으로써 해결하여 왔다. 그런데 이러한 사정은 제재적 처분기준에 한정되는 문제이고, 대통령령, 부령 등의 형식으로 마련된 수익적 처분에 관한 재량기준에 대하여는 여전히 법치주의적인 구속과 개별사안의 형량 사이에서의 문제가 남아있게 된다. 수익적 처분의 경우에는 그 기준이 명확해야 상대방의 신뢰가 보장되기에 유리하거니와 앞에서 언급한 부패의 측면에서도 그 기준이 명확하고 더 나아가 당사자들에게 엄격한 구속력을 부여할 필요성이 크다고 할 것이다. 그러나 개별사안이 수익적 처분의 직권취소 내지 지급된 공법상 금전급부의 반환과 관련되면 예외를 인정할 필요성이 커지므로, 이를 적절히 해결하기 위한 방안의 모색이 필요해진다. 비교법적으로 보았을 때 독일에서는 재량행사의 기준이 주로 행정규칙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고, 이러한 재량행사의 기준이 되는 행정규칙의 외부효에 관한 논의가 매우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다. 독일의 새로운 경향에 의하면 재량유도적 행정규칙과 같이 그 규율이 사실상 외부를 향하는 규범의 경우에는 법규명령과의 차이가 상대화되는 특징이 있다. 우리의 경우 제재적 처분기준이 대부분 법률의 위임규정이 마련되어 있음에도 법원이 이를 행정규칙으로 파악하는 반면, 다수의 학설은 이를 비판적으로 보고 있다. 반면, 판례의 입장을 존중하는 학설로서 제재적 처분기준과 수익적 처분의 기준을 구분하는 견해들이 주장되고 있다. 최근에는 독일과 달리 헌법상 사용되지 않는 法規 개념을 포기하고, 법규의 본질, 법규명령의 형식 및 실질 등과 같은 도그마틱적 지표들 대신 실제의 문제점들을 구체화하고 세분화하여 이를 직접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기준과 방법을 모색하여야 한다는 견해가 유력하게 제시되고 있다. 그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제재적 처분기준 이외의 규범, 특히 수익적 처분인 허가 등의 요건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그 형식에도 불구하고 원칙적으로 문언대로 법원의 심사기준으로 삼아야 하는 규범적 효력을 인정하여야 한다고 본다. 다만, 이 경우에도 예외적이지만 개별사안에서 문언에서 벗어난 규율을 허용하는 신축적 규범으로 볼 수 있는 경우도 상정할 수 있는바, 공정거래위원회의 상당수의 고시와 같이 위임의 근거는 있으나 지나치게 포괄적이고 내용상 많은 것을 포함하는 경우, 수익적 처분의 절차를 규율하는 규정인 경우, 요건 부분의 불확정 개념으로서 요건재량을 구체화하는 경우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행정입법의 효력을 문언대로 인정하는 경우 헌법 제107조 제2항에 의하여 인정되는 명령 · 규칙 심사권한의 행사가 필수적이 될 것이다. 심사기준으로서 법률에서의 위임의 목적과 범위, 헌법상의 비례원칙 내지 평등원칙 위반여부가 중요하지만, 행정입법권자의 재량 내지 형성의 자유라는 측면에서 개별처분에 비하여 매우 한정적인 심사만이 가능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합헌적 해석에 의한 심사 및 변형결정의 방식도 인정될 수 있으며, 판결이유에서 행정입법의 효력범위를 제한적으로 해석하는 방식도 가능할 것이다. 종래 제재처분의 기준에서 발달되었던 방식은 수익적 처분의 기준과 같은 새로운 분야에 확대적용하기에는 부적절하다. 따라서 다른 방식으로 이 분야에서 사안에 적합한 해결을 도모할 필요가 있는바, 이는 종래와 같이 구속력 자체를 부인하는 것이 아니라, 일단 구속력을 인정하고, 우리 헌법이 인정한 법원의 명령 · 규칙 심사권한을 강화하는 방향이 되어야 할 것이다. 결국 헌법상의 권한을 바로 행사하여 행정입법을 통제하는 것이 투명성과 공정성을 보장하고, 권력분립의 관점에서 正道에 해당한다고 보인다. The discretion is a nature of administration. This institution has been treated as a obstacle of stability and predictability of law. It can be related to corruption. In this point korean case law has regarded administrative rule in sanction as a mere internal regulation. But this approach is not fit for beneficial measures like permission etc. It is required to be executed strictly for these areas. But it might be necessary to allow an exception, when government subsidies should be required to return by agency. The alternative approach regarding the nature of administrative rule will be preferred in this study. The common instrument of standard of agency’s discretion in german practice is presumed to be internal rules(Verwaltungsvorschrift). Recently the differences and distinctions between these internal rules and external rules(Rechtsverordnung) have been decreased. But discretional standards in korean statutes law have been provided almost with delegation clauses. The reason why the theory in korea criticized case law is in this point. New orientation of theory seeks to acknowledge the legal binding effect of these legal standards, especially for subsidies, allowance, permission, concession, except for sanctions. But these legal rules in a few exceptional situations for beneficial measure also can be treated as a flexible one allowing exceptions. In this new basis administrative legislation must be reviewed by judge by means of judicial review under the §107 Art.2 of korean constitution law. The methode and criteria for the review must be different from normal one regarding individual agency’s measure. This solution to reinforce the judicial power of review with admitting the binding effect will be appropriate for transparency, fairness and separation of power.

      • KCI등재

        Dreams in Post-Reformation England

        정영진 한국고전중세르네상스영문학회 2021 중세근세영문학 Vol.31 No.1

        This essay offers a historically engaged discussion of divine dreams in post- Reformation England. While dreams are part of ordinary human experience, their status and meaning are shaped by cultural contexts. Divine dreams, in particular, were the subject of intense scrutiny in seventeenth-century England. While many post- Reformation writers tried to establish criteria by which one might define the origin, significance, and verity of supernatural dreams, the status of divine dreams was ambiguous. It is the ambiguity, however, that invited early moderns to actively engage themselves with issues of agency and of literary representation in interpreting the meanings of what they believed were divinely prompted or truth-telling dreams. To some pious early modern Protestants, skills developed in the constant search for evidence of saving grace and spiritual truth could be applied equally to the signs provided by dreams, enabling them to cut through the knot of ambivalence that had surrounded dream interpretation.

      • KCI등재후보

        타인의 이름을 사용한 법률행위 -판례를 중심으로-

        김명숙 ( Myeong Sook Kim ) 안암법학회 2008 안암 법학 Vol.0 No.27

        The principle of freedom of contract is a basic principle in Civil Law. So, the parties are free to make their contract with whom they want. But by the law of representation, in the cases, when an agent acts in the name of a principal, its acts bind the principal and the other party directly each other. The agent is not bind personally to the other party. But, the actor acts on instructions and on behalf of, but not in the name of, a principal, the other party neither knows nor could have known that the intermediary acts an agent, the intermediary and the other party may be bound to each other. Sometimes, an actor, in spite that he is the true beneficiary of the contract, may conclude a contract under the name of a principal, who has no intention of bounding any legal obligations. In this case, the counter party may have known who is the true beneficiary or not. As the simulation, a contract is concluded with one person who will be really substituted, between the parties, it is the secret contract which prevails an apparent agreement within the limits of legal system, but the third party who acquires the rights in good faith of an apparent agreement is protected by Civil Law §108 Ⅱ. And the freedom of contract is within the limits of legal system, so when the parties deviate from the mandatory rules, it may lead to be void. It is important to determining who are the parties of the contracts, the relationship of the contract is established between the parties themselves and it may be necessary before determining the validity of the contract or a non-performance. Determining the exact parties of contracts can be dissolved by the interpretation of contract because the factor of the party is the content of the contract. The contents of contract are to be interpreted according to the common intention of the parties in spite of the literal meaning of the words. If an intention cannot be known, it is necessary to be interpreted according to the understanding that a reasonable person of the same kind as the other party would have had in the same circumstances. In determining the intention of a party or the understanding a resonable person would have had, due consideration to be given to all circumstances of the case including the characteristic of the contracts, the contents, the negotiations, an practices which the parties have established between themselves, and usages. When a contract contains "Lucke" which is needed to be filled, the process may be referred to completive interpretation. This paper deals with the court`s decis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 of contracts, and contrives to get the understanding of the rule in determining the parties of contracts in the cases.

      • KCI등재
      • KCI등재

        日本における訪日旅行者関連法についての最近の動向

        廣岡裕一 동북아관광학회 2008 동북아관광연구 Vol.4 No.1

        In Japan, the former Prime Minister Junichiro Koizumi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ourism in February 2002 in The National Diet, and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drew up a “global tourism strategy” in December. In 2006, “The Basic Law for Tourism Promotion” was enacted. Various laws relative to tourism have been enacted and revised before and behind that act. In particular, this paper describes the legislation circumstances for inbound tourists in Japan because it is the purpose of this paper to offer cues to examine the policy and to cope with actual subjects.

      • KCI등재

        막스 베버의 사회학과 비인간들

        서이종(Suh, Yi-Jong) 한국이론사회학회 2011 사회와 이론 Vol.19 No.-

        본 논문은 현대사회학에 중요한 고전사회학자인 막스 베버의 사회학에서 오늘날 이론적 쟁점이 되고 있는 비인간(행위체)들을 어떻게 자리매김 하고 있는지를 밝히고 그 이론적 함의를 추적한 글이다. 2절에서 비인간의 문제 의식에서 비판적으로 주장되는 인간중심주의와 자연과학과 문화과학의 이분법을 서술하고, 3절에서는 베버의 주관적인 의미 이해의 강조가 어떻게 비인간 행위체를 논외로 만드는지 그리고 4절에서는 그의 자연과학적 방법론에 대한 경계와 문화학적 방법으로의 경도가 비인간 행위체를 어떻게 간과하게 하고 인간과 비인간의 상호작용을 무시하게 하는지를 밝히고 5절에서는 그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인간과 비인간의 상호작용으로서 사회현실을 설명할 때 기여할 수 있는 베버 사회학의 함의를 추론한다. This paper is aimed to explore theoretical implications of non-humans in sociological theory through a theoretical review of Max Weber’s sociology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of current identity of sociology. Based on a review of non-human-based critical arguments about Max Weber’s Sociology in chapter 2, I examine how his focus on subjective meaning, his criticism on natural scientific methodology and his devotion to cultural science led to passing over the role of non-humans and ignoring the relation between humans and non-humans in his theory in chapter 3 and 4. In chapter 5 I find out theoretical implications of Weber’s sociology in explaining the relations between humans and non-humans despite the near or complete absence of theoretical position of non-humans in his sociolog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